KR20140078133A - 패류 자동 분리기 - Google Patents

패류 자동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133A
KR20140078133A KR1020120147147A KR20120147147A KR20140078133A KR 20140078133 A KR20140078133 A KR 20140078133A KR 1020120147147 A KR1020120147147 A KR 1020120147147A KR 20120147147 A KR20120147147 A KR 20120147147A KR 20140078133 A KR20140078133 A KR 20140078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ellfish
impellers
blade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7059B1 (ko
Inventor
김금규
Original Assignee
김금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규 filed Critical 김금규
Priority to KR102012014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0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fix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입·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고정날;을 포함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날개의 끝단과 고정날의 끝단은 첨예하게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 날개의 두께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회전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날개의 일측면은 삼각 형상의 절단날로 구성되는 패류 자동 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임펠러의 날개 끝단과 고정날의 끝단을 삼각 형상으로 첨예하게 형성하고, 상기 임펠러 날개의 두께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양식로프에 부착된 패류 분리시 상기 패류에 의한 임펠러와 고정날의 압박과 저항을 최소화하여 패류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가격경쟁력과 생산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패류 자동 분리기{Device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shellfish}
본 발명은 패류 자동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 굴 등과 같이 다발로 채취되는 패류를 낱개로 자동 분리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된 굴은 여러 개가 붙은 다발 상태로 채취되는데, 이러한 굴 다발은 망치나 절단용 칼 등 여타 도구를 이용한 인력에 의해 두들겨지거나, 칼질 되어 낱개로 분리되며, 이렇게 낱개로 분리된 굴은 세척된 이후, 굴 까기 및 포장과 같은 가공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굴 채취 및 가공 방법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채취 및 가공과정에서 많은 파손과 손실이 발생하여 상품화되는 굴의 생산량 감소와 굴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는 방안들이 점차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30375호에는 "회전축(111)에서 길이방향의 일정간격마다 봉 형상의 타발봉(112)이 방사형으로 다수 개 돌출된 타발기(110); 상기 타발기(1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근접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타발기(110)를 평행하게 지지하며, 일측 하부로 출구(142)를 형성하고, 출구(142) 반대측의 타발기(110) 상부로 패류를 투입하는 입구(141)를 형성하는 하우징(140); 상기 타발기(110)를 출구(14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수단(120);을 포함함으로써,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타발기 사이로 투입되는 패류 다발은 교차되는 타발봉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40) 내부면에서 고정형 타발봉(143)이 인접한 타발기(110)와 근접하도록 돌출하되, 타발기(1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돌출됨으로써, 타발기 사이에서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하우징에서 돌출된 고정형 타발봉과 타발기의 타발봉에 의해 낱개로 분리된다.
이에 상기 패류 자동 분리장치는 다발로 채취되는 패류를 낱개로 자동 분리하여 인건비를 줄이고 작업효율은 높여 가격경쟁력과 생산력을 향상시키는 장점은 있으나, 봉 형상의 타발봉(112,143)은 상당한 굵기와 크기를 가지므로 양식로프에 부착된 패류를 분리할 때 상기 패류가 깨지거나 으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구가 형성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2)의 외측에 형성된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1)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축(2); 상기 회전축(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임펠러(3); 상기 임펠러(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고정날(4);을 포함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처럼 상기한 패류 자동 분리기는 [도 1,2]에 도시된 패류 자동 분리장치에 비해 패류 채취시 상기 패류가 깨지거나 으깨지는 정도가 덜 하긴 하나, 패류를 양식로프로부터 분리하는 임펠러는 평철(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짐)로 이루어지고 상기 임펠러(3)의 날개(3a)의 끝단은 각진 형상으로 패류 분리시 상당한 압박과 저항을 받으므로 패류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정날(4)의 끝단도 임펠러 날개(3a)의 끝단과 동일하게 각진 형상으로 패류의 손상, 즉 상기 패류를 깨거나 으깨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37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임펠러의 날개 끝단과 고정날의 끝단을 삼각 형상으로 첨예하게 형성하고, 상기 임펠러 날개의 두께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양식로프에 부착된 패류 분리시 상기 패류에 의한 임펠러와 고정날의 압박과 저항을 최소화하여 패류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가격경쟁력과 생산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기는, 입·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고정날;을 포함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날개의 끝단과 고정날의 끝단은 첨예하게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 날개의 두께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회전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날개의 일측면은 삼각 형상의 절단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날의 반대편 하우징 내측면에 보조날을 돌출·형성하되, 상기 보조날은 임펠러의 날개와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의 날개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날개의 끝단부에는 단면이 화살촉의 형상을 갖는 절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되,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된 베어링의 좌우 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의 일단에는 고정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대와 베어링의 일측 사이에는 완충을 위한 다수의 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의 타측에는 안내대가 형성되되, 상기 안내대에는 조절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으로 안내공에서 베어링, 즉 회전축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임펠러의 날개 끝단과 고정날의 끝단을 삼각 형상으로 첨예하게 형성하고, 상기 임펠러 날개의 두께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양식로프에 부착된 패류 분리시 상기 패류에 의한 임펠러와 고정날의 압박과 저항을 최소화하여 패류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가격경쟁력과 생산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 패류 자동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단면도.
도 3 - 종래 패류 자동 분리기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4 - 본 발명 패류 자동 분리기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5 - 본 발명 패류 자동 분리기의 임펠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 본 발명 패류 자동 분리기의 임펠러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 본 발명 패류 자동 분리기의 하우징의 외측을 도시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기는, 입·출구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 형성된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축(20); 상기 회전축(2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임펠러(30); 상기 임펠러(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고정날(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하우징(10); 회전축(20); 임펠러(30); 고정날(40);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임펠러(30)의 날개(31)의 끝단과 고정날(40)의 끝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예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첨예하게 형성된 날개(31)와 고정날(40)에 의해 패류 분리시 상기 패류와 양식로프의 사이로 큰 저항과 압박 없이 날개(31)와 고정날(40)이 잘 들어가므로 양식로프에 부착된 패류의 채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상기 임펠러(30)의 날개(31)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두께(T)가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회전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날개(31)의 일측면은 삼각 형상의 절단날(31a)로 구성됨으로써 평철로 이루어진 종래의 임펠러 날개(3a)에 비해 패류 분리시 상기 패류에 의한 저항과 압박을 최소화하여 패류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물론 임펠러(30)의 날개(31)와 동일하게 고정날(40)의 두께도 하우징(10)의 부착부위에서 끝단으로 가면서 점차 얇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류 분리시 상기 패류에 의한 저항과 압박을 최소화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31)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날개(31)의 끝단부에 단면이 화살촉의 형상을 갖는 절단부(32a)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패류 분리시 상기 패류에 의한 저항과 압박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날(40)의 반대편 하우징(10) 내측면에 보조날(50)을 돌출·형성하되, 상기 보조날(50)은 임펠러(30)의 날개(31)와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유입되는 양식로프의 안내와 함께 상기 양식로프가 임펠러(30)에 위치하도록 정렬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로프에 부착된 패류의 크기에 따라 하우징(10) 내에서 임펠러(30)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하기의 구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즉 회전축(20)의 양단에 결합되되, 하우징(10)의 외측에 돌출된 베어링(21)의 좌우 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10)에는 안내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11)의 일단에는 고정대(12)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대(12)와 베어링(21)의 일측 사이에는 완충을 위한 다수의 스프링(13)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21)의 타측에는 안내대(14)가 형성되되, 상기 안내대(14)에는 조절볼트(15)가 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15)의 회전으로 안내공(11)에서 베어링(21), 즉 회전축(2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대(14)의 내면과 조절볼트(15)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안내공
12: 고정대 13: 스프링
14: 안내대 15: 조절볼트
20: 회전축 21: 베어링
30: 임펠러 31: 날개
31a: 절단날 31b: 절단부
40: 고정날 50: 보조날
T: 임펠러 날개의 두께

Claims (4)

  1. 입·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고정날;을 포함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30)의 날개(31)의 끝단과 고정날(40)의 끝단은 첨예하게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 날개(31)의 두께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회전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날개(31)의 일측면은 삼각 형상의 절단날(31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40)의 반대편 하우징(10) 내측면에 보조날(50)을 돌출·형성하되, 상기 보조날(50)은 임펠러(30)의 날개(31)와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30)의 날개(31)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날개(31)의 끝단부에는 단면이 화살촉의 형상을 갖는 절단부(32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의 양단에 결합되되, 하우징(10)의 외측에 돌출된 베어링(21)의 좌우 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10)에는 안내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11)의 일단에는 고정대(12)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대(12)와 베어링(21)의 일측 사이에는 완충을 위한 다수의 스프링(13)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21)의 타측에는 안내대(14)가 형성되되, 상기 안내대(14)에는 조절볼트(15)가 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15)의 회전으로 안내공(11)에서 베어링(21), 즉 회전축(2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기.
KR1020120147147A 2012-12-17 2012-12-17 패류 자동 분리기 KR10149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147A KR101497059B1 (ko) 2012-12-17 2012-12-17 패류 자동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147A KR101497059B1 (ko) 2012-12-17 2012-12-17 패류 자동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133A true KR20140078133A (ko) 2014-06-25
KR101497059B1 KR101497059B1 (ko) 2015-03-03

Family

ID=5112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147A KR101497059B1 (ko) 2012-12-17 2012-12-17 패류 자동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422A (ko) * 2020-07-03 2022-01-11 김정명 부착성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KR102446827B1 (ko) * 2022-04-01 2022-09-22 장해욱 멍게 개체 분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829B1 (ko) * 2016-03-04 2016-08-17 김병대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177Y1 (ko) * 1999-08-27 2000-03-15 김정렬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KR101277035B1 (ko) * 2011-11-14 2013-06-24 박정환 패류 자동 분리 장치
KR20130067677A (ko) * 2011-12-14 2013-06-25 김정명 굴 분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422A (ko) * 2020-07-03 2022-01-11 김정명 부착성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KR102446827B1 (ko) * 2022-04-01 2022-09-22 장해욱 멍게 개체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059B1 (ko)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059B1 (ko) 패류 자동 분리기
CN105211781B (zh) 一种四刀圆盆型剁辣椒机
CN106076816A (zh) 全自动香菇去根去柄及品质分选机
CN106262986A (zh) 一种鲜香菇切柄方法及装置
CN106858649A (zh) 一种哈密瓜削皮机
CN104126854A (zh) 一种大蒜切根须装置
CN105961567A (zh) 河蚌自动开壳取珠装置
CN106072716B (zh) 一种有叶柄类植物脱叶设备及方法
CN102303322A (zh) 一种小型食品切削机
CN203314085U (zh) 一种白肋烟打叶机
CN107012509A (zh) 一种菠萝叶纤维高效加料剥取装置
CN112871358B (zh) 基于多段式的香肠原材料碎丁装置
CN203708845U (zh) 用于采茶机械的双层茶叶切割器
CN107643203B (zh) 一种高压电缆截面检测装置
CN111996301B (zh) 一种足球生产用六边形皮革切割装置
KR101436331B1 (ko) 전동 회전 컷터식 고효율 마늘쫑 제거장치
CN104126855A (zh) 一种利用弹簧护刀仿形的大蒜切根须装置
CN202162840U (zh) 一种小型食品切削机
ITTV20080091A1 (it) Lame a molteplici ali ed alette taglienti inclinate al verso, applicabili a qualsiasi supporto rotativo, idonee al taglio dell'erba o del prato.
CN203316216U (zh) 甘蔗叶破碎机
CN208407223U (zh) 一种可调节碎纸宽度的碎纸机
CN106112390B (zh) 茶叶收割刀的加工方法
CN2327444Y (zh) 切割粉碎两用机
CN204894144U (zh) 一种全自动木纤维加工机械
CN204894145U (zh) 一种全自动实木生材加工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