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175A -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175A
KR20140076175A KR1020120144432A KR20120144432A KR20140076175A KR 20140076175 A KR20140076175 A KR 20140076175A KR 1020120144432 A KR1020120144432 A KR 1020120144432A KR 20120144432 A KR20120144432 A KR 20120144432A KR 20140076175 A KR20140076175 A KR 20140076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magnet
fixed
magnetic force
magn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이춘기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to KR102012014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6175A/ko
Priority to PCT/KR2013/011062 priority patent/WO2014092367A1/ko
Publication of KR2014007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의 후방에 형성되며, 전면에는 고정공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이 형성된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브래킷과, 유압실린더와, 제1,2링크 및 가이드링크가 포함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와; 상단은 가이드링크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된 한 쌍의 자력발생수단; 및 내면의 상측에는 상기 자석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부착면부가 구비되고, 내면의 하측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안착부가 형성된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에 카운터웨이트를 고정함에 있어서, 자력발생수단을 통해 카운터웨이트의 고정 및 분리를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카운터웨이트를 차체에 장착 또는 분리시 별도의 조절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자력발생수단의 자력 절환만으로도 차체에 간단하면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어, 카운터웨이트의 탈착에 따른 작업성 및 효율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카운터웨이트 ?착장치의 내구성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Removel device structure of counterweight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건설기계의 차체 프레임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를 이용하여 차체에 카운터웨이트를 탈착함에 있어서, 카운터웨이트를 안전하면서 정확하고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며, 카운터웨이트가 차체에 장착된 후 카운터웨이트의 하중이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어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와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나 휠로다 또는 지게차와 같은 운반하역기계(이하 "건설기계" 라 칭함)는 대체로 경사면이나 지반이 약한 장소에 등 제반작업 조건이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 수행시 장비가 쉽게 전복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붐이나 버킷(이하 "작업장치" 라 칭함)으로 차체가 기울어져 인명피해가 발생하거나 장비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기 쉽다.
따라서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원활한 운전작업을 위하여 장비의 무게중심이 작업장치와 반대방향인 후방에 위치하도록 작업장치의 반대 측에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를 설치함으로써 장비의 균형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즉, 카운터웨이트는 차체의 자중 또는 차체에 작용하는 외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균형추로서 하중으로 인한 모멘트에 대항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균형 하중체인 것이다.
이러한 카운터웨이트는 건설기계의 자체 자중을 늘리는 결과를 가져오며, 이에 따라 건설기계가 도로에서 이동할 때와 같이 작업 중이 아닌 경우라면 카운터웨이트의 무게로 인하여 불필요한 제약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를 건설기계와 별도로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켜 작업 현장에서 건설기계에 장착시키고 작업 후에 다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건설기계의 차체에는 통상의 링크와 유압실린더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가 구비된다.
한편, 이와 같은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의 선행기술로는 일본 특개평7-268908호와, 국내 등록특허 10-0406276호 "카운터웨이트 탈장착 시스템"을 통해 이미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던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 과, 도 2a, 2b 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의 구성을 보면, 차체(10)의 후방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프레임(11)이 형성되고, 그러한 설치프레임(11)의 전면 양측에는 연결프레임(12)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설치프레임(11)의 전면 중앙에는 연결프레임(12)의 사이로는 다수개의 브래킷(21)에 유압실린더(22)와 한 쌍의 제1링크(23),제2링크(24)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유압실린더(22)와 제1링크(23)와 제2링크(24)는 한 쌍의 가이드링크(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링크(25)에는 너트(26a)에 의해 상단이 체결되어 고정되며, 그 하단의 저면에는 수직 상방으로 끼움홈(26b)이 구비되고, 하단의 측면으로는 끼움홈(26b)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6c)이 형성된 요크(26)가 설치된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30)를 요크(26)와 고정시키기 위하여 카운터웨이트(30)에 구비된 후크부재(31)를 요크(26)의 끼움홈(26b)에 끼우면 후크부재(31)에 형성된 연결공(32)과 요크(26)의 관통공(26c)이 서로 일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핀(27)을 요크(26)의 한쪽 관통공(26c)으로 끼워 반대쪽으로 관통되게 한 후 스냅핀(28)으로 고정함으로써 요크(26)에 카운터웨이트(30)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요크(26)에 카운터웨이트(30)가 고정된 후에는 유압실린더(22)의 작동에 따른 제1링크(23) 및 제2링크(24)의 연동에 의해 카운터웨이트(30)가 들어 올려져 차체(10)의 설치프레임(11)쪽으로 이동되고, 이후 카운터웨이트(30)에 구비된 안착부(33)가 차체(10)의 연결프레임(12) 상면에 안착되면서 고정볼트(34)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카운터웨이트(30)를 차체(10)에 고정시킬 때 카운터웨이트(30)가 연결프레임(12)의 상면과 완전히 접면되어 카운터웨이트(30)의 무게 전체가 차체(10)에 전달되어야만 건설기계에 카운터웨이트(30)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부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 2b 와 같이 카운터웨이트(30)가 연결프레임(12)의 상면에 충분히 접면되어 안착되지 못할 경우 카운터웨이트(30)의 무게가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면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가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의 요크(26) 상단을 가이드링크(25)에 연결함에 있어서, 요크(26)의 상단을 가이드링크(25)에 관통시킨 후 너트(26a)로 고정시킴에 따라 카운터웨이트(30)의 안착부(33)가 연결프레임(12)의 상면에 충분히 접면되지 못하고 이격될 경우 도 3 과 같이 너트(26a)를 풀어 요크(26)와 함께 카운터웨이트(30)가 하측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여 카운터웨이트(30)의 안착부(33)를 연결프레임(12)의 상면에 완전히 접면시킴으로써 카운터웨이트(30)의 중량 전체가 차체(10)에 전달되도록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양쪽 요크(26)의 너트(26a)를 동일하게 조절하여 카운터웨이트(30)의 수평을 맞추면서 하강시켜야 하므로 조절작업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카운터웨이트(30)의 무게로 인하여 너트(26a)의 회전 또한 힘들어 카운터웨이트(30)의 탈착 효율성이 떨어지고, 카운터웨이트(30)의 탈착 시간 또한 오래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설기계의 차체 프레임에 카운터웨이트를 탈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와 카운터웨이트가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에 의한 카운터웨이트의 탈착 효율성과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카운터웨이트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체의 후방에 수직 상방으로 세워져 형성되며, 전면의 양측에는 고정공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한쌍의 제1,2링크 및 상기 유압실린더와 제1,2링크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링크가 포함되는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와; 상단은 상기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의 가이드링크에 각각 고정되고, 하단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된 한 쌍의 자력발생수단; 및 내면의 상측에는 상기 자석부재의 자석면과 접면되어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내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자석부착면부가 구비되고, 내면의 하측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고정공을 통해 고정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안착부가 형성된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자력발생수단의 자석부재가 전류의 공급 유무에 따라 자력을 절환시킬 수 있는 전자석 또는 레버의 작동으로 자력의 전달을 절환시킬 수 있는 자석리프트로 구성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자력발생수단의 자석부재가 카운터웨이트의 자석부착면부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부재와 자석부착면부에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위치결정수단으로 자석부재의 중앙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자석부착면부의 중심에는 돌기부가 상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를 형성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위치결정수단으로 자석부재와 자석부착면부에 표시부를 각각 형성하여 자석부재의 표시부와 자석부착면부의 표시부 일치를 통해 자석부재와 자석부착면부가 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에 카운터웨이트를 고정함에 있어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에 자력발생수단을 구비하여 그러한 자력발생수단의 절환을 통해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와 카운터웨이트의 장착 및 분리를 정확하면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전체가 차체에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운터웨이트의 일부 하중이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면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가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에 따라 차체의 후방에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를 통해 카운터웨이트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a 는 종래의 구성에 따라 차체의 후방에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를 통해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단면도이다.
도 2b 는 종래의 구성에 따라 차체의 후방에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를 통해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종래의 구성에 따라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와 카운터웨이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체의 후방에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를 통해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체의 후방에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를 통해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체의 후방에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를 통해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된 후 조정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은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카운터웨이트를 차체의 후방에 탈착시키기 위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와,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가 카운터웨이트를 고정시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에 구비되는 자력발생수단과,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의 자력발생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카운터웨이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 각 구성에 대해 도 4 와 도 5 와 도 6 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는,
카운터웨이트(300)를 차체(100)에 탈착시키기 위해 차체(100)의 후방에 구비되는 장치로서, 그러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에 의해 카운터웨이트(300)가 작업장치와 대향된 차체(100) 후방의 설치프레임(110)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차체(100)의 설치프레임(110) 전면에는 다수개의 브래킷(210)이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브래킷(210)에는 유압실린더(220)와 한쌍의 제1링크(230) 및 제2링크(240)의 한쪽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유압실린더(220)와 제1링크(230)와 제2링크(240)의 반대쪽은 가이드링크(250)에 의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유압실린더(220)의 의해 제1링크(230)와 제2링크(240)와 가이드링크(250)가 서로 연동되어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로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가 하측으로 회전되어 카운터웨이트(300)와 고정되고, 유압실린더(220)의 작동에 따라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가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카운터웨이트(300)를 들어올려 카운터웨이트(300)를 차체(100) 후방의 설치프레임(110)에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차체(100)의 설치프레임(110) 전면 양쪽에는 고정공(121)이 구비된 연결프레임(120)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카운터웨이트(300)의 내면 중앙부위 양쪽에는 수평한 형태의 안착부(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한 안착부(320)에는 체결공(330)이 구비됨에 따라 카운터웨이트(300)가 차체(100)의 설치프레임(110) 전면에 근접된 상태에서 카운터웨이트(300)의 안착부(320)를 연결프레임(120)의 상면에 안착 되도록 한 후 고정볼트(340)로 고정시킴으로써 카운터웨이트(300)의 하중 전체가 연결프레임(120)을 통해 차체(1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력발생수단은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에 카운터웨이트(300)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수단으로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링크(250)에 각각 상단이 고정되고, 그 수직 하방의 하단에는 자석부재(270)가 설치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자석부재(270)는 강한 자화상태를 오래 보존하며,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않아도 자성을 안정되게 유지하고, 잔류자기와 보자력이 큰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영구자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에 구비되는 자석부재(270)로 인하여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와 카운터웨이트(300)가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로부터 카운터웨이트(300)를 분리시킬 필요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석부재(270)를 영구자석으로 사용하는 경우 자력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는 것이며, 그 일 예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레버의 작동으로 자력을 전달을 절환시킬 수 있는 통상의 마그네틱 리프터(Magnetic Lif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자석부재(270)의 다른 실시 예로는 전류가 흐르면 자화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전자석(electromagnet)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인데, 이러한 전자석은 전류의 공급과 상관없이 항상 자기(磁氣)를 유지하는 영구자석과 구분되고,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선 주위에 동심원 모양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영구자석으로는 얻을 수 없는 매우 강력한 자기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자력의 절환에 있어 마그네틱 리프터와 같이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 전류가 통전될 수 있는 도선을 연장시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카운터웨이트(300)는,
차체(100)의 자중 또는 차체(100)에 작용하는 외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균형 하중체로서, 내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공(330)이 구비된 수평상태의 안착부(320)가 구비되고, 그러한 안착부(320)의 상측에는 자력발생수단(260)의 자석부재(270)와 상호작용을 하여 자화될 수 있는 수평 한 평판형태의 자석부착면부(310)가 구비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자석부착면부(310)는 자력발생수단(260)의 자석부재(270)에 자화되어 고정될 수 있는 자성체(magnetic substance)로 구성된 것이며, 자성체라 함은 자기장 안에서 자화하는 물질로서 자기모멘트가 정렬되어 있어 자성이 강한 자성체인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인 것이다.
여기서 자력발생수단(260)의 자석부재(270)와 카운터웨이트(300)의 자석부착면부(310)를 모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자석부재(270)와 자석부착면부(310)중 어느 하나만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강자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의 자력발생수단(260)에 구비된 자석부재(270)를 카운터웨이트(300)에 구비된 자석부착면부(310)에 자화시켜 고정함에 있어서, 자석부재(270)가 자석부착면부(31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어야만 카운터웨이트 탈착창치(200)에 카운터웨이트(300)가 고정된 상태로 들어올진 다음 차체(100)에 고정될 때 정확하면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석부재(270)가 자석부착면부(31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그 일 예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자석부재(270)에 내면 중앙에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자석부착면부(310)의 중심에는 자석부재(270)의 돌기부가 상응하여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를 형성한 것이며, 이는 설계조건에 따라 자석부재(270)에 홈부를 형성하고, 자석부착면부(310)에 돌기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돌기부와 홈부의 위치 또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자석부재(270)가 자석부착면부(31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위치결정수단의 다른 예로는 자석부재(270)의 외측면 한쪽에 표시부를 형성하고, 자석부착면부(310)의 표면에도 표시부를 형성하여 자석부재(270)의 표시부와 자석부착면부(310)의 표시부를 일치시켜 고정시키면 자석부재(270)가 자석부착면부(31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를 통해 카운터웨이트가 차체에 고정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건설기계에 카운터웨이트(300)를 장착할 경우, 차체(100)의 후방을 카운터웨이트(300)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도 4 와 같이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의 가이드링크(250)에 연결되어 있는 자력발생수단(260)인 자석부재(270)를 카운터웨이트(300)의 자석부착면부(31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되, 자석부재(270)가 자석리프트인 경우 레버를 이용하여 자력을 차단시켜 두고, 전자석인 경우 전류를 끊어 자력이 없는 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자석부재(270)를 자석부착면부(310)의 정확한 위치에 놓여 지도록 한다.
이후 자석리프트인 경우에는 레버를 작동시키고, 전자석인 경우에는 전류를 통전시켜 자석부재(270)에 자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자력발생수단(260)의 자석부재(270)와 카운터웨이트(300)의 자석부착면부(310)가 서로 자화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의 유압실린더(220)를 작동시켜 도 5 와 같이 카운터웨이트(300)를 차체(100)의 설치프레임(110)쪽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키면 카운터웨이트(300)의 안착부(320)가 차체(100)의 연결프레임(120)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자석부재(270)의 자력을 전술한 방법을 통해 제거하게 되면 도 6 과 같이 카운터웨이트(300)의 안착부(320)가 차체(100)의 연결프레임(120) 상면에 안착되면서 카운터웨이트(300)의 전체하중이 차체에 실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착부(320)의 체결공(330)과 연결프레임(120)의 고정공(121)을 통해 고정볼트(340)를 체결하여 카운터웨이트(300)를 차체(100)의 연결프레임(120)에 고정시킴으로써 차체(100)에 카운터웨이트(300)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체(100)로부터 카운터웨이트(300)를 분리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전술한 카운터웨이트의 장착방법 역순을 통해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200)에 카운터웨이트(300)를 고정함에 있어서, 자력발생수단(260)을 통해 카운터웨이트(300)의 장착 및 분리를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카운터웨이트(300)를 차체(100)에 탈착시 별도의 조절과정 없이 자력발생수단(260)의 자력 절환만으로도 카운터웨이트(300)를 정확하면서 안전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체 110 : 설치프레임
120 : 연결프레임 121 : 고정공
200 :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210 : 브래킷
220 : 유압실린더 230 : 제1링크
240 : 제2링크 250 : 가이드링크
260 : 자력발생수단 270 : 자석부재
300 : 카운터웨이트 310 : 자석부착면부
320 : 안착부 330 : 체결공
340 : 고정볼트

Claims (5)

  1. 차체의 후방에 수직 상방으로 세워져 형성되며, 전면의 양측에는 고정공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한쌍의 제1,2링크와, 상기 유압실린더와 제1,2링크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링크가 포함된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상단은 상기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의 가이드링크에 각각 고정되고, 하단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된 한 쌍의 자력발생수단; 및
    내면의 상측에는 상기 자석부재의 자석면과 접면되어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내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자석부착면부가 구비되고, 내면의 하측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면에 안착 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고정공을 통해 고정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안착부가 형성된 카운터웨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수단의 자석부재는,
    레버의 작동에 따라 자력의 전달을 절환시킬 수 있는 자석리프트 또는 전류의 공급 유무에 따라 자력의 전달을 절환시킬 수 있는 전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자력발생수단의 자석부재가 카운터웨이트의 자석부착면부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부재와 자석부착면부에 위치결정수단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자석부재의 중앙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자석부착면부의 중심에는 상기 돌기부가 상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자석부재와 자석부착면부에 표시부를 각각 형성하여 자석부재의 표시부와 자석부착면부의 표시부 일치를 통해 자석부재와 자석부착면부가 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KR1020120144432A 2012-12-12 2012-12-12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KR20140076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32A KR20140076175A (ko) 2012-12-12 2012-12-12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PCT/KR2013/011062 WO2014092367A1 (ko) 2012-12-12 2013-12-02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32A KR20140076175A (ko) 2012-12-12 2012-12-12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75A true KR20140076175A (ko) 2014-06-20

Family

ID=5093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432A KR20140076175A (ko) 2012-12-12 2012-12-12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76175A (ko)
WO (1) WO201409236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614B1 (ko) * 2015-04-16 2015-07-07 주식회사 태강기업 공기압축기 일체형 집진모듈이 장착된 굴삭기용 락드릴
WO2017061646A1 (ko) * 2015-10-07 2017-04-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
US11795657B2 (en) 2020-03-02 2023-10-24 Hd Hyundai Construction Equipment Co., Ltd. Counterweight mount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469A (ja) * 1994-10-14 1996-05-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作業機
KR100406276B1 (ko) * 2000-12-26 2003-11-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카운터웨이트 탈장착 시스템
JP5122786B2 (ja) * 2005-11-18 2013-01-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カウンタウェイトの着脱装置
KR20080050717A (ko) * 2006-12-04 2008-06-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의 카운터웨이트 탈/장착용 장치
KR20120071259A (ko) * 2010-12-22 2012-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카운터웨이트 착탈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614B1 (ko) * 2015-04-16 2015-07-07 주식회사 태강기업 공기압축기 일체형 집진모듈이 장착된 굴삭기용 락드릴
WO2017061646A1 (ko) * 2015-10-07 2017-04-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
US11795657B2 (en) 2020-03-02 2023-10-24 Hd Hyundai Construction Equipment Co., Ltd. Counterweight mount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2367A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7976A1 (en) Fork-carriage apparatus for a lift truck and valve assembly therefor
KR20140076175A (ko) 건설기계용 카운터웨이트 탈착장치 구조
KR20030086562A (ko) 자력흡착기의 흡착자력 스위치장치
US8376063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rear work machine to tractor
KR20200005142A (ko) 로봇 툴 결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66442B1 (ko) 영전자를 이용한 플랫폼 이동장치
CN210139336U (zh) 一种磁吸式可拆卸定位件及汽车结构件的装配定位结构
KR20120071259A (ko) 전자석을 이용한 카운터웨이트 착탈 시스템
KR102004983B1 (ko) 자기이동경로 제어장치
KR100925109B1 (ko) 벽면 이동 보행로봇의 마그네트 휠 어셈블리
KR101652715B1 (ko) 래싱 브릿지 착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컨네이너 선박
CN210475795U (zh) 磁性吸附安装机构及具有磁性吸附安装机构的切割装置
KR101468367B1 (ko) 트레일러용 마그네틱을 구비한 코일적재함장치
KR101942509B1 (ko) 디씨 구동 원형 타입 마그네틱 리프트 및 그 제어 장치
KR102065392B1 (ko) 마그네틱 리프트
JPH0826652A (ja) 把持機能を持つ装置に着脱可能な電磁石装置を備えた作業機械およびその作業方法
KR101735107B1 (ko) 틸팅캐빈의 제어 시스템
CN215710022U (zh) 具有防坠功能的抓取装置
KR102435760B1 (ko) 낙하시험용 클램핑장치
JPH09100083A (ja)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とその消磁方法
CN108639978A (zh) 一种支脚盘及安装该支脚盘的起重机
JP2006001672A (ja) マグネット付き建設機械
KR100747026B1 (ko) 엔진 후드 스테이 어셈블리
JP2779342B2 (ja)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
KR20010010081A (ko) 영전자식 권상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