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643A -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643A
KR20140074643A KR1020120142830A KR20120142830A KR20140074643A KR 20140074643 A KR20140074643 A KR 20140074643A KR 1020120142830 A KR1020120142830 A KR 1020120142830A KR 20120142830 A KR20120142830 A KR 20120142830A KR 20140074643 A KR20140074643 A KR 20140074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ultraviolet
layer
film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범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14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643A/ko
Priority to PCT/KR2013/006767 priority patent/WO2014092282A1/ko
Priority to TW102130003A priority patent/TWI541145B/zh
Publication of KR2014007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 기재시트; 프라이머층; 금속층;및 접착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필름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FILMS EXPRESSING METALLIC APPEAR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가전제품, 건축물의 내외장재에는 인테리어를 위하여 금속 외관 효과를 갖는 필름에 대한 수요가 많다. 이러한 필름들은 수지 재질이어서 경제적이고 다루기가 쉬움에도 불구하고, 마치 고가의 스테인레스 스틸 등 금속 재질로 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이를 위하여는 필름의 표면에 마치 스테인레스 스틸 등 금속들과 같이 미세한 실금들이 나 있으며, 단순한 코팅이 아니라 재질 자체의 특성인 것 같은 금속성 색채를 가져야 한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06-0078530호에는 헤어라인 무늬가 형성된 PET필름과, 상기 헤어라인 무늬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프라이머층과 알루미늄 증착층, 우레탄 접착제층,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효과를 내는 고광택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사포롤을 통과시켜 필름 표면을 긁어 헤어라인, 즉 실금을 형성하였던 종래 기술로는, 필름 길이 방향의 라인, 즉, 세로 라인은 형성되나 필름 폭 방향의 라인, 즉 가로 라인 형성이 어려웠다. 이 때문에 필름에 세로 라인의 실금들만이 나타나 금속 재질이라기에는 자연스러움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좀더 자연스러운 금속성 외관을 구현하고자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의 엠보 롤을 이용하는 경우 마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 같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성 외관을 갖는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재시트(20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시트(200)의 상단에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재시트(200)의 하단에 프라이머층(300)을 형성시키는 단계;및
상기 프라이머층(300)의 하단에 금속층(40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
기재시트(200);
프라이머층(300);
금속층(400);
접착층;및
이형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은 표면에 미세하면서도 부드러운 라인들이 형성되어, 마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과 같은 인상을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면, 필름의 표면에 가로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F)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이 적층된 기재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름(F)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필름(F)의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표면의 오목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기재시트(20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시트(200)의 상단에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재시트(200)의 하단에 프라이머층(300)을 형성시키는 단계;및
상기 프라이머층(300)의 하단에 금속층(40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도 1).
이 때,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형성 단계는,
상기 기재시트(200)가 표면에 위치하는 제1롤(1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롤(10)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2롤(20)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인접한 위치에 경화 램프(30)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롤(10) 및 상기 제2롤(20)의 사이에 자외선경화성 수지(40)를 공급하고, 상기 제1롤(10) 및 제2롤(20) 중 하나 이상이 회전하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에 제2롤(20)의 요철을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
기재시트(200);
프라이머층(300);
금속층(400);및
접착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필름에 대한 것이다(도 3).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기재시트(200)의 준비 단계(S1)
본 발명의 기재시트(200)는 열에 의하여 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올레핀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기재시트(200)는 10 % 미만의 헤이즈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재시트(200)의 헤이즈값이 10 %를 초과하는 경우, 금속층(400)이 필름 외관까지 잘 투시되지 않아, 필름의 금속성 외관 특성이 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시트(200)는 20 ~ 50 μm의 두께를 갖는다. 기재시트(200)의 두께가 20 μm 미만인 경우, 상단에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이 형성된 기재시트(200)가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을 지지하지 못하고 형태가 망가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기재시트(200)의 두께가 50 μm를 초과하는 경우, 하단의 금속층(400)의 특성이 필름 외관에서 충분히 보여지지 않게 된다.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형성 단계(S2)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형성
본 발명의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은 우레탄 또는 아크릴계 모노머, 이의 올리고머, 광개시제 및 기타 물성을 보완해주는 첨가제로 구성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로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또는 기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벤조일 퍼옥사이드(BPO) 등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라디칼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로는 고형분이 30 ~ 100 중량%인 수지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엠보싱 롤과 같은 금형에 형성된 요철과 동일한 요철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용제를 첨가하지 않은 고형분 100 중량%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수지 조성물과 엠보싱 롤과의 밀착성이 낮아져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형성 효율이 낮아진다.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의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재시트(200)가 표면에 위치하는 제1롤(10)을 준비하는 단계(S201);
상기 제1롤(10)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2롤(20)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인접한 위치에 경화 램프(30)를 배치하는 단계(S202);
상기 제1롤(10) 및 상기 제2롤(20)의 사이에 자외선경화성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1롤(10) 및 제2롤(20) 중 하나 이상이 회전하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에 제2롤(20)의 요철을 전사시키는 단계(S203).
본 발명의 기재시트(200)가 표면에 위치하는 제1롤(10)을 준비하는 단계(S201)는 제1롤(10)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기재시트(200)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 때, 제1롤(10)에 기재시트(200)의 일부분이 걸쳐지고, 상기 제1롤(10)이 회전함에 따라 기재시트(200)의 나머지 부분이 제1롤(10) 방향으로 딸려오는 형태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제1롤(10)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2롤(20)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인접한 위치에 경화 램프(30)를 배치하는 단계(S202)는 자외선경화성 수지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며 경화시키기 위한 전단계이다. 이 때, 상기 제1롤(10)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2롤(20)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는 제1롤(10)과 제2롤(20)의 사이에 자외선경화성 수지를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두께에 따라 제1롤(10)과 제2롤(20)의 거리가 결정되며, 이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롤(20)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요철은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에 역상으로 요철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롤(20)의 볼록부에 대응하여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롤(20)의 표면의 요철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데, 상기 볼록부의 면적은 오목부의 면적보다 좁으며, 상기 볼록부는 0.3 ~ 0.7 μm의 높이를 갖는다.
상기 경화 램프(30)는 제1롤(10)과 제2롤(20)의 사이에 공급되는 자외선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자외선 램프이다. 상기 경화 램프(30)는 제1롤(10) 및 제2롤(2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롤(10) 또는 제2롤(20)을 기준으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가 공급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롤(10) 및 상기 제2롤(20)의 사이에 자외선경화성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1롤(10) 및 제2롤(20) 중 하나 이상이 회전하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에 제2롤(20)의 요철을 전사시키는 단계(S203)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이 적층된 기재시트(20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203)에서는 공급된 자외선경화성 수지가 상기 제1롤(10) 및 제2롤(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기재시트(200) 상에 적층되는 것과 동시에 표면에 요철이 전사되고 경화된다. 즉,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에 제2롤(20)의 요철이 전사되는 것과 동시에 기재시트(200)의 상단에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이 형성된다. 상기 제1롤(10) 및 제2롤(20)은 둘 다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형성 단계(S2)는 자외선경화성 수지에 제2롤(20)의 요철을 전사시키는 단계(S203)로부터 제조된, 상단에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이 적층된 기재시트(200)를 별개의 경화 램프를 이용하여 2차 경화하는 단계(S20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경화 단계(S204)에 의하여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의 물성이 좀더 안정적으로 된다.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두께는 10 ~ 30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두께가 10 ㎛ 미만인 경우,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과 기재시트(200) 간의 결합력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두께가 30 ㎛를 초과하는 경우, 하단의 금속층(400)의 특성이 필름 외관에서 충분히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은 10 % 미만의 헤이즈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헤이즈값이 10 %를 초과하는 경우, 금속층(400)이 필름 외관까지 잘 투시되지 않아, 필름의 금속성 외관 특성이 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은 표면에 요철을 갖는데, 상기 요철은 상기 제2롤(20)의 요철에 대응하여 역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요철은 기재시트(200)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표면의 요철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데, 상기 오목부의 면적은 볼록부의 면적보다 좁으며, 상기 오목부는 0.3 ~ 0.7 μm의 깊이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3 μm 미만인 경우, 금속 표면에서 관찰되는 미세한 실금이 잘 나타나지 않아, 본 발명에서 의도한 금속성 느낌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7 μm를 초과하는 경우, 일반적인 금속 표면의 실금, 즉 헤어라인과의 유사성이 떨어지게 되어, 역시 본 발명에서 의도한 금속성 느낌을 구현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표면에는 하기 식 1을 만족시키는 오목부가 포함된다(도 4). 이는 본 발명의 방법은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의 표면에 필름 폭 방향의 라인(오목부), 즉 가로 라인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 1>
a > b
a: 오목부의 긴 방향(l)의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한 각도
b: 오목부의 긴 방향(l)의 상기 필름의 폭 방향에 대한 각도.
프라이머층(300)의 형성 단계(S3)
본 발명의 프라이머층(300)은 기재시트(200)와 금속층(400)의 사이에 위치하며, 기재시트(200)와 금속층(400)의 부착력을 증대시킨다. 상기 프라이머층(300)은 아크릴계, 아크릴 우레탄계,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스터계, 아크릴레이트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미드계, 멜라민계, 합성고무계,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300)은 기재시트(200)의 하단에 그라비아 코팅법 등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시트(200)층의 하단이란, 기재시트(200)를 기준으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과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프라이머층(300)은 상기 수지의 용액 상 점도를 변화시켜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1 ~ 5 μ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300)의 두께가 1~ 5 μm 범위일 때, 기재시트(200)와 금속층(400)의 부착력을 충분히 증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필름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지지 않는다.
금속층(400)의 형성 단계(S4)
본 발명의 금속층(400)은 프라이머층(300) 하단에 금속 성분을 증착하여 형성된다. 상기 금속층(400)은 일반적인 진공 열 증착 방법 또는 스퍼터링 방법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진공 열 증착 방법의 경우 10-4 ~ 10-6 torr 및 300 ~ 800 ℃에서 진공 증착을 진행할 수 있으며, 스퍼터링 방법의 경우 플라즈마 상태에서 작은 금속 나노 입자로서 분리되어 상기 프라이머층(300) 하단에 상기 금속 나노 입자가 코팅되도록 하여 약 0.70 OD(Optical Density) 두께로 금속 증착을 진행할 수 있으나, 증착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은 금, 은, 코발트, 알루미늄, 철, 니켈, 크롬, 구리, 주속, 스테인레스 스틸 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구현하고자 하는 금속 질감에 따라 적당한 금속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금속층(4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층(400)은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 기재시트(200) 및 프라이머층(300)을 통하여 외관에서 감지가 된다. 상기 금속층(400)은 본 발명의 필름이 보다 더 금속과 유사한 질감을 구현하고, 금속 색감을 표현하게 한다.
본 발명의 금속층(400)은 100 ~ 1000 nm의 두께로 형성된다. 금속층(400)의 두께가 100 nm 미만인 경우 필름 외부에서 금속성 느낌을 감지하기 어렵고, 금속층(400)의 두께가 1000 nm을 초과하는 경우, 필요 이상으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금속층(400)은 단일의 금속 박막층 또는 다층 구조의 금속 박막층일 수 있는데, 금속 박막층이 여러 층 증착된 금속 박막층을 사용하는 것이 단일 금속박막층을 사용하는 것보다 다양한 컬러 및 고휘도의 금속 질감 구현이 가능하다.
접착층의 형성 단계(S5)
본 발명의 접착층은 본 발명의 금속층(400) 하단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접착층은 본 발명의 필름을 피착체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피착체는 전자제품 등의 플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층은 폴리우레탄 혹은 폴리에스테르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콤마 코팅법으로 5~10㎛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고, 불투명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입체감을 연출시킬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법으로 상기 접착층의 도포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을 불투명층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을 이루는 접착제 조성물에 안료가 첨가될 수 있다.
필름
본 발명의 필름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100); 기재시트(200); 프라이머층(300); 금속층(400);및 접착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필름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인테리어 필름, 장식용 필름 등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전자제품, 가구, 실내외 인테리어용 내외장재 등의 표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필름은 상기 물품들이 마치 금속으로 제작된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형된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 1>
헤이즈도가 6%, 빛투과율 92%이상, 광택도 160%이고 두께가 30 μm인 고투명 PET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PET 시트를 제1롤에 위치시켰다. 자외선경화성 수지 코팅액으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이 10 중량부가 포함된, 고형분 70%의 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제1롤을 표면에 약 0.5 μm의 볼록부들이 형성된 제2롤과 가까이 배치하고, 인접한 위치에 UV 경화 램프를 배치하였다. 상기 제1롤과 제2롤 사이에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 코팅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UV램프를 이용하여 1차 경화하였다. 그 후 1차 경화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을 별도의 UV램프로 2차 경화하여 상기 기재시트의 상단에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을 형성시켰다.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의 두께는 20 μm였으며,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의 표면에는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었다. 이를 충분히 건조한 후 기재시트의 하단에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코팅법으로 4 μm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10-4Torr, 760 ℃에서 진공증착을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머층의 하단에 600 μm 의 두께를 가지는 알루미늄 증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콤마 코타 공법으로 10 μm 의 두께로 도포하여 알루미늄 증착층의 하단에 폴리에스테르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은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의 표면에 필름의 길이 방향 뿐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긴 실금(오목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층의 색감이 비쳐, 수지 필름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인 것 같은 느낌을 주었다.
10 제1롤
20 제2롤
30 자외선 경화 램프
40 자외선경화성 수지
100 자외선경화성 수지층
200 기재시트
300 프라이머층
400 금속층
500 접착층

Claims (15)

  1. 기재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시트의 상단에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재시트의 하단에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하단에 금속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시트의 두께는 20 ~ 5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시트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의 두께는 10 ~ 3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은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의 요철은 기재시트의 반대 방향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하단에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의 표면에는 하기 식 1을 만족시키는 오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식 1>
    a > b

    a: 오목부의 긴 방향(l)의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한 각도
    b: 오목부의 긴 방향(l)의 상기 필름의 폭 방향에 대한 각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의 형성 단계는,
    상기 기재시트가 표면에 위치하는 제1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롤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2롤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인접한 위치에 경화 램프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롤 및 상기 제2롤의 사이에 자외선경화성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1롤 및 제2롤 중 하나 이상이 회전하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에 제2롤의 요철을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기재시트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 또는 제2롤을 기준으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가 공급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상기 상기 경화 램프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경화성 수지에 제2롤의 요철이 전사되는 것과 동시에 기재시트의 상단에 자외선경화성 수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의 요철의 볼록부의 높이는 0.3 ~ 0.7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의 표면은 볼록부의 면적이 오목부의 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자외선경화성 수지층;
    기재시트;
    프라이머층;
    금속층;및
    접착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필름.
KR1020120142830A 2012-12-10 2012-12-10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4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30A KR20140074643A (ko) 2012-12-10 2012-12-10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3/006767 WO2014092282A1 (ko) 2012-12-10 2013-07-29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102130003A TWI541145B (zh) 2012-12-10 2013-08-22 體現金屬外觀效果的裝飾膜及其製備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30A KR20140074643A (ko) 2012-12-10 2012-12-10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643A true KR20140074643A (ko) 2014-06-18

Family

ID=5093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830A KR20140074643A (ko) 2012-12-10 2012-12-10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74643A (ko)
TW (1) TWI541145B (ko)
WO (1) WO20140922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972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0957A (ko) * 2021-10-08 2023-04-17 (주)청호시스템 몰딩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485B2 (ja) * 1994-10-20 2004-07-28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3145673A (ja) * 2001-11-13 2003-05-20 Katani Sangyo Kk 金属調化粧シート
KR101141757B1 (ko) * 2004-12-31 2012-05-03 주식회사 케이씨씨 부착력이 향상된 금속효과를 내는 고광택시트 제조방법
KR101268403B1 (ko) * 2010-06-15 2013-05-28 주식회사 이노그라텍 음영과 금속질감을 갖는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KR101268748B1 (ko) * 2011-02-21 2013-05-29 (주)엘지하우시스 독립된 구조의 투명 돌기를 포함하는 경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972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0957A (ko) * 2021-10-08 2023-04-17 (주)청호시스템 몰딩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22458A (zh) 2014-06-16
TWI541145B (zh) 2016-07-11
WO2014092282A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0213B2 (ja) 紫外線硬化樹脂を用いた金属外観効果を具現するインテリ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734197B2 (ja) 金属外観効果に優れたインテ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09018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それと一体化した物品
KR101437784B1 (ko) 종방향 헤어라인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7539B1 (ko)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9514A (ko) 홀로그램 패턴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판
TWI511878B (zh) 含紫外線硬化型樹脂之具有金屬效果的高光澤片材及其製備方法
JP6350176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6438590B2 (ja) 真空熱成形用デコレーションシート、及びこれ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物品、真空熱成形用デコレーションシートの製造方法
JP5159980B1 (ja) クラックの発生を抑制できる転写シート
KR20140074643A (ko)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09456B1 (ko) 미세 패턴을 가지는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3412A (ko) 장식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20138101A1 (ja) 成形用加飾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加飾成形体
JP2784515B2 (ja) 賦形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転写箔
KR101238048B1 (ko) 홀로그램이 형성된 라미네이션용 플라스틱 필름 및 그의제조방법
KR20130094411A (ko) 인테리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56209A (ko) 금속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H0263900A (ja) 転写箔
KR20140081197A (ko)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56679A (ja) 金属薄膜を有し、無機酸エステル化合物を含む前アンカー層を有する転写シート
JP2010167600A (ja) 金属調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