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907A -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907A
KR20140073907A KR1020120141935A KR20120141935A KR20140073907A KR 20140073907 A KR20140073907 A KR 20140073907A KR 1020120141935 A KR1020120141935 A KR 1020120141935A KR 20120141935 A KR20120141935 A KR 20120141935A KR 20140073907 A KR20140073907 A KR 2014007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contact
moving
button
deterge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907A/ko
Priority to EP13192906.9A priority patent/EP2740830B1/en
Priority to US14/080,662 priority patent/US9777422B2/en
Priority to CN201310573169.1A priority patent/CN103866539B/zh
Publication of KR2014007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부가 형성되는 세제케이스와, 세탁기본체에 설치되는 버튼장치와, 버튼장치의 조작에 의해 세제케이스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케이스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CLEANSER CASE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가 세제케이스를 세탁기 외부로 인출하여 세제를 섭취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는 드럼 내에 세제, 세탁수,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과 물의 낙차를 이용해서 세탁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겨지는 원통형상의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원통형상의 드럼과, 터브의 후부에 배치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회전축과,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상부 전방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케이스가 설치되며, 그 후방에는 외부에서 세탁수를 공급받아 세제케이스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관이 형성된다.
세제케이스 내부를 거친 세탁수는 세제케이스와 터브 상부를 연결하는 급수관을 통해 터브 내부로 유입되고, 터브 내부에 설치된 드럼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과 접촉된다.
드럼의 내주부에는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리프터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드럼이 회전하게 되면 각 리프터에 의해 세탁물과 세탁수가 상부로 올려진 후에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세탁물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며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터브와 드럼의 전방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도어를 열면 개방부들을 통해 드럼에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되며, 도어를 닫으면 터브와 드럼이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상기와 같은 세탁수 공급, 드럼 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세탁과정에서 오염된 세탁수는 배수펌프와 배수관을 통해 터브 외부로 배출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3177호(1999.12.17. 등록, 고안의 명칭 : 세탁기용 급수 및 세제 케이스의 구조)가 있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의 전면부에는 세제케이스가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는 세제케이스를 세탁기본체 외부로 인출하여 세제를 담은 후 세탁기본체 내부로 밀어넣은 상태로 세탁을 개시하게 된다.
기존의 드럼세탁기에는 세제케이스의 인출을 구속하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어린이가 드럼세탁기의 전면부에 형성된 세제케이스를 세탁기본체 외부로 인출하여 섭취하는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세제케이스의 인출을 구속하는 잠금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어린이가 세제케이스를 세탁기 외부로 인출하여 세제를 섭취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는, 세탁기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부가 형성되는 세제케이스; 상기 세탁기본체에 설치되는 버튼장치; 및 상기 버튼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세제케이스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케이스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튼장치는, 단부가 상기 세탁기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 상기 세탁기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는 이동부; 및 상기 세탁기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세탁기본체 내부에서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는 이동구; 상기 이동구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접하는 레일접촉구; 및 상기 이동구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고정장치와 접하는 고정장치접촉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구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의 일측면과 접하는 제1가이드구; 상기 제1가이드구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의 타측면과 접하는 제2가이드구; 및 상기 제1가이드구, 상기 제2가이드구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접촉구와 접하는 제3가이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고정장치는, 상기 세탁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걸림부와 접하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회동후크; 및 상기 회동후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장치와 접하며, 상기 버튼장치에 연동하여 회동되면서 상기 후크부를 상기 걸림부와 접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회동작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고정장치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후크 또는 상기 회동작동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제케이스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버튼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고정장치를 작동시키면서 세제케이스의 이동(인출)을 구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세제케이스의 측면부에 형성된 버튼부를 조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제케이스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것에 의해 세제케이스를 세탁기본체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세제케이스의 인출을 구속하는 잠금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어린이가 세제케이스를 세탁기 외부로 인출하여 세제를 섭취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 장치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가 적용된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의 버튼장치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에서 세제케이스를 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가 적용된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의 버튼장치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에서 세제케이스를 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200)는 세제케이스(210), 버튼장치(230), 케이스고정장치(250)를 포함한다.
세제케이스(210)는 세제가 담기는 수용부(211)(도 8 참조)를 구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본체(10)에 설치된다.
세제케이스(210)는 도 1,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본체(10)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세제케이스(210)는 세탁기본체(10) 내부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본체(1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세탁기본체(10) 외부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세제케이스(210)에는 케이스고정장치(250)와 접하는 걸림부(21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부(215)는 케이스고정장치(250)의 회동후크(253)(도 3 참조)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홈부의 형상을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케이스(210)가 세탁기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스고정장치(250)의 회동후크(253)의 단부가 걸림부(215)에 끼워지면, 세제케이스(210)는 회동후크(253)에 걸려 세탁기본체(10) 외부로의 인출이 구속된다.
버튼장치(230)는 사용자가 세탁기본체(10)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버튼부(231)를 구비하여, 세제케이스(2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세탁기본체(10)에 설치된다.
세제케이스(21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되게 설치되면, 버튼부(231)는 세탁기본체(10)의 전방부가 아닌 측면부 또는 배면부, 상면부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의 세탁기본체(10)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 도어, 조작패널이 전방에 형성됨에 따라, 전방부가 사용자가 가장 편리하게 접할 수 있는 위치를 향하도록 놓여진다.
세탁기본체(10)의 측면부, 배면부는 전방부에 비해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어린이가 버튼부(231)를 조작하여 세제케이스(210)를 잠금 해제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버튼부(231)를 세제케이스(210)의 인출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해 노출되게 형성하면, 버튼부(231)의 기능을 학습하여 익히지 않는 한, 세제케이스(210)와 버튼부(231)가 상호 연관된다고 직관하기 어렵다.
또한, 버튼부(231)를 세탁기본체(10)의 상면부에 형성하면, 어린이의 신장으로는 버튼부(231)까지 시야가 미치지 않거나, 손이 닿기 어려워 버튼부(231)의 조작을 포기하기 쉽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세제케이스(210)의 측면부에 형성된 버튼부(231)를 조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제케이스(21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만, 세제케이스(210)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제케이스(210)의 설치 위치, 인출 방향과 다른 위치, 다른 방향에 버튼부(231)를 형성하면, 어린이가 세탁기본체(10) 외부로 세제케이스(210)를 인출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케이스고정장치(250)는 버튼장치(230)의 조작에 연동되어 작동되면서 세제케이스(210)에 형성된 걸림부(215)와 접하거나 이격된다.
케이스고정장치(250)의 일측부가 버튼장치(230)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동되면, 타측부가 걸림부(215)와 접하거나 이격되게 이동되면서 세제케이스(210)의 이동(인출)을 구속하거나 그 구속을 해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230)는 버튼부(231), 이동부(232), 가이드부(236)를 포함한다.
버튼부(231)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세탁기본체(10)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버튼부(231)는, 세탁기본체(1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세제케이스(210) 또는 그 상측에 위치되는 부품을 커버링하는 전방커버부(15)의 측면부에 형성된 슬롯(16)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버튼부(231)의 일단부는 전방커버부(15) 외부에 노출되고, 버튼부(231)의 타단부는 전방커버부(15)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부(232)와 연결된다.
슬롯(16)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버튼부(231)는 슬롯(16)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슬롯(16)을 따라 직선 이동된다.
이동부(232)는 세탁기본체(10) 내부에 설치되고, 버튼부(231)와 연결된다.
이동부(232)는, 버튼부(231)에 가해지는 외부 조작력에 의해 세탁기본체(10) 내부에서 버튼부(231)와 동일한 변위로 함께 이동된다.
가이드부(236)는 이동부(232)의 이동을 직선 경로로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세탁기본체(10)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동부(232)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32)는 이동구(233), 레일접촉구(234), 고정장치접촉구(235)를 포함한다.
이동구(233)는 세탁기본체(10) 내부에서 버튼부(231)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일측부에 버튼부(231)와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이동구(233)는 세탁기본체(10) 내부에서 버튼부(231)와 함께 세탁기본체(10)의 측면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직선이동된다.
또한, 이동구(233)는 레일접촉구(234), 고정장치접촉구(235)를 형성가능한 골조를 이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레일접촉구(234)와 고정장치접촉구(235)는 이동구(233)의 상면부와 저면부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레일접촉구(234)는 이동구(23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36)와 접하는 부분으로, 가이드부(236)와 접한 상태로 가이드부(236)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구(233)와 함께 이동된다.
가이드부(236)는 버튼부(231)와 이동구(233)의 이동방향으로, 즉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레일접촉구(234)는 가이드부(236)와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레일접촉구(234)는 가이드부(236)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방으로 안정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고정장치접촉구(235)는 이동구(233)의 하부에 반원형의 형상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케이스고정장치(250)의 회동작동구(255)와 접한다.
고정장치접촉구(235)는 이동구(233)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케이스고정장치(250)의 회동작동구(255)와의 접촉 상태 또는 접촉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케이스고정장치(250)는 고정장치접촉구(235)의 위치에 따라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케이스(210)의 걸림부(215)에 단부가 삽입되어 걸리거나 걸림부(215)로부터 이격되는 작동을 구현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36)는 제1가이드구(237), 제2가이드구(238), 제3가이드구(239)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구(237), 제2가이드구(238), 제3가이드구(239)는 세탁기본체(10)의 전방커버부(15)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방커버부(15)는 이동부(232)의 상측에 위치되고, 가이드부(236)는 이동부(232)와 접하는 전방커버부(15)의 저면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구(233)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직선형 막대 형상 또는 육면체 블럭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가이드구(237)는, 이동구(233)의 이동방향으로, 즉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이동구(233)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이동구(233)의 일측면과 면접촉된다.
제2가이드구(238)는 이동구(233)의 일측면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이동구(233)의 타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가이드구(237)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이동구(233)의 타측면과 면접촉된다.
제3가이드구(239)는 레일접촉구(23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가이드구(237), 제2가이드구(238)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레일접촉구(234)와 면접촉된다.
레일접촉구(234)는 제3가이드구(239)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 형상의 홈부를 이루고, 제3가이드구(239)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접하는 한 쌍이 이동구(233)상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동구(233)는 제1가이드구(237)와 제2가이드구(238)에 양측면이 각각 접하고, 레일접촉구(234)는 제3가이드구(239)의 양측면에 접한 상태로 버튼부(231)의 조작에 연동하여 전후방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부(232)는 제1가이드구(237), 제2가이드구(238), 제3가이드구(239)에 해당되는 3개소에서 전방커버부(15)와 접한 상태로, 전후방으로 안정되게 직선이동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고정장치(250)는 회전축(251), 회동후크(253), 회동작동구(255), 가압부재(257)를 포함한다.
회전축(251)은 세제케이스(210)와 이동부(232) 사이에서 세탁기본체(10)에 설치된다.
회동후크(253)는 회전축(2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251)과의 결합부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부는 걸림부(215)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타측부는 고정장치접촉구(235)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걸림부(215)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일측부의 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15)에 끼워질 수 있는 후크부(254)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회동작동구(255)는 고정장치접촉구(235)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동후크(253)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고정장치접촉구(235)와 접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동작동구(255)는 고정장치접촉구(235)의 직선이동에 연동하여 회전축(25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후크부(254)를 걸림부(215)에 끼우거나 걸림부(215)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버튼부(231)와 이동부(232)는 전후방으로의 이동 변위를 가지도록 설치되되,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이동되고,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이동되는 변위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고정장치접촉구(235)와 접하는 회동작동구(255)의 상면을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하면, 상기와 같은 버튼부(231), 이동부(232)의 이동에 의해 고정장치접촉구(235)와 회동작동구(255)간의 접촉 위치 또한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 구조에 의하면 버튼부(23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시,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접촉구(235)가 하향 이동되면서 회동작동구(255)를 하향 가압하게 된다.
회동작동구(255)가 하향 가압력에 의해 하향 회동되면, 회전축(251)을 기준으로 회동작동구(255)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후크부(254)가 상향 이동되면서 걸림부(215) 외부로 이탈되고, 세제케이스(210)의 구속(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버튼부(23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시, 고정장치접촉구(235)가 점차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회동작동구(255)에 작용되던 하향 가압력이 감소 또는 해제되면서 회동작동구(255)가 상향 회동된다.
이때, 회동작동구(255)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후크부(254)가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이동되면서 걸림부(215) 내부에 삽입되고, 세제케이스(210)는 후크부(254)에 걸려 그 이동(인출)이 구속된다.
가압부재(257)는 후크부(254)가 걸림부(215)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후크(253) 또는 회동작동구(255)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압부재(257)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회동작동구(255)를 상향 가압하도록 회동작동구(255) 하측에 설치된다.
회동작동구(255)는 가압부재(257)에 의해 고정장치접촉구(235)와의 접촉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한 상태로, 고정장치접촉구(235)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명확하게 회동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231)를 전방으로 당기는 조작력을 해제하면, 가압부재(257)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작동구(255)가 점차 상향 이동되면서 고정장치접촉구(235)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즉,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상태에서 세제케이스(21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하향 조작력을 해제하면, 가압부재(257)에 의해 버튼부(231), 후크부(254)의 위치가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로 자동 복귀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손으로 버튼부(231)를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만 다른 손을 이용해 세제케이스(210)를 인출시킬 수 있게 되어, 어린이가 호기심에 의해 세제케이스(210)를 인출시키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세탁기본체 200 :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210 : 세제케이스 215 : 걸림부
230 : 버튼장치 231 : 버튼부
232 : 이동부 233 : 이동구
234 : 레일접촉구 235 : 고정장치접촉구
236 : 가이드부 237 : 제1가이드구
238 : 제2가이드구 239 : 제3가이드구
250 : 케이스고정장치 251 : 회전축
253 : 회동후크 254 : 후크부
255 : 회동작동구 257 : 가압부재

Claims (6)

  1. 세탁기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부가 형성되는 세제케이스;
    상기 세탁기본체에 설치되는 버튼장치; 및
    상기 버튼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세제케이스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케이스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장치는,
    단부가 상기 세탁기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
    상기 세탁기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는 이동부; 및
    상기 세탁기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세탁기본체 내부에서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는 이동구;
    상기 이동구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접하는 레일접촉구; 및
    상기 이동구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고정장치와 접하는 고정장치접촉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구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의 일측면과 접하는 제1가이드구;
    상기 제1가이드구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의 타측면과 접하는 제2가이드구; 및
    상기 제1가이드구, 상기 제2가이드구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접촉구와 접하는 제3가이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고정장치는,
    상기 세탁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걸림부와 접하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회동후크; 및
    상기 회동후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장치와 접하며, 상기 버튼장치에 연동하여 회동되면서 상기 후크부를 상기 걸림부와 접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회동작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고정장치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후크 또는 상기 회동작동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KR1020120141935A 2012-12-07 2012-12-07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KR20140073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35A KR20140073907A (ko) 2012-12-07 2012-12-07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EP13192906.9A EP2740830B1 (en) 2012-12-07 2013-11-14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US14/080,662 US9777422B2 (en) 2012-12-07 2013-11-14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CN201310573169.1A CN103866539B (zh) 2012-12-07 2013-11-15 用于洗衣机的洗涤剂盒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35A KR20140073907A (ko) 2012-12-07 2012-12-07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07A true KR20140073907A (ko) 2014-06-17

Family

ID=4959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935A KR20140073907A (ko) 2012-12-07 2012-12-07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77422B2 (ko)
EP (1) EP2740830B1 (ko)
KR (1) KR20140073907A (ko)
CN (1) CN1038665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2599A1 (zh) * 2015-01-13 2016-07-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WO2016127499A1 (zh) * 2015-02-15 2016-08-1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6592166B (zh) * 2015-10-16 2020-10-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剂投放装置
US10077526B2 (en) * 2016-09-13 2018-09-1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CN106637835B (zh) * 2017-02-20 2019-08-2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投放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
CN109385841B (zh) * 2017-08-11 2022-07-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
CN111321558B (zh) * 2020-02-28 2023-06-13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投放盒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1745A1 (de) * 1981-01-21 1982-08-26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Waschmitteleinspuelvorrichtung fuer waschmaschinen
GB2139002A (en) * 1983-04-27 1984-10-31 Hotpoint Ltd Actuators
DE3924586C2 (de) * 1989-07-25 1996-07-11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aschine mit einer Waschmittelschale
DE4021966A1 (de) * 1990-07-10 1992-01-16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aschine mit einer waschmittelschale
FR2749026B1 (fr) * 1996-05-21 1998-08-28 Ciapem Dispositif d'ouverture combinee de la porte et de la boite a produits d'un lave-linge a ouverture par l'avant
KR200173177Y1 (ko) 1997-11-26 2000-03-02 전주범 세탁기용 급수및 세제 케이스의 구조
DE10065337A1 (de) * 2000-12-27 2002-07-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maschine zum Waschen oder Trocknen von Wäsche
KR20080030139A (ko) * 2006-09-29 200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8317236B2 (en) * 2008-04-16 2012-11-2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drawer and latch mechanis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66539B (zh) 2016-06-08
US20140159559A1 (en) 2014-06-12
CN103866539A (zh) 2014-06-18
EP2740830B1 (en) 2016-06-08
US9777422B2 (en) 2017-10-03
EP2740830A1 (en)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3907A (ko) 세탁기의 세제케이스 잠금장치
US8893531B2 (en) Washing machine
KR20220061063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170097410A (ko) 도어 락킹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140073908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장치
JP3664689B2 (ja) ドアロック装置を備えた洗濯機
JP6667252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20174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395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77877B1 (ko) 드럼세탁기
EP2118359B1 (en) Control button for a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1438066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KR20100110504A (ko) 세탁기
EP3067458B1 (en) Detergent box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6302723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431447B1 (ko) 세탁기
JP2012075682A (ja) 洗濯機のドアスイッチ装置
KR20090002342A (ko) 드럼세탁기
KR101771592B1 (ko) 세탁기
KR20120008689A (ko) 도어 잠금장치
CN210826802U (zh) 衣物处理装置
JP2006271827A (ja) 刺繍機、ミシンの補助カバー
JP7488845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20073566A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373622B1 (ko) 도어 안전장치를 갖는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