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652A - 짠맛을 마스킹하는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짠맛을 마스킹하는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652A
KR20140071652A KR1020120139473A KR20120139473A KR20140071652A KR 20140071652 A KR20140071652 A KR 20140071652A KR 1020120139473 A KR1020120139473 A KR 1020120139473A KR 20120139473 A KR20120139473 A KR 20120139473A KR 20140071652 A KR20140071652 A KR 2014007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thol
oral composition
composition
present
salty t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106B1 (ko
Inventor
김유진
채상균
권미정
김찬호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13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1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이 들어간 구강용 조성물에서 짠맛을 감소시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멘톨을 일정량 함유함으로써 소금의 짠맛을 마스킹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멘톨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Oral composition containing menthol}
본 발명은 소금이 들어간 구강용 조성물에서 짠맛을 감소시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멘톨을 일정량 함유함으로써 소금의 짠맛을 마스킹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는 치주질환 예방·치료 및 충치를 예방하기 위하여 염화나트륨, 항플라스민제, 초산토코페롤, 알란토인 유도체, 아미노카르복시산류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죽염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소금을 치주질환 예방·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러 가지 소금 중에서 가장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는 죽염은 동일 농도의 식염이나 정제염에 비해 효능이 2 내지 3배 정도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치시 세정력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기포제의 기포력도 그다지 감소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소금이 들어가 있는 치약들은 특유의 짠맛으로 인해 기호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국내특허공개 제2009-0079366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금이 들어가 있는 치약의 짠맛을 마스킹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멘톨을 함유하면 짠맛 마스킹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이 낮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금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의 짠맛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기호성을 높인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짠맛을 마스킹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소금 특유한 짠맛을 마스킹하여 사용자들의 기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소금의 짠맛을 마스킹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멘톨(Menthol)은 박하유의 주성분으로서, 한 개의 고리로 이루어진 모노테르펜에 속하는 알코올이다. 많은 양을 입에 넣으면 혀를 찌르는 듯한 느낌이 있지만, 소량을 사용할 경우에는 청량감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진통제나 가려움증을 멈추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으나, 구강용 조성물의 짠맛 마스킹과 관련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멘톨은 천연 멘톨, 합성 멘톨 모두 사용가능하다. 천연 멘톨은 식물, 예를 들어 박하의 잎이나 줄기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박하의 잎이나 줄기를 수증기 증류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합성 멘톨은 티몰(Thymol), 미르센(Myrcene) 또는 메시틸 옥사이드(Mesityl oxide)로부터 합성하는 방법이 당업계에 각각 공지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합성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서 멘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3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서 멘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9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8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멘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0.90중량%, 바람직하게는 0.35~0.80중량%, 보다 바람지갛게는 0.50~0.7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0.25중량% 미만일 경우 유효성분의 양이 과도하게 적어 맛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마스킹 효과가 미미하고, 0.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이 심해 사용하기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액상 또는 페이스트 제형일 수 있으나,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치약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약 조성물의 경우에는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pH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료, 증백제, 색소, 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제형예 및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3 및 비교 제형예 1~2]
구강 세정용 조성물로서 치약을 하기 표 1의 처방에 따라 통상의 치약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하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형예 1 내지 3에는 멘톨을 첨가하였고, 비교제형예 1 및 2는 멘톨을 함유하지 않거나 과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제형예 1
(중량%)
제형예 2
(중량%)
제형예 3
(중량%)
비교 제형예 1
(중량%)
비교 제형예 2
(중량%)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1.00 1.00 1.00 1.00 1.00
불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삭카린나트륨 0.1 0.1 0.1 0.1 0.1
솔비톨액 50.00 50.00 50.00 50.00 50.00
함수규산 7.00 7.00 7.00 7.00 7.00
라우릴황산나트륨 2.00 2.00 2.00 2.00 2.00
염화나트륨 10.00 10.00 10.00 10.00 10.00
멘톨 0.25 0.5 0.75 0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1] 짠맛 마스킹 효과
피험자 20명을 이용하여, 상기 제형예 1~3 및 비교 제형예 1~2 각 조성의 치약 조성물 약 1g을 칫솔에 취하고, 3분간 이 닦기를 행하였을 때의 짠맛의 정도를, 「짠맛을 강하게 느낀다」를 10점, 「짠맛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를 1점으로 하여, 20명의 평균점으로 치약의 짠맛을 평가하였다. 이 때, 멘톨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제형예 1의 짠맛을 10으로 기준을 정하고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짠맛 6.7 3.35 1.8 10 1.6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멘톨 함량이 증가할수록 짠맛이 마스킹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소금의 짠맛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기호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 평가
점막 자극에 민감한 피험자 20명을 이용하여, 상기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2 각 조성의 치약 조성물 약 1g을 칫솔에 취하고, 3분간 이 닦이를 행하였을 때의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의 정도를, 「자극을 강하게 느낀다」를 1점, 「자극을 느낀다」를 2점, 「자극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를 3점, 「자극을 느끼지 않는다」를 4점으로 하여, 20명의 평균점으로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구강점막에 대한 자극성 3.7 3.5 3.2 3.8 1.6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멘톨 함량이 증가할수록 구강점막의 자극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형예 1~3은 자극을 거의 느끼지 않는 정도이지만, 비교제형예 2의 경우는 자극을 느끼는 정도가 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은 멘톨을 적정 함량으로 함유함으로써,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은 낮추면서, 짠맛은 효과적으로 마스킹 할 수 있으며, 특히 제형예 3의 경우에는 자극은 거의 없으면서 짠맛 마스킹 효과도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짠맛을 마스킹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멘톨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중량% 내지 0.9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약의 형태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0120139473A 2012-12-04 2012-12-04 짠맛을 마스킹하는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KR10203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73A KR102030106B1 (ko) 2012-12-04 2012-12-04 짠맛을 마스킹하는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73A KR102030106B1 (ko) 2012-12-04 2012-12-04 짠맛을 마스킹하는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652A true KR20140071652A (ko) 2014-06-12
KR102030106B1 KR102030106B1 (ko) 2019-10-08

Family

ID=5112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473A KR102030106B1 (ko) 2012-12-04 2012-12-04 짠맛을 마스킹하는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922A (ko) 2019-09-30 2021-04-07 (주)아모레퍼시픽 구강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041A (ja) * 2001-01-19 2002-07-31 Nippon Zettoc Co Ltd 口腔用組成物
JP2004018431A (ja) * 2002-06-14 2004-01-22 Kiyomitsu Kawasaki 口腔用香料組成物および該香料組成物を含有する口腔組成物
KR20090079366A (ko) 2008-01-17 2009-07-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멘톨과 당알콜류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10037318A (ja) * 2008-08-08 2010-02-18 Lion Corp 歯磨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041A (ja) * 2001-01-19 2002-07-31 Nippon Zettoc Co Ltd 口腔用組成物
JP2004018431A (ja) * 2002-06-14 2004-01-22 Kiyomitsu Kawasaki 口腔用香料組成物および該香料組成物を含有する口腔組成物
KR20090079366A (ko) 2008-01-17 2009-07-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멘톨과 당알콜류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10037318A (ja) * 2008-08-08 2010-02-18 Lion Corp 歯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922A (ko) 2019-09-30 2021-04-07 (주)아모레퍼시픽 구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106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7130866A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US3651208A (en) Dentifrice for periodontia purposes
CN106236649B (zh) 一种艾叶牙膏
CN103784340A (zh) 高氟化物离子口腔护理组合物和保持抗龋活性的方法
RU2705377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WO2015099152A1 (ja) 口腔用組成物
KR101624764B1 (ko) 치아 연마제 조성물
US10524993B2 (en) Mouthwash composition
KR20120022423A (ko) 바다제비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20117387A (ko) 잇몸질환예방 및 완화를 위한 구강 조성물
KR102030106B1 (ko) 짠맛을 마스킹하는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JPH05339135A (ja) 口腔用組成物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Figuero et al. Supra and subgingival application of antiseptics or antibiotics during periodontal therapy
CA2481004A1 (en) Novel anti-bacterial compositions
KR102649635B1 (ko) 폴리크레줄렌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JP6825339B2 (ja) 口腔用組成物
JP3362403B2 (ja) 義歯装着者用洗口剤
KR20170037230A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JP2020093998A (ja) 液体口腔用組成物
KR20090130892A (ko)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KR102550067B1 (ko) 폴리크레줄렌 및 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CN105267129A (zh) 银杏叶去渍牙膏
KR20170037231A (ko) 퍼슬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CN104644476A (zh) 一种能形成牙齿保护膜的漱口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