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772A - 선박의 탱크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탱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772A
KR20140070772A KR1020120135190A KR20120135190A KR20140070772A KR 20140070772 A KR20140070772 A KR 20140070772A KR 1020120135190 A KR1020120135190 A KR 1020120135190A KR 20120135190 A KR20120135190 A KR 20120135190A KR 20140070772 A KR20140070772 A KR 20140070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water
water tank
tank
stiffen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준섭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0772A/ko
Publication of KR2014007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탱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에서 담수를 보관하기 위한 탱크 구조에 있어서, 담수가 내부에 저장되며 내측 전면에 특수 도장이 이루어지는 탱크 내벽;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탱크 내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보강재; 및 상기 탱크 내벽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보강재를 감싸는 탱크 외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탱크 구조는, 탱크 내측에 특수 도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보강재를 탱크 내벽의 외측으로 배치하고 탱크 내벽의 내측에는 보강재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특수 도장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탱크 구조{A Tank Structure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탱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내부에 다양한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일례로 선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발라스트 워터 탱크(Ballast Water Tank)가 좌우 측벽 또는 선수나 선미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승선원들이 사용하기 위한 담수(Fresh Water)를 보관하기 위한 담수 탱크를 선미에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탱크들은 강철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유체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부식될 우려가 있고, 부식물이 발라스트 워터 또는 담수에 유입되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승선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담수 탱크에는, 선체에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반 도장과는 달리 특수 도장이 이루어지는데, 특수 도장은 탱크 내벽의 부식 방지, 담수의 정화 등을 위한 특수 도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담수 탱크는, 담수가 저장되는 공간의 내측에 보강재가 구비될 수밖에 없는 구조였기 때문에, 절곡된 형태의 보강재로 인해 작업자가 특수 도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불편함을 겪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보강재의 하단 부분에 특수 도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담수가 오염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담수 탱크의 외측으로 보강재를 구비하고, 내측은 별도의 돌출 구조가 배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활하게 특수 도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탱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탱크 구조는, 선박에서 담수를 보관하기 위한 탱크 구조에 있어서, 담수가 내부에 저장되며 내측 전면에 특수 도장이 이루어지는 담수 탱크; 상기 담수 탱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1차 보강재; 및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1차 보강재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담수 탱크의 외측에 맞닿도록 구비되는 2차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탱크 구조는, 탱크 내측에 특수 도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1차 보강재와 2차 보강재를 모두 담수 탱크의 외측으로 배치하고 담수 탱크의 내측에는 보강재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특수 도장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의 탱크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탱크 구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의 탱크 구조의 평면도이다. 이때 좌측이 선미, 우측이 선수 방향이며, 상방이 좌현을 의미한다. 상방이 기울어지게 표현된 것은, 선체의 외벽이 선미 부분에서 폭이 감소하는 형태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도 1의 우측 하단에 표시된 박스 형태의 구조물은 기관실의 공기 정화를 위한 벤트 트렁크(Vent Trunk)(부호 미도시)이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박의 탱크 구조(10)는, 'X'자로 표시된 담수 탱크(11)의 내측면에 1차 보강재(12)와 2차 보강재(13)가 모두 위치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X'자로 표시된 구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강재들(12,13)은, 실질적으로 담수 탱크(11)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담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특수 도장이 보강재(12,13)에도 모두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경우 보강재(12,13)에 각각 특수 도장을 하기 위해 상당량의 도료가 사용되며, 특수 도장용 도료는 고가이므로, 도료 사용에 의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보강재(12,13)는 'T'자 등과 같이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보강재(12,13)의 부착 부위 역시 직각으로 형성되므로, 특수 도장용 도료를 도포해야 하는 작업자는 작업 시 큰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또한 직각 부분에는 도료가 제대로 도포되기 어려워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사용함에 따라, 도료의 낭비가 우려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탱크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1과 마찬가지로 좌측이 선미, 우측이 선수 방향이며, 상방이 좌현을 의미한다. 또한 도 2의 우측 하단에 표시된 박스 형태의 구조물은 벤트 트렁크(Vent Trunk)(부호 미도시)이나, 이는 공지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과 마찬가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탱크 구조(20)는, 선박에서 담수를 보관하기 위한 탱크 구조에 있어서, 담수 탱크(21), 1차 보강재(22), 2차 보강재(23)를 포함한다.
담수 탱크(21)는, 담수가 내부에 저장되며 내측 전면에 특수 도장이 이루어진다. 담수 탱크(21)는 담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수 탱크(21)는 도면에서 'X'자로 구획된 부분을 의미하며, 일측이 경사판으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가 선미에 인접하게 설치됨에 따라 선형에 의해 탱크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담수 탱크(21)는 강철로 이루어지므로, 담수 탱크(21) 내벽의 특수 도장은, 담수에 의해 내벽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수 도장을 위한 도료는, 도료가 담수에 직접 닿게 되므로 담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담수 탱크 (21)는 내측 전면에 특수 도장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수 도장의 도료에 대한 구체적 성분이나 또는 도료의 코팅 두께 등은 선급 기준을 따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담수 탱크(21)에는 담수만 채워질 수 있으며, 보강재(22,23)와 같은 구조가 내부에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특수 도장용 도료를 이용하여 담수 탱크(21)의 내벽을 코팅할 경우,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각 평면을 코팅하면 되므로, 복잡한 형태에 대한 코팅이 최소화되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담수 탱크 (21)는, 절곡된 부분의 보강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211)이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211)은 도면을 기준으로 담수 탱크(21)에 담수가 저장되는 공간에서 좌상단 또는 우상단과 우하단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브라켓(211)은 담수가 브라켓(211)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브라켓(211)은, 담수 탱크(21)의 내벽에 부착되는 부분은 평평한 형태를 갖되, 담수 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일 수 있다.
1차 보강재(22)는, 담수 탱크(21)의 외측에 배치되어 담수 탱크(21)의 강도를 보강한다. 1차 보강재(22)는 도면을 기준으로 측단면이 'T'자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보강재(22)는 상부에서 바라볼 경우 바의 형태를 갖고, 좌현 또는 우현에서 바라볼 경우 눕혀진 'T'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1차 보강재(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 탱크(21)의 외측면을 보강하기 위해 배치되며, 담수 탱크(21)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1차 보강재(22)는 담수 탱크(21)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담수 탱크(21)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X'자로 표시된 담수 탱크(21)의 내측면에는 1차 보강재(22)가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1차 보강재(22)에는 담수 탱크(21)의 내부에 이루어지는 특수 도장과는 상이한 일반 도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 도장 역시 특수 도장과 마찬가지로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도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특수 도장과는 달리 담수의 정화 또는 담수 오염 방지 등과 같은 기능은 갖지 않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도료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특수 도장은 선박에 승선하고 있는 승선원들이 사용하는 담수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담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지만, 담수 탱크(21)의 외측에 배치되는 1차 보강재(22)에는 특수 도장이 불필요하다. 다만 습기 등에 의한 부식 우려가 있으므로, 1차 보강재(22)에는 일반 도료를 사용하는 일반 도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는, 보강재(12,13)에도 모두 특수 도장을 수행하여야 했던 종래의 탱크 구조(10)와 대비할 때,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일반 도장으로 보강재(22,23)를 코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수 도장의 도료 사용량을 절감하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2차 보강재(23)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1차 보강재(22)에 인접 배치되고 담수 탱크(21)의 외측에 맞닿도록 구비된다. 이때 1차 보강재(22)의 일부분에는 2차 보강재(23)의 배치를 위한 관통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2차 보강재(23)는 'T'자 또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담수 탱크(2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절곡된 각도는 일례로 90도 일 수 있다.
2차 보강재(23)는 하단이 담수 탱크(21)의 외측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수 탱크(21)에서 선수 방향 외측에 연결되는 2차 보강재(23)는, 선수 방향으로 돌출되며, 담수 탱크(21)에서 선미 방향 외측에 연결되는 2차 보강재(23)는, 선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2차 보강재(23)는 담수 탱크(21)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2차 보강재(23)는 담수 탱크(21)의 구조를 충분히 보강해줄 수 있으면서도, 담수 탱크(21)의 내측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특수 도장 작업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X'자로 표시된 담수 탱크(21)의 내측면에는 2차 보강재(23)가 위치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2차 보강재(23)는 선미 방향, 선수 방향, 그리고 선체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가 2차 보강재(23)의 배치를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2차 보강재(23)는 담수 탱크(21)의 좌현 방향에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2차 보강재(2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담수 탱크(21) 내측의 특수 도장 용이성을 위해서, 담수 탱크(21)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2차 보강재(23)에는 1차 보강재와 마찬가지로 일반 도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일반 도장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담수의 정화 또는 담수 오염 방지 등과 같은 기능은 갖지 않되, 습기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일반 도장으로 1차 보강재(22)와 2차 보강재(23)를 코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보강재(12,13)에 모두 담수 탱크(11)의 내측과 동일하게 특수 도장을 수행하여야 했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여, 생산단가를 혁신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담수 탱크(21)를 구비하는 탱크 구조(20)에서, 보강재(22,23)가 담수 탱크(21)의 외측에만 배치되고 담수 탱크(21)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담수 탱크(21)의 내벽을 용이하게 특수 도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수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종래의 탱크 구조 11: 담수 탱크
12: 1차 보강재 13: 2차 보강재
20: 탱크 구조 21: 담수 탱크
211: 브라켓 22: 1차 보강재
23: 2차 보강재

Claims (5)

  1. 선박에서 담수를 보관하기 위한 탱크 구조에 있어서,
    담수가 내부에 저장되며 내측 전면에 특수 도장이 이루어지는 담수 탱크;
    상기 탱크 내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1차 보강재; 및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1차 보강재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담수 탱크의 외측에 맞닿도록 구비되는 2차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탱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보강재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하단이 상기 담수 탱크의 외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탱크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 탱크에서 선수 방향 외측에 연결되는 상기 2차 보강재는, 상기 선수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담수 탱크에서 선미 방향 외측에 연결되는 상기 2차 보강재는, 상기 선미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탱크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도장은,
    상기 담수에 의해 상기 담수 탱크의 내벽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담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도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탱크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 탱크는,
    절곡된 부분의 보강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탱크 구조.
KR1020120135190A 2012-11-27 2012-11-27 선박의 탱크 구조 KR20140070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190A KR20140070772A (ko) 2012-11-27 2012-11-27 선박의 탱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190A KR20140070772A (ko) 2012-11-27 2012-11-27 선박의 탱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772A true KR20140070772A (ko) 2014-06-11

Family

ID=5112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190A KR20140070772A (ko) 2012-11-27 2012-11-27 선박의 탱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07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21B1 (ko) 2014-12-08 2016-03-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KR20160069862A (ko) 2014-12-09 2016-06-1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21B1 (ko) 2014-12-08 2016-03-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KR20160069862A (ko) 2014-12-09 2016-06-1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1547B1 (ko) 탱크격자 주변에 설치된 유조선의 분리발러스트
US20140041566A1 (en) Complete integral tank double-hull cargo containment system vessel in maritime service
KR20140070772A (ko) 선박의 탱크 구조
KR20160000477U (ko) 에어 벤트용 오일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US2022020414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im of a transport ship without seawater ballast
JP6122608B2 (ja) 潜在的な危険性を持つ液体製品の移送のためのゾーンが設けられた船
US5203828A (en) Guide and control means for diaphragm
JP6952635B2 (ja) 船舶
JPH06156365A (ja) 船舶における燃料油槽
TWI449648B (zh) 船種變更容易的油槽船
KR20110069241A (ko) 선박의 연료유 탱크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WO2014013584A1 (ja) 船舶
CN1849242A (zh) 用于海洋船舶的气体膨胀舱
JP2008110739A (ja) 耐衝突船体構造、船舶及び船体の耐衝突性能向上方法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JP2005231528A (ja) ばら積船の船体構造
TWI590981B (zh) 貨物裝載船及其操作方法
KR20160061134A (ko) 콘테이너선 상갑판 화물창 코너의 응력 집중 해소를 위한 구조물
KR20140066828A (ko) 드릴십의 탱크 구조
JPH11115875A (ja) 油槽船
JP2009248863A (ja) 船体構造
CN214451639U (zh) 储油式散货船顶墩结构
CN218703721U (zh) 多用途船双层底舭部加强结构
JP2002316688A (ja) 貨物船
JP2014101027A (ja) 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