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164A -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164A
KR20140070164A KR1020120138315A KR20120138315A KR20140070164A KR 20140070164 A KR20140070164 A KR 20140070164A KR 1020120138315 A KR1020120138315 A KR 1020120138315A KR 20120138315 A KR20120138315 A KR 20120138315A KR 20140070164 A KR20140070164 A KR 20140070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drum
metal
vinyl
waste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428B1 (ko
Inventor
이정오
Original Assignee
이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오 filed Critical 이정오
Priority to KR102012013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4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는 분쇄된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고형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서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타격용 드럼; 및 폐비닐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타격용 드럼의 상부로부터 낙하되어 공급되는 폐비닐을 때리도록 상기 타격용 드럼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용 드럼이 회전할 때, 낙하되는 폐비닐을 상기 타격부재로 때려, 상기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무겁고 딱딱한 이물질은 멀리 날아가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원거리에 낙하되고, 금속을 포함한 무겁고 딱딱한 이물질에 비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폐비닐은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근거리에 낙하하도록 하여 폐비닐과 금속을 선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폐비닐을 타력(打力)기로 때려 금속을 포함한 고형물은 멀리 날아가고, 순부 비닐은 근거리로 수집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먼지가 발생하지 않고, 비닐에 포함한 금속 등이 비닐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되며, 선별되어 낙하된 폐비닐과 금속이 각각 낙하와 동시에 각 컨베이어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METAL AND VINYL SEPARATOR}
본 발명은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과 같은 고형의 이물질을 타격하여 선별하도록 된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폐비닐을 재활용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폐비닐을 펠렛화하여 연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재활용 공정을 거쳐서 재활용된다.
그러나, 폐비닐에는 전선이나 금속, 또는 다양한 고형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폐비닐에 금속 등이 포함된 경우에는 가공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15606(공개일 : 2009.02.12)호가 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에 개시된 폐비닐류의 이물질제거 및 건조 선별장치는 입구를 갖는 외부망과, 외부망 내부에 설치하는 회전체와, 외부망 하부에 설치하는 송풍기와, 외부망 상부에 설치하는 열풍기와, 열풍기 측부에 설치하며 상부로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하부로는 수집구가 형성되는 토출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선별장치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외부망 안으로 내부망이 형성되고, 내부망 외주에는 회전날개가 설치되는 회전체가 구성된다. 회전체 바닥면은 평평하지 않고 고깔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바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만드는 이유는 모래나 금속과 같은 무거운 입자가 떨어지면 그 외주 바깥으로 모이게 하여 청소 및 수거하기에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선별장치는 비중만을 고려하여 선별하고 있었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금속이나 비철금속 등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바람을 이용하여 폐비닐을 비산시키는 구조였기 때문에 많은 먼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15606(공개일 : 2009.02.12)
본 발명의 목적은,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고형물을 효율적이고 완전하게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고, 먼지를 발생시키지 않은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분쇄된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고형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서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타격용 드럼; 및 폐비닐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타격용 드럼의 상부로부터 낙하되어 공급되는 폐비닐을 때리도록 상기 타격용 드럼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용 드럼이 회전할 때, 낙하되는 폐비닐을 상기 타격부재로 때려, 상기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무겁고 딱딱한 이물질은 멀리 날아가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원거리에 낙하되고, 금속을 포함한 무겁고 딱딱한 이물질에 비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폐비닐은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근거리에 낙하하도록 하여 폐비닐과 금속을 선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타격부재는, 일단이 상기 타격용 드럼에 결합되거나, 중간부가 절곡되어 양단이 상기 타격용 드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타격용 드럼에 결합되거나, 교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타격용 드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환봉의 형상을 갖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와 타격부의 경계영역에 상기 타격부 드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볼트부가 상기 타격부 드럼을 관통한 후 상기 타격부 드럼의 내부에서 너트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타격용 드럼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서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일렬로 군을 이루어 배치되며, 각각의 군은 서로 이웃하는 군들과 어긋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근거리 영역의 하우징 하부영역에는 금속을 포함한 이물질과 분리되어 낙하되는 폐비닐을 배출하기 위한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원거리 영역의 하우징 하부영역에는 폐비닐과 분리되어 낙하하는 금속을 포함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 사이에는 경계 구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계 구분부재는, 일단이 상기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가 설치된 영역에 축 결합되고, 타단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 경계판; 일단이 상기 고정 경계판의 상단부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 경계판;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설치되고, 작동로드의 단부는 상기 유동 경계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동 경계판을 펼치거나 접어 상기 경계 구분부재의 경계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청소 및 정비를 위한 도어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폐비닐을 타력(打力)기로 때려 금속을 포함한 고형물은 멀리 날아가고, 폐비닐은 근거리로 낙하되어 수집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먼지가 발생하지 않고, 비닐에 포함한 금속 등이 비닐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격부재에 의해 비산되면서 선별되어 낙하되는 폐비닐과 금속 등이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에 의해 곧바로 배출(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어서 별도의 수집 작업이 불필요하고, 자동화 공정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타격부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타격부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는 분쇄된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고형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서 구동부재(20)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타격용 드럼(30)과, 폐비닐 공급 컨베이어(40)에 의해 타격용 드럼(30)의 상부로부터 낙하되어 공급되는 폐비닐을 때리도록 타격용 드럼(3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타격부재(5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일측에 타격용 드럼(30)이 설치되고, 타격용 드럼(30)에 설치되는 타격부재(50)에 의해 비산하는 폐비닐 낙하 영역과 금속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의 낙하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들의 정비 및 청소를 위한 도어(12)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타격부재(50)가 설치되기 위한 관통공(32)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하부가 개부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영역에 배출용 컨베이어와 경계 구분부재가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폐비닐 공급 컨베이어(40)는 분쇄된 폐비닐을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타격용 드럼(30)의 상부로 낙하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폐비닐 공급 컨베이어(40)의 단부 영역이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것이다.
타격용 드럼(30)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구동부재(20)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부재(20)의 구동력은 벨트나 기어 등에 의해 타격용 드럼(30)에 전달된다.
타격부재(50)는 타격용 드럼(30)에 설치되어, 타격용 드럼(30)이 회전할 때, 낙하되는 폐비닐 및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이물질을 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타격부재(5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타격면이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폐비닐과 금속을 타격하는 영역이 작아 타격(때림)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타격면이 넓게 형성될 경우에는 타격용 드럼(30)의 회전시 바람이 발생되어 폐비닐이 날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타격부재(50)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타격부재(50)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환봉 형상을 갖는 타격부(52)와, 타격부(5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볼트부(54)와, 볼트부(54)와 타격부(52)의 경계영역에 타격부 드럼(3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타격부(52)가 환봉 형상으로 형성된 것은, 타격용 드럼(30)의 회전시에 바람은 일으키지 않으면서 폐비닐과 금속의 타격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타격부재(50)가 환봉 형상의 단면을 갖음으로써, 타격은 이루어지고 바람은 일으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부(56)는 각각의 타격부재(50)가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지지부(56)를 타격부재(50)에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용 너트를 체결하여 지지부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타격부재(50)는 타격용 드럼(30)에 형성되는 관통공(32)에 각 볼트부(54)가 삽입된 후 타격용 드럼(30)의 내부에서 너트(58)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구조에 의해 타격부재(50)의 용이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타격부(52)가 파손될 경우에는 너트(58)를 풀어 타격부재(50)를 타격용 드럼(30)으로부터 분리한 후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타격부재(5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타격용 드럼(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리 수 있고,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타격부재(5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용 드럼(30)의 중심 축선(3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서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일렬로 군(51A)을 이루어 배치된다. 또한, 일렬로 배치된 각각의 군(51A)은 서로 이웃하는 군(51A)들과 어긋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타격부재(50)는 타격용 드럼(30)을 종방향으로 볼 때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며, 횡방향으로 볼 때, 일렬로 배치된 각 군(51A)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타격부재(50)가 서로 어긋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은, 미세하거나 작은 조각의 폐비닐 및 금속까지 효율적으로 타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타격부(52)가 "⌒"형상으로 절곡되어 절곡부(55)가 형성되므로, 이 절곡부(55)가 비교적 넓은 타격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10)의 내측 하부영역에는 타격용 드럼(30)으로부터 근거리 영역의 하우징 하부영역에는 금속을 포함한 이물질과 분리되어 낙하되는 폐비닐을 배출하기 위한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가 설치되고, 타격용 드럼(30)으로부터 원거리 영역의 하우징 하부영역에는 폐비닐과 분리되어 낙하하는 금속을 포함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용 드럼(30)과 근접한 하우징(10)의 하부 영역에는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가 설치되는 것이고, 타격용 드럼(30)과 떨어진 원거리의 하부 영역에는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는 타격부재(50)에 타격되어 분리된 폐비닐과 금속과 같은 이물질은 곧바로 외부로 이송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분리되어 선별된 폐비닐과 금속을 포함한 이물질이 각 컨베이어(70,80)의 상면에 낙하하게 되고, 낙하와 동시에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므로, 선별된 폐비닐과 금속을 별도의 작업으로 수집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 사이에는 경계 구분부재(90)가 설치된다.
이 경계 구분부재(90)는 폐비닐이 낙하되는 영역과 금속이 낙하되는 영역을 가변하거나, 낙하되는 폐비닐과 금속이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에만 낙하되도록 한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계 구분부재(90)는 일단이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가 설치된 영역에 축 결합되고, 타단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 경계판(92)과, 일단이 고정 경계판(92)의 상단부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 경계판(94)과, 하우징(10)의 바닥이나 프레임에 설치되고, 작동로드(97)의 단부는 유동 경계판(94)의 저면에 결합되어 유동 경계판(94)을 펼치거나 접어 경계 구분부재(90)의 경계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96)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부재(20)에 의해 타격용 드럼(30)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폐비닐 공급 컨베이어(40)가 작동되면,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폐비닐이 폐비닐 공급 컨베이어(40)에 의해 하우징(10) 내부의 타격용 드럼(30) 상부로 낙하된다.
이 과정으로 타격용 드럼(30)의 상부에서 낙하되는 폐비닐은 회전하는 타격부재(50)가 때림(타격)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산한다.
이때, 낙하되는 폐비닐과 금속을 포함한 고형 이물질을 타격부재(50)의 타격부(52)가 때림으로써 비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타격부재(50)가 서로 어긋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미세한 물질들까지 타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과정으로 폐비닐과 같이 가벼운 물질은 타격부재(50)가 때리더라도 멀리 비산하지 못하고 타격용 드럼(30)의 전방 하부 영역으로 낙하된다. 즉, 타격용 드럼(30)의 전방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작동하는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의 상면으로 낙하되고, 금속과 같이 고형물인 이물질은 타격부재(50)가 때림으로써 멀리 날아가게 되어 타격용 드럼(30)과 원거리를 유지하는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에 낙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폐비닐과 금속이 타격부재(50)의 타격에 의해 비산되어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 상면과,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 상면으로 각각 낙하될 때, 경계 구분부재(90)의 고정 경계판(92)과 유동 경계판(94)은 낙하하는 각 물질을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 상면과,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 상면으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공압 실린더(96)를 작동시켜 고정 경계판(92)과 유동 경계판(94)의 연결 영역이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 상면 쪽으로 치우치거나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 상면 쪽을 치우치도록 함으로써, 금속과 폐비닐의 선별 경계가 가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타격부(52)가 파손된 경우에는, 타격용 드럼(30)의 내부에서 너트를 풀고, 파손된 타격부재(50)를 빼내 제거한 후 새로운 타격부재(50)의 볼트부(54)를 끼우고 다시 너트로 체결한다. 이 괴정으로 파손된 타격부재(50)의 교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선별되어 낙하되는 폐비닐이나 금속과 같은 이물질이 낙하 됨과 동시에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70)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80)에 의해 곧바로 다음 공정으로 배출됨으로써, 자동 선별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2 : 도어
20 : 구동부재 30 : 타격용 드럼
40 : 폐비닐 공급 컨베이어 50 : 타격부재
52 : 타격부 54 :볼트부
56 : 지지부 58 :너트
70 :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 80 :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
90 : 경계 구분부재 92 :경계 고정판
94 : 경계 유동판 96 : 실린더
97 : 작동로드

Claims (9)

  1. 분쇄된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고형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서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타격용 드럼; 및
    폐비닐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타격용 드럼의 상부로부터 낙하되어 공급되는 폐비닐을 때리도록 상기 타격용 드럼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용 드럼이 회전할 때, 낙하되는 폐비닐을 상기 타격부재로 때려, 상기 폐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무겁고 딱딱한 이물질은 멀리 날아가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원거리에 낙하되고, 금속을 포함한 무겁고 딱딱한 이물질에 비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폐비닐은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근거리에 낙하하도록 하여 폐비닐과 금속을 선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일단이 상기 타격용 드럼에 결합되거나, 중간부가 절곡되어 양단이 상기 타격용 드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타격용 드럼에 결합되거나, 교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타격용 드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환봉의 형상을 갖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와 타격부의 경계영역에 상기 타격부 드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볼트부가 상기 타격부 드럼을 관통한 후 상기 타격부 드럼의 내부에서 너트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타격용 드럼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서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일렬로 군을 이루어 배치되며,
    각각의 군은 서로 이웃하는 군들과 어긋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근거리 영역의 하우징 하부영역에는 금속을 포함한 이물질과 분리되어 낙하되는 폐비닐을 배출하기 위한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원거리 영역의 하우징 하부영역에는 폐비닐과 분리되어 낙하하는 금속을 포함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 사이에는 경계 구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구분부재는,
    일단이 상기 폐비닐 배출용 컨베이어가 설치된 영역에 축 결합되고, 타단은 금속 배출용 컨베이어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 경계판;
    일단이 상기 고정 경계판의 상단부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 경계판;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설치되고, 작동로드의 단부는 상기 유동 경계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동 경계판을 펼치거나 접어 상기 경계 구분부재의 경계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청소 및 정비를 위한 도어가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KR1020120138315A 2012-11-30 2012-11-30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KR10151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15A KR101514428B1 (ko) 2012-11-30 2012-11-30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15A KR101514428B1 (ko) 2012-11-30 2012-11-30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164A true KR20140070164A (ko) 2014-06-10
KR101514428B1 KR101514428B1 (ko) 2015-04-24

Family

ID=5112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315A KR101514428B1 (ko) 2012-11-30 2012-11-30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1721A1 (es) * 2018-09-10 2020-03-19 John Sun Sistema y método de separación de acero/magnetita, para solucionar de manera integral la problemática asociada a los grandes acopios de mineral de magnetita mezcladas con scrap de bolas de acero, provenientes de procesos de beneficio de la gran minería
CN111545467A (zh) * 2020-05-12 2020-08-18 王浩昀 一种花生自动化剥壳分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4464B2 (ja) * 1998-02-09 2005-08-17 日立造船株式会社 異物選別装置
JP3625716B2 (ja) * 1999-11-02 2005-03-02 日立造船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KR100636028B1 (ko) * 2005-03-29 2006-10-23 김승문 콩 자동 탈곡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1721A1 (es) * 2018-09-10 2020-03-19 John Sun Sistema y método de separación de acero/magnetita, para solucionar de manera integral la problemática asociada a los grandes acopios de mineral de magnetita mezcladas con scrap de bolas de acero, provenientes de procesos de beneficio de la gran minería
CN111545467A (zh) * 2020-05-12 2020-08-18 王浩昀 一种花生自动化剥壳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428B1 (ko)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568B1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10174216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쓰레기 파쇄 및 선별장치
JP2003251218A (ja) 石炭と廃タイヤの混焼後の燃え殻選別装置
KR101678685B1 (ko)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US11478824B2 (en) Specific gravity-specific waste air sorter having impurity separation function, using vortex
KR101888458B1 (ko) 에어펄스 백필터를 이용한 사이클론 다중 선별장치
KR101546356B1 (ko) 타격 풍력식 폐기물 선별 장치
JP2006167653A (ja) 軽量搬送物の選別装置
CN103599886A (zh) 垃圾螺旋输送风选机
KR101514428B1 (ko)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KR102259772B1 (ko) 트롬멜 선별기
KR100476021B1 (ko)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협잡물을 자동선별하고 가용의음식물을 동시에 분쇄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4136166A (ja) 残渣分別装置
KR101501452B1 (ko) 듀얼 파쇄식 이물질 제거장치
KR102235463B1 (ko) 폐플라스틱 압축블록 파쇄장치
JP2008030364A (ja)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KR101339932B1 (ko) 재활용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20090089509A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1544362B1 (ko) 목분 제조를 위한 선별기
KR101629369B1 (ko) 폐비닐 선별 시스템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JP2010214316A (ja) トロンメル式廃棄物選別装置、廃棄物処理設備、及び廃棄物分別方法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100528131B1 (ko) 개량된 쓰레기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