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585A -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585A
KR20140069585A KR1020120137026A KR20120137026A KR20140069585A KR 20140069585 A KR20140069585 A KR 20140069585A KR 1020120137026 A KR1020120137026 A KR 1020120137026A KR 20120137026 A KR20120137026 A KR 20120137026A KR 20140069585 A KR20140069585 A KR 20140069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core
cam
angula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812B1 (ko
Inventor
최재욱
김동익
이영근
박기호
최평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8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29C2045/336Cam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캐비티를 금형 내부에 구성한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앵귤러 캠이 설치된 고정측메인코어; 상기 고정측메인코어와 밀착 및 분리되는 가동측메인코어; 상기 가동측메인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메인코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앵귤러 캠을 고정 및 해제 락킹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MOLD USING ANGULAR CAM OF SLIDE CAM TYPE}
본 발명은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캐비티를 금형 내부에 구성한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성형재료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사출성형기 내에서 가열 용융한 후,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로 가압하여 충전시키고, 이를 고화 또는 경화하여 성형물인 금형사출물을 생산하는 성형방법이다.
사출금형에 있어서, 용융된 재료는 런너 및 게이트 등의 주입공간을 통해 제품의 성형공간인 캐비티 내로 주입되어 성형된다.
캐비티 내에서 성형이 완료된 금형사출물은 승강되는 이젝터에 의해 하부금형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사출 금형은 최근 앵귤러 핀이 적용된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앵귤러 핀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금형을 정확하게 밀착시켜 캐비티 내부로 주입되는 수지의 누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앵귤러 핀은 고정측 코어에 소정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억지끼움 형태로 설치되고, 가동측 코어에 앵귤러 핀이 안내되면서 끼워지기 위한 가이드 홀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측 코어가 고정측 코어에 밀착될 때에는 가이드 홀이 앵귤러 핀에 끼워지면서 금형이 밀착됨에 따라 캐비티에 주입되는 수지가 누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사출 금형은 앵귤러 핀이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앵귤러 핀의 설치 공간으로 인해 금형 내부에 다수의 캐비티를 구성하기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앵귤러 핀의 경우 고정측 코어와 가동측 코어가 밀착되는 과정에서 설치된 각도를 최소화시켜 금형 내부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하지만, 최소한의 설치 각도를 유지하더라도 금형 내부의 공간을 상당부분 차지할 수 밖에 없어 한 쌍의 캐비티 이상은 금형 내부에 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품종 다량의 사출품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며, 생산성을 증대시키도록 금형을 추가 제조하기도 어려워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이 시급한 실정이다.
인용문헌: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KR1999-0191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출 금형 내부에 다수의 캐비티를 구성하여 제품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목적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앵귤러 캠을 통해 다수의 캐비티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앵귤러 캠이 설치된 고정측메인코어; 상기 고정측메인코어와 밀착 및 분리되는 가동측메인코어; 상기 가동측메인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메인코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앵귤러 캠을 고정 및 해제 락킹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귤러 캠은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하단부에 슬라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귤러 캠은 슬라이드면이 각각 마주보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측메인코어에는 락킹부재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톱퍼는 가동측메인코어에 나사결합된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킹부재는 가동측메인코어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이동에 따라 압축과 복원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는 앵귤러 캠의 선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는 앵귤러 캠의 슬라이드면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결합홈 내부에 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은 금형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앵귤러 캠을 설치함으로써 금형 내부에 다수의 캐비티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 중 고정측 메인코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 중 가동측 메인코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 중 고정측 메인코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 중 가동측 메인코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은 최소화된 공간내에서 앵귤러 캠(12)을 설치하여 금형 내부에 다수의 캐비티를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앵귤러 캠(12)이 설치된 고정측메인코어(10)와 고정측메인코어(10)와 밀착 분리되는 가동측메인코어(20)와 가동측메인코어(20)에 설치되어 앵귤러 캠(12)을 고정 및 해제하는 락킹부재(30)를 포함한다.
고정측메인코어(10)는 고정측캐비티(15)를 중심으로 양측에 앵귤러 캠(12)이 설치된다. 고정측캐비티(15)는 고정측메인코어(10)에 다수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측캐비티(15)를 네 방향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고정측캐비티(15)는 수지주입코어(40)와 연결된 런너(42)를 통해 수지를 공급받게 된다. 고정측캐비티(15)의 경우 제품의 모양과 동일한 형상과 닮은 형태로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캐비티(15)의 양측에는 각각 앵귤러 캠(12)이 설치된다. 앵귤러 캠(12)은 고정측메인코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선단 부분이 고정측메인코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앵귤러 캠(12)의 돌출된 선단에는 슬라이드 면(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면(13)은 각각의 앵귤러 캠(12)에 마주보며 형성된다.
또한 가동측메인코어(20)는 고정측메인코어(10)와 밀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이동하게 된다.
가동측메인코어(20)에는 고정측캐비티(15)와 대응하는 가동측캐비티(2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측캐비티(22)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스톱퍼(24)가 구성되어 있다. 스톱퍼(24)는 락킹부재(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가동측메인코어(20)에 탭을 구성한 다음 볼트 결합하는 형태 또는 금속을 가동측메인코어(20)에 용접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다.
스톱퍼(24)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락킹부재(30)는 가동측메인코어(2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코어(32)와 슬라이드 코어(32)의 이동에 따라 압축과 복원되는 탄성스프링(3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2)는 상부 중앙부위에 앵귤러 캠(12)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결합홈(33)이 형성된다. 결합홈(33)은 앵귤러 캠(12)의 선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앵귤러 캠(12)과 분리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앵귤러 캠(12)의 선단보다 큰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결합홈(33)의 내면에는 앵귤러 캠(12)의 슬라이드면(13)을 가이드하도록 안내면(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코어(32)의 하부에는 탄성스프링(38)이 끼워지기 위한 스프링수용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수용홈(35)에 끼워진 탄성스프링(38)은 일측은 가동측캐비티(22)에 밀착되고 반대편은 슬라이드 코어의 스프링수용홈(35) 내부와 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출 금형이 사출기(미도시)에 설치된 후 사출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동측메인코어(20)가 고정측메인코어(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가동측메인코어(20)가 소정거리 이동되면, 앵귤러 캠(12)에 락킹부재의 슬라이드 코어(32)가 밀착된다.
앵귤러 캠(12)과 슬라이드 코어(32)가 밀착될때에는 앵귤러 캠의 슬라이드 면(13)이 슬라이드 코어의 안내면(34)을 따라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코어의 결합홈(33)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32)는 가동측메인코어(20)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탄성스프링(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스톱퍼(24)와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앵귤러 캠(12)과의 결합이 진행되면 탄성스프링(38)이 점차 압축되고, 앵귤러 캠(12)이 결합홈(33)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탄성스프링(38)은 슬라이드 코어(32)의 이동에 따라 완전히 압축된 상태가 된다.
앵귤러 캠(12)과 슬라이드 코어(32)의 결합을 통해 가동측메인코어(20)와 고정측메인코어(10)가 밀착되면 수지주입코어(40)를 통해 수지가 주입되면서 런너(42)를 통과하여 가동측캐비티(22)와 고정측캐비티(15) 사이로 공급된다.
가동측캐비티(22)와 고정측캐비티(15) 사이에 수지공급이 완료된 후에는 가동측메인코어(20)가 고정측메인코어(10)와 분리되기 시작한다.
가동측메인코어(20)가 이동될때에는 앵귤러 캠의 슬라이드면(13)이 슬라이드 코어의 안내면(3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탄성스프링(38) 또한 탄성복원력으로 슬라이드 코어(32)를 스톱퍼(24)가 설치된 위치까지 밀게 된다.
슬라이드 코어(32)가 스톱퍼(24)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앵귤러 캠(12)은 슬라이드 코어(32)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후, 가동측메인코어(20)는 처음 셋팅된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해 본 발명의 사출 금형에서는 한 번의 이동으로 다수의 사출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고정측메인코어 12: 앵귤러 캠
13: 슬라이드면 15: 고정측캐비티
20: 가동측메인코어 22: 가동측캐비티
24: 스톱퍼 30: 락킹부재
32: 슬라이드코어 33: 결합홈
34: 안내면 35: 스프링수용홈
38: 탄성스프링 40: 수지주입코어
42: 런너

Claims (8)

  1. 수직 방향으로 앵귤러 캠이 설치된 고정측메인코어;
    상기 고정측메인코어와 밀착 및 분리되는 가동측메인코어;
    상기 가동측메인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메인코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앵귤러 캠을 고정 및 해제 락킹부재; 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귤러 캠은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하단부에 슬라이드면이 형성된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귤러 캠은 슬라이드면이 각각 마주보게 형성된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메인코어에는 락킹부재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설치된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가동측메인코어에 나사결합된 볼트인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가동측메인코어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이동에 따라 압축과 복원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는 앵귤러 캠의 선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는 앵귤러 캠의 슬라이드면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결합홈 내부에 안내면이 형성된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금형.


KR1020120137026A 2012-11-29 2012-11-29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KR10150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026A KR101501812B1 (ko) 2012-11-29 2012-11-29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026A KR101501812B1 (ko) 2012-11-29 2012-11-29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585A true KR20140069585A (ko) 2014-06-10
KR101501812B1 KR101501812B1 (ko) 2015-03-11

Family

ID=5112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026A KR101501812B1 (ko) 2012-11-29 2012-11-29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8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75B1 (ko) * 2014-07-01 2014-10-28 이경열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한 금형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성형 방법
KR101650275B1 (ko) * 2015-07-23 2016-08-22 주식회사 새해성 차량의 크로스멤버 제조용 금형장치
CN108973039A (zh) * 2018-09-04 2018-12-11 昆山鑫泰利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塑模三板模ab板后开先合机构
CN114055732A (zh) * 2021-10-26 2022-02-18 广西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的防撞机构和注塑模具
CN114474609A (zh) * 2022-02-11 2022-05-13 嘉兴宋氏模塑工业有限公司 一种滤座注塑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021A (ko) 2020-07-15 2022-01-24 경성정밀주식회사 사출금형의 사출압 분산형 앵귤러캠이 구비된 언더컷 취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445U (ko) * 1993-04-28 1994-11-16 사출성형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
KR20000021716A (ko) * 1998-09-30 2000-04-25 윤종용 사출성형용 금형
KR20100002951A (ko) * 2008-06-30 2010-0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KR101288114B1 (ko) * 2010-10-29 2013-07-18 엔디에프(주) 자동차용 오일필터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75B1 (ko) * 2014-07-01 2014-10-28 이경열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한 금형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성형 방법
KR101650275B1 (ko) * 2015-07-23 2016-08-22 주식회사 새해성 차량의 크로스멤버 제조용 금형장치
CN108973039A (zh) * 2018-09-04 2018-12-11 昆山鑫泰利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塑模三板模ab板后开先合机构
CN114055732A (zh) * 2021-10-26 2022-02-18 广西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的防撞机构和注塑模具
CN114474609A (zh) * 2022-02-11 2022-05-13 嘉兴宋氏模塑工业有限公司 一种滤座注塑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812B1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812B1 (ko)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US8337195B1 (en) Injection mold
KR100955058B1 (ko) 금형조립체
JP2007144755A (ja) 射出成形金型のスライドコア開閉構造
KR20130066136A (ko) 사출금형
KR101156196B1 (ko) 사출 금형장치
CN109955431B (zh) 嵌件的定位安放结构
KR101511278B1 (ko) 성형제품의 보스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지닌 사출성형금형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KR200460255Y1 (ko) 소형 제품 언더컷 처리용 금형장치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KR200450293Y1 (ko) 금형조립체의 인서트물고정장치
KR100988790B1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KR100846851B1 (ko) 금형조립체의 밀핀장치
KR100823340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1462417B1 (ko) 캐비티 주위에 댐 구조가 구비된 사출성형금형
KR101247182B1 (ko) 사출성형 금형의 코어 유동 방지 장치
KR100864252B1 (ko) 금형조립체
KR101604265B1 (ko)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어셈블리
JP5777396B2 (ja) インサート成形方法
KR102321060B1 (ko) 사출 금형
KR101267508B1 (ko) 이중 사출장치
KR100838791B1 (ko) 슬라이드코어 고정장치
KR200452174Y1 (ko) 무구배 성형품 취출용 금형장치
CN219789129U (zh) 防止圆柱结构出模变形的注塑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