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716A - 사출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716A
KR20000021716A KR1019980040961A KR19980040961A KR20000021716A KR 20000021716 A KR20000021716 A KR 20000021716A KR 1019980040961 A KR1019980040961 A KR 1019980040961A KR 19980040961 A KR19980040961 A KR 19980040961A KR 20000021716 A KR20000021716 A KR 20000021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re
molded article
injection molding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716A/ko
Publication of KR2000002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7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사출성형용 금형은, 성형품의 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이 형성된 상코어가 그 하측 중앙에 고정되고, 그 양측에 앵귤러 캠이 고정되는 상원판; 상기 상원판의 하측에 마련되고, 성형품의 하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다른 성형홈을 가지는 하원판; 상기 하원판의 상측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금형의 형열림시 상기 앵귤러 캠에 의하여 측면으로 이동되어 성형품의 중간부를 처리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무구배이며 수직으로 된 성형품의 중앙부가 슬라이드 코어에 의하여 성형됨으로, 성형품의 사출시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또는 캠코더 줌렌즈에 사용되는 셔터 조절부를 구성하는 회전축과 같은 제품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사출성형용 금형
본 발명은 사출성형용 금형에 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소형, 초정밀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에 빼기구배를 배제하고 슬라이드 코어 구조를 적용하여 제품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용 금형은 성형품이 요구하는 형상, 치수, 정도 및 강도 등을 만족하기 위하여 성형능력이 좋고, 내구성을 갖도록 설계 제작한다. 이러한, 금형 중 빼기 구배가 적용된 성형품을 사출 성형하는 금형의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은 상원판(10)과, 이 상원판(10)에 대응되어 성형품(100)을 성형하는 하원판(20)을 포함하고 있다.
상원판(10)에는 상코어(11)가 고정되어 있고, 이 상코어(11)에는 소정형상으로된 성형품(100)의 상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11a)이 마련되어 있고, 이 성형홈(11a)의 상측에는 성형품(100)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탕구(gate)(10a)가 형성되어 있다.
하원판(20)에는 상코어(11)의 성형홈(11a)과 협동하여 성형품(100)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성형홈(21a)이 형성된 하코어(2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코어(21)와 하원판(20)을 관통하고 도시하지 않은 밀판에 고정되어 성형품(100)의 이형시 성형품(100)을 추출하기 위한 밀핀(22)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코어(11)의 성형홈(11a)은 그 상측의 직경이 하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금형의 형 열림시 성형품(100)이 성형홈(11a)으로부터 추출될 때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빼기 구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의 작동을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형이 닫힌 상태에서 상원판(10)에 마련된 탕구(10a)를 통하여 상코어(11)의 성형홈(11a)과 하코어(21)의 성형홈(21a)이 협동하여 마련된 캐비티에 수지가 주입된다.
이후, 얼마의 시간이 경과되어 수지가 경화되어 성형품(100)이 형성되면, 이 성형품(100)을 코어(11)(21)의 성형홈(11a)(21a)으로부터 이형시키기 위하여 금형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코어(11)가 고정된 상원판(10)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코어(11)의 성형홈(11a)에서 성형품(100)이 이형된다.
그런 다음, 도시하지 않은 밀판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밀핀(22)을 상측으로 밀게 되고, 이 밀핀(22)은 하코어(21)의 성형홈(21a)에 있는 성형품(100)을 밀어서 추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빼기 구배를 적용하여 사출하게 되면, 카메라 또는 캠코더 줌렌즈에 사용되는 셔터 조절부를 구성하는 회전축과 같이 초소형 초정밀을 요하는 제품에는 치수 편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치수상의 편차를 줄이고자 무구배를 적용하여 사출하게 되면, 금형이 작동된 후 성형품(100)이 상코어(11)의 성형홈(11a)에 달라붙게 되고, 이를 밀핀(22)으로 강제로 밀어서 추출하게 되면, 성형품(100)이 변형되어 불량품이 생성되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밀한 제품을 요하는 제품의 사출성형용 금형에 슬라이드 코어를 적용하여 성형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사출성형용 금형의 형 열림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형 중간 열림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형 완전 열림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상원판 50a; 탕구
51; 앵귤러 캠 51a; 경사부
52; 상코어 52a; 성형홈
60; 슬라이드코어 61; 작동부
61a; 관통공 62; 성형부
70; 하원판 71; 하코어
71a; 성형홈 100; 성형품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성형품의 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이 형성된 상코어가 그 하측 중앙에 고정되고 그 양측에 앵귤러 캠이 고정되는 상원판과, 상기 상원판의 하측에 마련되고, 성형품의 하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다른 성형홈을 가지는 하원판과, 상기 하원판의 상측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금형의 형열림시 상기 앵귤러 캠에 의하여 측면으로 이동되어 성형품의 중간부를 처리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그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앵귤러 캠이 관통되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측면으로 이동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성형품의 중앙부를 처리하기 위한 성형부로 구비된다.
상기 앵귤러 캠은 그 하부에 경사부가 마련되어, 금형의 형 열림시 상기 경사부가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측면으로 슬라이딩 시키기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다르고 그 굵기가 다른 성형품의 중앙부가 슬라이드 코어에 의하여 성형됨으로, 성형품의 사출시 성형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은 그 양측에 앵귤러 캠(51)이 고정되고 성형품(100)의 상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상원판(50)과, 이 상원판(50)의 하측에 설치되고 앵귤러 캠(51)에 의하여 측면으로 이동되어 성형품(100)의 중앙부를 성형하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드 코어(60)와, 이 슬라이드 코어(60)의 하측에 마련되고 성형품(100)의 하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하원판(70)을 포함하고 있다.
상원판(50)에는 성형품(100)의 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52a)이 형성된 상코어(5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성형홈(52a)의 상측에는 성형품(100)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지가 주입되는 탕구(gate)(5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원판(50)의 양측에는 앵귤러 캠(51)이 슬라이드 코어(60)에 형성된 관통공(61a)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앵귤러 캠(51)의 하부에는 금형의 형 열림시 슬라이드 코어(60)의 관통공(61a)의 상부에 접하여 슬라이드 코어(60)를 측면으로 슬라이딩 시키도록 된 경사부(51a)가 마련되어 있다.
하원판(70)에는 성형품(100)의 하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71a)이 형성된 하코어(7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원판(70)의 상측에는 앵귤러 캠(51)에 의하여 측면으로 이동되면서, 성형품(100)의 중앙부를 처리하는 슬라이드 코어(6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코어(60)는 관통공(61a)이 마련되고 이 관통공(61)에 상기 앵귤러 캠(51)이 관통되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측면으로 이동되는 작동부(61)와, 작동부(61)의 일측에 고정되고 성형품(100)의 중앙부를 처리하기 위한 성형부(6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관통공(61a)은 앵귤러 캠(51)의 경사부(51a)가 그 하측에 위치할 경우는 슬라이드 코어(60)가 정지하게 되고, 경사부(51a)가 관통공(61a)의 상측에 접촉된 후에 슬라이드 코어(60)가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상측부의 직경이 그 하측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통공(61a)에 끼워진 앵귤러 캠(51)의 직선 구간(L)은 상코어(52)에 의하여 성형되는 성형품(100)의 상측부(S)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작동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형 닫힘 상태에서 상원판(50)의 탕구(50a)를 통하여 상코어(52)의 성형홈(52a)과 하원판(70)의 성형홈(71aa) 및 슬라이드 코어(60)에 의하여 마련된 캐비티에 수지가 주입되어 소정형상의 성형품(100)이 형성된다. 이후, 얼마의 시간이 경화하여 성형품(100)이 경화되면, 성형품(100)을 이형시키기 위하여 금형을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금형이 작동되어 상원판(5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금형이 중간 열림 상태가 되어, 앵귤러 캠(51)의 경사부(51a)가 관통공(61a)의 상부까지 이동하여 접하게 되기 전에는 상코어(52)의 성형홈(52a)에서 성형품(100)의 상측부만 분리된다.
그런 다음, 금형이 완전히 열리게 되면, 앵귤러 캠(51)이 슬라이드 코어(60)의 관통공(61a)에서 이탈되면서, 슬라이드 코어(60)를 측면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시켜서 성형품(100)의 중앙부를 처리하게 된다.
이후에, 하원판(70)의 하측의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밀판에 고정된 밀핀(22)이 성형품(100)을 위로 밀어올려서 하코어(71)의 성형홈(71a)으로 추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지름이 같고 수직으로 된 성형품(100)의 중앙부가 측면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코어(60)에 의하여 처리되므로 성형품(100)의 사출후에 성형품(100)을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으로 되고 무구배로 된 성형품의 중앙부가 슬라이드 코어에 의하여 성형됨으로, 성형품의 사출시 성형품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또는 캠코더 줌렌즈에 사용되는 셔터 조절부를 구성하는 회전축과 같이 정밀도를 요하는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성형품의 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이 형성된 상코어가 그 하측 중앙에 고정되고, 그 양측에 앵귤러 캠이 고정되는 상원판과,
    상기 상원판의 하측에 마련되고, 성형품의 하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다른 성형홈을 가지는 하원판과,
    상기 하원판의 상측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금형의 형열림시 상기 앵귤러 캠에 의하여 측면으로 이동되어 성형품의 중간부를 처리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그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앵귤러 캠이 관통되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측면으로 이동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성형품의 중앙부를 처리하기 위한 성형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귤러 캠은 그 하부에 경사부가 마련되어, 금형의 형열림시 상기 경사부가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측면으로 슬라이딩 시키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KR1019980040961A 1998-09-30 1998-09-30 사출성형용 금형 KR20000021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961A KR20000021716A (ko) 1998-09-30 1998-09-30 사출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961A KR20000021716A (ko) 1998-09-30 1998-09-30 사출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716A true KR20000021716A (ko) 2000-04-25

Family

ID=1955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961A KR20000021716A (ko) 1998-09-30 1998-09-30 사출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7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804B1 (ko) * 2007-09-11 2010-02-04 주식회사 신창전기 스위치 레버 제조용 2단 슬라이드 금형
KR101501812B1 (ko) * 2012-11-29 2015-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KR102256843B1 (ko) * 2020-09-09 2021-05-27 주식회사 메인텍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804B1 (ko) * 2007-09-11 2010-02-04 주식회사 신창전기 스위치 레버 제조용 2단 슬라이드 금형
KR101501812B1 (ko) * 2012-11-29 2015-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슬라이드 캠 타입의 사출 금형
KR102256843B1 (ko) * 2020-09-09 2021-05-27 주식회사 메인텍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9688A (en) Mold for forming parts of complex shape of injectable or thermosetting plastic material
US6206682B1 (en) Molding accelerated stripper-ejector system
KR20000021716A (ko) 사출성형용 금형
KR200444791Y1 (ko) 슬라이드 코어와 변형 밀핀을 이용한 성형품 내/외측 언더컷 처리 장치
JP2005262781A (ja) 射出成形金型のスライド開き構造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1809230B1 (ko) 사이드 게이트 자동 컷팅 사출 금형
JP4005195B2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KR0136498Y1 (ko)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KR20160094630A (ko) 런너게이트 취출시 성형품 손상방지를 위한 2단 취출장치
KR20000007336U (ko) 사출성형용 금형
KR20190044035A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KR900010204Y1 (ko) 몰드금형의 언더컷 처리겸 취출장치
KR102407814B1 (ko) 인서트 사출 금형 장치
JPH07205221A (ja) 射出成形金型のアンダーカット処理
KR0136471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
KR920008150Y1 (ko) 긴 보스를 가진 제품의 성형장치
JPH0518115Y2 (ko)
KR101700299B1 (ko) 금형
KR20000000714U (ko)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JP2002210787A (ja) 射出成形金型
JP4209663B2 (ja) 射出成形方法及び装置
KR200154400Y1 (ko) 사출금형의 제품취출장치
JPH08183073A (ja) 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