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843B1 -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843B1
KR102256843B1 KR1020200115188A KR20200115188A KR102256843B1 KR 102256843 B1 KR102256843 B1 KR 102256843B1 KR 1020200115188 A KR1020200115188 A KR 1020200115188A KR 20200115188 A KR20200115188 A KR 20200115188A KR 102256843 B1 KR102256843 B1 KR 102256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push pin
push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재
김달연
이석진
김광민
신승욱
박광렬
이한균
조인탁
이형수
전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인텍
Priority to KR102020011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441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the movable undercut forming element for ejection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57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fusible, soluble or destructible cores
    • B29C2045/446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fusible, soluble or destructible cores injecting the core and the undercut article in separate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사출금형의 가동형체에 설치되어 복합성형제품을 취출하는 취출밀핀보다 상기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부를 먼저 작동시키는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합성형제품이 성형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코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취출밀핀과 상기 슬라이드부가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하원판; 가동고정판과 상기 하원판의 사이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유격홈을 가지는 밀판; 상기 유격홈에 위치하여 상기 유격홈의 바닥과 떨어져 지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판에 움직여 상기 취출밀핀을 이동시키는 밀핀 작동판; 및 상기 밀판과 연결되어 작동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밀핀을 포함한다.
상기 밀핀 작동판은 상기 지연공간에서 상기 유격홈의 바닥이 접할 때까지 상기 취출밀핀을 이동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Sliding structure of two colour molding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출금형은 고정형판과 가동형판으로 구성되며 고정형판과 가동형판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cavity)에 고온의 액상수지물을 주입 및 상기 주입된 액상수지물을 냉각시켜 제품을 성형하는 것이다.
즉, 사출성형기에 사출금형을 고정 설치한 후 사출성형기로 투입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원료를 가열 용융시켜 액상상태의 액상수지물을 캐비티로 가압 주입하여 충전한다. 액상수지물은 캐비티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 고화 및 경화되어 제품이 성형되면, 가동형판을 이동시켜 형(型)을 개방하고 나서 캐비티에서 성형된 제품을 이젝터봉에 의해 작동하는 취출밀핀으로 취출한다.
아울러, 수지의 종류가 다르거나 색상이 다른 복합성형제품은 이중사출금형을 사용한다. 이중사출금형은 1차 금형으로 제1 성형 재료를 사출하여 1차 성형한 후, 1차 금형의 가동 형판을 수평으로 180˚ 회전시켜 2차 금형의 고정 형판에 형합시킨 후, 2차 금형의 캐비티와 1차 성형된 제품 사이의 공간에 제2 성형 재료를 사출하여 2차 성형하여 복합성형제품을 성형한다.
복합성형제품에 나사산, 구멍, 홈, 경사면 등과 같은 언더컷(under-cut)을 형성하는 경우 슬라이드가 1차 성형 및 2차 성형 동안 캐비티에 위치하여 언더컷을 유지하고 있다. 복합성형제품 취출을 위해 슬라이드를 밀판과 별도로 마련된 구동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를 성형된 복합성형제품에 이탈시키고 이후 밀판을 작동시켜 취출밀핀으로 복합성형제품을 캐비티에서 취출하게 되었다.
이 경우, 취출밀핀과 별도로 슬라이드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별도로 마련하게 되면서 이중사출금형의 설계가 복합하게 되었다.
이에, 언더컷을 유지하면서 단순한 구조의 이중사출금형의 설계 기술 개발이 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2985호 (2015.01.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7644호 (2014.06.09.)
본 발명은 이중사출금형에서 복합성형제품 성형 시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이 존재하는 경우,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 처리를 위한 슬라이드부와 복합성형제품 취출을 위한 취출밀핀이 시차를 두고 작동하도록 하는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는 이중사출금형의 가동형체에 설치되어 복합성형제품을 취출하는 취출밀핀보다 상기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부를 먼저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복합성형제품이 성형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코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취출밀핀과 상기 슬라이드부가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하원판, 가동고정판과 상기 하원판의 사이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유격홈을 가지는 밀판, 상기 유격홈에 위치하여 상기 유격홈의 바닥과 떨어져 지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판에 움직여 상기 취출밀핀을 이동시키는 밀핀 작동판 및 상기 밀판과 연결되어 작동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밀핀을 포함한다.
상기 밀핀 작동판은 상기 지연공간에서 상기 유격홈의 바닥이 접할 때까지 상기 취출밀핀을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밀판은 상기 슬라이드 밀핀을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부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서 벗어나도록 하고, 이후 상기 바닥이 상기 밀핀 작동판에 접하면 상기 취출밀핀은 이동하면서 상기 캐비티에서 상기 복합성형제품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밀핀 및 상기 취출밀핀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원판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밀핀이 접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블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하원판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 위치하여 벗어날 수 있는 슬라이드 및 상기 삽입홀의 둘레가 상기 슬라이드 밀핀과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슬라이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상기 슬라이드 밀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이동 방향으로 평행하게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밀핀의 단부와 상기 삽입홀의 주변부는 접하고 있으며, 접하는 부분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접한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밀핀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캐비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서 벗어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이동으로 상기 삽입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상기 슬라이드 밀핀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의 바디에는 상기 슬라이드 밀핀과 수직한 방향으로 걸림턱을 갖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결합홀에 위치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있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의 바디 외부로 돌출된 슬라이드 본체 및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캐비티로 삽입된 언더컷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형성부의 외부 둘레 지름은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외부 둘레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는 상기 이중사출금형에서 고정형체에 설치되어 상기 하원판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형체와 상기 가동형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지지하는 록킹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판은 상기 유격홈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밀판 구동부와 접하는 하밀판, 상기 하밀판의 일면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밀핀이 고정된 상밀판 및 상기 상밀판에 탄성력을 가하여 이동한 상기 슬라이드 밀핀이 복귀하도록 하는 밀판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격홈의 바닥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핀 작동판은 서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어 있고 상기 취출밀핀을 고정하고 있는 제1 판과 제2 판으로 이루어진 판본체, 상기 제1 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있는 한 쌍의 판 지지대 및 상기 판본체에 탄성력을 가하여 이동한 상기 취출밀핀이 복귀하도록 하는 판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격홈의 깊이에 대한 숫자는 상기 판본체의 두께에 대한 숫자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판 지지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고정판과 접하고 있을 때 상기 제1 판이 상기 유격홈의 바닥과 떨어져 상기 지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판 구동부는 한 쌍의 판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밀핀 작동판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의 단부는 1차, 2차 성형공정 동안 캐비티에 위치하여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을 유지한다. 슬라이드를 복합성형제품을 캐비티에서 취출하는 취출밀핀보다 먼저 작동하도록 하여 취출되는 복합성형제품이 슬라이드와 간섭되지 않는다.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고 복합성형제품의 취출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핀 작동판이 밀판의 유격홈에 위치하면서 밀판 구동부의 구동으로 슬라이드 밀핀과 취출밀핀이 시차를 두고 움직인다. 하나의 밀판 구동부로 밀판과 밀핀 작동판이 시차를 두고 정확하게 작동하게 되어 복합성형제품의 성형 효율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밀핀과 슬라이드 블록이 경사면으로 서로 접하면서 슬라이드 밀판이 이동할 때 슬라이드 블록이 경사면에 의해 밀리면서 이동하므로 슬라이드 블록이 정밀하게 이동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형체와 가동형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블록은 슬라이드 탄성부재와 록킹블록이 가압하므로 1차, 2차 성형 공정 중에 슬라이드 블록은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고정형체와 가동형체가 분리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탄성부재가 슬라이드 블록을 가압하므로 언더컷 형성부는 캐비티에 지속해서 위치한다. 이에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판 구동부의 가압부가 밀핀 작동부의 한 쌍의 판 지지대 사이에서 밀판과 접하게 된다. 이에 밀판 구동부가 작동할 때 밀핀 작동부와 간섭되지 않아 밀판과 밀핀 작동부는 시차를 두고 정확하게 작동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밀핀 작동판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1을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을 V-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 밀핀의 확대도.
도 7은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밀핀 작동판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을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을 V-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 밀핀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는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에 적용된다.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은 가동형체(2)와 고정형체(1)(도 4 및 도 5 참조)를 포함한다.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는 가동형체(2)에 설치되어 복합성형제품을 취출하는 취출밀핀(3)보다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는 슬라이드부(7)를 먼저 작동시킨다. 즉, 취출밀핀(3)이 슬라이드부(7)와 시차를 두고 작동하도록 한다.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는 캐비티에서 복합성형제품을 취출하는 취출밀핀(3)과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부(7)가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하원판(21), 밀판(4), 슬라이드 밀핀(6) 및 밀핀 작동판(5)을 포함한다.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는 밀판(4)이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밀판 구동부(80), 그리고 록킹블록(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원판(21)은 가동형체(2)의 가동고정판(22)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가동고정판(22)과 마주하는 하원판(21)의 일면 양측에는 가동고정판(22)과 연결된 다리(211)가 배치되어 있다. 하원판(21)과 가동고정판(22)의 사이에는 작동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형체(1)와 마주하는 하원판(21)의 타면 내부에는 수지가 주입되어 복합성형제품이 성형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코어(212)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하원판(21)에는 취출밀핀(3), 슬라이드 밀핀(6), 가이드봉 등이 관통하는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홀들은 코어(212)를 관통하여 캐비티와 연통되어 있다.
밀판(4)은 작동공간(23)에 배치되어 다리(211)와 간격을 두고 있으며 작동공간(23)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작동공간(23)에는 밀판(4)을 관통하여 밀판(4)이 반듯하게 직선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봉(24)들이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봉(24)은 하원판(21)과 가동고정판(22)에 고정되어 있다.
밀판(4)은 하밀판(41), 상밀판(42) 및 밀판 탄성부재(43)를 포함한다.
하밀판(41)과 상밀판(42)은 서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작동공간(23)에서 하밀판(41)은 가동고정판(22)과 접하고 있으며 상밀판(42)은 하원판(21)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그러나 하밀판(41)은 가동고정판(22)에서 떨어질 수 있고 상밀판(42)은 하원판(21)과 접할 수 있다. 하밀판(41)과 상밀판(42)에는 가이드봉(24)들이 관통하는 가이드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밀판(42)에는 취출밀핀(3) 및 슬라이드 밀핀(6)이 관통하는 핀홀들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밀판(42)과 하밀판(41)이 서로 접하고 있는 일면에는 각각 기설정된 깊이로 유격홈(41a)이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유격홈(41a)은 하밀판(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격홈(41a)의 바닥(41g) 양측에는 가동고정판(22) 방향으로 개방된 관통홀(41b)이 형성되어 있다.
밀판 탄성부재(43)는 단면 모양이 직사각형인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밀판 탄성부재(43)는 가이드봉(24)을 감싸고 있으며 상밀판(42)과 하원판(21)의 사이에 있다. 밀판 탄성부재(43)는 하밀판(41)이 가동고정판(22)에서 떨어지면 탄성력이 발생한다. 탄성력은 상밀판(42)이 하원판(21)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슬라이드 밀핀(6)은 상밀판(42)에 결합되어 하원판(21)의 핀홀에 삽입되어 코어(212)에 근접되어 있다. 슬라이드 밀핀(6)은 밀판(4)에 의해 하원판(21)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밀핀(6)은 밀판(4)이 움직일 때 하원판(21)의 핀홀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밀핀(6)의 단부(6e)에는 경사면(6c)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6c)은 슬라이드 밀핀(6)의 단부가 외부둘레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형성된다. 그러나 슬라이드 밀핀(6)의 단부(6e)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핀 작동판(5)은 유격홈(41a)에 위치하여 결합된 취출밀핀(3)을 이동시킨다. 밀핀 작동판(5)의 외부 둘레는 유격홈(41a)의 둘레와 떨어져 공차를 두고 있다. 취출밀핀(3)은 밀핀 작동판(5)에 의해 움직여 단부가 캐비티에 위치한 복합성형제품에 접하여 캐비티에서 복합성형제품이 이탈하도록 하도록 가압한다.
밀핀 작동판(5)은 판본체(51), 판 지지대(52) 및 판 탄성부재(53)를 포함한다.
판본체(51)는 서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제1 판(511)과 제2 판(512)을 포함한다. 판본체(51)는 유격홈(41a)에 배치되어 있다. 유격홈(41a)의 깊이(41h)에 대한 숫자는 판본체(51)의 두께(51t)에 대한 숫자보다 크다. 제2 판(512)은 취출밀핀(3)을 고정하고 있다. 취출밀핀(3)은 제2 판(512)에 고정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밀판(42)을 관통하여 하원판(21)의 핀홀에 삽입되어 캐비티에 근접되어 있다.
판 지지대(52)는 바닥(41g)과 마주하고 있는 제1 판(511)의 일면 양측에서 돌출되어 관통홀(41b)에 있다. 판 지지대(52)의 돌출 길이에 숫자는 가동고정판(22)과 마주하는 하밀판(41)의 외부면과 바닥(41g) 사이의 두께에 대한 숫자보다 크다. 판 지지대(52)의 단부(52e)는 관통홀(41b)을 관통하여 하밀판(41)의 외부로 노출되어 판 지지대(52)의 단부(52e)는 가동고정판(22)에 접하고 있다.
이에, 제1 판(511)은 유격홈(41a)의 바닥(41g)과 떨어져 지연공간(41s)이 형성되며 제2 판(512)은 상밀판(42)과 접하고 있다. 밀판(4)의 이동으로 바닥(41g)이 제1 판(511)과 접하면 제2 판(512)은 상밀판(42)과 떨어져 있다. 밀핀 작동판(5)은 밀판(4)을 따라 움직여 취출밀핀(3)을 이동시킨다. 취출밀핀(3)의 단부는 캐비티에 삽입되어 복합성형제품을 가압하여 캐비티에서 이탈시킨다.
판 탄성부재(53)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의 단면 모양은 직사각형이다. 판 탄성부재(53)는 제1 판(511)에서 제2 판(512)을 관통하여 상밀판(42)과 접하고 있다. 제2 판(512)과 상밀판(42)이 접하고 있을 때 판 탄성부재(53)는 압축되어 있다. 판 탄성부재(53)는 제2 판(512)이 상밀판(42)에서 떨어진 제1 판(511)이 바닥(41g)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판(512)에 탄성력을 가한다.
밀판 구동부(80)는 가압부(81) 그리고 로드(82)를 포함한다.
가압부(81)는 한 쌍의 판 지지대(52)의 사이에 위치하여 가동고정판(22)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로드(82)는 가동고정판(22)을 벗어나 있으나 직선 이동으로 가동고정판(22)으로 삽입되어 가압부(81)를 가압할 수 있다. 로드(82)는 오일, 압축공기 등을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액추에이터, 이젝터 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81)는 하밀판(41)이 가동고정판(22)과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밀판(41)을 가압하여 밀판(4)이 작동공간(23)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밀판(42)이 하원판(21)과 접하도록 한다. 가압부(81)가 하밀판(41)을 가압하지 않으면 밀판(4)은 밀판 탄성부재(43)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하밀판(41)이 가동고정판(22)과 접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7)는 밀판(4)에 의해 움직이는 슬라이드 밀핀(6)에 의해 작동한다. 슬라이드부(7)는 취출밀핀(3)보다 먼저 움직인다.
슬라이드부(7)는 슬라이드 블록(71), 슬라이드(72) 및 슬라이드 탄성부재(73)를 포함하며 하원판(21)의 타면에 위치하여 코어(212)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71)은 코어(212)와 이웃하여 하원판(21)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코어(212)의 측면과 접하고 있다. 이에 하원판(21)의 타면에는 슬라이드 블록(71)이 흔들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71)은 슬라이드 밀핀(6)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71)에는 슬라이드 밀핀(6)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홀(711)이 관통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71)이 코어(212)의 측면과 접하고 있을 때 삽입홀(711)의 길이 방향 중심선(711L)과 슬라이드 밀핀(6)의 길이 방향 중심선(6L)은 평행하게 기설정된 간격(S)으로 떨어져 있다. 이때 삽입홀(711)의 길이 방향 중심선(711L)이 코어(212)와 더 가깝게 위치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밀핀(6)의 단부와 마주하는 슬라이드 블록(71)의 일면에는 삽입홀(711)의 주변부를 따라 경사면(711c)이 형성되어 있다. 일면이 삽입홀(711)의 내부 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711c)은 슬라이드 밀핀(6)의 경사면(6c)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홀(711)의 길이 방향 중심선(711L)과 슬라이드 밀핀(6)의 길이 방향 중심선(6L)이 떨어져 있어 하밀판(41)이 가동고정판(22)과 접하고 있을 때 경사면(6c, 711c)은 서로 접하고 있다. 슬라이드 밀핀(6)의 단부(6e)가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곡면 부분이 경사면(711c)과 접하고 있다.
밀판 구동부(80)에 의해 하밀판(41)이 가동고정판(22)에서 떨어질 때 경사면(6c)은 경사면(711c)을 가압하며 슬라이드 블록(71)은 코어(2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71)의 단부는 삽입홀(711)로 삽입되며 슬라이드 블록(71)은 코어(212)에서 떨어지는 상태를 유지한다. 슬라이드 블록(71)의 이동으로 서로 떨어져 있던 삽입홀(711)의 길이 방향 중심선(711L)과 슬라이드 밀핀(6)의 길이 방향 중심선(6L)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212)와 접하고 있는 슬라이드 블록(71)의 측면에는 결합홀(7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홀(712)의 일부분이 측면으로 개방되면서 결합홀(712)에는 걸림턱(712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72)는 걸림부(721), 슬라이드 본체(722) 및 언더컷 형성부(723)를 포함한다. 걸림부(721), 슬라이드 본체(722) 및 언더컷 형성부(72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밀핀(6)과 직각을 이루어 슬라이드 블록(71)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72)는 슬라이드 블록(71)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걸림부(721)는 결합홀(712)에 위치하여 걸림턱(712a)에 걸려 있다. 걸림부(721)는 설정 위치에 따라 결합홀(712)에서 움직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슬라이드 본체(72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걸림부(721)와 연결되어 슬라이드 블록(71)에서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드 본체(722)의 타단은 코어(212)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코어(212)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언더컷 형성부(723)는 슬라이드 본체(722)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캐비티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언더컷 형성부(723)의 외부 둘레 지름은 슬라이드 본체(722)의 외부 둘레 지름보다 작다. 그러나 복합형성제품에 형성되는 언더컷의 디자인에 따라 언더컷 형성부(723)의 지름 및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언더컷 형성부(723)는 캐비티에서 복합성형제품 성형 시 캐비티에 위치하며, 캐비티에서 복합성형제품을 취출할 때는 캐비티를 벗어난다.
슬라이드 탄성부재(73)는 코어(212)와 접하고 있는 슬라이드 블록(71)의 측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탄성부재(73)는 슬라이드 블록(71)이 코어(212)에서 떨어지면 압축된다. 슬라이드 탄성부재(73)는 슬라이드 블록(71)이 코어(212)와 접하고 슬라이드 밀핀(6)의 경사면(6c)과 슬라이드 블록(71)의 경사면(711c)이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록킹블록(11)은 고정형체(1)의 상원판에 배치되어 하원판(21)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형체(1)와 가동형체(2)가 서로 결합될 때 슬라이드 탄성부재(73)가 접하고 있는 슬라이드 블록(71)의 반대면과 접한다. 슬라이드 블록(71)과 록킹블록(11)이 서로 접하고 있는 부분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형체(1)와 가동형체(2)가 서로 결합될 때 록킹블록(11)의 경사면이 슬라이드 블록(71)이 경사면을 코어(212)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슬라이드(72)의 단부인 언더컷 형성부(723)는 캐비티에서 벗어나지 않고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9를 더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복합성형제품 1차 성형을 위해 이중사출금형의 가동형체(2)와 고정형체(1)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71)은 코어(212)의 측면에 접하며 언더컷 형성부(723)는 코어(212)의 캐비티에 있다. 하밀판(41)은 가동고정판(22)과 접하고 있으며 제1 판(511)과 바닥(41g)은 떨어져 지연공간(41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취출밀핀(3)의 단부는 캐비티를 벗어나 있으며 삽입홀(711)의 길이 방향 중심선(711L)과 슬라이드 밀핀(6)의 길이 방향 중심선(6L)이 떨어져 있어 슬라이드 밀핀(6)의 경사면(6c)과 슬라이드 블록(71)의 경사면(711c)은 서로 접하고 있다(도면 도 5 참조). 복합성형제품 성형을 캐비티로 수지를 주입한다.
1차 성형이 완료되면 2차 성형을 위해 가동형체(2)와 고정형체(1)를 서로 분리한다. 록킹블록(11)이 슬라이드 블록(71)에서 떨어지지만 슬라이드 탄성부재(73)가 슬라이드 블록(71)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 블록(71)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언더컷 형성부(723)는 캐비티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복합성형제품 2차 성형을 위해 고정형체(1)와 분리된 가동형체(2)를 180° 회전시킨다. 이후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하여 복합성형제품의 성형을 완료한다. 캐비티에 수지가 1차, 2차 주입되면서 복합성형제품은 2중 재질, 이중 색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성형된 복합성형제품을 캐비티에서 취출하기 위해 고정형체(1)와 가동형체(2)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8을 더 참고하면, 밀판 구동부(80)의 로드(82) 작동으로 가압부(81)는 한 쌍의 판 지지대(52)(도면 도 4 참조)의 사이에서 하밀판(41)과 접하여 밀판(4)을 이동시킨다. 밀판(4)은 복수의 가이드봉에 의해 작동공간(23)에서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밀핀 작동판(5)의 둘레가 유격홈(41a)의 둘레와 떨어져 있으므로 밀핀 작동판(5)은 밀판(4)을 따라 움직이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밀핀 작동판(5)의 정지로 취출밀핀(3) 또한 움직이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밀판(4)의 이동으로 바닥(41g)은 제1 판(511)과 가까워지면서 지연공간(41s)은 점진적으로 좁아진다.
한편, 밀판(4)의 이동으로 슬라이드 밀핀(6)이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 밀핀(6)은 핀홀의 가이드로 반듯하게 직선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드 밀핀(6)의 경사면(6c)은 슬라이드 블록(71)의 경사면(711c)을 가압하게 된다. 슬라이드 블록(71)이 슬라이드 밀핀(6)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슬라이드 블록(71)은 슬라이드 밀핀(6)에 의해 밀리게 된다. 슬라이드 블록(71)은 하원판(21)의 가이드홈 가이드로 코어(212)의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 블록(71)의 이동으로 평행하게 떨어져 있던 삽입홀(711)의 길이 방향 중심선(711L)과 슬라이드 밀핀(6)의 길이 방향 중심선(6L)의 간격은 좁혀진다. 슬라이드 블록(71)의 이동으로 슬라이드 밀핀(6)의 경사면(6c)이 슬라이드 블록(71)의 경사면(711c)에서 벗어나 삽입홀(711)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밀핀(6)의 외부 둘레는 삽입홀(711)의 둘레와 접하게 되며 슬라이드 블록(71)은 이동하지 않는다. 삽입홀(711)의 길이 방향 중심선(711L)과 슬라이드 밀핀(6)의 길이 방향 중심선(6L)의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71)은 코어(212)의 측면에서 떨어지며 슬라이드(72)의 걸림부(721)를 당기게 된다. 걸림부(721)의 당김으로 슬라이드(72)는 슬라이드 블록(7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언더컷 형성부(723)는 캐비티를 벗어나 코어(212)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에 복합성형제품은 취출밀핀(3)에 의해 취출될 때 언더컷 형성부(723)와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슬라이드 탄성부재(73)는 압축된다.
밀판(4)의 이동으로 지연공간(41s)이 점진적으로 좁아져 바닥(41g)이 제1 판(511)과 접하게 되면 밀핀 작동판(5)은 밀판(4)을 따라 이동한다. 제2 판(512)은 상밀판(42)과 떨어지며 판 탄성부재(53)(도 3 참조)는 바닥(41g)과 제1 판(511)이 밀착되도록 제2 판(512)에 탄성력을 가한다.
다음으로 도 9를 더 참고하면, 밀핀 작동판(5)이 밀판(4)을 따라 이동하면 취출밀핀(3)이 이동한다. 취출밀핀(3)의 단부는 캐비티에 삽입되어 복합성형제품을 가압한다. 복합성형제품은 케비티의 표면에서 떨어지며 밀판 구동부(80)의 작동으로 밀판(4)은 계속 이동하며 취출밀핀(3)은 복합성형제품을 캐비티에 이탈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밀판 구동부(80)의 구동으로 밀판(4)이 작동할 때 슬라이드 밀핀(6)이 이동하면서 언더컷 형성부(723)가 캐비티에서 이탈한다. 그리고 바닥(41g)이 접한 밀핀 작동판(5)이 시차를 두고 움직인다. 밀핀 작동판(5)과 결합된 취출밀핀(3)이 슬라이드 밀핀(6)보다 늦게 움직이면서 캐비티의 복합성형제품을 취출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72)의 단부는 1차, 2차 성형공정 동안 캐비티에 위치하여 언더컷을 유지하며 복합성형제품을 캐비티에서 취출하기 위해 취출밀핀(3)보다 먼저 작동하도록 하여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복합성형제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고정형체 11: 록킹블록
2: 가동형체 21: 하원판
211: 다리 212: 코어
22: 가동고정판 23: 작동공간
24: 가이드봉 3: 취출밀핀
4: 밀판 41: 하밀판
41a: 유격홈 41b: 관통홀
41g: 바닥 41h: 깊이
41s: 지연공간 42: 상밀판
43: 밀판 탄성부재 5: 밀핀 작동판
51: 판본체 51t: 두께
511: 제1 판 512: 제2 판
52: 판 지지대 52e: 단부
53: 판 탄성부재 6: 슬라이드 밀핀
6e: 단부 6c: 경사면
7: 슬라이드부 71: 슬라이드 블록
711: 삽입홀 711c: 경사면
712: 결합홀 712a: 걸림턱
72: 슬라이드 721: 걸림부
722: 슬라이드 본체 723: 언더컷 형성부
73: 슬라이드 탄성부재 80: 밀판 구동부
81: 가압부 82: 로드

Claims (10)

  1. 이중사출금형의 가동형체에 설치되어 복합성형제품을 취출하는 취출밀핀보다 상기 복합성형제품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부를 먼저 작동시키는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합성형제품이 성형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코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취출밀핀과 상기 슬라이드부가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하원판;
    가동고정판과 상기 하원판의 사이에 형성된 작동공간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유격홈을 가지는 밀판;
    상기 유격홈에 위치하여 상기 유격홈의 바닥과 떨어져 지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판을 따라 움직여 상기 취출밀핀을 이동시키는 밀핀 작동판; 및
    상기 밀판과 연결되어 작동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밀핀;
    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형체는 상기 복합성형제품의 1차 성형이 완료된 후, 180º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2차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취출밀핀이 작동되며,
    상기 취출밀핀 및 상기 슬라이드 밀핀이 상기 가동형체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밀핀 작동판은 상기 지연공간에서 상기 유격홈의 바닥이 접할 때까지 상기 취출밀핀을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밀핀 및 상기 취출밀핀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원판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밀핀이 접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블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하원판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 위치하여 슬라이드 블록의 이동에 의해 캐비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슬라이드; 및
    상기 삽입홀의 둘레가 상기 슬라이드 밀핀과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슬라이드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는 상기 슬라이드 밀핀과 수직한 방향으로 걸림턱을 갖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결합홀에 위치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있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의 바디 외부로 돌출된 슬라이드 본체; 및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캐비티로 삽입된 언더컷 형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언더컷 형성부의 외부 둘레 지름은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외부 둘레 지름보다 작고,
    상기 밀판은
    상기 유격홈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밀판 구동부와 접하는 하밀판;
    상기 하밀판의 일면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밀핀이 고정된 상밀판; 및
    상기 상밀판에 탄성력을 가하여 이동한 상기 슬라이드 밀핀이 복귀하도록 하는 밀판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격홈의 바닥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핀 작동판은
    서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취출밀핀을 고정하고 있는 제1 판과 제2 판으로 이루어진 판본체;
    상기 제1 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밀판의 관통홀을 관통하고 있는 한 쌍의 판 지지대; 및
    상기 판본체에 탄성력을 가하여 이동한 상기 취출밀핀이 복귀하도록 하는 판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핀 작동판의 둘레와 상기 유격홈의 둘레는 떨어져 있으며,
    상기 유격홈의 깊이 치수는 상기 판본체의 두께 치수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판 지지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고정판과 접하고 있을 때 상기 제1 판이 상기 유격홈의 바닥과 떨어져 상기 지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판 구동부는 한 쌍의 판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밀핀 작동판을 가압하고,
    상기 1차 성형이 완료되고, 상기 가동형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밀핀 작동판의 상기 제1 판의 상면은 상기 하밀판의 상면과 동일평면에 위치하며, 상기 2차 성형이 완료되고, 상기 밀판 구동부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하밀판의 상면은 상기 밀핀 작동판의 상기 제1 판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되는,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상기 슬라이드 밀핀을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부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서 벗어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유격홈의 바닥이 상기 밀핀 작동판에 접하면 상기 취출밀핀은 이동하면서 상기 캐비티에서 상기 복합성형제품을 취출하는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상기 슬라이드 밀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이동 방향으로 평행하게 떨어져 있는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밀핀의 단부와 상기 삽입홀의 주변부는 접하고 있으며, 접하는 부분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접한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밀핀이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캐비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서 벗어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이동으로 상기 삽입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은 상기 슬라이드 밀핀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일치하는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사출금형에서 고정형체에 설치되어 상기 하원판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형체와 상기 가동형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의 단부가 상기 캐비티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지지하는 록킹블록; 을 더 포함하는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15188A 2020-09-09 2020-09-09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KR102256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88A KR102256843B1 (ko) 2020-09-09 2020-09-09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88A KR102256843B1 (ko) 2020-09-09 2020-09-09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843B1 true KR102256843B1 (ko) 2021-05-27

Family

ID=7613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188A KR102256843B1 (ko) 2020-09-09 2020-09-09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8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0744A (zh) * 2021-08-19 2021-10-15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及其注塑方法
CN114474624A (zh) * 2022-02-07 2022-05-13 成都宝利根创科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凹槽卡扣产品的顶出脱模装置
CN114589890A (zh) * 2022-04-12 2022-06-07 森骏卓越精密智造(深圳)有限公司 一种双色注塑模具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0142A1 (en) * 1988-11-22 1990-05-30 Sankyo Engineering Co. Ltd. Slide core mold for injection molding
JPH0343226A (ja) * 1989-07-12 1991-02-25 Mitsubishi Materials Corp カセットハーフの射出成形金型
JPH0533309A (ja) * 1991-07-25 1993-02-09 Dainippon Ink & Chem Inc 駐車場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法
KR200153875Y1 (ko) * 1996-09-24 1999-08-02 이형도 금형의 캠 구조
JP2958052B2 (ja) * 1990-05-29 1999-10-06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複合成形用金型
KR20000021716A (ko) * 1998-09-30 2000-04-25 윤종용 사출성형용 금형
JP2002254478A (ja) * 2000-12-27 2002-09-11 Koyo Seiko Co Ltd ウォームホイール、そ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5242343B2 (ja) * 2008-11-04 2013-07-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
KR101407644B1 (ko) 2012-09-17 2014-06-27 김인찬 성형품 탈거부를 포함하는 금형
KR101482985B1 (ko) 2013-09-16 2015-01-15 에이테크솔루션(주) 사출성형금형에서 언더컷 처리를 위한 캠슬라이드 조립체
KR101915791B1 (ko) * 2017-09-04 2018-11-06 에스비에이테크(주)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구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0142A1 (en) * 1988-11-22 1990-05-30 Sankyo Engineering Co. Ltd. Slide core mold for injection molding
JPH0343226A (ja) * 1989-07-12 1991-02-25 Mitsubishi Materials Corp カセットハーフの射出成形金型
JP2958052B2 (ja) * 1990-05-29 1999-10-06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複合成形用金型
JPH0533309A (ja) * 1991-07-25 1993-02-09 Dainippon Ink & Chem Inc 駐車場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法
KR200153875Y1 (ko) * 1996-09-24 1999-08-02 이형도 금형의 캠 구조
KR20000021716A (ko) * 1998-09-30 2000-04-25 윤종용 사출성형용 금형
JP2002254478A (ja) * 2000-12-27 2002-09-11 Koyo Seiko Co Ltd ウォームホイール、そ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5242343B2 (ja) * 2008-11-04 2013-07-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
KR101407644B1 (ko) 2012-09-17 2014-06-27 김인찬 성형품 탈거부를 포함하는 금형
KR101482985B1 (ko) 2013-09-16 2015-01-15 에이테크솔루션(주) 사출성형금형에서 언더컷 처리를 위한 캠슬라이드 조립체
KR101915791B1 (ko) * 2017-09-04 2018-11-06 에스비에이테크(주)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평05-033309호(1993.08.25.) 1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0744A (zh) * 2021-08-19 2021-10-15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及其注塑方法
CN113500744B (zh) * 2021-08-19 2023-02-1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及其注塑方法
CN114474624A (zh) * 2022-02-07 2022-05-13 成都宝利根创科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凹槽卡扣产品的顶出脱模装置
CN114589890A (zh) * 2022-04-12 2022-06-07 森骏卓越精密智造(深圳)有限公司 一种双色注塑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843B1 (ko) 이색 성형용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구조
JP4628476B2 (ja) 射出成型装置
JPH08118374A (ja) 合成樹脂の成形方法とその装置
KR101482985B1 (ko) 사출성형금형에서 언더컷 처리를 위한 캠슬라이드 조립체
CN112536992A (zh) 底切处理机构、成型用模具及成型品
JP3225897U (ja) 樹脂成形品の射出成形用金型
KR20160040964A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JP2008162213A (ja) 射出成形金型
JPH09277315A (ja) 射出成形用金型
JP2005262781A (ja) 射出成形金型のスライド開き構造
JP2010264682A (ja) 金型、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60060942A (ko) 수축, 확장되는 다수의 언더컷성형코어를 갖는 사출금형
KR100988790B1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KR101934359B1 (ko) 굴곡 튜브 사출 성형 금형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JPS5922713A (ja) プラスチツク成形型のアンダ−カツト処理装置
KR20090073797A (ko) 테스트 금형조립체
CN214687472U (zh) 一种脱模具治具
JP2007136823A (ja) アンダーカットコア可動金具、可動スライダ及び可動用治具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二重成形金型
JP2009113221A (ja) 射出成型用金型
KR101604265B1 (ko)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어셈블리
JP2003080570A (ja) 射出成形用金型
RU2015020C1 (ru) Литьевая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имерных изделий
JPS591783Y2 (ja) スライドコア位置決め機構を備えるアンダ−カット用モ−ルド金型
JPH08216199A (ja) 射出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