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299B1 - 금형 - Google Patents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299B1
KR101700299B1 KR1020160064807A KR20160064807A KR101700299B1 KR 101700299 B1 KR101700299 B1 KR 101700299B1 KR 1020160064807 A KR1020160064807 A KR 1020160064807A KR 20160064807 A KR20160064807 A KR 20160064807A KR 101700299 B1 KR101700299 B1 KR 10170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old
stage
pi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득진
신동준
강효명
윤석환
Original Assignee
송우산업(주)
주식회사 세지솔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산업(주), 주식회사 세지솔로텍 filed Critical 송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6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29C45/2614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for manufacturing bent tubular articles using an undercut forming mould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6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 형상의 본체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의 일부를 성형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일부를 성형하는 제1 금형부; 및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를 성형하는 제2 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2단 이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다단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 코어는 상기 벤딩부에 다중 언더컷(undercut)을 성형하는, 금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금형{MO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金型)이란 재료의 가소성과 유동성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갖춘 완성도 높은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성의 형(型)으로 크게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사출 금형과 철판을 매개로 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프레스 금형 및 금속을 용해시켜 플라스틱과 유사하게 생산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금형 중에 사출 금형은 각각의 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Cavity) 즉, 성형 공간 내부에 고온의 액상 수지물을 주입한 후 냉각시켜 금형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소정의 성형물인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 사출 금형은 크게 고정부 금형과 가동부 금형으로 나누어지며, 구체적으로는 성형재료를 금형 캐비티 내에 사출, 충진시켜서 성형품을 얻기 위하 캐비티부, 용융된 재료를 성형기의 노즐로부터 캐비티까지 인도하는 유동기구,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빼내기 위한 이젝터 기구,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 금형을 성형기에 붙이기 위한 부착부, 이것을 유지하기 위한 전체적인 프레임인 모드베이스 등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상기 사출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법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사출 성형기 내에서 가열 용융한 후, 스프루(sprue)를 통하여 사출 금형의 성형 공간부 내로 원료를 주입하고, 이를 사출 금형 내부에서 고화 또는 경화시켜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각각의 금형을 분리하여 성형물을 취출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사출 금형에 의한 제조방법은 생산제품의 치수 정밀도가 높고, 호환성이 있는 조림품의 생산이 간단하며, 특수 기술이나 숙련기술 없이도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생산시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성형물에 나사산이나 구멍 또는 홈부, 경사부 등과 같은 언더컷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가동부 금형의 이동만으로 캐비티 내의 성형물을 취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언더컷(undercut)이란 사출 금형의 닫힘이나 열림 방향의 운동만으로는 성형물을 배출하기 곤란한 오목한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러한 언더컷은 성형품의 외부에 있는 경우와 내부에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언더컷으로 인해 금형으로부터 성형물의 취출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형물 취출 시 언더컷이 형성된 부분과 금형이 접촉 또는 충돌하여 성형물의 불량을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3차원 형상의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경우에는 파이프의 형상 때문에 종래에는 이를 설계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서, 3차원 파이프를 사출을 통해 성형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46850호 (2008.07.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파이프의 다중 언더컷을 성형하기 위한 다단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단 코어의 슬라이딩 이동만으로 파이프가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중 언더컷이 접촉 또는 충돌없이 취출되는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중 언더컷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 형상의 본체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의 일부를 성형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일부를 성형하는 제1 금형부; 및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를 성형하는 제2 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2단 이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다단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 코어는 상기 벤딩부에 다중 언더컷(undercut)을 성형하는, 금형을 제공한다.
상기 다단 코어는 상기 다중 언더컷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단 코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다단 코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단 코어는 2단 코어일 수 있다.
상기 2단 코어는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는 상기 제1 금형부로부터 먼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어는 상기 제2 코어와 이격 가능하고, 이동 유닛의 일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코어는 상기 제1 코어에 의해 성형된 언더컷을 경유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금형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취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파이프의 다중 언더컷을 성형하기 위한 다단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단 코어의 슬라이딩 이동만으로 파이프가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중 언더컷이 접촉 또는 충돌없이 취출되는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중 언더컷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금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에 의해 성형된 파이프의 모습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상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하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하형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어가 제2 코어와 이격 가능하고, 슬라이딩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에 의해 성형된 파이프(10)의 모습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이프(10)는 관 형상의 본체부(20), 관 형상의 본체부(30)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벤딩부(30)는 다중 언더컷(undercut)(32, 3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은, 벤딩부(30)에 다중 언더컷(32, 34)을 성형하기 위해 상형(100) 및 하형(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상형(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형(100)은, 파이프(10)의 관 형상의 본체부(20)를 성형하는 제1 금형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파이프(10)의 한 쌍의 벤딩부(30) 중 하나를 성형하는 제2 금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형(100)은 고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하형(200)은 상승 및 하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촉면(130)의 하부와 하형(200)이 접촉될 수 있으며, 하형(200)이 상승되면 하형(200)과 정확한 부합이 가능하도록, 제1 접촉면(130)의 하부에는 가이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하형(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형(200)은 관 형상의 본체부(20)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30)를 포함하는 파이프(10)의 일부를 성형할 수 있다. 하형(200)은 본체부(20)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일부를 성형하는 제1 금형부(210) 및 한 쌍의 벤딩부(30) 중 하나를 성형하는 제2 금형부(220)를 포함하고, 제2 금형부(220)는 2단 이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다단 코어(224, 226)를 포함하며, 다단 코어(224, 226)는 벤딩부(30)에 다중 언더컷(32, 34)을 성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코어가 2단 코어이고, 다중 언더컷이 2중 언더컷인 경우로 설명한다. 하지만 코어의 개수 및 언더컷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형(200)은 상승 및 하강 가능하고, 파이프(10)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해 하형(200)은 상형(100)이 위치한 위치로 상승될 수 있고, 성형 완료 후에는 하형(200)은 하강될 수 있다. 하형(200)은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하형(200)이 상승되면 제2 접촉면(230)은 상형(100)의 제1 접촉면(130)과 접촉될 수 있으며, 상형(100)과 정확한 부합이 가능하도록, 제2 접촉면(230)의 상부에는 가이드 축(240)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하형(200)이 상승되면, 파이프(10)이 성형 공정이 시작되어 제1 금형부(210)는 파이프(10)의 관 형상의 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일부를 성형할 수 있다.
제2 금형부(220)는 관 형상의 본체부(20)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30) 중 하나를 성형할 수 있다. 제2 금형부(220)는 제1 금형부(210)에서 외측으로 벤딩 각도를 가지고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금형부(220)는 2단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2단 코어(224, 226)를 포함할 수 있다. 2단 코어(224, 226)는 벤딩부(30)에 2중 언더컷(32, 34)을 성형할 수 있도록 2중 언더컷(32, 34)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홈(42, 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금형부(220)는 벤딩부(30)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벤딩부 형상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 형상부(222)는 2단 코어(224, 226)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벤딩부(30)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성형 완료 후에 하형(2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한편, 하형(200)은 2단 코어(224, 226)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2단 코어(224, 226)는 파이프(10) 성형이 완료된 후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성형 공정 중에는 이동 유닛(250)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는 제1 금형부(210)에서 가장 멀리 떨리 떨어진 곳일 수 있으며, 2단 코어(224, 226)가 슬라이딩 이동 방향(s)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이다. 여기서, 슬라이딩 이동 방향(s)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이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슬라이딩 이동 방향(s)은 양방향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은 파이프(10)의 성형이 완료된 후, 2단 코어(224, 226)가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까지의 슬라이딩 이동 및 파이프(10)를 취출한 후 파이프(10)를 성형을 시작하기 위해 원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동 유닛(250)은 2단 코어(224, 22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252)는 2단 코어(224, 226)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동 가이드부(252)를 따라 2단 코어(224, 226)가 이동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252)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2단 코어(224, 226)는 이동 가이드부(252)의 길이 방향 즉, 슬라이딩 이동 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유닛(250)은 2단 코어(224, 226)를 이동시키기 위해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부재는 어떠한 부재라도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에 의해 2단 코어(224, 226)가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2단 코어(224, 226)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유닛(250)은 2단 코어(224, 22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2단 코어(224, 226)가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까지 이동되면, 2단 코어(224, 226)가 스토퍼에 걸리게 되어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파이프(10)의 성형이 완료 후, 파이프(10)를 취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스토퍼는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와 인접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2단 코어(224, 226)의 일단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2단 코어의 일단부는 후술할 제1 코어(224)의 일단부일 수 있으며, 제1 금형부(210)로부터 먼 곳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2단 코어(224, 226)가 파이프(10) 성형 시 밀리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단 코어(224, 226)가 서로 접촉되어 있고, 파이프(10) 성형 시의 제1 코어(224)의 일단부이다. 또한, 2단 코어(224, 226)가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되면, 2단 코어(224, 226)의 타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2단 코어(224, 226)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2단 코어(224, 226)의 타단부는 후술할 제2 코어(224)의 타단부일 수 있으며, 제1 금형부(210)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일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는 2단 코어(224, 226)의 이동을 제한하고, 2단 코어(224, 226)를 고정시킴으로써, 2단 코어(224, 226) 내부에서 파이프(10)는 불량 및 결함 없이 성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어(224)가 제2 코어(226)와 이격 가능하고, 슬라이딩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단 코어는 제1 코어(224) 및 제2 코어(224)를 포함하고, 제1 코어(224)는 제2 코어(226)와 이격 가능하고,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코어는 2단 코어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단 코어는 2단 이상일 수 있으며, 3단 코어 또는 4단 코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단 코어가 2단 코어일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2단 코어는 제1 코어(224) 및 제2 코어(2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어(224)는 제1 금형부(21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어(224)는 제2 코어(226)와 이격 가능하고,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1 코어(224) 및 제2 코어(2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벤딩부(30)에 형성되는 2중 언더컷(32, 34)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홈(42, 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어(224)의 제1 요홈(42)과 제2 코어(226)의 제2 요홈(44)의 형상 및 크기가 같을 수 있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요홈(44)은 제1 요홈(42)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코어(226)에 의해 형성된 언더컷(34)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요홈(42)은 제2 요홈(44)과 같은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요홈(42)이 더 깊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은, 파이프(10)의 벤딩부(30)에 2중 언더컷(32, 34)을 성형하여 형성하고, 파이프(10)를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파이프(10)의 성형이 완료되면, 하형(200)은 하강하여 상형(1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하형(200)의 하강으로 인해, 하형(200)의 제1 금형부(210)는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 후, 벤딩부 형상부(222)는 하형(200)의 제2 금형부(2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즉, 벤딩부 형상부(222)는 하형(200)으로부터 인출되어, 2단 코어(224, 226)만 2중 언더컷(32, 34)을 구속시키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성형된 파이프(10)는 하형(200)에서 취출될 수 있도록 하형(200)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코어(224)는 제2 코어(226)와 이격 가능하고, 제1 코어(224)는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어(226)는 제1 코어(224)에 의해 성형된 언더컷(32)을 경유하여 이동 유닛(250)의 일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언더컷(32)은 완전히 굳어진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즉, 언더컷(32)의 형상에 대한 성형은 완료가 되었으나, 언더컷(32)이 완전히 고화 또는 경화된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이는, 제2 코어(226)가 언더컷(32)을 경유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2 코어(226)가 슬라이딩 이동되면, 벤딩부(30)는 제1 코어(224) 및 제2 코어(226)로부터 자유로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자유로운 상태는 파이프(10)가 금형으로부터 취출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파이프(10)는 제1 금형부(2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취출될 수 있다.
나아가, 파이프(10)의 벤딩부(30)에 2중 언더컷(32, 34)은 결함 없이 취출될 수 있다. 이는, 제1 금형부(210)는 파이프(10)의 본체부(2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파이프(10)를 취출하기 위한 공간 활용이 용이하고, 2단 코어(224, 226)와 간섭되지 않아 2중 언더컷(32, 34)이 결함 없이 취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은, 2단 코어(224, 226)의 슬라이딩 이동만으로 파이프(10)를 취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10)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10)에 2중 언더컷(32, 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금형은 2단 코어(224, 2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2단 코어(224, 226)를 통해 2중 언더컷(32, 34)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단 코어(224, 226)의 슬라이딩 이동만으로 파이프(10)를 금형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으로 파이프(10)를 성형할 경우, 제1 코어(224) 및 제2 코어(226)를 순서대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2중 언더컷(32, 34)은 2중 코어(224, 226)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파이프(10)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나아가, 파이프(10)는 제1 금형부(210)의 및 제2 금형부(220)와 접촉 또는 충돌되지 않고, 용이하게 취출됨으로써 파이프(10)의 불량 또는 결함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파이프(10)를 취출하기 위한 공정이 간소화됨으로써, 파이프(10) 성형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2중 언더컷(32, 34)은 일정한 형상으로 정확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파이프
20 : 본체부
30 : 벤딩부
32, 34 : 2중 언더컷
42, 44 : 요홈
100 : 상형
110 : 제1 금형부
120 : 제2 금형부
130 : 제1 접촉면
200 : 하형
210 : 제1 금형부
220 : 제2 금형부
222 : 벤딩부 형상부
224 : 제1 코어
226 : 제2 코어
230 : 제2 접촉면
240 : 가이드 축
250 : 이동 유닛
252 : 이동 가이드부

Claims (9)

  1. 관 형상의 본체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한 쌍의 관 형상의 벤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의 일부를 성형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일부를 성형하는 제1 금형부; 및
    상기 한 쌍의 벤딩부 중 하나를 성형하고, 상기 제1 금형부에서 외측으로 벤딩 각도를 가지고 경사져서 형성되는 제2 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2단 이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다단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 코어는 상기 벤딩부에 다중 언더컷(undercut)을 성형하는, 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단 코어는 상기 다중 언더컷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홈을 포함하는, 금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단 코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금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다단 코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금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단 코어는 2단 코어인, 금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단 코어는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는 이동 유닛의 일단부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금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는 상기 제2 코어와 이격 가능하고, 상기 이동 유닛의 일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되는, 금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는 상기 제1 코어에 의해 성형된 언더컷을 경유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금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금형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취출되는, 금형.

KR1020160064807A 2016-05-26 2016-05-26 금형 KR101700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07A KR101700299B1 (ko) 2016-05-26 2016-05-26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07A KR101700299B1 (ko) 2016-05-26 2016-05-26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299B1 true KR101700299B1 (ko) 2017-01-26

Family

ID=5799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807A KR101700299B1 (ko) 2016-05-26 2016-05-26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2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7088A (ja) * 2000-08-30 2002-03-05 Toyo Roki Mfg Co Ltd 湾曲管部を有する樹脂成形品用の金型
JP2003001683A (ja) * 2001-06-25 2003-01-08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KR100846850B1 (ko) 2007-04-17 2008-07-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KR100849535B1 (ko) * 2007-02-08 2008-07-31 (주) 우성정공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 유니트
KR20140124675A (ko) * 2013-04-17 2014-10-27 이중재 내측 언더컷을 갖는 관 형상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7088A (ja) * 2000-08-30 2002-03-05 Toyo Roki Mfg Co Ltd 湾曲管部を有する樹脂成形品用の金型
JP2003001683A (ja) * 2001-06-25 2003-01-08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KR100849535B1 (ko) * 2007-02-08 2008-07-31 (주) 우성정공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 유니트
KR100846850B1 (ko) 2007-04-17 2008-07-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KR20140124675A (ko) * 2013-04-17 2014-10-27 이중재 내측 언더컷을 갖는 관 형상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0287B2 (e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mold mechanism
CN103737804A (zh) 组合式碳粉盒主构件的精密模具
KR100944249B1 (ko) 중공원통형 사출물 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의 제조방법
JP2013154507A (ja) 金型
CN106142475A (zh) 一种易成型的y形三通注塑模具
KR101602734B1 (ko) 회전방지용 고정돌기를 갖는 사출금형
CN104802370A (zh) 一种前模顶出脱模结构模具
KR101700299B1 (ko) 금형
KR101768801B1 (ko) 언더컷이 형성된 제품성형용 금형
KR20130001735U (ko)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용 이중 슬라이드 장치
KR20150143126A (ko) 사이드 게이트의 자동절단 및 성형물의 취출을 위한 사출 금형장치
CN203765941U (zh) 制品内部进浇、定模推出的模具
CN203876156U (zh) 一种侧抽芯塑料模具
CN203765951U (zh) 结构简单的抽芯机构
CN103909630A (zh) 司筒顶出机构
CN107443677B (zh) 医疗检测胶囊内镜机器人下外壳注塑模具
JP6000134B2 (ja) モールド射出成形金型
CN203567112U (zh) 自动剥料机构
CN206085501U (zh) 一种设置有空气阀的注塑模具
CN107538691B (zh) 医疗检测胶囊内镜机器人上外壳注塑模具
CN216299996U (zh) 一种防嵌件被冲坏的模具结构
JP6199346B2 (ja) 成形品の突き出しに特徴を有する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CN214926686U (zh) 内切式瓶盖注塑模具
CN210880627U (zh) 一种导光条注塑模具
CN209971404U (zh) 一种注射模具侧抽芯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