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124A -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 Google Patents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124A
KR20140065124A KR1020120132262A KR20120132262A KR20140065124A KR 20140065124 A KR20140065124 A KR 20140065124A KR 1020120132262 A KR1020120132262 A KR 1020120132262A KR 20120132262 A KR20120132262 A KR 20120132262A KR 20140065124 A KR20140065124 A KR 20140065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beam
main cable
gantry
lifting
pulle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010B1 (ko
Inventor
문종훈
최현석
윤자걸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0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교의 주케이블 상면을 따라 주행하면서, 필요한 위치에서 현수교의 상부구조를 이루는 거더 등의 보강형을 인상하게 되는 리프팅 갠트리(Lifting Gantry)에 관한 것으로서, 현수교의 보강형 가설시, 보강형의 인상에 따른 하중 즉, 인양하중을 주케이블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구조와 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교축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함에 따라 횡방향의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갠트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갠트리는, 풀리 조립체(1)와, 행어부재(3)와, 이동장치(4)를 포함하며; 상기 행어부재(3)는, 상,하부 횡빔(31, 33)과 연직빔(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풀리 조립체(1)에는 주케이블(100)에 결합되는 케이블결속부재(12)가 구비되어 있고;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1)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케이블 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합되면서 풀리 조립체(1)는 하부 횡빔(33)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33)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본 발명은 현수교(懸垂橋)의 주케이블 상면을 따라 주행하면서, 필요한 위치에서 현수교의 상부구조를 이루는 거더 등의 보강형을 인상하게 되는 리프팅 갠트리(Lifting Gantry)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현수교의 보강형 가설시, 보강형의 인상에 따른 하중 즉, 인양하중을 주케이블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구조와 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교축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함에 따라 횡방향의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갠트리에 관한 것이다.
현수교는 교량의 상부구조를 이루는 보강형은, 현수선 형태로 배치되는 주케이블을 따라 주행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인양로프에 의해 중량물을 인양하는 갠트리에 의해 순차적으로 인양되어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조립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보강형을 인양하여 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조립 연결함으로써 현수교를 시공하는 예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2-13730호(공고번호 제1995-145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갠트리(10)를 이용하여 보강형(200)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갠트리(100)는, 인양작업이 가능하도록 보강형(200)에 연결된 인양로프가 중앙에 연결되는 횡빔으로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101)과, 각각의 주케이블(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강형(200)으로부터의 인양하중을 주케이블(100)로 전달하는 상부 프레임(102)과, 주케이블(100) 사이에서 횡방향(교축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주케이블(100)에 설치된 한 쌍의 상부 프레임(10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01)을 이루는 횡빔의 횡방향 양측에 각각 인양로프가 연결되고, 상기 인양로프는 상향으로 이어져서 상기 상부 프레임(102)과 연결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500은, 주케이블(100)의 아래에 배치되어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에 해당하는 캣워크 부재(500)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갠트리(10)에서,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 발생하는 인양하중은, 보강형(200)에 연결된 인양로프를 통해 하부 프레임(101)으로 전달되고, 다시 하부 프레임(101)과 상부 프레임(102) 사이의 인양로프를 통해, 상부 프레임(102)으로 전달된 후, 상부 프레임(102)의 지지점을 통해 주케이블(100)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보강형의 인양하중은 수 백톤에 달하기 때문에 종래의 갠트리에서는 인양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규모와 중량이 매우 크며 구조 역시 매우 복잡하다. 또한 인양로프의 인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차례 도르래를 통과시키기 때문에 각 도르래를 인양로프가 통과할 때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인양로프의 장력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주케이블(100)의 상면에 위치한 고중량의 상부 프레임은 작은 편심에도 균형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과 장비 구동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그리고 인양하중의 전달을 위하여, 주케이블(100)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상부 프레임(102)을 서로 연결하게 되는 연결 프레임(103)이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했다.
즉, 종래에는 한 쌍의 갠트리(10)가 평행한 두 개의 주케이블(100) 위에 각각 놓여 있고 한 쌍의 갠트리(10)를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03)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03)이 인양하중을 주케이블(100)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연결 프레임(103)의 필수적인 구비는 결국 갠트리 전체의 중량이 더욱 커지게 하는 원인이 되며, 이는 장비의 운영상의 어려움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주케이블의 손상도 야기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주케이블이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주케이블 사이의 횡방향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 위와 같이 연결 프레임(103)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하는 종래의 갠트리는 적용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연결 프레임(103)의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성과 장비가 더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1995-14588호(특허출원 제1992-13730호)(1995. 12. 09.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주케이블 위에 설치된 한 쌍의 갠트리를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이 인양하중을 주케이블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현수교의 주케이블을 따라 움직이는 갠트리의 규모와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교축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주케이블 사이의 횡방향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한 갠트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현수교의 주케이블에 설치되어 주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현수교의 보강형을 인양하는 갠트리로서, 인양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서 보강형을 인양하는 풀리 조립체와, 보강형을 인양할 위치까지 이동할 동안 풀리 조립체를 매달아 놓게 되는 행어부재와, 상기 행어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주케이블에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주케이블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행어부재는,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는 상부 횡빔과,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 횡빔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 횡빔과, 상기 상,하부 횡빔 사이를 연결하는 연직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풀리 조립체에는 주케이블에 결합되어, 인양로프를 통해서 가해지는 인양하중을 주케이블에 직접 전달하는 케이블결속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부 횡빔에는 풀리 조립체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보강형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가 하부 횡빔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을 인양할 때에는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가 주케이블에 결합되면서 풀리 조립체는 하부 횡빔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갠트리에 있어서, 상기 풀리 조립체에는 고리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재에는 상기 하부 횡빔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하부 횡빔의 단면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상기 하부 횡빔이 삽입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하부 횡빔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갠트리에서, 상기 이동장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가 주케이블에서 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케이블의 주위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결합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파이프에 상부 횡빔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파이프 내에서 상부 횡빔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에서는, 보강형을 인양할 때 연직하게 작용하는 인양하중이 직접 주케이블로 전달되므로, 보강형을 인양하는 동안에는, 주케이블 위에 설치되는 이동장치에 인양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이동장치의 구성을 종래기술보다 현저하게 간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규모도 축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란한 주케이블에 설치되는 갠트리가 각각의 주케이블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면 충분하며, 한 쌍의 갠트리를 횡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종래의 연결프레임이 본 발명에서는 전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그만큼 갠트리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장비의 운영이 종래 기술보다 더 용이하게 되며, 주케이블의 손상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의 갠트리에서는, 연결프레임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교축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주케이블 사이의 횡방향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의 경우, 보강형을 인양하여 설치한 후에, 주케이블을 따라 갠트리가 이동할 때, 이동 방향의 전방으로 현수 행어로프가 존재하더라도,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현수 행어로프를 피하여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갠트리를 이용하여 현수교의 보강형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가 현수교의 주케이블 위에 각각 설치되어 보강형을 인양할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갠트리가 보강형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갠트리만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의 이동방향 전방에 현수 행어로프가 존재할 때 이를 피해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10)가 한 쌍을 이루어서, 나란하게 배치된 현수교의 주케이블(100) 위에 각각 설치되고, 보강형(200)을 인양할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갠트리(10)가 보강형(200)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주케이블(100)의 아래에 위치하는 캣워크 부재(500)는 주케이블(100)을 따라 종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지만, 도 2와 도 3에서는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는 각각 본 발명의 갠트리(10)만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와 도 5는 각각 갠트리(10)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풀리 조립체(1)와 행어부재(3) 사이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2의 원 A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확대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갠트리(10)가 보강형(200)을 인양하는 상황에서 풀리 조립체(1)와 행어부재(3) 사이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도록 도 3의 원 B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확대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캣워크 부재(500)의 도시를 생략하고 갠트리(10)만을 상세히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10)는, 두 개의 주케이블(100)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인양로프(110)를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 조립체(1)와, 보강형을 인양할 위치까지 이동할 동안 풀리 조립체(1)를 매달아 놓게 되는 행어부재(3)와, 상기 행어부재(3)가 결합되어 있으며 주케이블(100)에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이동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이동장치(4)부터 상세히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장치(4)는 주케이블(100)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프레임부재(41)와, 상기 프레임부재(41)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100)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는 이동부재(42)와, 상기 프레임부재(4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케이블(100)의 주위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부재(41)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부재(41)의 하부에 이동부재(42)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부재(42)는 바퀴로 이루어져서 주케이블(100)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이동장치(4)는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동부재(42)는 바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43)는 후술하는 것처럼 보강형을 인양할 때 주케이블(100)과 체결되어 이동장치(4)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에서 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케이블(100)과 체결되는 부재인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재(43)는 주케이블(100)의 양측면을 밀착하고 있는 부재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3) 역시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의 클램프 장치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4)에는 행어부재(3)가 결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행어부재(3)는 2개의 횡빔(31, 33)과, 상기 2개의 횡빔(31, 33) 사이를 연결하는 연직빔(32)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개의 횡빔 즉, 상부 횡빔(31)과 하부 횡빔(33)은 간격을 두고 있고, 상기 연직빔(32)은 상부 횡빔(31)과 하부 횡빔(33)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서 연직하게 배치되어 상부 횡빔(31) 및 하부 횡빔(33)과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ㄷ자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상부 횡빔(31)은 상기 이동장치(4)의 프레임부재(41)와 결합되어 있다.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할 때, 주케이블(100)은 경사진 상태가 될 수도 있는데, 비록 주케이블(100)은 경사지더라도 행어부재(3)는 연직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횡빔(31)이 프레임부재(41)에 결합됨에 있어서, 프레임부재(41)에 횡방향으로 결합파이프(45)를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결합파이프(45)에 상부 횡빔(31)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파이프(45) 내에서 상부 횡빔(31)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케이블(100)이 경사진 상태에 있더라도 상부 횡빔(31)이 결합파이프(45)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행어부재(3)는 항상 연직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행어부재(3)는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 즉 풀리 조립체(1)를 보강형 인양 위치로 이동할 때, 풀리 조립체(1)가 임시로 매달리게 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하부 횡빔(33)에는 풀리 조립체(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1)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풀리 조립체(1)는 하부 횡빔(33)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33)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풀리 조립체(1)에는 풀리(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풀리(11)에는 보강형(100)을 인양하는 인양로프(110)가 감겨있다. 풀리 조립체(1)에서 상기 풀리(1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풀리 조립체(1)에는 고리부재(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리부재(13)는 상기 하부 횡빔(33)에 결합되기 위한 부재인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고리부재(13)에는 상기 하부 횡빔(33)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1)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풀리 조립체(1)는 하부 횡빔(33)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3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리부재(13)에 형성된 관통공(130)을 하부 횡빔(33)의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풀리 조립체(1)에는, 주케이블(100)에 결합되어, 인양로프(110)를 통해서 가해지는 인양하중을 주케이블(100)에 직접 전달하는 케이블결속부재(12)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케이블결속부재(12)는 고리부재(13)에 구비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U자형 체결띠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블결속부재(12)는 필요할 때 즉,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주케이블(100)에 결속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결속부재(12)가 U자형 체결띠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U자형 체결띠를 주케이블(100)에 견고하게 감게 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14)는 케이블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속될 때, 주케이블(10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케이블(100)의 표면에 끼워지는 가설밴드(14)이다. 즉, 주케이블(100)에 보호커버(14)가 씌워지고, 케이블결속부재(12)가 상기 가설밴드(14) 위에 놓이게 됨으로써, 주케이블(10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 도면부호 400은 갠트리(10)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윈치 로프(400)이다. 즉, 상기 갠트리(10)의 이동은 구동 윈치 로프(400)가 당겨지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1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10)는 주케이블(100) 위에 설치되어 이동하게 되는데, 앞서 살펴보았듯이, 이동장치(4)의 이동부재(41)가 주케이블(100)의 상면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갠트리(10)가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은 채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풀리 조립체(1)는 단순히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풀리 조립체(1)의 고리부재(13)에 형성된 관통공(130)에 하부 횡빔(33)이 끼워져 있되, 고리부재(13)가 하부 횡빔(33)에 의해 매달린 상태가 된다. 이 때, 케이블결속부재(12)는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아직 케이블결속부재(12)를 고리부재(13)에 장착하지 아니한 상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결속부재(12)는 아직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이고, 하부 횡빔(33)이 관통공(130)에 끼워져서 고리부재(33)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린 상태에서는, 풀리 조립체(1)의 자중 등의 하중은 상기 고리부재(13)를 통해서만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풀리 조립체(1)만이 행어부재(3)에 매달린 채로,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보강형의 인양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주케이블(100)의 아래에는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에 해당하는 캣워크(catwalk) 부재(500)가 위치하고 있다. 도 8은 도 4의 선 C-C에 따른 종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캣워크 부재(500)를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주케이블(100)의 아래에는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에 해당하는 캣워크 부재(500)가 위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행어부재(3)가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하부 횡빔(33)은 캣워크 부재(500)에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결속부재(12)가 아직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갠트리(1)를 인양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하부 횡빔(33)과, 이에 매달린 풀리 조립체(1)는 캣워크 부재(500)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갠트리(1)의 이동이 완료되어 갠트리(1)가 보강형(200)의 인양 위치에 있게 되면, 풀리 조립체(1)에 구비된 케이블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속된다. 비록 캣워크 부재(500)가 존재하지만, 상기 캣워크 부재(500)에는 현수 행어로프(600)와 케이블결속부재(12)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8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6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결속부재(12)가 캣워크 부재(500)를 통과하여 주케이블(100)에 결속되면, 풀리 조립체(1)는 주케이블(100)에 직접 매달린 상태가 되며, 고리부재(13)는 더 이상 하부 횡빔(33)에 매달려 있지 않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리부재(13)에 형성된 관통공(130)이 하부 횡빔(33)의 단면보다 더 크므로, 위와 같이 케이블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어 풀리 조립체(1)가 주케이블(100)에 직접 매달린 상태로 되면, 하부 횡빔(33)은 단순히 관통공(130) 내부에 위치할 뿐이다. 따라서 관통공(130)의 내부면이 하부 횡빔(33)을 가압하여 고리부재(13)로부터의 하중을 하부 횡빔(33)으로 전달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고리부재(13)를 통해서는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으로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케이블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어 풀리 조립체(1)가 주케이블(100)에 직접 매달린 상태에서, 풀리 조립체(1)의 풀리가 회전하여 인양로프(110)를 당겨서 보강형(200)이 인양될 때, 보강형(200) 및 인양로프(110)를 통해서 풀리 조립체(1)에 작용하는 인양하중은 풀리 조립체(1)에 구비된 케이블결속부재(12)에 의해 직접 주케이블(100)에 작용하게 된다. 반면에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하부 횡빔(33)에는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행어부재(3)가 매달려 있는 이동장치(4)에도 인양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그만큼 이동장치(4)의 규모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방법을 통해서 보강형(200)이 인양되면, 현수 행어로프(600)의 하부에 보강형(200)을 매달고,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보강형끼리 연속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보강형(200)의 연속화가 마무리되면, 갠트리(1)는 또다른 인양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보강형(200)이 하단에 설치된 현수 행어로프(600)가 갠트리(1)의 이동 방향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봉착하더라도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갠트리(1)가 전방의 현수 행어로프(600)로 인하여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갠트리(10)의 이동방향 전방에 현수 행어로프(600)가 존재할 때, 이를 피해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점선은 고리부재(13)를 움직이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실선은 고리부재(13)를 횡방향으로 움직인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현수 행어로프(600)가 갠트리(1)의 이동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고리부재(13)에 형성된 관통공(130)에 하부 횡빔(33)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고리부재(13)를 횡방향으로 움직여서 고리부재(13)가 연직빔(32)과 더 가까워지게 하거나 또는 연직빔(32)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종방향으로 바라볼 때 고리부재(13)의 위치가 현수 행어로프(600)와 어긋난 위치에 있게 되며, 따라서 갠트리(1)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현수 행어로프(600)가 고리부재(13)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현수 행어로프(600)가 고리부재(13)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상기한 방법 즉, 고리부재(13)를 하부 횡빔(33)을 따라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방법 이외에도, 상부 횡빔(31)이 결합파이프(45)에 삽입되어 있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즉, 이동장치(1)에 결합파이프(45)가 구비되고 상부 횡빔(31)이 상기 결합파이프(45)에 끼워져 있는 경우, 상부 횡빔(31)을 결합파이프(45)로부터 뽑히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행어부재(3) 전체가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종방향으로 바라볼 때 고리부재(13)의 위치가 현수 행어로프(600)와 어긋난 위치에 있게 되고, 갠트리(1)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현수 행어로프(600)가 고리부재(13)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에서는, 보강형을 인양할 때 연직하게 작용하는 인양하중은, 주케이블(100) 위에 위치한 이동장치(4)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풀리 조립체(1)의 케이블결속부재(12)에 의해 직접 주케이블(100)로 전달된다. 따라서 보강형을 인양하는 동안에는, 주케이블(100) 위에 설치되는 이동장치(4)에 인양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이동장치(4)의 구성을 종래기술보다 현저하게 간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규모도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란한 주케이블(100)에 설치되는 갠트리(10)가 각각의 주케이블(100)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면 충분하며, 한 쌍의 갠트리(10)를 횡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종래의 연결프레임이 본 발명에서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그만큼 갠트리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장비의 운영이 종래 기술보다 더 용이하게 되며, 주케이블의 손상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연결프레임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주케이블이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주케이블 사이의 횡방향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갠트리(1)는 각각의 주케이블(100)에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서로 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강형(200)을 인양하게 된다. 따라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2개의 주케이블(100) 사이의 횡방향 간격이 변화되는 구조를 가지는 현수교의 경우에도 주케이블에 본 발명의 갠트리(1)를 설치하여 보강형(200)을 인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의 경우, 보강형(200)을 인양하여 설치한 후에, 주케이블(100)을 따라 갠트리(1)가 이동할 때, 이동 방향의 전방으로 현수 행어로프(600)가 존재하더라도,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즉, 하부 횡빔(33)에 끼워진 상태의 고리부재(13)를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풀리 조립체(1)가 현수 행어로프(600)를 피할 수 있도록 만들게 되어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한 것처럼 케이블결속부재(12)를 주케이블(100)에 결속하거나 또는 풀어주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별도의 작업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2에는 도 5에 대응되는 갠트리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행어부재(3)와 유사하게 ㄷ자 형태의 빔부재로 이루어진 작업대 걸이부재(9)를 이동장치(4)의 프레임부재(41)에 설치하고, 상기 작업대 걸이부재(9)의 하부 수평바(91)에 작업대(9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업대 걸이부재(9)를 이용한 작업대(92)는 이동장치(4)의 횡방향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장치(4)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작업대 걸이부재(9)를 이용한 작업대(92)를 설치하는 경우, 캣워크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현수 행어로프(600)가 존재하는 곳에서는 캣워크 부재(500)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1: 풀리 조립체
3: 행어부재
4: 이동장치
100: 주케이블

Claims (4)

  1. 현수교에서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현수교의 보강형(200)을 인양하는 갠트리(1)로서,
    보강형(200)의 인양을 위한 인양로프(110)를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 조립체(1)와, 행어부재(3)와, 상기 행어부재(3)가 결합되어 있으며 주케이블(100)에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이동장치(4)를 포함하며;
    상기 행어부재(3)는,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상부 횡빔(3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 횡빔(31)과 하부 횡빔(33), 그리고 상기 상,하부 횡빔(31, 33) 사이를 연결하는 연직빔(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풀리 조립체(1)에는 주케이블(100)에 결합되어, 보강형의 인양하중을 주케이블(100)에 직접 전달하는 케이블결속부재(12)가 구비되어 있고;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1)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케이블 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합되면서 풀리 조립체(1)는 하부 횡빔(33)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33)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조립체(1)에는 고리부재(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재(13)에는 상기 하부 횡빔(33)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관통공(130)은 상기 하부 횡빔(33)의 단면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13)는 상기 관통공(130)에 상기 하부 횡빔(33)이 삽입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하부 횡빔(33)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4)는 프레임부재(41)와, 상기 프레임부재(41)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100)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는 이동부재(42)와, 상기 프레임부재(4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에서 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케이블(100)의 주위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재(41)에는 결합파이프(45)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파이프(45)에 상부 횡빔(31)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파이프(45) 내에서 상부 횡빔(31)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KR1020120132262A 2012-11-21 2012-11-21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KR101405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62A KR101405010B1 (ko) 2012-11-21 2012-11-21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62A KR101405010B1 (ko) 2012-11-21 2012-11-21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124A true KR20140065124A (ko) 2014-05-29
KR101405010B1 KR101405010B1 (ko) 2014-06-10

Family

ID=5089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262A KR101405010B1 (ko) 2012-11-21 2012-11-21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0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0300A (zh) * 2015-05-19 2015-07-22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柔性墩旁架梁平台及其施工方法
KR20160038223A (ko) * 2014-09-30 2016-04-07 현대건설주식회사 현수교 거더의 시공방법 및 현수교 거더의 시공장비
KR102004961B1 (ko) * 2018-04-10 2019-10-01 대림산업 주식회사 탈선 경보 및 탈선 방지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 갠트리
CN110436335A (zh) * 2019-07-30 2019-11-12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缆载吊机安装机构及其使用方法
CN112323648A (zh) * 2020-11-09 2021-02-05 中交二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桥梁施工的节段架设用吊具及其使用方法
CN113582010A (zh) * 2021-07-24 2021-11-02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龙门吊加固结构及加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89B1 (ko) 2016-11-22 2018-07-24 현대건설 주식회사 현수교 보강거더 시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6301A3 (en) * 1996-08-30 1998-12-16 Cito Roderick Calder-Pott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antries
JPH10237821A (ja) * 1997-02-26 1998-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吊橋ケーブルバンドの運搬架設装置
KR100352178B1 (ko) 2000-10-14 2002-09-12 국열 남 휴대용 권양기
KR100560841B1 (ko) 2003-01-13 2006-03-14 조배호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223A (ko) * 2014-09-30 2016-04-07 현대건설주식회사 현수교 거더의 시공방법 및 현수교 거더의 시공장비
CN104790300A (zh) * 2015-05-19 2015-07-22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柔性墩旁架梁平台及其施工方法
KR102004961B1 (ko) * 2018-04-10 2019-10-01 대림산업 주식회사 탈선 경보 및 탈선 방지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 갠트리
CN110436335A (zh) * 2019-07-30 2019-11-12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缆载吊机安装机构及其使用方法
CN112323648A (zh) * 2020-11-09 2021-02-05 中交二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桥梁施工的节段架设用吊具及其使用方法
CN113582010A (zh) * 2021-07-24 2021-11-02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龙门吊加固结构及加固方法
CN113582010B (zh) * 2021-07-24 2022-06-17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龙门吊加固结构及加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010B1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010B1 (ko)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JP5572668B2 (ja) 斜ケーブルの取り替え方法及び斜ケーブル取り替え用仮ハンガー
CN102444086A (zh) 一种桥梁斜拉索挂索系统及桥梁斜拉索挂索方法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CN104695752B (zh) 快速抢修塔系统及其架设方法
JP2006233486A (ja) 横行式作業装置およびこれによる作業方法
US20080308362A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elevator systems
JP2009287312A (ja) 橋梁の架設装置
CN104495632A (zh) 一种扩大型悬索式起重吊装系统
CN105113803A (zh) 一种山区廊道桁架高空滑移吊装装置及其实现方法
CN102659043B (zh) 一种改进的塔式起重机扶墙杆拆卸装置
KR101349298B1 (ko) 현수교 시공용 저중심 독립형 크레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수교의 교량블록 인상방법
CN109137758A (zh) 一种自锚式悬索桥缆索施工工艺
CN101863423B (zh) 一种悬索桥施工用的钢箱梁缆载吊机
JP6098453B2 (ja) ジブ用吊り具
JP2007261720A (ja) 鉄塔昇降機レールの撤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レール撤去方法
WO2015152235A1 (ja)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JP492904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据え付け工法
CN216235734U (zh) 幕墙单元板块垂直运输吊装结构
JP2003180009A (ja) 電線の移線工法
JP6393954B2 (ja) 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製造方法
JPH09240957A (ja) エレベーターの主索案内装置
JP200302017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969281B2 (ja)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分解方法
KR101446587B1 (ko) 선박용 케이블 권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