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841B1 -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841B1
KR100560841B1 KR1020030002180A KR20030002180A KR100560841B1 KR 100560841 B1 KR100560841 B1 KR 100560841B1 KR 1020030002180 A KR1020030002180 A KR 1020030002180A KR 20030002180 A KR20030002180 A KR 20030002180A KR 100560841 B1 KR100560841 B1 KR 10056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nding
bridge
rop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519A (ko
Inventor
조배호
Original Assignee
조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배호 filed Critical 조배호
Priority to KR102003000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841B1/ko
Priority to PCT/KR2004/000042 priority patent/WO2004063469A1/en
Publication of KR2004006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지지체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기 위한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를 잇는 축선과 나란하게 복수의 로프를 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로프에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파지한 블록이동부를 상기 축선 및 상기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의 상부에 상기 로프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제1 및 제2권취부재를 마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록이동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지반 상태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되는 교량이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지라도 용이하게 교량을 축조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 또한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식 교량축조공법{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도 1은 교량축조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을 축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교량축조장치 중 한 쌍의 지지체에 각각 배치된 이송부재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컬럼들의 연결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축조장치에서 로프들이 권취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블록이동부 영역의 확대 및 블록이동부에 포함된 로프들의 권취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블록이동부의 한 쌍의 권취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을 운송하는 트레일러에 대한 도면,
도 8은 제1 및 제2컬럼을 운송하는 트레일러에 대한 도면,
도 9는 제1 및 제2이송부재를 운송하는 트레일러에 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축조공법의 흐름도,
도 11은 종래의 방법으로 교량을 축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 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위교량블럭 3 : 기둥
4 : 보강블럭 5 : 단위축조물
10a,10b : 제1 및 제2지지체 20a,20b : 제1 및 제2이송부재
30a,30b : 제1 및 제2고정프레임 40a,40b : 제1 및 제2컬럼
50a,50b : 제1 및 제2연결부 61 : 메인로프
62 : 좌우이동용 로프 63 : 상하이동용 로프
70a,70b : 블록이동부 78a,78b : 제1 및 제2행거
80a,80b : 제1 및 제2권취부재 81 : 좌우이동용 권취부
82 : 상하이동용 권취부
본 발명은,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 상태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되는 교량이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지라도 용이하게 교량을 축조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 또한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체(110a,110b) 사이에 소정의 교량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장비 및 축조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우선, 복수의 기둥(103)들을 한 쌍의 지지체(110a,110b)를 잇는 축선의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보강블럭(104)을 얹어 하나의 단위축조물(105)을 형성하고, 이 단위축조물(105)을 한 쌍의 지지체(110a,110b)를 잇는 축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로 배치한다.
단위축조물(105)이 한 쌍의 지지체(110a,110b) 사이에 일렬로 배치되면, 한 쌍의 단위축조물(105) 사이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는 단위교량블럭(101)을 한 쌍의 보강블럭(104)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한다.
이 때, 단위교량블럭(101)을 한 쌍의 보강블럭(104) 사이의 상부에 올려놓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크레인(120a,120b)을 이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단위교량블럭(101)은 그 길이 및 중량이 비교적 많이 나가는 중량체이므로 한 쌍의 크레인(120a,120b)을 준비해 두고 각 크레인(120a,120b)에 마련된 인장로프에 단위교량블럭(101)의 양단을 매단 후, 한 쌍의 크레인(120a,120b)을 구동시켜 단위교량블럭(101)이 보강블럭(104)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각 단위축조물(105)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단위교량블럭(101)이 완전히 올려지면, 별도의 후작업을 통해 교량을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에 있어서는, 한 쌍의 지지체 사이의 지반이 강할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지 않으나,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크레인 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에 지반을 다시 다지는 정지작업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공기가 늘어나고 공사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축조되는 교량이 일반 육지가 아니라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 경우, 크레인이 한 쌍의 지지체 사이의 지반으로 위치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이 더더욱 힘들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 상태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되는 교량이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지라도 용이하게 교량을 축조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 또한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및 제2지지체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기 위한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를 잇는 축선과 나란하게 복수의 로프를 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로프에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파지한 블록이동부를 상기 축선 및 상기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의 상부에 상기 로프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제1 및 제2권취부재를 마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록이동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단계를 수행하기 전,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재가 마련된 제1 및 제2이송부재, 제1 및 제2고정프레임, 제1 및 제2컬럼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의 해당하는 위치로 옮겨 놓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컬럼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에 대해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에 대해 세워놓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에 지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의 복수의 로프는, 복수의 메인로프와; 상기 블록이동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용 로프와; 상기 블록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매다는 복수의 행거를 상기 블록이동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용 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1권취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한편 상기 좌우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좌우이동용 권취부와, 상기 상하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상하이동용 권취부를 가지며, 상기 제2권취부재는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로프를 권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지지체 중 우측에 배치된 구성요소와 좌측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설명에서는 "제1", "제2"라는 수식어를 붙이기로 하며, 도면의 참조부호 끝에는 각각 "a", "b"라는 식별부호를 더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교량축조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을 축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축조장치는,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지지체(10a,10b) 사이에 소정의 교량을 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이 이격간격에는 교량을 축조하기 전, 예비적인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의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둥(3)들을 배치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보강블럭(4)을 얹어 하나의 단위축조물(5)을 형성한다. 그리고는, 이 단위축조물(5)을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로 배치한다.
종래와 마찬가지로, 단위축조물(5)의 배치가 완료되면, 단위축조물(5)간의 거리만큼을 갖는 단위교량블럭(1)을 한 쌍의 보강블럭(4) 상부에 연속적으로 배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치 및 공법을 이용하여 단위교량블럭(1)을 한 쌍의 보강블럭(4) 상부에 배치하고 있다.
우선, 개괄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축조공법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83)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권취부재(80a,80b)가 마련된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 제1 및 제2컬럼(40a,40b)을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의 해당하는 위치로 옮겨 놓는다(S10).
그리고,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에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을 고정시킨 후(S20), 제1 및 제2컬럼(40a,40b)이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 대 해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 대해 세워놓은 다음(S30),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를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 지지하여 설치 준비를 한다(S40).
다음,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과 나란하게 복수의 로프(61,62,63)를 배치한 후(S50), 로프(61,62,63) 중 어느 하나(61)에 단위교량블럭(1)을 파지한 블록이동부(70a,70b)를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 및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S60).
그리고는,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의 상부에 로프(61,62,63)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제1 및 제2권취부재(80a,80b)를 마련한 다음(S70), 제1 및 제2권취부재(80a,80b)의 회전에 의해 블록이동부(70a,70b)의 위치를 이동시켜 복수의 단위축조물(5) 상부로 단위교량블럭(1)을 배치한다(S80).
그럼, 이러한 공법을 이용하여 교량을 축조하는 과정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기본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의 상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가 각각 위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는 모두가 제1 및 제2구름이동용 바퀴(21a,21b)들을 가지고 소정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권취부재(80a)는, 제1이송부재(20a)에 마련되는 한편 좌우이동용 로프(62)가 권취된 좌우이동용 권취부(81)와, 상하이동용 로프(63)가 권취된 상하이동용 권취부(82)를 갖는다. 그리고, 도 1 및 도 2b를 참조할 때, 제2권취부재(80b)는 메인로프(61)를 권취한 상태에서 제2이송부재(20b)에 마련된 다.
이 때,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가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의 상부로 위치이동하더라도 단위교량블럭(1)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움직여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에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가 각각 위치한 후에는,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이 설치된다.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은 그 위치별로 볼 때, 제1 및 제2지지부(31a,31b)와, 제1 및 제2지지부(31a,31b)에 대해 수직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보강바아(32a,32b)와, 제1 및 제2보강바아(32a,32b)를 수평방향으로 이어 그 강도를 유지하는 한편 레일타입의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는 각각 제1 및 제2컬럼(40a,40b)이 결합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컬럼(40a,40b)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텔레스코픽 바아식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에 의해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 제1 및 제2컬럼(40a,40b)은 모두가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트레일러(83)에 의해 운반되어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7에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을 이동시키기 위한 트레일러(83)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은 트레일러(83)에 의해 이동된 후,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기준으로 한 세트씩 배치된다.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에 각각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을 배치할 때, 주의할 점은, 추후 본 작업(단위교량블럭(1)을 단위 축조물(5)에 배치하는 작업을 말함)을 할 때 장치의 움직임이 없도록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앵커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8에는 트레일러(83)에 의해 제1 및 제2컬럼(40a,40b)이 운반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에는 트레일러(83)에 의해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가 운반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컬럼(40a,40b)의 상단에는 후술할 복수의 로프들을 제1 및 제2권취부재(80a,80b)로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연결부(50a,50b)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연결부(50a,50b)는, 제1 및 제2컬럼(40a,40b)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본체부(51a,51b)와, 제1 및 제2본체부(51a,51b) 내에 마련되어 복수의 로프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휠(52a~54a,52b~53b)을 가지고 있다.
제1휠(52a~54a)을 다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제1메인휠(52a)과, 제1메인휠(52a)의 하부에 마련된 2개의 제1더미휠(54a)과, 제1더미휠(54a)의 측부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로 나뉘어 있다. 이에 대해 제2휠(52b~53b)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제2메인휠(52b)과, 제2메인휠(52b)의 하부 측면에 마련된 1개의 제2보조휠(53b)로 나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지지체(10a,10b) 사이에는 단위교량블럭(1)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로프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각 로프들은 전술한 제1 및 제2컬럼(40a,40b)의 제1 및 제2연결부(50a,50b)에 의해 제1 및 제2권취부재(80a,80b)에 선택적으로 권취 및 권취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로프를 그 기능별로 보면, 메인로프(61)와,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용 로프(62)와,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용 로프(63)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로프(61)는 여덟 가닥으로 되어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인로프(61)는 그 일단이 제2권취부재(80b)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1휠(52a~54a)에 마련된 6개의 제1메인휠(52a) 중 4개와 제2휠(52b~53b)에 마련된 6개의 제2메인휠(52b) 중 역시 4개를 거쳐 다시 제2권취부재(80b)에 권취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로프(61)는 상하 4가닥씩 총 여덟 가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로프(61)에는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가 결합된다. 제2블록이동부(70b)는 제1블록이동부(70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바, 여기에서는 제1블록이동부(70a)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블록이동부(7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4가닥씩 이루어져 총 8가닥으로 된 메인로프(61)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메인로프(61)를 따라 이동가능한 몸체부(71a)와, 몸체부(71a)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79a)과, 몸체부(71a)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더미부(72a)와, 제1더미부(72a)의 일측에 결합되는 한편 단위교량블럭(1)을 매다는 제1행거(78a)가 결합되는 제2더미부(73a)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더미부(72a,73a) 내에는 대응되는 복수의 권취로울러(76a,75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더미부(72a)에 마련된 권취로울러(76a)의 일측에는 각각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의 구성을 참조하여 좌우이동용 로프(62)의 권취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와 도 4 및 도 5를 참조할 때, 좌우이동용 로프(62)는 도 2a에 도시된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권취된 상태에서 그 노출단이 제1컬럼(40a)의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6개의 제1메인휠(52a)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제2컬럼(40b)에 마련된 제2연결부(50b)로 연장된다.
그리고는, 제2연결부(50b)에 마련된 6개의 제2메인휠(52b) 중 어느 하나에 감긴 후, 제1블록이동부(70a)의 몸체부(71a)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79a)에 고정된 다음, 다시 제2블록이동부(70b)의 몸체부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에 고정된다. 그리고는, 다시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2개의 제1더미휠(54a) 중 어느 하나와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권취된 노출단과 고정된다. 결국,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는 원형상의 폐루프 형상을 이루게 되며,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해, 상하이동용 로프(63)는 도 2a에 도시된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로부터 연장된 후, 제1컬럼(40a)의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나머지 하나와 2개의 제1더미휠(54a)의 나머지 하나를 경유하여 제1블록이동부(70a)로 향한다. 그리고는, 제1블록이동부(70a)에서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복수의 권취로울러(76a,75a)를 통해 여러번 감긴 다음,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 중 나머지를 통해 제2블록이동부(70b)로 향한 다음, 제1블록이동부(70a)와 마찬가지의 권취방법으로 권취된다. 그런 다음, 제2연결부(50b)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에,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가 권취되거나 권취해제되면, 그 일단이 제2연결부(50b)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복수의 권취로울러(76a,75a)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에 대해 단위교량블럭(1)이 매달린 제1 및 제2행거(78a,78b)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처럼,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의해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에 의해 제1 및 제2행거(78a,78b)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을 참조해보면, 단위교량블럭(1)은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제1 및 제2컬럼(40a,40b)을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를 통 해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이에, 트레일러(83)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 제1 및 제2컬럼(40a,40b)을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의 해당하는 위치로 옮겨 놓는다.
그리고는, 별도의 앵커작업을 통해 제1 및 제2지지체(10a,10b)에 각각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을 고정시킨 후, 제1 및 제2컬럼(40a,40b)을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 대해 세워놓는다. 이 때, 제1 및 제2컬럼(40a,40b)은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의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컬럼(40a,40b)이 세워지면, 제1 및 제2이송부재(20a,20b) 역시, 제1 및 제2고정프레임(30a,30b)에 지지되도록 그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메인로프(61)의 일단을 제2권취부재(80b)로부터 연장하여 제1휠(52a~54a)에 마련된 6개의 제1메인휠(52a) 중 4개와 제2휠(52b~53b)에 마련된 6개의 제2메인휠(52b) 중 역시 4개를 거쳐 다시 제2권취부재(80b)에 권취되도록 한다. 그리고는 총 8가닥으로 된 메인로프(61)에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각각 설치한다.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의 설치가 완료되면, 좌우이동용 로프(62)를 매단다. 좌우이동용 로프(63)는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권취된 상태에서 그 노출단을 제1컬럼(40a)의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6개의 제1메인휠(52a)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제2컬럼(40b)에 마련된 제2연결부(50b)로 연장시킨다.
그리고는, 제2연결부(50b)에 마련된 6개의 제2메인휠(52b) 중 어느 하나에 감기도록 한 후, 제1블록이동부(70a)의 몸체부(71a)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79a)에 고정된 다음, 다시 제2블록이동부(70b)의 몸체부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용 클립에 고정시킨다. 다시, 고정된 노출단을 연장하여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2개의 제1더미휠(54a) 중 어느 하나와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에 권취된 최초의 노출단과 고정시켜 폐루프를 형성한다.
상하이동용 로프(63)는 일단을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로부터 연장한 후, 제1컬럼(40a)의 제1연결부(50a)에 마련된 3개의 제1보조휠(53a) 중 나머지 하나와 2개의 제1더미휠(54a)의 나머지 하나를 경유하여 제1블록이동부(70a)로 연장한다.
그리고는, 제1블록이동부(70a)에서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복수의 권취로울러(76a,75a)를 통해 여러번 감은 다음, 상하로프이동용 로울러(74a,77a) 중 나머지를 통해 제2블록이동부(70b)로 연장시킨다. 그런 다음, 제1블록이동부(70a)와 마찬가지의 권취방법으로 권취한 후, 제2연결부(50b)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처럼 메인로프(61)에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를 각각 설치하고,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와 나머지 주변의 구성을 통해 좌우이동용 로프(63)와 상하이동용 로프(63)를 설치 완료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에 제1 및 제2행거(78a,78b)를 설치하고, 제1 및 제2행거(78a,78b)에 단위교량블럭(1)을 매달면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좌우이동용 권취부재(81)와 상하이동용 권취부재(82)를 권취하거나 권취해제하면,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는 좌우방향을 따라 위치이동할 수 있고, 제1 및 제2행거(78a,78b)를 포함한 단위교량블럭(1)은 제1 및 제2블록이동부(70a,70b)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바, 단위교량블럭(1)은 소정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만일, 단위교량블럭(1)을 제1 및 제2지지체(10a,10b)를 잇는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제1 및 제2컬럼(40a,40b)을 제1 및 제2수평바아(33a,33b)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김으로써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위축조물(5)의 상부로부터 단위교량블럭(1)이 얹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반 상태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되는 교량이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지라도 용이하게 교량을 축조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 또한 현격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컬럼(40a,40b)이 텔레스코픽 바아식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 외에 별도의 링크를 구성하여 접이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 상태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조되는 교량이 계곡이나 하천,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역일지라도 용이하게 교량을 축조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 또한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이 제공된다.

Claims (4)

  1. 제1 및 제2지지체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기 위한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를 잇는 축선과 나란하게 복수의 로프를 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로프에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파지한 블록이동부를 상기 축선 및 상기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의 상부에 상기 로프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제1 및 제2권취부재를 마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록이동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단계를 수행하기 전,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재가 마련된 제1 및 제2이송부재, 제1 및 제2고정프레임, 제1 및 제2컬럼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의 해당하는 위치로 옮겨 놓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컬럼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에 대해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에 대해 세워놓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에 지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2. 제1 및 제2지지체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기 위한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를 잇는 축선과 나란하게 복수의 로프를 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로프에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파지한 블록이동부를 상기 축선 및 상기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의 상부에 상기 로프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제1 및 제2권취부재를 마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록이동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권취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한편 상기 좌우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좌우이동용 권취부와, 상기 상하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상하이동용 권취부를 가지며, 상기 제2권취부재는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로프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3. 제1 및 제2지지체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기 위한 이동식 교량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를 잇는 축선과 나란하게 복수의 로프를 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로프에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파지한 블록이동부를 상기 축선 및 상기 축선에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의 상부에 상기 로프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제1 및 제2권취부재를 마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록이동부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단위축조물 상부로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배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에서의 복수의 로프는, 복수의 메인로프와; 상기 블록이동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용 로프와; 상기 블록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교량블럭을 매다는 복수의 행거를 상기 블록이동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용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권취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한편 상기 좌우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좌우이동용 권취부와, 상기 상하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상하이동용 권취부를 가지며, 상기 제2권취부재는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로프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취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한편 상기 좌우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좌우이동용 권취부와, 상기 상하이동용 로프가 권취된 상하이동용 권취부를 가지며, 상기 제2권취부재는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로프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KR1020030002180A 2003-01-13 2003-01-13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KR10056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80A KR100560841B1 (ko) 2003-01-13 2003-01-13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PCT/KR2004/000042 WO2004063469A1 (en) 2003-01-13 2004-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80A KR100560841B1 (ko) 2003-01-13 2003-01-13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519A KR20040064519A (ko) 2004-07-19
KR100560841B1 true KR100560841B1 (ko) 2006-03-14

Family

ID=3735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180A KR100560841B1 (ko) 2003-01-13 2003-01-13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010B1 (ko) 2012-11-21 2014-06-10 대림산업 주식회사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567B1 (ko) 2015-05-19 2016-11-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중량 구조물의 정 위치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010B1 (ko) 2012-11-21 2014-06-10 대림산업 주식회사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519A (ko) 200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44B1 (ko) 구성 섹션의 지지 장치 및 구성 섹션의 건조 방법
CN110799706A (zh) 用于建造建筑物的方法、建筑物和铺设装置
CN109469083B (zh) 基础梁钢筋笼装配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560841B1 (ko) 이동식 교량축조공법
JP2768283B2 (ja) 橋梁の架設方法
CN206784172U (zh) 高架桥防撞墙模板吊装转运机
CN110983978B (zh) 一种拱桥的系杆的安装方法
KR200312109Y1 (ko) 이동식 교량축조장치
KR100627102B1 (ko)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방법
KR20040064518A (ko) 이동식 교량축조장치
JP3142819B2 (ja) 屋根架構の構築方法
JP2008095373A (ja) 移動用足場およびその仮設方法
JPH11147690A (ja) 低空頭鉄筋建込装置
CN110948676A (zh) 预制件钢材张拉装置
WO20040634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JP3200788B2 (ja) 外部養生用被覆体のフレームの設置構造
JP3937974B2 (ja) 機械支持方法
JP3532161B2 (ja) 鉄塔構築機および鉄塔構築方法
JP2903859B2 (ja) ビル建築用仮設梁組装置における柱の補強構造
JPH06185017A (ja) 橋桁架設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4100258A (ja) 走行装置及び走行方法
JP2593621B2 (ja) 鉄筋篭組立・建込装置
JP2020125619A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設置方法
JP2607384B2 (ja) 足場の組立方法及び解体方法
JPH10266134A (ja) 張設ケーブルを利用した橋梁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