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080A -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080A
KR20140065080A KR1020120132143A KR20120132143A KR20140065080A KR 20140065080 A KR20140065080 A KR 20140065080A KR 1020120132143 A KR1020120132143 A KR 1020120132143A KR 20120132143 A KR20120132143 A KR 20120132143A KR 20140065080 A KR20140065080 A KR 20140065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engine clutch
clutch
slave cylind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076B1 (ko
Inventor
김영철
김종현
이학성
이재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0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60W10/023Fluid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42Control of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 B60Y2400/4045Electro-magnetic valves, i.e.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4Hydraul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5Valve bodies; Mounting of hydraulic cont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엔진클러치(4)의 체결 또는 해제 후 모터(11)를 더 이상 구동시키지 않아도 엔진클러치(4)의 체결상태 또는 해제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OPERATING APPARATUS OF ENGINE CLUTCH FOR HYBRID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OF ENGINE CLUTCH FOR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소모없이 엔진클러치의 체결상태 및 해제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한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동력원을 사용해서 구동하는 차량으로,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화석연료를 사용해서 동력을 얻는 엔진과 전기로 구동되는 전기 모터를 함께 구비한 차량을 말한다.
모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가 변속기(2) 측에 장착된 TMED(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 타입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3)과 모터(1) 사이에 엔진클러치(4)가 설치된다.
상기 엔진클러치(4)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라 엔진(3)과 변속기(2) 사이의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켜주는 장치로서, 하이브리드 주행 모드(이하 'HEV 모드'라고 함)로 전환시에는 엔진(3)과 모터(1)를 연결하고, 전기차 주행 모드(이하 'EV 모드'라고 함)로 전환시에는 엔진(3)과 모터(1)의 연결을 차단하게 된다.
일례로, 출발과 저속 주행시에는 엔진(3)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엔진 정지 상태) 모터(1)의 구동력만으로 변속기(2)에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엔진(3)과 변속기(2) 사이의 동력연결은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차량은 EV 모드로 주행을 하게 된다.
하지만, 고속 주행과 가속 및 등판시에는 모터(1)와 엔진(3)이 함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엔진(3)과 변속기(2) 사이의 동력이 전달되어야 하는 바, 이로 인해 하이브리드 차량은 HEV 모드로 주행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엔진클러치(4)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유압의 힘으로 엔진측 디스크와 모터측 디스크가 서로 체결상태 또는 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가 구동하면 스크루(12)가 회전하고, 스크루(12)의 회전에 의해 너트(13)가 직선 이동하며, 너트(13)와 결합된 제1피스톤(14)이 마스터실린더(1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피스톤(14)이 마스터실린더(15)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레이브실린더(16)로 유압이 전달됨에 따라 제2피스톤(17) 및 피스톤로드(18)는 슬레이브실린더(16)로부터 돌출되고, 이 결과 해제상태에 있던 엔진클러치(4)는 체결상태로 전환되어서 엔진(3)과 변속기(2) 사이의 동력을 연결하게 된다.
반대로, 제1피스톤(14)이 마스터실린더(15)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슬레이브실린더(16)로부터 유압이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체결상태에 있던 엔진클러치(4)는 도 2와 같은 해제상태로 전환되고, 이로 인해 엔진(3)과 변속기(2) 사이는 동력연결이 해제된다.
도 2에서 도면번호 19는 마스터실린더(15)와 슬레이브실린더(16)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엔진클러치 작동장치는 엔진클러치(4)의 체결상태 또는 해제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모터(11)는 상시 구동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 바, 이로 인해 모터(11)의 내구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고, 동력손실로 인해 연비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즉, 엔진클러치(4)가 노말 오픈(normal open) 상태이면 체결상태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 유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모터(11)는 계속 구동해야 하고, 엔진클러치(4)가 노말 클로즈(normal close) 상태이면 해제상태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 모터(11)는 계속 구동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84456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엔진클러치의 체결상태 및 해제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동력손실을 줄여서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는, 마스터실린더와 슬레이브실린더를 연결하는 유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를 연결하는 오리피스가 내부에 구비된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내에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어서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볼밸브; 및 상기 볼밸브를 작동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하우징에는 상기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유로가 연결되는 제1포트 및 상기 슬레이브실린더쪽으로 유로가 연결되는 제2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2포트사이에 상기 오리피스가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방법은, 시동 온(ON) 후 HEV 모드 또는 EV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판단단계;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HEV 모드로 판단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볼밸브의 작동으로 마스터실린더와 슬레이브실린더를 연결하는 유로의 오리피스를 개방시키는 유로개방단계; 상기 오리피스 개방 후 모터 구동으로 마스터실린더의 압력을 발생시키고 슬레이브실린더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엔진클러치를 체결시키는 클러치체결단계; 상기 엔진클러치 체결 후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볼밸브의 작동으로 개방된 오리피스를 밀폐시켜서 상승된 슬레이브실린더의 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엔진클러치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클러치체결유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체결유지단계에서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EV 모드로 판단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볼밸브의 작동으로 마스터실린더와 슬레이브실린더를 연결하는 유로의 오리피스를 개방시키는 유로개방단계; 상기 오리피스 개방 후 모터 구동으로 마스터실린더의 압력을 해제시키고 슬레이브실린더의 압력을 하강시켜서 엔진클러치를 해제시키는 클러치해제단계; 상기 엔진클러치 해제 후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볼밸브의 작동으로 개방된 오리피스를 밀폐시켜서 하강된 슬레이브실린더의 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엔진클러치의 해제상태를 유지하는 클러치해제유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해제유지단계에서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클러치 체결 또는 해제 후 모터를 더 이상 구동시키지 않아도 엔진클러치의 체결상태 또는 해제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없앨 수 있게 되고, 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TMED 타입 하이브리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은 볼밸브가 오리피스를 밀폐시키고 있는 상태의 도면, 도 4는 볼밸브가 오리피스를 갸방시키고 있는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모터가 변속기 측에 장착된 TMED 타입의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엔진클러치 작동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실린더(15)와 슬레이브실린더(16)를 연결하는 유로(19)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19)를 연결하는 오리피스(21)가 내부에 구비된 밸브하우징(20); 상기 밸브하우징(20)내에 스프링(31)을 매개로 설치되어서 상기 오리피스(21)를 개폐시키는 볼밸브(30); 및 상기 볼밸브(30)를 작동시키는 플런저(41)를 구비한 솔레노이드(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하우징(20)에는 상기 마스터실린더(15)쪽으로 유로(19)가 연결되는 제1포트(22) 및 상기 슬레이브실린더(16)쪽으로 유로(19)가 연결되는 제2포트(23)가 구비되는 바, 상기 오리피스(21)는 상기 제1,2포트(22,23)사이에 위치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도 3은 볼밸브(30)가 오리피스(21)를 밀폐시키고 있는 상황으로, 솔레노이드(40)로 전원이 차단되면 볼밸브(30)가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해서 오리피스(21)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밸브(30)에 의해 오리피스(21)가 밀폐되면 마스터실린더(15)와 슬레이브실린더(16)간 유체이동이 차단되며, 이로 인해 슬레이브실린더(16)는 일정상태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볼밸브(30)가 오리피스(21)를 개방시키고 있는 상황으로, 솔레노이드(40)로 전원이 인가되면 플런저(41)가 작동해서 볼밸브(30)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볼밸브(30)는 스프링(31)의 힘을 이기면서 제1포트(22)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오리피스(21)를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오리피스(21)가 개방되면 마스터실린더(15)와 슬레이브실린더(16)간 유체이동이 자유로워지고, 이로 인해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은 상승 또는 하강이 되도록 조절이 된다.
한편, 마스터실린더(15)의 내부에는 제1피스톤(14)이 직선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제1피스톤(14)은 너트(13)와 결합되며, 상기 너트(13)는 모터(1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스크루(12)와 나사 체결되어서, 상기 스크루(12)가 회전하면 너트(13)가 스크루(12)를 따라 이동하고, 이로 인해 제1피스톤(14)이 마스터실린더(15)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15)의 압력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슬레이브실린더(16)의 내부에는 제2피스톤(17)이 직선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제2피스톤(17)은 피스톤로드(18)를 통해 엔진클러치(4)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이 상승하면 피스톤로드(18)가 슬레이브실린더(16)로부터 돌출 이동함에 따라 엔진클러치(4)가 체결되고, 반대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이 하승하면 피스톤로드(18)가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이동을 함에 따라 엔진클러치(4)는 해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온(ON) 후 HEV 모드 또는 EV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판단단계;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HEV 모드로 판단시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볼밸브(30)의 작동으로 마스터실린더(15)와 슬레이브실린더(16)를 연결하는 유로(19)의 오리피스(21)를 개방시키는 유로개방단계; 상기 오리피스(21) 개방 후 모터(11) 구동으로 마스터실린더(15)의 압력을 발생시키고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엔진클러치(4)를 체결시키는 클러치체결단계; 상기 엔진클러치(4) 체결 후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볼밸브(21)의 작동으로 개방된 오리피스(21)를 밀폐시켜서 상승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엔진클러치(3)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클러치체결유지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EV 모드로 판단시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볼밸브(30)의 작동으로 마스터실린더(15)와 슬레이브실린더(16)를 연결하는 유로(19)의 오리피스(21)를 개방시키는 유로개방단계; 상기 오리피스(21) 개방 후 모터(11) 구동으로 마스터실린더(15)의 압력을 해제시키고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을 하강시켜서 엔진클러치(4)를 해제시키는 클러치해제단계; 상기 엔진클러치(4) 해제 후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볼밸브(30)의 작동으로 개방된 오리피스(21)를 밀폐시켜서 하강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엔진클러치(4)의 해제상태를 유지하는 클러치해제유지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체결유지단계와 상기 클러치해제유지단계에서는 상기 모터(11)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면 하이브리드 제어기(HCU)는 주행모드가 HEV 모드(하이브리드 주행 모드)인지 또는 EV 모드(전기차 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
먼저, HEV 모드로 판단되면 솔레노이드(40)로 전원이 인가되고(단계 S11), 플런저(41)는 도 3의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며, 볼밸브(30)도 함께 이동해서 도 4와 같이 밸브하우징(20)의 오리피스(21)는 개방상태가 된다.(단계 S12)
상기와 같이 오리피스(21)가 개방되면 모터제어기(MCU)의 제어에 의해 엔진클러치 작동용 모터(11)가 구동하게 되고(단계 S13), 모터(11)의 구동으로 너트(13)와 제1피스톤(14)은 도 3의 도시상태에서 마스터실린더(15)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마스터실린더(15)의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단계 S14)
상승된 마스터실린더(15)의 압력은 개방된 오리피스(21)를 통해 슬레이브실린더(16)로 전달되어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단계 S15), 상승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에 의해 엔진클러치(4)는 해제상태에서 체결상태로 전환된다.(단계 S16)
그리고, 엔진클러치(4)가 체결되고 나면 솔레노이드(4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고(단계 S17), 도 4와 같이 오리피스(21)를 개방시키고 있던 볼밸브(30)는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해서 도 3과 같이 오리피스(21)를 밀폐시키게 되며(단계 S18), 동시에 모터(11)는 구동이 종료된다.(단계 S19)
상기와 같이 엔진클러치(4)가 체결되고 난 후 볼밸브(30)에 의해 오리피스(21)가 밀폐되면, 모터(11)가 종료되더라도 상승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은 그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엔진클러치(3)는 체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클러치(4) 체결 후에는 모터(11)를 더 이상 구동시키지 않는 구성이므로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없앨 수 있게 되고, 또한 모터(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이 온(ON) 후 주행모드가 EV 모드로 판단되면 솔레노이드(40)로 전원이 인가되고(단계 S31), 플런저(41)는 도 3의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며, 볼밸브(30)도 함께 이동해서 도 4와 같이 밸브하우징(20)의 오리피스(21)는 개방상태가 된다.(단계 S32)
상기와 같이 오리피스(21)가 개방되면 모터제어기(MCU)의 제어에 의해 엔진클러치 작동용 모터(11)가 구동하게 되고(단계 S33), 모터(11)의 구동으로 너트(13)와 제1피스톤(14)은 도 3의 도시상태에서 마스터실린더(15)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마스터실린더(15)의 압력은 하강하게 된다.(단계 S34)
마스터실린더(15)의 압력이 하강하면 개방된 오리피스(21)를 통해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도 하강하게 되며(단계 S35), 하강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에 의해 엔진클러치(4)는 체결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된다.(단계 S36)
그리고, 엔진클러치(4)가 해제되고 나면 솔레노이드(4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고(단계 S37), 도 4와 같이 오리피스(21)를 개방시키고 있던 볼밸브(30)는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해서 도 3과 같이 오리피스(21)를 밀폐시키게 되며(단계 S38), 동시에 모터(11)는 구동이 종료된다.(단계 S39)
상기와 같이 엔진클러치(4)가 해제되고 난 후 볼밸브(30)에 의해 오리피스(21)가 밀폐되면, 모터(11)가 종료되더라도 하강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은 그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엔진클러치(3)는 해제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클러치(4) 해제 후에는 모터(11)를 더 이상 구동시키지 않는 구성이므로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없앨 수 있게 되고, 또한 모터(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5 - 마스터실린더 16 - 슬레이브실린더
19 - 유로 20 - 밸브하우징
21 - 오리피스 22 - 제1포트
23 - 제2포트 30 - 볼밸브
31 - 스프링 40 - 솔레노이드
41 - 플런저

Claims (6)

  1. 마스터실린더(15)와 슬레이브실린더(16)를 연결하는 유로(19)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19)를 연결하는 오리피스(21)가 내부에 구비된 밸브하우징(20);
    상기 밸브하우징(20)내에 스프링(31)을 매개로 설치되어서 상기 오리피스(21)를 개폐시키는 볼밸브(30); 및
    상기 볼밸브(30)를 작동시키는 플런저(41)를 구비한 솔레노이드(40);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20)에는 상기 마스터실린더(15)쪽으로 유로(19)가 연결되는 제1포트(22) 및 상기 슬레이브실린더(16)쪽으로 유로(19)가 연결되는 제2포트(23)가 구비되고;
    상기 제1,2포트(22,23)사이에 상기 오리피스(21)가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3. 시동 온(ON) 후 HEV 모드 또는 EV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판단단계;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HEV 모드로 판단시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볼밸브(30)의 작동으로 마스터실린더(15)와 슬레이브실린더(16)를 연결하는 유로(19)의 오리피스(21)를 개방시키는 유로개방단계;
    상기 오리피스(21) 개방 후 모터(11) 구동으로 마스터실린더(15)의 압력을 발생시키고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엔진클러치(4)를 체결시키는 클러치체결단계;
    상기 엔진클러치(4) 체결 후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볼밸브(30)의 작동으로 개방된 오리피스(21)를 밀폐시켜서 상승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엔진클러치(4)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클러치체결유지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체결유지단계에서는 상기 모터(11)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드판단단계에서 EV 모드로 판단시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볼밸브(30)의 작동으로 마스터실린더(15)와 슬레이브실린더(16)를 연결하는 유로(19)의 오리피스(21)를 개방시키는 유로개방단계;
    상기 오리피스(21) 개방 후 모터(11) 구동으로 마스터실린더(15)의 압력을 해제시키고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을 하강시켜서 엔진클러치(4)를 해제시키는 클러치해제단계;
    상기 엔진클러치(4) 해제 후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볼밸브(30)의 작동으로 개방된 오리피스(21)를 밀폐시켜서 하강된 슬레이브실린더(16)의 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엔진클러치(4)의 해제상태를 유지하는 클러치해제유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해제유지단계에서는 상기 모터(11)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KR1020120132143A 2012-11-21 2012-11-21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KR10179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143A KR101795076B1 (ko) 2012-11-21 2012-11-21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143A KR101795076B1 (ko) 2012-11-21 2012-11-21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080A true KR20140065080A (ko) 2014-05-29
KR101795076B1 KR101795076B1 (ko) 2017-11-07

Family

ID=5089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143A KR101795076B1 (ko) 2012-11-21 2012-11-21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4546B2 (en) 2016-08-22 2019-11-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failure of engine clutc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872A (ko) 2007-08-03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클러치 제어기 페일시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림프 홈주행 방법 및 림프 홈 주행을 위한 엔진클러치 제어용유압장치
JP5195125B2 (ja) 2008-07-30 2013-05-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4546B2 (en) 2016-08-22 2019-11-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failure of engine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076B1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4891B (zh) 主控制器控制的车辆选挡自动行车系统
CN101490435B (zh) 离合器系统
CN2906199Y (zh) 一种串联式混合动力辅助动力单元用自动离合器
CN102937150B (zh) 混合动力汽车限力矩离合器液压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3423334B (zh) 电动液压的离合器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126811A (zh) 一种混合动力车辆的发动机起动控制系统、方法及车辆
CN106062436A (zh) 车辆用驻车锁定装置
US20080194382A1 (en) Motor Vehicle Driving Train and Process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Engine Clutch
CN103382974A (zh) 一种cvt轿车限力矩离合器液压系统及其控制方法
CN101943227A (zh) 一种双离合器操纵系统及其分离接合控制方法
CN107438530B (zh) 用于运行机动车的动力传动设备的方法以及相应的动力传动设备
CN100425467C (zh) 一种车用发动机与发电机的离合方法及装置
KR10179507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클러치 작동방법
CN104704265A (zh) 车辆的液压控制装置
KR102406173B1 (ko) 엔진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JP5845302B2 (ja) 自動車の自動化された変速機の油圧操作式クラッチおよび自動車の自動化された変速機の油圧操作式クラッチのための方法
KR101515008B1 (ko)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CN102678341A (zh) 一种进气制动器
KR102199865B1 (ko) 아이에스지용 유압제어장치
CN101408258A (zh) 一种燃气自闭阀
CN205260114U (zh) 一种控制机油喷嘴的电磁阀
CN104276161A (zh) 一种离合器位置传感器失效后的控制方法及系统
CN107208719B (zh) 用于保护尤其用于车辆的静液压的离合器执行器的方法
CN213270780U (zh) 真空泵转子与驱动轴的连接结构、汽车制动系统和车辆
CN211901378U (zh) 一种电子气动离合执行机构及电子气动离合执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