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015A -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및 이를 사용하는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및 이를 사용하는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5015A KR20140065015A KR1020147011548A KR20147011548A KR20140065015A KR 20140065015 A KR20140065015 A KR 20140065015A KR 1020147011548 A KR1020147011548 A KR 1020147011548A KR 20147011548 A KR20147011548 A KR 20147011548A KR 20140065015 A KR20140065015 A KR 201400650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holes
- blocks
- casing
- positio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21—Attachment or sealing of modular units to each 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32—Modular valves
- F15B13/0842—Monoblock type valves, e.g. with multiple valve spools in a common hou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각 블록의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 방향을 틀리지 않고 규정대로 조립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스풀 밸브(13)가 설치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제1~제3의 각 블록(14~16)에 형성된 복수의 각 관통 구멍(1,A~E,A~F) 및 암나사 구멍(20)에 볼트(19)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러한 각 블록(14~16)을, 미리 규정된 방향에 맞춰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11)에 있어서, 각 볼트(19)가 삽입 통과하는 복수 세트의 각 관통 구멍(1,A~E) 등 및 암나사 구멍(20) 중 1 세트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1) 및 암나사 구멍(20)을 위치 결정 구멍으로서 정하고, 해당 위치 결정 구멍(1,20)은, 각 블록(15,16)의 서로 접촉하는 분할면(17c,17d)의 대각선(24)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위치 결정 구멍(1) 이외의 관통 구멍(A~E) 및 암나사 구멍(20)은, 블록(16)의 중심선(26) 등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1)과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 제어 기기가 설치되는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casing) 및 이를 사용하는 멀티 컨트롤(multi-control)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일예로서, 도 7에 도시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51)는, 복수의 제어 밸브(5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제어 밸브(52)를 작동시킴으로써 유압 펌프에서 복수의 각 유압 액추에이터(actuator)로 흐르는 작동 유체의 방향을 전환하여 각 유압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유압 펌프 및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shovel)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51)는, 제1 밸브 블록(53)과, 제2 밸브 블록(54)과, 합류 블록(55)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1 밸브 블록(53)과 제2 밸브 블록(54) 사이에 합류 블록(55)을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밸브 블록(53)은, 복수개의 볼트(56)로 합류 블록(55)의 일측 이음면에 체결되고, 제2 밸브 블록(54)은, 복수개의 볼트(56)로 합류 블록(55)의 타측 이음면에 체결되어 있다.
아울러, 제1 밸브 블록(53)은, 제1 본체 블록(53a)과 제1 옵션 블록(53b)을 갖고 있으며, 제2 밸브 블록(54)은, 제2 본체 블록(54a)과 제2 옵션 블록(54b)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본체 블록(53a), 제1 옵션 블록(53b), 제2 본체 블록(54a) 및 제2 옵션 블록(54b)에는, 볼트(56)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57)이 형성되고, 합류 블록(55)에는, 볼트(56)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암나사 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51)에서는, 제1 본체 블록(53a), 제1 옵션 블록(53b), 제2 본체 블록(54a), 제2 옵션 블록(54b), 및 합류 블록(55)은, 각각의 외형이 직육면체이며, 각 블록(53,54,55)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이 반대로 된 상태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 블록(53,54,55)이,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이 반대로 된 상태로 조립되어 버리면, 각 블록을 연통하는 압력 유체의 통로가 규정대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가 있고, 그 경우는, 조립 작업의 재작업을 할 필요가 있으며, 각 블록(53,54,55)이 규정대로 조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사를 위한 노력과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각 블록의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 방향을 틀리지 않고 규정대로 조립할 수 있는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및 이를 사용하는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은, 다각 기둥 모양의 복수의 각 블록의 분할면에 형성된 복수 세트의 각 체결 구멍에 복수의 각 체결구를 삽입 통과시고 이러한 복수의 상기 각 블록들을 미리 규정된 방향에 맞추어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체결구가 삽입 통과하는 2개 이상의 블록 사이에서의 복수 세트의 각 체결 구멍 중 1 이상의 세트를 구성하는 체결 구멍을 위치 결정 구멍으로서 정하고, 해당 1 세트를 구성하는 위치 결정 구멍은, 상기 분할면의 대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은, 상기 블록의 상기 분할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해당 분할면 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위치 결정 구멍 이외의 상기 체결 구멍과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에 의하면, 작업자는, 복수의 블록을 미리 규정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틀리지 않고 조립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조립하려고 하는 복수의 블록 중 1개의 블록의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 방향 중 하나라도 규정과 다른 방향으로 늘어놓은 상태로 조립하려고 하여도 1 이상의 세트를 구성하는 각 위치 결정 구멍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규정과 다른 방향으로 결합된 블록의 위치 결정 구멍에 체결구를 삽입 통과시킬 수 없어 이러한 복수의 블록을 조립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록의 방향이 틀려 있는 상태로 조립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은, 1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각 위치 결정 구멍을, 블록의 분할면의 대각선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하고 있고, 또한 위치 결정 구멍 이외의 체결 구멍을, 블록의 분할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과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블록은, 사각 기둥 모양이고,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은, 상기 사각 기둥 모양의 각 블록의 1개의 모서리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구멍 이외 상기 체결 구멍은, 상기 사각 기둥 모양의 각 블록의 나머지 3개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각 블록을 사각 기둥 모양으로 하면, 블록의 제조가 간단하고, 각 블록을 작업대에 올려놓고 조립할 때에, 각 블록을 안정된 상태에서 기립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그리고 완성된 케이싱의 외관도 사각 기둥 모양이 되어 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 아울러, 위치 결정 구멍이 대각선 상에서 벗어나 있는지의 확인이 쉬워지기 때문에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축선과 평행한 복수의 능선 중 1개의 능선을, 곡면부 또는 평면부로 형성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블록을 조립할 때에, 작업자는, 각 블록의 소정의 능선에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 또는 평면부가 일치하도록 각 블록을 중첩시킴으로써 각 블록을 규정대로의 방향으로 정렬시키는데 도움이 되어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블록은, 일단측에 위치하는 제1 블록, 중간에 위치하는 제2 블록, 타단측에 위치하는 제3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체결하는 1 세트 이상의 위치 결정 구멍과,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제3 블록을 체결하는 1 세트 이상의 위치 결정 구멍이, 상기 제2 블록의 2개의 각 분할면 상에 있어서 동축 상에 위치하지 않게 형성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제1 블록과 제3 블록의 설치 위치를 오인하여 각 블록을 조립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므로 규정대로의 조립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을 가지며, 상기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내에 복수의 스풀 밸브(spool valv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에서는, 블록 사이에서 연통하는 압력 유체의 통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각 블록의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 방향을 규정대로 해서 조립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유체 제어용 케이싱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확실하게 충족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및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에 따르면, 블록의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 중 어느 하나가 규정대로 되어 있지 않고 잘못되어 있을 때는, 복수의 블록을 조립할 수 없고, 각각의 블록의 각 방향이 모두 규정대로 되어 있을 때에 조립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초보자라도 각각의 블록의 각 방향을 틀리지 않고 규정대로 해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된 케이싱은, 각각의 블록의 각 방향이 모두 규정대로 된 상태로 조립된 것이며, 조립 작업의 재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케이싱이 규정대로 조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사를 위한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제3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규정 방향으로 된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블록을 세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의 (c)는 도 5의 (a)의 블록을 가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의 (d)는 도 5의 (a)의 블록을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규정 방향으로 된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블록을 세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의 (c)는 도 6의 (a)의 블록을 가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의 (d)는 도 6의 (a)의 블록을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제3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규정 방향으로 된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블록을 세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의 (c)는 도 5의 (a)의 블록을 가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의 (d)는 도 5의 (a)의 블록을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규정 방향으로 된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블록을 세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의 (c)는 도 6의 (a)의 블록을 가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의 (d)는 도 6의 (a)의 블록을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이하, 간단히 "케이싱"이라고 한다)(12)과, 복수의, 예를 들면 10개의 스풀 밸브(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스풀 밸브(13)를 작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2대의 유압 펌프(미도시)로부터 복수의 각 유압 액추에이터(미도시)로 흐르는 작동 유체의 방향을 전환하여 각 유압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유압 펌프 및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shovel)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케이싱(1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14)과, 제2 블록(15)과, 제3 블록(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1 ~ 제3 블록(14,15,16)은, 미리 규정된 방향에 맞춰 도 1의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중첩되어 있다. 이 미리 규정된 방향이라 함은, 각 블록(14,15,16)의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이다.
그리고 제1 ~ 제3 블록(14,15,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두께가 다르지만, 외주면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사각 기둥 모양의 것이고, 따라서 케이싱(12)은, 외형이 사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블록(14,15,16)의 각각의 분할면(이음면)(17a~17d)은, 길이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제1 ~ 제3 블록(14,15,16)이 중첩하여 연결되는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또한, 케이싱(12)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는 4개의 능선(모서리부) 중 상측의 한쪽 능선은, 단면 형상이 원호 모양인 곡면부(18)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의 한쪽 능선은, 단면 형상이 직선 모양인 평면부(18)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14)은, 동일한 호징 직경 및 길이의 6개 볼트(19)(체결구)로 제2 블록(15)의 일측 분할면(17b)에 체결되고, 제3 블록(16)은, 동일한 호칭 직경 및 길이의 6개 볼트(체결구)(19)로 제2 블록(15)의 타측 분할면(17c)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제1,3 블록(14,16)에는, 볼트(19)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체결 구멍)(1,A~E,A~F)이 각각 6개씩 형성되고, 제2 블록(15)의 2개의 각 분할면(17b,17c)에는, 볼트(19)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암나사 구멍(체결 구멍)(20)이 6개씩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3 블록(15,16)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1,A~E) 및 암나사 구멍(체결 구멍)(20)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관통 구멍(1,A~E) 및 암나사 구멍(20)을,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2,3 블록(15,16)을, 미리 규정된 방향에 맞게 중첩시킨 상태에서만 이 2개의 제2,3 블록(15,16)을 서로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블록(16)의 측면(22)에 직사각형 선도(21)를 그리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측면(22)은, 제3 블록(16)의 분할면(17d)과 평행하는 평면이며, 이 분할면(17d)과 동일하게 표현되므로 이하, 측면(22)을 분할면(22)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직사각형의 선도(21)의 상변(21a), 하변(21b), 좌변(21c), 및 우변(21d)은, 해당 분할면(22)의 상변(22a), 하변(22b), 좌변(22c) 및 우변(22d)에 대하여 각각 평행하고 있다. 그리고 직사각형 선도(21)의 상변(21a)과 분할면(22)의 상변(22a)의 간격이 W1이고,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선도(21)의 하변(21b)과 분할면(22)의 하변(22b)의 간격이 W1이다 . 또한, 직사각형 선도(21)의 좌변(21c)과 분할면(22)의 좌변(22c)의 간격이 W1이고,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선도(21)의 우변(21d)과 분할면(22)의 우변(22d)의 간격이 W1이다.
그리고 이 직사각형 선도(21)의 좌상 모서리부, 우상 모서리부, 우하 모서리부, 상변의 중심 위치, 및 하변의 중심 위치에 각각 관통 구멍(A,B,C,D,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사각형 선도(21)의 좌변(21c) 상에 있어서, 좌하 모서리부(23)로부터 S1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부 위치에 관통 구멍(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이 위치 결정 구멍이다.
이 위치 결정 구멍(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선도(21)의 좌하 모서리부(23)를 통과하는 대각선(24)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구멍(1) 이외의 5개 관통 구멍(A~E)은, 제3 블록(16)의 분할면(22)의 중심(25)을 통과하는 세로 중심선(26), 가로 중심선(27), 및 대각선(28)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1)과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제2 블록(15)의 타측 분할면(17c)(제3 블록(16)이 체결되는 면)에는, 제3 블록(16)에 형성된 총 6개의 각 관통 구멍(1,A~E)과 대응하며 각각과 동일한 위치에 총 6개의 암나사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 블록(16)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1)에 삽입 통과된 볼트(19)가 나사 결합하는 제2 블록(15)의 분할면(17c)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20)은, 위치 결정 구멍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제1 블록(14)에도 총 6개의 관통 구멍(A~F)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제1 블록(14)에 형성된 6개의 관통 구멍(A~F)이 형성된 위치와, 제3 블록(16)에 형성된 6개의 관통 구멍(1,A~E)이 형성된 위치가 서로 다른 점은, 제3 블록(16)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선도(21)의 좌하 모서리부(23)에서 S1의 간격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 구멍(관통 구멍)(1)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제1 블록(14)에서는 직사각형의 좌하 모서리부(23)에 관통 구멍(F)이 형성되어 있고, 위치 결정 구멍(1)은 형성되지 않은 점이다. 이외의 5개의 관통 구멍(A~E)은, 제3 블록(16)에 형성되어 있는 5개의 관통 구멍(A~E)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제2 블록(15)의 일측 분할면(제1 블록(14)이 체결되는 면)(17b)에는, 제1 블록(14)에 형성된 총 6개의 각 관통 구멍(A~F)의 각각과 동일한 위치에 총 6개의 암나사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블록(14)의 관통 구멍(A~F)으로 통과시킨 볼트를, 제2 블록(15)의 각 암나사 구멍(20)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도 3에서는 제1 블록(14) 및 제2 블록(15)의 분할면(17b)에는, 위치 결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는 않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할면(17b)에도 위치 결정 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스풀 밸브(13)는, 예를 들면 센터 오픈(center open)형 방향 전환 밸브로서, 주직(走直)용 스풀 밸브(13), 우측 주행용 스풀 밸브(13), 제1 붐(boom)용 스풀 밸브(13), 버킷(bucket)용 스풀 밸브(13), 및 제2 암(arm)용 스풀 밸브(13) 등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각 밸브(13)는, 2대의 각각의 유압 펌프에 대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시리즈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밸브(13)는, 예를 들어 우측 주행 모터, 붐 실린더, 버킷 실린더, 및 암 실린더 등에 각각 연결된다. 이 제1 및 제2 시리즈 회로에서는, 각 스풀 밸브(13)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는, 각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유가 2개의 각 센터 바이패스(center bypass) 통로를 통해 탱크(tank)로 리턴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2개의 센터 바이패스 통로는 제1~제3 블록(14,15,16)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제1~제3 블록(14,15,16)의 각각의 분할면(17a~17d)은 씰(seal) 부재로 강력하게 밀봉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1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11)에 따르면, 작업자는, 제1~제3 블록(14,15,16)을 미리 규정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틀리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조립하려고 하는 제2,3 블록(15,16)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의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 방향 중 하나라도 규정과 다른 방향으로 늘어놓은 상태에서 조립하려고 해도 볼트(19)를 그 규정과는 다른 방향으로 되어 있는 블록의 위치 결정 구멍(1)에 삽입 통과시켜 체결할 수 없어, 제2,3 블록(15,16)들을 조립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록(15 또는 16)의 방향이 잘못된 상태에서 조립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은, 1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각 위치 결정 구멍(1,20)을, 각 블록(15,16)의 분할면(17c,17d)의 대각선(24)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하고 있고, 또한 위치 결정 구멍(1,20) 이외의 관통 구멍(A~E) 및 암나사 구멍(20)을, 각 블록의 분할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세로 중심선(26), 가로 중심선(27) 및 대각선(28)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과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블록(14) 및 제2 블록(15)의 분할면(17b)에는, 위치 결정 구멍(1,20)을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제1 블록(14)의 1개의 능선에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18)를, 제2 블록(15)에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18)에 일치시키도록 제1 블록(14)을 중첩시킴으로써 제1 블록(14)을 규정대로의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로써 초보자라도 각각의 블록(14,15,16)의 각 방향을 틀리지 않고 규정대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된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11)는, 각각의 블록(14,15,16)의 각 방향이 모두 규정대로 된 상태로 조립된 것이며, 조립 작업의 재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해당 밸브 장치(11)가 규정대로 조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사를 위한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제1 블록(14) 및 제2 블록(15)의 분할면(17b)에도 제3 블록(16) 및 제2 블록(15)의 분할면(17c)의 각각에 형성한 위치 결정 구멍(1,20)과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체결하는 1 세트 이상의 위치 결정 구멍과, 제2 블록과 제3 블록을 체결하는 1 세트 이상의 위치 결정 구멍이, 제2 블록의 2개의 각 분할면(17b,17c) 상에서 동축 상에 위치하지 않게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블록(14)을 규정과 다른 방향으로 늘어놓은 상태로 조립하려도 해도, 볼트(19)를 그 규정과는 다른 방향이 되어 있는 제1 블록(14)의 위치 결정 구멍에 삽입 통과하여 체결할 수 없게 할 수 있어, 반드시 제1 블록(14)을 규정대로의 방향으로 하여야만 틀리지 않고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1 블록과 제3 블록의 설치 위치를 오인하여 각 블록을 조립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므로 규정대로 조립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3의 각 블록(14~16)을 사각 기둥 모양으로 함으로써 블록(14~16)의 제조가 간단하고, 각 블록(14~16)을 작업대에 올려놓고 조립할 때에, 각 블록(14~16)을 안정된 상태로 기립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그리고 완성된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11)의 외관도 사각형 기둥 모양이 되어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세트의 위치 결정 구멍(관통 구멍(1) 및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20))을 형성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위치 결정 구멍의 가공이 쉽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모양의 케이싱(12)에는, 그 축선과 평행하는 4개의 능선 중 1개의 능선을 곡면부(18)로 형성함으로써 제1~제3 블록(14~16)을 조립할 때에, 작업자는, 각 블록(14~16)의 소정의 능선에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18)들이 일치하도록 각 블록(14~16)을 중첩시킴으로써, 각 블록(14~16)을 규정대로의 방향으로 정렬시키는데 도움이 되어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11)에 따르면, 제1~제3의 각 블록(14~16)에는, 스풀 밸브(13)가 설치되고, 각 블록(14~16) 사이에서 연통하는 센터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블록(14~16)의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 방향을 규정대로 해서 조립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 실시예의 케이싱(12)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확실하게 충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31)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11)가 다른 점은 이하에 기재한 점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제3의 3개 블록(14,15,16)을 구비하고 있는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제2,3의 2개 블록(15,16)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는, 제3 블록(16)에는 2개의 스풀 밸브(13)가 설치되어 있는 반면,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제3 블록(16)에는 6개의 스풀 밸브(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제3 블록(15,16)에는, 케이싱(12)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는 4개의 능선(모서리부) 중 상측의 한쪽 능선에는, 곡면부(18)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제2,3 블록(15,16)에는 이러한 곡면부(18)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해당 능선이 직각의 모서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등한 구성이며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동등 부분을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 4에 도시된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31)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3 블록(15,16)을 규정과 다른 방향으로 늘어놓은 상태에서 조립하려고 해도, 볼트(19)를 그 규정과는 다른 방향이 되어 있는 블록(15 또는 16)의 위치 결정 구멍(1,20)에 삽입 통과시켜 체결할 수 없고, 반드시 제2,3 블록(15,16)을 규정대로의 방향으로 하여야만 틀리지 않고 조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5의 (a)는 도 3에 도시된 제3 블록(16)의 분할면(22)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도 5의 (a)에 도시된 제3 블록(16)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해당 분할면(22)의 가로 세로의 각 치수가 L3인 정사각형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정사각형 분할면(22)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개의 위치 결정 구멍(관통 구멍)을 "동그라미1"로 나타내고 있다. 다만, "동그라미2", "동그라미3", "동그라미4"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 구멍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구멍 이외의 5개의 각 관통 구멍을, "동그라미A" ~ "동그라미E"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6개의 관통 구멍(1,A~E)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3 블록(16)을 세로 중심선(26)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로 제2 블록(15)에 체결하려고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제3 블록(16)의 위치 결정 구멍(1)에 볼트(19)를 꽂아도 제2 블록(15)의 그 위치에는, 위치 결정 구멍(암나사 구멍(20))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볼트(19)를 제2 블록(15)에 나사 결합시킬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볼트(19)를 제2 블록(15)에 나사 결합시킬 수 없는 것은, 위치 결정 구멍(1)이 분할면(22)의 대각선(24)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치 결정 구멍을 1의 위치 대신에 4의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위치 결정 구멍을 대각선(24) 상의 2 또는 3의 위치에 형성하였을 경우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제3 블록(16)을 90°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의 (a)에 도시된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2 또는 3)와 일치해 버려 제3 블록(16)을 제2 블록(15)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져 버린다. 따라서 위치 결정 구멍을 대각선(24) 상의 예를 들어 2 또는 3의 위치에 형성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도 5의 (a),(b)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3 블록(16)의 상변(22a)을 따라 3개의 관통 구멍(A,D,B)이 형성되고, 우변(22d)을 따라 2개의 관통 구멍(B,C)이 형성되고, 또한, 하변(22b)을 따라 2개의 관통 구멍(C,E)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 블록(16)을 90°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관통 구멍(D,E)에 볼트(19)를 꽂을 수 없어 볼트(19)가 2개 남게 된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C) 대신에, 점선으로 나타낸 C의 위치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이 점선(C)과 대향하는 제2 블록(15)의 분할면(17c)의 소정 위치에 암나사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을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제3 블록(16)의 위치 결정 구멍(1)에 볼트(19)를 꽂으면, 제2 블록(15)의 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 구멍(20)(점선으로 나타낸 C에 해당하는 위치에 대향하는 암나사 구멍(20))에 볼트(19)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 이외의 관통 구멍(C) 및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20)은, 세로 중심선(26)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과 좌우 대칭인 위치에 형성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 이외의 관통 구멍(C) 및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20)은, 세로 중심선(26)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과 좌우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5의 (c)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3 블록(16)을 가로 중심선 (27)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로 제2 블록(15)에 체결하려고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d)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3 블록(16)을 대각선(28)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로 제2 블록(15)에 체결하려고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c),(d) 중 어느 경우에도 제3 블록(16)의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에 볼트(19)를 꽂아도 제2 블록(15)의 그 위치에는 위치 결정 구멍(암나사 구멍(20))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볼트(19)를 제2 블록(15)에 나사 결합시킬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b)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위치 결정 구멍을 대각선(24)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 이외의 관통 구멍(A) 및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20))은, 가로 중심선(27)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과 상하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도 5의 (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 이외의 관통 구멍(B) 및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20)은, 대각선(28)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과 대각선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 이외의 관통 구멍(A~E) 및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20)은, 분할면(22) 상의 중심선(직선)(26,27,28)들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과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6의 (a),(b),(c),(d)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의 (b)에 도시된 제3 블록(16)은 도 5의 (a)에 도시된 제3 블록(16)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D,E)을 생략한 것이고, 그 이외는 도 5의 (a)에 도시된 제3 블록(16)과 동등한 것이다.
이 도 6의 (a),(b),(c),(d)의 각 도면은, 도 5의 (a),(b),(c),(d)의 각 도면과 대응하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은, 1 또는 4와 같이 대각선(24)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 이외의 관통 구멍(A~C) 및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20)은, 분할면(22) 상의 중심선(직선)(26~28)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 구멍(1 또는 4)과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3 블록(15,16)에 대하여 1 세트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1 또는 4) 및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20)을 위치 결정 구멍으로서 형성했지만, 이 대신에 예를 들면 2 이상의 각 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관통 구멍 및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을 위치 결정 구멍으로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1,20)을 직사각형 선도(21)의 좌변(21c) 상에 있어서, 좌하 모서리부(23)에서 S1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부 위치에 관통 구멍(1)이 되었지만, 이외의 위치에 형성해도 좋다. 즉, 대각선(24)에서 벗어난 위치이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각 기둥 모양의 블록을 예로 들었지만, 그 외의 다각 기둥 모양이라고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블록에 설치되는 기기로서 복수의 스풀 밸브(13)를 예로 들었지만, 그 외의 예를 들면 유압 기기나 전기 기기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블록(14~16) 각각에 스풀 밸브(13)를 설치한 예를 들었지만, 스풀 밸브(13)를 설치하지 않은 블록을 가진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3의 각각의 블록(14~16)에 대하여 관통 구멍 및 암나사 구멍을, 각 블록의 상변 및 하변을 따라 3개씩 2단으로 설치했지만, 이 대신에 예를 들면 각 블록의 가로 세로의 각 변을 따라 3개씩, 총 8개 설치해도 좋다. 즉, 볼트 등 체결구를 사용하여 복수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 구멍 및 암나사 구멍이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및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는, 복수의 각 블록의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 방향을 틀리지 않고 규정대로 조립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어, 이러한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및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에 적용하는데 적합하다.
1,2,3,4: 위치 결정 구멍(관통 구멍)
11: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
12: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13: 스풀 밸브
14: 제1 블록
15: 제2 블록
16: 제3 블록
17a~17d: 분할면
18: 곡면부
19: 볼트
20: 암나사 구멍
21: 직사각형 선도
21a: 상변
21b: 하변
21c: 좌변
21d: 우변
22: 분할면(측면)
22a: 상변
22b: 하변
22c: 좌변
22d: 우변
23: 좌하 모서리부
24: 대각선
25: 중심
26: 세로 중심선
27: 가로 중심선
28: 대각선
31: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
32: 케이싱
A~F: 관통 구멍
11: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
12: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13: 스풀 밸브
14: 제1 블록
15: 제2 블록
16: 제3 블록
17a~17d: 분할면
18: 곡면부
19: 볼트
20: 암나사 구멍
21: 직사각형 선도
21a: 상변
21b: 하변
21c: 좌변
21d: 우변
22: 분할면(측면)
22a: 상변
22b: 하변
22c: 좌변
22d: 우변
23: 좌하 모서리부
24: 대각선
25: 중심
26: 세로 중심선
27: 가로 중심선
28: 대각선
31: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
32: 케이싱
A~F: 관통 구멍
Claims (5)
- 다각 기둥 모양의 복수의 각 블록의 분할면에 형성된 복수 세트의 각 체결 구멍에 복수의 각 체결구를 삽입 통과시키고, 복수의 상기 각 블록들을 미리 규정된 방향에 맞추어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체결구가 삽입 통과하는 2개 이상의 블록 사이에서의 복수 세트의 각 체결 구멍 중 1 세트 이상을 구성하는 체결 구멍을 위치 결정 구멍으로서 정하고,
해당 1 세트를 구성하는 위치 결정 구멍은, 상기 분할면의 대각선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은, 상기 블록의 상기 분할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해당 분할면 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위치 결정 구멍 이외의 상기 체결 구멍과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블록은, 사각 기둥 모양이며,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은, 상기 사각 기둥 모양의 각 블록의 모서리부에 대응시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축선과 평행하는 복수의 능선 중 하나의 능선을 곡면부 또는 평면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블록은, 일단 측에 위치하는 제1 블록, 중간에 위치하는 제2 블록, 타단측에 위치하는 제3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체결하는 1 세트 이상의 위치 결정 구멍과,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제3 블록을 체결하는 1 세트 이상의 위치 결정 구멍이, 상기 제2 블록의 2개의 각 분할면 상에 있어서 동축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을 가지며,
상기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내에 복수의 스풀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111779 | 2012-05-15 | ||
JP2012111779A JP2013238279A (ja) | 2012-05-15 | 2012-05-15 | 流体制御機器用ケーシング及びこれを使用するマルチコントロール弁装置 |
PCT/JP2013/002707 WO2013171979A1 (ja) | 2012-05-15 | 2013-04-22 | 流体制御機器用ケーシング及びこれを使用するマルチコントロール弁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015A true KR20140065015A (ko) | 2014-05-28 |
Family
ID=4958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1548A KR20140065015A (ko) | 2012-05-15 | 2013-04-22 |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및 이를 사용하는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3238279A (ko) |
KR (1) | KR20140065015A (ko) |
CN (1) | CN104126089A (ko) |
WO (1) | WO20131719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96213B2 (ja) | 2015-08-19 | 2019-04-03 |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 油圧アクチュエータ作動油路形成方法及び油圧アクチュエータ作動油路構造 |
JP7023268B2 (ja) * | 2019-12-06 | 2022-02-21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マルチコントロール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0573Y2 (ko) * | 1973-12-11 | 1978-03-22 | ||
JPH10288271A (ja) * | 1997-04-15 | 1998-10-27 | Ckd Corp | 電磁弁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用部材 |
JP4224862B2 (ja) * | 2006-10-12 | 2009-02-18 | Smc株式会社 | バルブ装置 |
CN201187616Y (zh) * | 2008-03-10 | 2009-01-28 | 周明华 | 组合式电磁阀阀板 |
JP2010127454A (ja) * | 2008-12-01 | 2010-06-10 | Nissan Motor Co Ltd | 自動変速機のバルブボディ |
JP5560276B2 (ja) * | 2009-08-31 | 2014-07-23 | 株式会社フジキン | 流体制御器 |
-
2012
- 2012-05-15 JP JP2012111779A patent/JP2013238279A/ja active Pending
-
2013
- 2013-04-22 CN CN201380011146.XA patent/CN104126089A/zh active Pending
- 2013-04-22 WO PCT/JP2013/002707 patent/WO201317197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4-22 KR KR1020147011548A patent/KR2014006501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238279A (ja) | 2013-11-28 |
WO2013171979A1 (ja) | 2013-11-21 |
CN104126089A (zh) | 2014-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676127B (zh) | 工程机械的索状体保持件 | |
WO2014126128A1 (ja) | 電池モジュール | |
US8033537B2 (en) | Construction set comprising at least one plate | |
US8152403B2 (en) | Three-way connector for cabinet frame | |
KR20130001935U (ko) | 전기기계식 박스용 결합 프레임 | |
KR20140065015A (ko) | 유체 제어 기기용 케이싱 및 이를 사용하는 멀티 컨트롤 밸브 장치 | |
CA3167198A1 (en) | A spliced wall panel | |
JP2005048537A (ja) | 部材同士のボルト連結構造 | |
KR20150088049A (ko) |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 |
EP2685138A1 (en) | Gasket and seal bead structure | |
DE102020005217A1 (de) | Sensorgehäuse | |
JP2008295289A (ja) | マルチ角度クランプ | |
KR20190130008A (ko) | 변환 조인트, 그 변환 조인트를 가지는 집적형 유체 공급 장치 및 유체용 부품의 장착 방법 | |
US11819774B2 (en) | Model construction set | |
JP5986865B2 (ja) | 衝立の連結構造 | |
JP2007154495A (ja) | 振止連結具 | |
JP6682245B2 (ja) |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定規およびその取付方法 | |
US10844590B2 (en) | Column base structure for construction, and base plate | |
KR102622505B1 (ko) | 다축으로 결합되는 파이프 구조 | |
JP2014134072A (ja) | 木質部材の接合構造に使用する座具 | |
JP2013213359A (ja) | 建築用接合構造 | |
JP2013204364A (ja) | 免震装置を鉄筋コンクリート造構造物に接合するための接合構造 | |
JP5615728B2 (ja) | ユニット接続用ジョイント | |
JP5225195B2 (ja) | 複数部材の接合構造 | |
JP5730610B2 (ja) | 柱の接合用部材、柱の接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