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395A -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로 기기와 개폐장치를 함께 제어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및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로 기기와 개폐장치를 함께 제어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및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395A
KR20140063395A KR1020130109314A KR20130109314A KR20140063395A KR 20140063395 A KR20140063395 A KR 20140063395A KR 1020130109314 A KR1020130109314 A KR 1020130109314A KR 20130109314 A KR20130109314 A KR 20130109314A KR 20140063395 A KR20140063395 A KR 2014006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opening
switch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211B1 (ko
Inventor
김문일
Original Assignee
김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일 filed Critical 김문일
Publication of KR2014006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로 상용전원을 공급하면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수입되는 원유로 생산하는 전기를 최대한 절약할 수 있도록 무선 제어를 통하여 사용하지 않는 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 또는 개폐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입력에 의한 개폐장치의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버튼의 입력에 의한 기기의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보조 송신부와, 배터리를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가 형성된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시 전원이 연결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연결된 전원을 상기 기기로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공급부와 출력부 사이에서 전원의 연결을 개폐하는 차단 스위치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기폐장치 온/오프 신호를 받아 상기 차단 스위치를 개폐하는 수신부와, 충전 배터리를 장착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가 형성된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로 상용전원을 공급하면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수입되는 원유로 생산하는 전기를 최대한 절약할 수 있도록 무선 제어를 통하여 사용하지 않는 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TV, 세탁기, 에어컨 또는 공장의 자동화장치 등의 기기는 벽체에 매립된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는 항상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5642호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송출되는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고, 리모컨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동시에 제어하여 전기제품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을 차단시키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대기시에 기기의 주전원은 차단되지만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전력은 여전히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모전력량을 다양하게 표시할 수 없으며, 원격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5642호 (등록일자 2010년08월06일)
본 발명은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무선에 의한 원격 제어를 통해 기기로 흐르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하고, 소모전력량을 다양하게 표시하도록 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 단말기로 전력사용을 원격관리하고,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여 기기 사용시 충전되며 대기시에 리모트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시킨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 또는 개폐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입력에 의한 개폐장치의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버튼의 입력에 의한 기기의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보조 송신부와, 배터리를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가 형성된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시 전원이 연결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연결된 전원을 상기 기기로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공급부와 출력부 사이에서 전원의 연결을 개폐하는 차단 스위치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기폐장치 온/오프 신호를 받아 상기 차단 스위치를 개폐하는 수신부와, 충전 배터리를 장착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가 형성된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와 보조 송신부는, 하나의 상기 버튼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되, 상기 송신부가 작동된 일정시간 경과후 상기 보조 송신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전원부는, 상기 차단 스위치와 상기 기기가 온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출력부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상기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고, 상기 차단 스위치와 상기 기기가 오프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출력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충전 배터리가 방전되어 상기 개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신호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차단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개폐 조작되는 수동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수신부의 수신 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출력부의 전원을 상기 제 2전원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공급부의 전력이 상기 출력부로 전달되어 기기에 공급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온시켜 전원이 상기 제2 전원부에 공급되어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차단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공급부의 전력이 상기 출력부로 차단되어 기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를 함께 오프시켜 상기 출력부와 제 2전원부가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기기의 사용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 및 상기 개폐장치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기의 사용전력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기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감지하여 하루사용량, 주사용량, 월사용량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인터넷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전력량을 인터넷으로 전송하고, 원격 관리 어플이 설치된 인터넷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다수의 상기 인터넷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기기의 전력량을 수집하여 표시하거나 원격 관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의하면,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무선에 의한 원격 제어를 통해 기기로 흐르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되, 소모전력량을 일별, 월별, 기기 종류별로 다양하게 표시하도록 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 단말기로 전력사용을 원격관리하고,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여 기기 사용시 충전되며 대기시에 리모트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러 및 개폐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개폐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러 및 개폐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개폐장치(200)로 구성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여 후술하는 개폐장치(20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110)과, 상기 버튼(110)에 의한 상기 개폐장치(200)의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120)와, 통상의 배터리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TV, 세탁기, 에어컨 또는 공장의 자동화장치 등의 기기(20)와 함께 제공되는 전용 리모콘(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기기(20)를 사용할 때는 원격조정으로 후술하는 개폐장치(200)를 온시켜 전원(10)을 공급한 후 기기(20)를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기기(20)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개폐장치(2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10)을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직접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해야 했던 불편함을 본 발명의 원격 온/오프 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상기 개폐장치(200)의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120)에 더하여 상기 버튼의(110) 제어에 의해 기기(20)의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보조 송신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가 기기(20)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기기(20)의 온/오프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송신부(120)와 보조 송신부(140)는 하나의 상기 버튼(11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게 하거나 상기 버튼(110)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각각의 조작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하나의 상기 버튼(11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게 할 경우에는 송신부(120)의 작동 후 상기 보조 송신부(14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타이머(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110)에 의해 상기 송신부(120)의 작동 후 일정시간 후 상기 보조 송신부(14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통상의 타이머(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110)을 누르면 상기 송신부(120)의 작동에 의해 먼저 개폐장치(200)가 연결되어 기기(20)로 상용전원(10)이 공급되고, 타이머(150)에 의해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보조 송신부(14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기기(20)가 온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200)는 기기(20)에 연결된 상용전원(10)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에 의한 전력의 낭비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시 상용전원(10)이 연결되는 공급부(210)와 상기 공급부(210)로부터 연결된 상용전원을 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출력부(220)와 상기 공급부(210)와 출력부(220) 사이에서 상용전원의 연결을 개폐하기 위한 차단 스위치(230)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송신부(1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상기 차단 스위치(230)를 개폐하는 수신부(240)와 충전용 배터리를 장착하여 상기 차단 스위치(2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전원부(2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하는 상용전원(10)은 상시 상기 공급부(210)에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기기(20)와 연결된 출력부(220)는 상기 차단 스위치(230)에 의해 기기(20)를 사용할 때에만 전원(10)이 연결되기 때문에 대기전력이 차단된다.
상기 개폐장치(200)의 제2 전원부(250)는 공급부(210)와 출력부(220)사이에 상용전원(10)이 연결되면 충전되는 충전 배터리로 형성된다.
즉, 차단 스위치(230)와 기기(20)가 온되어 상기 출력부(2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이 전원에 의하여 상기 제2 전원부(250)가 충전된다. 한편, 차단 스위치(230)와 기기(20)가 오프되어 상기 공급부(210) 및 출력부(2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전원부(250)에 충전된 전원으로 상기 개폐장치(200)를 신호 대기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주전원(10)의 대기전력을 소비하지 않고도 외부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상기 제2 전원부(250)에 충전된 전원만으로 상기 개폐장치(200)를 동작시켜 신호 대기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원부(250)가 방전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차단 스위치(240)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통상의 수동 레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동 레버(미도시)는 예를 들어 콘센트, 플러그 또는 어댑터 형태의 외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작가능 하게 형성된다.
상기 개폐장치(200)는 통상의 벽체에 매립된 콘센트, 기기에 연결된 플러그, 상기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어댑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장치(200)는 벽체에 매립된 콘센트에 설치하되, 상기 공급부(210)는 상용전원(10)을 공급하는 전선과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220)는 소켓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기(20)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상기 공급부(210)와 출력부(220) 사이의 차단 스위치(230)의 개폐에 의해 대기전력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200)는 기기에 연결된 플러그에 설치하되, 상기 공급부(210)는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220)는 전선과 연결된다. 따라서 벽체에 매립된 통상의 콘센트에 상기 플러그를 끼운 상태에서도 상기 공급부(210)와 출력부(220) 사이의 개폐에 의해 대기전력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200)는 벽체에 매립된 콘센트와 기기에 연결된 플러그 사이에 설치되는 어댑터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공급부(210)는 상기 콘센트에 끼워지는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220)는 상기 플러그를 끼우기 위한 소켓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를 이용하여 벽체에 매립된 통상의 콘센트와 기기에 연결된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상기 공급부(210)와 출력부(220) 사이의 개폐에 의해 대기전력은 차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개폐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200)는 제어부(260), 스위칭부(270), 표시부(280), 인터넷 통신부(290), 인터넷 단말기(300) 및 원격 관리 어플(3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차단 스위치(23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또한 스위칭부(27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차단 스위치(230)를 온시켜 상기 공급부(210)의 전력이 출력부(220)로 전달되어 기기(20)에 공급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270)를 온시켜 전원(10)이 상기 제어부(260)와 상기 제2 전원부(250)에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단 스위치(230)를 오프시켜 상기 공급부(210)의 전력이 출력부(220)로 차단되어 기기(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270)를 함께 오프시켜 상기 출력부(220)와 제 2전원부(250)가 차단되도록 하여 개폐장치(200)에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개폐장치(200)의 동작 전원은 상기 제2 전원부(250)의 충전 배터리에 기기(20) 사용시 연결된 전력으로 충전된 전원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외부전원(10)이 기기(20)에 연결될 경우에만 제2 전원부(250)의 충전 베터리에 자체 충전되며, 전원(10)을 차단시에 외부전원은 완전히 차단되고, 제2 전원부(250)의 충전 배터리를 개폐장치(200)의 전원으로 사용하여 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2 전원부(250)의 충전 배터리는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사용시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전이 완료시에는 과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보호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200)의 제어부(260)는 차체 타이머(미도시)를 통하여 기기를 오래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전원부(250)의 충전 전력을 소모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미도시)를 더 형성할 수 있다.
표시부(280)는 상기 개폐장치(200)의 측면에 형성되어 기기(20)의 사용전력을 표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제어부(260)는 별도의 전력 감지부(320)를 통하여 기기(20)에 사용되는 전력량을 감지하여 하루사용량, 주사용량, 월사용량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28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감지부는 당업자로부터 얼마든지 구현 가능한 기술이므로 여기서 그 세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터넷 통신부(290)는 상기 제어부(260)에서 계산된 전력량을 인터넷으로 전송하고, 인터넷 단말기(300) 예로서, 스마트폰, 노트패드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다수의 상기 인터넷 통신부(29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기기의 전력량을 수집하여 표시하거나 원격 관리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기(300)에는 및 원격 관리 어플(3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개폐장치(200)를 통하여 예로서 제1콘센트, 제2콘센트, ... 등의 각각의 사용량을 인터넷, 또는 모바일의 웹에 수집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으며, 원격 제어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장치(200)를 통하여 각 콘센트를 제어하는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의 웹을 다운받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상용전원 20: 기기
100: 리모트 컨트롤러 110: 버튼
120: 송신부 130: 제1 전원부
140: 보조 송신부 150 : 타이머
200: 개폐장치 210: 공급부
220: 출력부 230: 수신부
240: 차단 스위치 250: 제2 전원부
260 : 제어부 270 : 스위칭부
280 : 표시부 290 : 인터넷 통신부
300 : 인터넷 단말기 310 : 원격 관리 어플
320 : 전력 감지부

Claims (8)

  1.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 또는 개폐장치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입력에 의한 개폐장치의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버튼의 입력에 의한 기기의 온/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보조 송신부와, 배터리를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가 형성된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시 전원이 연결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연결된 전원을 상기 기기로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공급부와 출력부 사이에서 전원의 연결을 개폐하는 차단 스위치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기폐장치 온/오프 신호를 받아 상기 차단 스위치를 개폐하는 수신부와, 충전 배터리를 장착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가 형성된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와 보조 송신부는,
    하나의 상기 버튼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되, 상기 송신부가 작동된 일정시간 경과후 상기 보조 송신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부는,
    상기 차단 스위치와 상기 기기가 온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출력부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상기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고, 상기 차단 스위치와 상기 기기가 오프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출력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충전 배터리가 방전되어 상기 개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신호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개폐 조작되는 수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수신부의 수신 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출력부의 전원을 상기 제 2전원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공급부의 전력이 상기 출력부로 전달되어 기기에 공급될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온시켜 전원이 상기 제2 전원부에 공급되어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차단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공급부의 전력이 상기 출력부로 차단되어 기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를 함께 오프시켜 상기 출력부와 제 2전원부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기기의 사용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 및
    상기 개폐장치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기의 사용전력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기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감지하여 하루사용량, 주사용량, 월사용량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인터넷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된 전력량을 인터넷으로 전송하고,
    원격 관리 어플이 설치된 인터넷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서 다수의 상기 인터넷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기기의 전력량을 수집하여 표시하거나 원격 관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20130109314A 2012-11-15 2013-09-11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1425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378 2012-11-15
KR20120129378 2012-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95A true KR20140063395A (ko) 2014-05-27
KR101425211B1 KR101425211B1 (ko) 2014-08-01

Family

ID=5089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314A KR101425211B1 (ko) 2012-11-15 2013-09-11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2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28A (ko) 2014-07-28 2016-02-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180037552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케이씨티 호출 신호의 생성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850912B1 (ko) * 2016-12-30 2018-04-20 박명훈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KR20200034208A (ko) * 2018-09-21 2020-03-31 전재환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KR102289731B1 (ko) * 2020-02-24 2021-08-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3727B2 (en) 2014-10-10 2017-10-17 Samsung-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KR20220170026A (ko) 2021-06-22 2022-12-29 노하영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조명 스위치 오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79B1 (ko) * 2006-03-17 2007-09-20 임성규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KR100798830B1 (ko) * 2006-08-10 2008-01-28 이효영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KR200446402Y1 (ko) * 2008-09-01 2009-11-04 김동휘 전력 사용량을 볼 수 있는 콘센트
KR20110101445A (ko) * 2010-03-08 2011-09-16 (주)참소리전자통신 마이크로컴퓨터를 내장한 멀티콘센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28A (ko) 2014-07-28 2016-02-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180037552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케이씨티 호출 신호의 생성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850912B1 (ko) * 2016-12-30 2018-04-20 박명훈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KR20200034208A (ko) * 2018-09-21 2020-03-31 전재환 대기전력 차단용 분전반
KR102289731B1 (ko) * 2020-02-24 2021-08-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211B1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211B1 (ko)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RU2419932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975642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45213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101512478B1 (ko)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130114619A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2847A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방법
US8373958B2 (en) Combined power meter and outlet device
GB2448330A (en) Mobile phone charger unit incorporating an automatic cut off timer
EP2524640B1 (en) Vacuum cleaner using smart grid
KR101520365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64008Y1 (ko)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20030032392A (ko)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어뎁터
KR20110139120A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N206755358U (zh) 空调器室内机和空调器
KR20100044382A (ko)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KR20160032662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20120077424A (ko) 무선 전력 모니터링 콘센트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WO2011036530A1 (en) Power supply system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20160070455A (ko) 적외선 신호가 송신가능한 콘센트 허브
KR20130074428A (ko) 자가발전 기능을 갖는 리모콘 중계장치
KR101387350B1 (ko) 절전용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