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642B1 -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642B1
KR100975642B1 KR1020090103656A KR20090103656A KR100975642B1 KR 100975642 B1 KR100975642 B1 KR 100975642B1 KR 1020090103656 A KR1020090103656 A KR 1020090103656A KR 20090103656 A KR20090103656 A KR 20090103656A KR 100975642 B1 KR100975642 B1 KR 10097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electrical appliance
switch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비전자
Priority to KR102009010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642B1/ko
Priority to US13/140,913 priority patent/US20120201062A1/en
Priority to CN2010800037082A priority patent/CN102265470A/zh
Priority to PCT/KR2010/007258 priority patent/WO201105292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고, 리모컨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동시에 제어하여 전기제품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을 차단시키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압 변환부, 전압 변환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방전부, 충방전부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신되는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소모 차단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되어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1스위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전압 변환부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여 멀티 탭에 구성된다.
Figure R1020090103656
대기전력, 리모콘, 전원 온/오프 데이터, 멀티 탭, 전기제품, 상용전원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STAND BY ELECTRIC POWER INTERCEP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고, 리모컨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동시에 제어하여 전기제품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을 차단시키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복사기, 비디오 레코더,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휴대폰 충전기,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 세탁기, 에어컨 등의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전원 콘센트나 콘센트로부터 확장된 멀티 탭(Multi Tap) 등에 전기제품에 연결된 플러그를 연결하여 상용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전기제품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나 멀티 탭에 결합된 전기제품의 플러그는 통상적으로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전기제품의 사용여부에 관계없이 상시적으로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시적으로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전기제품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보다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기능을 대기하는 시간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에 따라 전기제품의 에너지 효율등급 결정에 가장 중요한 것 역할을 하는 대기전력(Power Vampire)의 소모가 과도하게 발생된다.
국제 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OECD 회원국의 가구당 전력소비량의 10% 내지 15%가 대기전력으로 소모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경제 산업성 자료에서 연간 전력 소모량의 12% 정도가 대기전력에서 소모되고 있다고 발표된 바 있고, 국내의 경우 가정용 소비전력의 11% 정도가 대기전력에서 소모되고 있으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대략 가구당 3만 3,000원이며, 전국적으로 5,000억원의 에너지 낭비가 발생된다고 조사된 바 있다.
또한, 미국은 비교적 적은 편으로 전체 전력소비량의 5% 정도가 대기전력으로 소모되고 있지만 금액으로 환산하면 대략 30억 달러의 에너지 낭비가 발생된다고 조사된 바 있다.
이처럼 심각한 대기전력 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에너지기구는 2010년까지 모든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1와트(W) 이하로 줄이도록 하는 권고안을 세계 각 나라에 제시한 바 있다.
따라서, 각 나라에서는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 차원에서 다양한 형태의 절전형 전기제품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형 제품의 보급을 위해 전기제품의 에너지 효율등급을 1등급에서 5등급까지 구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 소모를 완전하게 차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콘센트나 멀티 탭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분리하거나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장착되어 있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완전하게 차단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대기전력의 완전한 차단이 널리 실행되고 있지 못하는 현실이다.
또한,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이 상시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부품의 열화를 초래하여 전기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낙뢰 등에 의해 과전류 발생하는 경우 전원선을 따라 전기제품에 그대로 유입되어 전기제품을 파손시키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제품에 전력소비량을 인식하여 전원 오프로 판정되는 경우에 대기전력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전기제품에 장착되고 있으나, 리모콘을 이용한 전원 온 동작에서는 작동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직접 전기제품의 장착된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그리고, 종래에 대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대기전력 차단장치는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시키므로, 전기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예약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모 콘에서 송출되는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고, 리모컨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동시에 제어하여 전기제품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멀티 탭으로 구성하고, 수퍼 콘덴서를 이용한 순간 충전으로 멀티 탭에 구성되는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여 멀티 탭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제품의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일정시간 이후에 전기제품과 멀티 탭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고, 전원 온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먼저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을 공급시킨 다음 학습된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전기제품에 송출하여 전기제품의 전원 온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예약기능을 포함하고, 카운터의 실행에 따라 리모콘으로 설정된 예약시간에 도달되면 지정된 전기제품의 전원 온/오프 제어와 대기전력 차단 제어가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는,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압 변환부;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충방전부; 상기 충방전부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지정된 전기제품에 대하여 대기전력 차단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되어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1스위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전압 변환부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여 멀티 탭에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는,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압 변환부;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부하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방전부;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신된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소모 차단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되어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1스위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기; 전압 변환부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2스위치; 충방전부의 학습된 충방전 특성에 따라 제2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제어방법은, 전기제품별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대기모드에서 리모콘의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리모콘의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학습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어 데이터의 형태를 판단하는 과정; 리모콘의 제어 데이터 형태가 전기제품의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이면 일정시간 대기한 다음 대상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는 과정; 리모콘 의 제어 데이터 형태가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이면 대상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을 정상 공급하고, 학습된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여 대상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는,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압 변환부;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부하전원으로 공급하는 충방전부; 상기 충방전부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리모콘의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여 저장하고,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예약정보를 저장하며, 지정된 예약시간에 학습된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여 지정된 예약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단속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예약기능 실행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압 변환부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단속하는 제2스위치; 예약 설정모드의 진입과 설정되는 예약시간, 현재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제어방법은,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전기제품별로 학습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리모콘에서 예약기능의 설정이 요구되면 예약 설정모드로 진입하고, 표시부를 통해 소정의 형태로 지시하는 과정; 리모콘에서 지정되는 전기제품과 예약정보(전원 온/오프 시간)를 인식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타이머 카운터를 진행하여 현재의 시간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예약정보를 비교하는 과정; 현재 시간이 예 약정보에 지정된 시간이면 지정된 전기제품과 예약기능을 확인하여 예약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리모콘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여 전기제품의 기능 대기상태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의 소모를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제품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낙뢰 등에 의해 전원라인에 과전류가 발생되더라도 전기제품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제품을 안정되게 보호하며, 전기제품의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만 전원이 공급되어 부품의 내구 수명을 연장되고, 제품의 사용에 안정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이 완전하게 차단된 상태에서도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시키는 리모콘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을 먼저 공급하고, 그 이후에 학습된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여 해당하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시킴으로써, 제품의 사용에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이 완전하게 차단된 상태에서도 예약 기능이 실행되어 전기제품의 전원 온/오프 제어가 실행됨으로써, 제품의 사용에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제1스위치(101), 제2스위치(102), SMPS(103), 수퍼 콘덴서(104), 전압 검출부(105), 제어부(106), 수신기(107) 및 송신기(108)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상용전원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 혹은 콘센트로부터 확장된 다른 연결수단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탭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콘센트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원 연결부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탭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를 의미한다.
제1스위치(101)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되어 입력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전원 열결부(콘센트)에 연결된 전기제품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예를 들어, 전기제품의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는 스위칭 온 동작되어 상용전원(주전원)을 전원 연결부에 연결된 전기제품에 정상적으로 공급하고, 전기제품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스위칭 오프되어 상용전원(주전원)이 전원 연결부에 연결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소모를 완전하게 차단한다.
상기 제1스위치(101)는 SCR, 트라이액, 포토 커플러, 릴레이 트랜지스터, FET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칭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스위치(102)는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되어 입력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SMPS(103)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치(101)가 스위칭 온 동작되어 전원 연결부에 연결된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는 스위칭 온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탭을 구성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 열결부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전원이 오프되어 대기전력을 차단시킨 상태에서는 스위칭 오프되어 멀티 탭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한다.
상기 제1스위치(101)는 SCR, 트라이액, 포토 커플러, 릴레이, 트랜지스터, FET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칭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퍼 콘덴서(104)에 충전된 전압 상태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되어 수퍼 콘덴서(104)가 일정한 전압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 103)는 제2스위치(102)의 스위칭 온에 따라 입력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직류전원(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수퍼 콘덴서(104)에 충전 전압으로 공급한다.
수퍼 콘덴서(104)는 충전수단으로, 상기 SMPS(103)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제어부(106)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며, 제2스위치(102)가 스위칭 오프된 상태에서도 제어부(106)에 정상적인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전압검출기(105)는 수퍼 콘덴서(104)의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06)에 제공하여, 수퍼 콘덴서(104)가 일정한 전압 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06)는 전원 열결부에 연결된 전기제품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수신기(107)를 통해 학습하여 메모리(106)의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수신기(107)를 통해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리모콘의 제어 데이터가 무선 통신으로 수신되면 학습된 제어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1스위치(101)를 스위칭 오프시켜 전원 연결부에 연결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여 전기제품에서 대기전력의 소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제2스위치(102)를 오프시켜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탭에서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리모콘의 제어 데이터가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면 일정시간 이후에 제1스위치(101)를 스위칭 오프시켜 리모콘의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원이 오프되고, 전기제품의 안정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상용전원(주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제품의 파손 및 에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6)는 제1스위치(101)를 스위칭 오프시켜 전원 연결부에 연결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전기제품이 전원을 온 하는 리모콘의 제어 데이터가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면 학습된 제어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1스위치(101)를 스위칭 온시켜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을 공급한 다음 학습된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신기(108)를 통해 전기제품에 송출시켜 전기제품의 전원 온 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전기제품의 전원이 온을 유지하는 동작 상태에서 리모콘의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전기제품의 전원이 오프된 이후에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시켜 대기전력 소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전기제품의 전원이 오프를 유지하여 상용전원(주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리모콘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단된 상용전원(주전원)을 먼저 공급한 이후에 학습된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전기제품에 송출하여 전원 온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제1스위치(101)를 스위칭 오프하는 경우 연동하여 제2스위치(102)를 스위칭 오프시켜 본 발명이 구성되는 멀티 탭에서의 대기전력 소모가 최소로 발생되도록 하고, 제1스위치(101)가 스위칭 온 되는 경우 연동하여 제2스위치(102)를 스위칭 온 시켜 멀티 탭을 구성하는 각 부하에 안정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수퍼 콘덴서(104)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실행하며, 전압 검출기(105)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수퍼 콘덴서(104)에 충전된 전압 레벨을 판단하고, 판단된 전압 레벨에 따라 제2스위치(102)를 온/오프 제어하여 수퍼 콘덴서(104)에 충전되는 전원 레벨을 안정되게 유지하여, 본 발명이 구성되는 멀티 탭에서의 대기전력 소모를 최소화로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전압 검출기(105)에서 제공되는 수퍼 콘덴서(104)의 전압 레벨이 설정된 하한 기준레벨이면 제2스위치(102)를 온 시켜 수퍼 콘덴서(104)의 충전을 실행하고, 충전 동작에 따라 수퍼 콘덴서(104)의 전압 레벨이 설정된 상한 기준레벨에 도달하면 제2스위치(102)를 오프 시킨다.
메모리(106A)는 전기제품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데이터를 학습하여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한다.
수신기(107)는 전기제품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에서 무선 통신, 바람직하게는 IR(Infrared Rays)통신으로 제공되는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06)에 제공한다.
상기 수신기(107)는 리모콘에 설정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RF(Radio Frequency) 등을 수신하는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송신기(108)는 상기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전기제품에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바람직하게는 IR통신으로 송출시켜 전기제품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신기(108)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리모콘에 설정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RF(Radio Frequency) 등을 수신하는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107)와 송신기(108)의 구성은 설정에 따라 IR통신 전원 온/오프 데이터의 수신과 IR통신 전원 온 데이터의 송출방식, IR통신 전원 온/오프 데이터의 수신과 RF통신 전원 온 데이터의 송출방식, RF통신 전원 온/오프 데이터의 수신과 RF통신 전원 온 데이터의 송출방식, RF통신 전원 온/오프 데이터의 수신과 IR통신 전원 온 데이터의 송출방식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에 적용하였던 전압 검출기(105) 대신에 타이머(110)를 적용하였으며, 나머지 구성요소인 제1스위치(201), 제2스위치(202), SMPS(203), 수퍼 콘덴서(204), 제어부(206), 수신기(207) 및 송신기(208)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06)는 본 발명에 구성되는 전체 부하요소의 전력 소모에 대하여 수퍼 콘덴서(204)의 충방전 특성이 학습되어 메모리(206A)에 설정되며, 제1스위치(201)를 스위칭 오프시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학습된 수퍼 콘덴서(204)의 충방전 특성에 따라 타이머(210)의 리셋과 카운터 개시를 제어한다.
타이머(210)는 제어부(206)에서 인가되는 리셋 및 카운터 개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제2스위치(202)를 온/오프 스위칭 시킴으로써, 수퍼 콘덴서(204)에 공급되는 충전 전압을 조절하여 전압 레벨을 안정되게 유지하여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가 적용되는 멀티 탭과 전자기기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탭(100)에 구성되는 플러그(10)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연결되고, 멀티 탭(100)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에 다양한 형태의 전기제품(50)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멀티 탭(100)과 전기제품(50)을 별도의 유선(70)으로 연결하여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어 데이터가 송수신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 수신기(107)(207) 및 송신기(108)(208)는 양호한 무선 통신의 환경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이 구성되는 멀티 탭과 분리하여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되어 통신 환경이 양호한 지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모듈과 멀티 탭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미관상 멀티 탭의 경우 통상적으로 잘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전기제품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에서 송출된 신호와 멀티 탭에서 송출되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시키는 신호가 특정의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고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반사판 등의 별도 구조물을 더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멀티 탭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벽면 등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직접 구성하는 기술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탭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구성되는 콘센트인 전원 연결부에 연결되는 각각의 전기제품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탭(100)에 전기제품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시키기 위해 벽면 등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플러그(10)를 연결하면 제어부(106)는 초기 상태에서 제2스위치(102)를 스위칭 온으로 유지하므로, 콘센트와 플러그(10)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은 SMPS(103)에 공급된다.
SMPS(103)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직류전원(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수퍼 콘덴서(104)에 충전 전압으로 공급하며, 수퍼 콘덴서(104)는 충전된 전원을 제어부(106)에 공급함으로써, 제어부(106)는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한 대기모드에 진입한다(S101).
상기한 대기모드의 상태에서 제어부(106)는 수신기(107)를 통해 리모콘의 무선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102).
상기 S102에서 리모콘의 무선 통신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S101의 과정으로 리턴하고, 리모콘의 무선 통신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수신 데이터를 분석하여(S103)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의 학습 요구인지 판단한다(S104).
상기 S104의 판단에서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의 학습 요구가 아 니면 수신된 리모콘 신호를 무시하고, 학습 요구이면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의 학습모드로 진입한다(S105).
이후, 수신기(107)를 통해 입력되는 리모콘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와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고(S106)(S107) 학습된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메모리(106A)에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한다(S108).
상기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 학습은 각각의 콘센트에 부여된 ID(식별번호)와 전기제품을 매칭시켜 해당 전기제품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실행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탭의 제1콘센트에 텔레비전의 전원 플러그가 연결되고, 제2콘센트에 DVD 플레이어의 전원 플러그가 연결되고, 제3콘센트에 에어컨디셔너의 전원 플러그가 연결된다고 가정하면, 각각의 콘센트에 부여된 ID(식별번호)와 콘센트 별로 연결된 전기제품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매칭시켜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여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한 상태에서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제품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동작과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전원 제어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퍼 콘덴서(104)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제어부(106)가 동작을 대기하는 상태에서(S201) 수신기(107)를 통해 리모콘의 무선 통신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2).
상기 S202에서 리모콘의 무선 통신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리모콘 신호를 연속적으로 대기하고, 리모콘의 무선 통신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S203) 메모리(106A)에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된 학습된 제어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어 데이터의 형태를 판단한다(S204).
상기 제어 데이터의 형태가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인지 판단한다(S205).
상기 S205의 판단에서 전기제품의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 수신이면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무선 통신신호에 의해 대상 전기제품의 전원이 오프된 후 안정화가 제공되는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동작을 지연시킨 다음(S206),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스위치(101)를 오프하여 콘센트인 전원 연결부에 플러그가 연결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제1스위치(101)를 스위칭 오프 제어하는 과정에서 리모콘에서 수신된 제어 데이터와 매칭되는 콘센트의 ID(식별번호)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어 대상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콘센트에 대하여 상용전원(주전원)의 스위칭 동작을 실행한다.
따라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이 차단되므로 대기전력의 소모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06)는 제1스위치(101)를 오프시켜 전원 연결부에 연결 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면 전압 검출기(105)를 통해 수퍼 콘덴서(104)의 충전 레벨을 판단하여 설정된 만충전 상태인지 판단한다.
수퍼 콘덴서(104)의 충전 레벨이 만충전 상태가 아니면 SMPS(103)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원으로 충전 동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설정된 만충전 상태이면 제2스위치(102)를 오프시켜 SMPS(103)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차단하여 멀티 탭에서의 대기전력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2스위치(102)의 오프에 따라 SMPS(103)에 입력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어부(106)는 수퍼 콘덴서(104)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원에 의해 대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수퍼 콘덴서(104)에 충전된 전원은 부하인 제어부(106)의 대기동작에 따라 소모되므로, 전압 검출기(105)는 수퍼 콘덴서(104)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부(106)에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06)에 검출되는 수퍼 콘덴서(104)의 충전 레벨이 설정된 하한 기준레벨로 판단되면 제어부(106)는 제2스위치(102)를 스위칭 온 시켜 상용전원을 SMPS(103)에 공급하며, SMPS(103)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에 의해 수퍼 콘덴서(104)가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06)는 수퍼 콘덴서(105)의 충전 레벨을 전압 검출기(105)를 통해 검출하여 충전 레벨에 따라 제2스위치(102)의 스위칭 온/오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멀티 탭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제어부(206)가 제1스위치(201)를 오프시켜 전원 연결부에 연결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면 학습된 수퍼 콘덴서(204)의 충방전 특성에 따라 타이머(210)의 카운터를 제어하여 제2스위치(202)의 스위칭 온/오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수퍼 콘덴서(204)의 충전 레벨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멀티 탭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S205의 판단에서 전기제품의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의 수신이 아니면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의 수신인지 판단한다(S208).
상기 S208의 판단에서 전원 온 제어 데이터의 수신이면 제어부(106)는 스위칭 오프 상태에 있는 제1스위치(101)를 스위칭 온 시켜 전원 연결부에 플러그가 연결된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S209).
상기 제1스위치(101)를 스위칭 온 제어하는 과정에서 리모콘에서 수신된 제어 데이터와 매칭되는 콘센트의 ID(식별번호)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어 대상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콘센트에 대하여 상용전원(주전원)이 전기제품에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 시킨다.
그리고, 제2스위치(102)를 스위칭 온 시켜 SMPS(103)에 상용전원(주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후, 메모리(206A)에 학습 저장된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엑세스한 다음 송신기(208)를 통해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출하여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시킨다(S210).
따라서, 전기제품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여 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제1스위치(301), 제2스위치(302), SMPS(303), 수퍼 콘덴서(304), 제어부(306), 수신기(307) 및 송신기(308)를 포함하며, 액정표시소자로 이루어지는 표시부(30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제1실시예의 구성한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 요소는 그 기능 역시 상술한 제1실시예의 기능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제어부(306)는 리모콘의 요구에 따라 콘센트에 연결된 각각의 전기제품에 대한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여 메모리(306A)에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고, 예약기능 학습모드에서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예약시간을 메모리(306A)에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306A)에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되는 전기제품의 전원 온/오프 예약시간은 각각 콘센트에 지정된 식별번호(ID)와 연결된 다수개의 전기제품이 매칭되어 저장된다.
상기 전원 온/오프를 위한 예약시간은 전기제품의 알람기능, 예약녹화 기능, 냉난방 장치의 예약 작동을 위해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6)는 내부의 타이머(306B)의 카운터에 따라 메모 리(306A)에 설정된 예약시간에 도달되었는지 판단하여 예약시간이면 전원 온의 요구인지 혹은 전원 오프의 요구인지와 해당되는 전기제품을 인식하여 해당하는 전기제품에 예약된 기능, 전원 온/오프를 실행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제어하기 위한 예약이면 제어부(306)는 타이머(306B)의 카운터에 따른 예약시간에 제1스위치(301)를 먼저 스위칭 온시켜 제어대상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을 공급하여 대기상태로 진입시킨 다음 송신기(108)를 통해 전원 온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출시켜 전기제품의 전원 온시킨다.
또한,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 제어하기 위한 예약이면 제어부(306)는 타이머(306B)의 카운터에 따른 예약시간에 송신기(308)를 통해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출하여 제어대상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일정시간 대기하여 전원 오프 제어된 전기제품의 안정화가 이루어 이후에 제1스위치(301)를 오프시켜 상용전원(주전원)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기제품의 파손 및 에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1스위치(101)를 오프하는 경우 연동하여 제2스위치(302)를 스위칭 오프시켜 본 발명이 구성되는 멀티 탭에서의 대기전력 소모가 최소로 발생되도록 하고, 제1스위치(301)가 스위칭 온 되는 경우 연동하여 제2스위치(302)를 스위칭 온 시켜 멀티 탭을 구성하는 각 부하에 안정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표시부(309)는 상기 제어부(306)의 제어에 따라 시간 정보를 표시하며, 예약모드에서 설정되는 전원 온/오프 시간 정보를 표시한다.
전술한 예약기능의 실행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리모콘의 제어 신호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동작과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의 동작, 내부 전원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기능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이 기능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예약시간 설정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수퍼 콘덴서(304)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제어부(306)가 동작을 대기하는 상태에서(S301) 리모콘의 신호가 수신기(107)를 통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2).
상기 S302에서 리모콘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데이터를 분석하여(S303) 예약설정 요구인지를 판단한다(S304).
상기 S304에서 예약설정 요구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 데이터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대기전력 차단,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내부 전원 제어 등을 위한 온/오프 제어를 실행한다(S305).
그러나, 상기 S304에서 예약설정 요구로 판단되면 제어부(306)는 예약 설정모드로 진입하고(S306), 수신된 리모콘의 신호를 분석하여 전원 온/오프 등의 예약기능을 설정하고자 지정되는 전기제품을 인식한다(S307).
그리고, 표시부(309)를 점멸시켜 예약 설정모드에 진입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지시한다(S308).
상기 예약 설정모드에 진입되는 경우 지정된 전기제품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예약시간 정보를 점멸시키거나 초기화한다.
상기와 같이 표시부(309)의 점멸을 통해 예약 설정모드가 진입되었음을 지시하는 상태에서 리모콘으로부터 전원 온/오프 시간을 지정하는 예약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309).
상기 S309의 판단에서 예약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여(S310)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S309의 과정으로 리턴하여 예약정보의 수신을 연속적으로 대기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지정된 시간의 경과로 판단하여 예약 설정모드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S309의 판단에서 예약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전원 온/오프를 지정하는 시간을 일시 저장하고(S311), 예약설정을 확인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인식된 전기제품과 예약정보(전원 온/오프 시간과 학습된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 콘센트의 식별번호를 매칭시켜 메모리(306A)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313).
전술한 예약정보의 설정은 멀티 탭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콘센트에 에어컨 시스템, 보일러, 텔레비전, VCR 등의 전기제품이 각각 연결되고, 예약 냉/난방이나 예약녹화, 알람기능 등을 위해 각각의 전기제품에 예약정보가 설정되는 경우 해당 전기제품과 설정되는 예약정보(전원 온/오프 지정시간), 콘센트의 식별정보가 매칭되어 메모리(306A)에 저장된다.
상기한 동작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탭에 구성되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각 전기제품의 예약정보가 설정되면 타이머(306B)의 카운터가 개시되어 예약기능이 실행된다(S314).
전술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적용되는 멀티 탭에 예약정보가 설정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설정된 예약기능이 실행되는 절차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도 7의 절차를 통해 예약기능의 설정이 완료되면(S401), 제어부(306)는 타이머(306B)의 카운터를 진행하며(S402), 현재의 시간정보와 메모리(306A)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전원 온/오프 제어를 위한 예약정보를 비교하여(S403), 카운터 되는 현재의 시간이 전원 온/오프 제어를 위해 지정한 예약시간에 도달되었는지 판단한다(S404).
상기 S404의 판단에서 현재의 시간이 지정된 예약시간에 도달하였으면 지정된 전기제품과 해당 전기제품을 연결하고 있는 콘센트를 인식하고(S405), 예약기능이 전원 온 제어를 위한 설정인지 아니면 전원 오프 제어를 위한 설정인지를 확인한다(S406).
상기와 같이 예약기능으로 지정된 전기제품과 전원 온 혹은 오프 제어에 대한 지정된 예약기능이 확인되면 전기제품에 대한 전원 온 혹은 오프 제어 데이터를 송신기(308)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전송하여 대상이 되는 전기제품의 전원 온/오프의 제어가 실행되도록 한다(S407).
상기한 예약기능으로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306)는 먼저 제1스위치(301)를 스위칭 온시켜 해당하는 전기제품에 전원을 먼저 공급한 다음 송신기(308)를 통해 학습된 해당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여 예약기능에 의한 전원 온 제어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기상 알람을 설정한 경우, 지정된 예약시간에 텔레비전의 전원 온 제어가 실행되고, VCR에 예약녹화를 설정한 경우 지정된 시간에 텔레비전 및 VCR의 전원 온 제어가 실행되며, 냉난방을 위한 설정인 경우 지정된 시간에 에어컨 시스템 혹은 보일러의 전원이 온 제어된다.
또한, 상기한 예약기능으로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306)는 송신기(308)를 통해 해당 전기제품의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여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로 제어하고, 전기제품의 전원 오프 제어 후 안정화가 진행되는 일정시간을 대기한 다음 제1스위치(301)를 스위칭 오프시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소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텔레비전의 시청에서 취침 기능을 위한 전원 오프 제어, VCR의 예약녹화 완료 등이 실행되어 전력소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대상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시킴으로써, 전기제품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발생되는 대기전력의 소모를 차단하여 전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없이 리모콘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대상 전기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 시키며, 예약기능이 적용되어 전원 온/오프가 제어됨으로써, 사용상에 편리성이 제공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가 구성되는 멀티 탭은 여러 개의 콘센트로 구성하는 것이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는데 바람직하며, 가장 이상적인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가 적용되는 멀티 탭과 전자기기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학습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전원 제어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예약시간 설정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예약기능 실행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01,301 : 제1스위치 102,202,302 : 제2스위치
103,203,303 : SMPS 104,204,304 : 수퍼 콘덴서
105,205,305 : 전압검출기 106,206,306 : 제어부
107,207,307 : 수신기 108,208,308 : 송신기

Claims (25)

  1.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압 변환부;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멀티 탭 구성요소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충방전부;
    상기 충방전부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에 따라 대상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소모 차단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되어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전압 변환부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2스위치;
    를 포함하여 멀티 탭에 구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수퍼 콘덴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스위치는 SCR, 트라이액, 포토 커플러, 릴레이 트랜지스터, FET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기제품별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며, 학습된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방전부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제2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충방전부의 전압을 기준 전압 이상으로 유지시켜 멀티 탭 내부에서의 대기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탭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각 콘센트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각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제품과 식별번호를 매칭시켜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기를 통해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리모콘의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대상 전기제품의 전원이 오프된 후 안정화를 위해 일정시간 경과한 이후에 제1스위치를 스위칭 오프시켜 대상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스위치를 스위칭 오프시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신기를 통해 리모콘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1스위치를 스위칭 온 시켜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을 공급한 다음 학습된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신기로 송출시켜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스위치를 온 시켜 연결된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는 제2스위치를 온으로 제어하여 충방전부에 상용전원(주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압 검출기에서 제공되는 충방전부의 전압 레벨이 설정된 하 한 기준레벨이면 제2스위치를 온 시켜 충전을 실행하고, 상한 기준레벨이면 제2스위치를 오프시켜 과충전 및 멀티 탭의 대기전력 소모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및 송신기는 전원 온/오프 데이터의 수신과 전원 온 데이터의 송출에서,
    IR통신 수신과 IR통신 송출방식;
    IR통신 수신과 RF통신 송출방식;
    RF통신 수신과 RF통신 송출방식;
    RF통신 수신과 IR통신 송출방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와 송신기는 멀티 탭과 분리되어 독립된 송수신 모듈로 구성되고, 안정된 무선 통신환경에 설치된 송수신 모듈과 멀티 탭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3.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압 변환부;
    상기 전압 변환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멀티 탭 구성요소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충방전부;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
    수신된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소모 차단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되어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는 무선송신기;
    상기 전압 변환부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2스위치;
    상기 충방전부의 학습된 충방전 특성에 따라 제2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
    를 포함하여 멀티 탭에 구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탭 구성요소의 전력 소모에 대하여 충방전부의 충방전 특성이 학습되어 저장되며,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학습된 충방전부의 충방전 특성에 따라 타이머의 리셋과 카운터 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5.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전기제품의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를 학습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리모콘에서 송출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학습값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판단하는 과정;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가 전기제품의 전원 오프 제어신호이면 일정시간 대기한 다음 대상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하는 과정;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가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신호이면 대상 전기제품에 상용전원(주전원)을 정상 공급하고, 학습된 전원 온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대상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의 차단이 실행되면 멀티 탭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 제어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제어방법.
  18.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압 변환부;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멀티 탭 구성요소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충방전부;
    상기 충방전부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리모콘의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를 학습하여 저장하고,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예약정보를 저장하며, 지정된 예약시간에 학습된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여 지정된 예약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단속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예약기능 실행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압 변환부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단속하는 제2스위치;
    예약 설정모드의 진입과 설정되는 예약시간, 현재의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여 멀티 탭에 구성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학습되는 전기제품의 전원 온/오프 제어 데이터, 전기제품의 예약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는 메모리;
    예약기능 실행을 위해 시간을 카운터하는 타이머;
    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정보가 전기제품의 전원 온 제어이면 예약시간에 제1스위치를 스위칭 온시켜 전기제품을 대기상태로 진입시키고,
    송신기를 통해 학습된 전원 온 제어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출시켜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정보가 전기제품의 전원 오프 제어이면 예약시간에 송신기를 통해 학습된 전원 오프 제어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출하여 전기제품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전기제품의 안정화를 위해 일정시간 대기한 후 제1스위치를 오프시켜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주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90103656A 2009-10-29 2009-10-29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7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56A KR100975642B1 (ko) 2009-10-29 2009-10-29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140,913 US20120201062A1 (en) 2009-10-29 2010-10-22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wer supply
CN2010800037082A CN102265470A (zh) 2009-10-29 2010-10-22 待机电力切断装置及其控制方法和供电装置
PCT/KR2010/007258 WO2011052928A2 (ko) 2009-10-29 2010-10-22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과 파워 서플라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56A KR100975642B1 (ko) 2009-10-29 2009-10-29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642B1 true KR100975642B1 (ko) 2010-08-17

Family

ID=4275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656A KR100975642B1 (ko) 2009-10-29 2009-10-29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201062A1 (ko)
KR (1) KR100975642B1 (ko)
CN (1) CN102265470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045A1 (ko) * 2011-04-28 2012-11-01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221727B1 (ko) * 2012-05-24 2013-01-11 황성하 절전형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CN103097641A (zh) * 2010-10-22 2013-05-08 信浓绢糸株式会社 被控制设备的控制装置以及可动装置
KR20130053498A (ko) * 2011-11-14 2013-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13157680A1 (ko) * 2012-04-20 2013-10-24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전기기기 전원 무선제어시스템
WO2013162310A1 (ko) * 2012-04-26 2013-10-31 Kim Chang Ho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CN103392268A (zh) * 2010-11-26 2013-11-13 美国英太克有限公司 远程控制电力单元
FR2990810A1 (fr) * 2012-05-16 2013-11-22 France Telecom Dispositif limitant la consommation de courant pour des appareils electriques en veille
KR101387350B1 (ko) 2012-11-14 2014-04-21 김문일 절전용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1411433B1 (ko) * 2014-02-04 2014-06-25 (주)다재기술 대기 전력 절감 회로
CN103908208A (zh) * 2014-03-21 2014-07-09 北京万恩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计数洗涤量统计的传动式洗碗机
EP2518449A3 (en) * 2011-04-29 2014-07-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monitoring apparatus of standby power saving type, electric load device, and power monitoring method
KR20140123327A (ko) * 2013-04-12 2014-10-22 코웨이 주식회사 대기 전력 절감 방법
KR101538651B1 (ko) * 2013-09-13 2015-07-29 (주)이젝스 가전기기의 대기 전력 차단 모드로부터의 자동 복귀 방법
KR101591022B1 (ko) * 2013-03-28 2016-02-02 최대섭 적외선 리모콘으로 제어되는 전원절약 콘센트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13628A (ko) * 2014-07-28 2016-02-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160108910A (ko) * 2015-03-09 2016-09-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장치
CN110224480A (zh) * 2019-06-03 2019-09-10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备用电源控制的无人自主水下机器人紧急状态处置装置及方法
KR102289731B1 (ko) * 2020-02-24 2021-08-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7343A2 (en) * 2008-11-21 2010-05-27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power
GB2492024A (en) * 2010-04-22 2012-12-19 Nat Science And Technology Dev Agency System with zero power standby mode for controlling electric apparatus
WO2011143829A1 (en) 2010-05-21 2011-11-24 Marlon Galsi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power
CN103475080B (zh) * 2012-06-06 2015-06-1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源供给装置和视频显示装置
WO2014032302A1 (en) 2012-09-03 2014-03-06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power
US8487765B1 (en) * 2012-10-24 2013-07-1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 power strip with automatic equipment disconnect
TWI482385B (zh) * 2013-01-08 2015-04-21 Wistron Corp 電源控制系統
CN104007709B (zh) * 2013-02-22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器设备及其控制装置和控制方法
US9935493B2 (en) * 2013-03-15 2018-04-03 William C. Milks, III Circuit for reducing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CN104238700A (zh) * 2013-06-06 2014-1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池电量控制系统及方法
JP2015029248A (ja) * 2013-06-27 2015-02-12 株式会社リコー 機器登録装置および機器登録方法
CN103414062A (zh) * 2013-08-22 2013-11-27 北方工业大学 智能遥控插座
KR101483374B1 (ko) * 2013-11-01 2015-01-15 박수균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KR102178635B1 (ko) * 2013-12-16 2020-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US20170324270A1 (en) * 2013-12-26 2017-11-09 Calvin Shie-Ning Wang Standby circuit, and outlet, plug, and device having the same
US9595823B2 (en) * 2014-01-24 2017-03-14 Intel Corporation Low power circuit for transistor electrical overstress protection in high voltage applications
US9477299B2 (en) * 2014-06-11 2016-10-25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evice control, device protection, and power savings
KR102214195B1 (ko) 2014-07-02 2021-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US9596098B1 (en) * 2014-07-31 2017-03-14 iDe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nd remote systems with a power cord
US10833524B2 (en) * 2014-09-26 2020-11-10 Brightcharger Europe Oy Ltd. Disconnecting supply of electric charging current
CN104269710B (zh) * 2014-09-29 2016-09-07 重庆金瓯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集成式智能插座及电力网络控制系统
KR101619618B1 (ko) * 2014-10-02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전기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CN104362694B (zh) * 2014-11-07 2017-08-29 国网上海市电力公司 非充电状态彻底断电的电动汽车充电桩
KR101633297B1 (ko) * 2016-01-12 2016-06-24 주식회사 한미마이크로닉스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CN109314401A (zh) * 2016-03-14 2019-02-05 金昌镐 用于切断网络备用电源的物联网智能家庭/大楼自动化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721802A (zh) * 2016-03-23 2016-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待机控制电路及其工作方法、播放设备
KR20180034955A (ko) * 2016-09-28 2018-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CN106527642A (zh) 2016-11-26 2017-03-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排插的供电控制方法、装置及排插
WO2018218418A1 (zh) * 2017-05-27 2018-12-06 刘远芳 超微功耗信号发射装置及其应用
US10452102B2 (en) 2017-06-23 2019-10-22 Dell Products L.P. Power delivery contract establishment in a power storage adapter
US10928880B2 (en) 2017-06-23 2021-02-23 Dell Products L.P. Power storage adapter for communicating battery data with a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20180375361A1 (en) * 2017-06-23 2018-12-27 Dell Products L.P. Low standby power in a power storage adapter enabled by an associated battery
US10476288B2 (en) 2017-06-23 2019-11-12 Dell Products L.P. Power storage adapter for peak shift operation with a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10978896B2 (en) 2017-06-23 2021-04-13 Dell Products L.P. High efficiency power storage adapter
US10608443B2 (en) 2017-08-15 2020-03-31 Dell Products L.P. Battery management using battery temperature distribution
US10642333B2 (en) 2017-08-24 2020-05-05 Dell Products L.P. Power storage adapter for efficient supply of power of multiple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US10620679B2 (en) 2017-09-01 2020-04-14 Dell Products L.P. Prioritizing supplying electrical power by a power storage adapter to connected devices
US10673271B2 (en) 2017-09-01 2020-06-02 Dell Products L.P. Efficient charging of multiple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based on learned charging characteristics
US10404105B2 (en) 2017-09-14 2019-09-03 Dell Products L.P. Power storage adapt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0714797B2 (en) 2017-09-18 2020-07-14 Dell Products L.P. Multilayer thermal laminate with aerogel for battery cell enclosures
US11513928B2 (en) 2017-09-18 2022-11-29 Dell Products L.P. Power storage adapter with power cable validation
JP2019053673A (ja) * 2017-09-19 2019-04-04 東芝メモリ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ディスチャージ方法
US10488906B2 (en) 2017-09-26 2019-11-26 Dell Products L.P. Power delivery based on temperature and other factors in a power storage adapter
CN108092361A (zh) * 2017-12-26 2018-05-29 深圳市恒浩伟业科技有限公司 低待机功耗的电池保护电路和汽车应急启动电源
CN110071402B (zh) * 2018-01-24 2022-01-28 旺玖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检测待机电流的节能装置
US20190245796A1 (en) * 2018-02-07 2019-08-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for data rate switching in a home appliance
EP3525318B1 (en) * 2018-02-09 2021-01-20 ABB S.p.A. A transceiver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connectivity to a protection and control device
CN109473740A (zh) * 2018-10-12 2019-03-15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蓄电池远程维护设备的充放电方法
JP7169928B2 (ja) * 2019-03-29 2022-11-11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TWI682606B (zh) * 2019-04-18 2020-01-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具有遠端遙控自回覆斷電機制的電源產生裝置
GB2584994A (en) * 2019-06-18 2020-12-30 Green Running Ltd An in-line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appliance
CN110286624A (zh) * 2019-07-04 2019-09-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控制模组、无线墙壁开关、用电设备及系统
CN111509794B (zh) * 2020-03-19 2021-09-03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带负载电源充放电管理系统
US11770155B2 (en) * 2020-05-19 2023-09-26 Genetec Inc. Power distribution and data routing in a network of devices interconnected by hybrid data/power links
US11277024B2 (en) 2020-07-24 2022-03-15 ZQ Power,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US11404906B1 (en) 2021-05-17 2022-08-02 SK Hynix Inc. Power failure protection system for solid state drives
CN117485168B (zh) * 2023-12-22 2024-04-26 江苏日盈电子股份有限公司 充电桩以及电动汽车的充电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673Y1 (ko) * 2004-06-24 2004-09-22 기택범 전원제어용 무선 리모콘을 이용한 전원플러그의 온/오프제어장치
KR200428011Y1 (ko) * 2006-07-05 2006-10-04 임재근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100918794B1 (ko) * 2009-08-28 2009-09-25 (주)한미일렉트릭 대기 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523B1 (ko) * 2001-10-17 2003-11-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어뎁터
CN2724250Y (zh) * 2004-06-17 2005-09-07 上海久隆电力科技有限公司 家用电器智能化待机节电器
CN100363957C (zh) * 2004-07-29 2008-01-23 上海广电(集团)有限公司中央研究院 一种实现家电零功耗待机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673Y1 (ko) * 2004-06-24 2004-09-22 기택범 전원제어용 무선 리모콘을 이용한 전원플러그의 온/오프제어장치
KR200428011Y1 (ko) * 2006-07-05 2006-10-04 임재근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100918794B1 (ko) * 2009-08-28 2009-09-25 (주)한미일렉트릭 대기 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7641A (zh) * 2010-10-22 2013-05-08 信浓绢糸株式会社 被控制设备的控制装置以及可动装置
CN103097641B (zh) * 2010-10-22 2015-10-21 信浓绢糸株式会社 被控制设备的控制装置以及可动装置
CN103392268A (zh) * 2010-11-26 2013-11-13 美国英太克有限公司 远程控制电力单元
KR200464008Y1 (ko) * 2011-04-28 2012-12-06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WO2012148045A1 (ko) * 2011-04-28 2012-11-01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EP2518449A3 (en) * 2011-04-29 2014-07-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monitoring apparatus of standby power saving type, electric load device, and power monitoring method
KR101950823B1 (ko) * 2011-11-14 2019-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30053498A (ko) * 2011-11-14 2013-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13157680A1 (ko) * 2012-04-20 2013-10-24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전기기기 전원 무선제어시스템
KR101494822B1 (ko) * 2012-04-26 2015-02-23 김창호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US9761130B2 (en) 2012-04-26 2017-09-12 Milpros Co., Ltd. Standby electric power cutoff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
WO2013162310A1 (ko) * 2012-04-26 2013-10-31 Kim Chang Ho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FR2990810A1 (fr) * 2012-05-16 2013-11-22 France Telecom Dispositif limitant la consommation de courant pour des appareils electriques en veille
KR101221727B1 (ko) * 2012-05-24 2013-01-11 황성하 절전형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KR101387350B1 (ko) 2012-11-14 2014-04-21 김문일 절전용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1591022B1 (ko) * 2013-03-28 2016-02-02 최대섭 적외선 리모콘으로 제어되는 전원절약 콘센트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172423B1 (ko) * 2013-04-12 2020-10-30 코웨이 주식회사 대기 전력 절감 방법
KR20140123327A (ko) * 2013-04-12 2014-10-22 코웨이 주식회사 대기 전력 절감 방법
KR101538651B1 (ko) * 2013-09-13 2015-07-29 (주)이젝스 가전기기의 대기 전력 차단 모드로부터의 자동 복귀 방법
US10063091B2 (en) 2014-02-04 2018-08-28 Dajae Tech Co., Ltd Standby power saving circuit
KR101411433B1 (ko) * 2014-02-04 2014-06-25 (주)다재기술 대기 전력 절감 회로
WO2015119382A1 (ko) * 2014-02-04 2015-08-13 (주)다재기술 대기 전력 절감 회로
CN103908208B (zh) * 2014-03-21 2016-11-23 北京万恩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计数洗涤量统计的传动式洗碗机
CN103908208A (zh) * 2014-03-21 2014-07-09 北京万恩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计数洗涤量统计的传动式洗碗机
KR101671482B1 (ko) * 2014-07-28 2016-11-0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160013628A (ko) * 2014-07-28 2016-02-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160108910A (ko) * 2015-03-09 2016-09-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720227B1 (ko) * 2015-03-09 2017-04-10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장치
CN110224480A (zh) * 2019-06-03 2019-09-10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备用电源控制的无人自主水下机器人紧急状态处置装置及方法
CN110224480B (zh) * 2019-06-03 2023-05-26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备用电源控制的无人自主水下机器人紧急状态处置装置及方法
KR102289731B1 (ko) * 2020-02-24 2021-08-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01062A1 (en) 2012-08-09
CN102265470A (zh)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642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43006B2 (e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of electric apparatus
JP5063036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RU2419932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7675453B2 (en) Power saving apparatus
KR101121150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090063044A (ko) 전기응용기기 대기전력 감소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콘센트대기 전력 감소장치
WO2017189537A1 (en) Controllable electrical outlet having a resonant loop antenna
KR101043310B1 (ko) 파워 서플라이
KR100374819B1 (ko) 대기전원 시스템
KR20030032392A (ko)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어뎁터
KR101041432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009530A (ko) 소비전력 감지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072489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80082489A (ko) 기사용 중인 전자제품을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연결 가능하게 하는 사물인터넷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27641B1 (ko)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에 대한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TWI482385B (zh) 電源控制系統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WO2011036530A1 (en) Power supply system
CN111492558A (zh) 供电仲裁装置、供电装置、耗电装置、供电远程控制装置、供电仲裁方法及电力系统
KR100868706B1 (ko) Rfid 리더와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절전 제어 시스템
JP4925341B2 (ja) 直流機器システム
KR101764356B1 (ko) 리모컨 신호 자동 설정이 가능한 자동 절전 제어 장치
KR20110036451A (ko)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KR101112214B1 (ko) 전기 콘센트에서의 대기 전력 절감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