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451A -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 Google Patents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451A
KR20110036451A KR1020090094120A KR20090094120A KR20110036451A KR 20110036451 A KR20110036451 A KR 20110036451A KR 1020090094120 A KR1020090094120 A KR 1020090094120A KR 20090094120 A KR20090094120 A KR 20090094120A KR 20110036451 A KR20110036451 A KR 20110036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control signal
outle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장호
유병섭
최현정
백흥재
Original Assignee
유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호 filed Critical 유장호
Priority to KR102009009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6451A/ko
Publication of KR2011003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Plug)가 꽂힌 경우에만 상용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스위치(Switch)가 구비된 콘센트(Receptacle)에 관한 것으로, 리모컨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전기전자 제품으로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에 있어서,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의 소켓에 꽂는 경우에만, 플러그에 의해 스위치 온되어 상용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용 전원을 완전 차단시켜 대기 전력을 제로화할 수 있다.
콘센트, 스위치, 플러그, 대기 전력

Description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a Receptacle Having a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Switch)가 구비된 콘센트(Receptac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Plug)가 꽂힌 경우에만 상용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가정 등과 같은 장소에서 컴퓨터, 프린터, 복합기, TV, VTR, 오디오, 전자레인지, 에어컨 등과 같은 전기전자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함으로써, 해당 콘센트를 통해 상용 전원(예를 들어, 330V, 220V 등)을 해당 전기전자 제품으로 공급하여 해당 전기전자 제품을 구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해당 콘센트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Connector)로서, 해당 콘센트 외에도 멀티-탭(Multi-tap), 플러그 소켓(Plug Socket), 월 소켓(Wall Socket), 콘센틱 플러그(Concentic Plug)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는 기본적으로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낙뢰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한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과전류에 의해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전기전자 제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차단기가 내장된 콘센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매립형 콘센트나 차단기 내장 콘센트는 실내의 미관을 고려하여 전기전자 제품으로 해당 콘센트를 가리거나 별도의 설치 장소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전기전자 제품은 플러그를 통해 콘센트에 연결된 채로 사용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전자 제품으로 항상 일정한 상용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대기 상태(Stand-by State)로 있게 되며, 이때 대기 상태에서 전기전자 제품에 공급되어지는 상용 전원을 대기 전력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대부분의 전기전자 제품은 대기 상태에서도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상용 전원이 계속해서 전기전자 제품으로 공급되어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전기전자 제품에 구성된 전원 스위치를 오프(Off)하더라도,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항상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상용 전원이 계속해서 전기전자 제품으로 공급되어 대기 전력만큼의 전력 손실, 이로 인한 전기전자 제품의 수명 단축 등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대기 전력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 콘센트의 경우에 콘센트로부터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분리시키거나, 전기전자 제품 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를 오프시켜 차단하면 된다. 그러나 이것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의 편리 도모 차원에서 리모컨을 주로 이용하여 원격에서 전기전자 제품에 대한 전원 제어를 수행하고 있는데, 즉 사용자가 전기전자 제품과 떨 어져 있는 거리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는 것이다. 이때, 리모컨에 의한 전기전자 제품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전기전자 제품으로 항상 일정한 전원을 공급하는 대기 상태를 반드시 유지해야 하며, 이로 인해 대기 전력만큼의 전력 손실이 반드시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편리성을 위해 리모컨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오프하거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여전히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출원 제2008-78833호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특허출원 제2009-82896호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에서는, 리모컨을 이용한 전기전자 제품의 원격 전원 제어 시에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콘센트도 원격 제어하여 상용 전원을 스위칭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상용 전원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반드시 리모컨 신호 수신 장치부를 항상 동작시켜 주어야 하며, 이에 리모컨 신호 수신 장치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 항상 존재한다는 점이다.
특히, 매립형 콘센트의 경우,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해당 콘센트에 꽂혀 있지 않더라도, 리모컨 신호 수신 장치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 항상 해당 콘센트로 공급되어지므로, 전기전자 제품에서의 대기 전력 손실보다는 작지만 해당 콘센트에서 또 다른 대기 전력의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용 전원이 완전 차단되어 대기 전력이 '0'이 되어야 하며, 반면에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경우에만 상용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현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경우에만 상용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에 스위치를 구비시켜,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는 경우에 해당 플러그에 의해 해당 스위치가 온되어 해당 콘센트가 상용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리모컨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전기전자 제품으로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에 꽂는 경우에만, 상기 플러그에 의해 스위치 온되어 상기 상용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시스템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받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 상기 리모 컨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리모컨 신호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등록된 전원 제어 신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콤, 그리고 상기 마이콤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전기전자 제품으로 스위칭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상기 마이콤이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전원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리모컨 신호로 상기 전기전자 제품으로 송출하는 리모컨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상기 전원 변환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으로 충전해서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부,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상기 전원 변환부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충전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이콤은,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 경우에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충전 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스위칭 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충전 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스위칭 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에 꽂는 경우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 사이에 형성된 배면부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 상기 플러그의 단자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으로부터 뺄 때에, 상기 버튼을 원래의 상태로 밀어 올리는 복원 수단, 상기 버튼의 하단부와 일체 또는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접속판, 그리고 상기 제1접속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가,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제1접속판이 눌러지는 경우에, 상기 제1접속판과 접촉되어 상기 상용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2접속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콘센트의 소켓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의 단자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에 꽂는 경우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에 의해 옆으로 벌어지는 접속편, 상기 접속편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편에 근접되어 있다가, 상기 접속편이 옆으로 벌어지는 경우에 상기 접속편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 상기 플러그의 단자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으로부터 뺄 때에, 상기 버튼을 원래의 상태로 밀어 올리는 복원 수단, 상기 버튼의 하단부와 일체 또는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접속판, 그리고 상기 제1접속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가,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제1접속판이 눌러지는 경우에, 상기 제1접속판과 접촉되어 상기 상용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2접속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경우에만 콘센트가 상용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용 전원을 완전 차단시켜 대기 전력을 제로화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일 예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다른 예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 와 같이, 플러그 스위치부(110), 전원 변환부(120),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 마이콤(140), 전원 스위치부(150)를 포함한다.
플러그 스위치부(110)는 예를 들어, 푸시버튼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200)를 콘센트(100)에 꽂는 경우에 플러그(200)에 의해 스위치 온(Switch On)되어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전달해 주며, 플러그(200)가 콘센트(100)에 꽂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위치 오프(Switch Off)되어 상용 전원을 차단시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전원 변환부(120)는 예를 들어, 릴레이(Relay),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트라이악(TRIAC, Triode AC Switc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플러그 스위치부(110)를 통해 공급받아 해당 공급받은 상용 전원을 시스템(즉,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 마이콤(140) 등)에 필요한 직류 전원(예로, DC 5V)으로 변환시켜 해당 변환된 직류 전원을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 및 마이콤(140)에 입력해 준다.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는 전원 변환부(120)로부터 전원(예로, 5V)을 입력받아 구동하여 항상 구동 상태를 유지시켜 주며, 마이콤(140)의 제어에 따라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컨 신호(즉,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리모컨 신호를 마이콤(140)에 입력한다.
전원 스위치부(150)는 마이콤(140)의 스위칭 온 제어에 의해 스위치 온되어 상용 전원을 플러그 스위치부(110)를 통해 공급받아 전기전자 제품(예를 들어, TV 등)으로 스위칭해 주며, 마이콤(140)의 스위칭 오프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오프되어 전기전자 제품으로 스위칭되고 있는 상용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마이콤(140)은 전원 변환부(120)로부터 전원(예로, 5V)을 입력받아 구동하여 항상 구동 상태를 유지시켜 주며,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예를 들어, EEPROM)에 등록해 둔 전원 제어 신호(각 제조사 별 각기 다른 모든 전원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음)를 판독하고,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리모컨 신호와 내부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전원 제어 신호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전원 스위치부(150)를 온시켜 주기 위한 스위칭 온 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전원 스위치부(150)를 오프시켜 주기 위한 스위칭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마이콤(140)은 전원 스위치부(150)가 스위칭 오프 상태인 경우(즉, 상용 전원이 전기전자 제품 측으로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스위칭 온 제어를 수행하며, 전원 스위치부(150)가 스위칭 온 상태인 경우(즉, 상용 전원이 전기전자 제품 측으로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 스위칭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내부 메모리는 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며, 별도의 외부 메모리를 사용해도 상관없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또한, 마이콤(140)은 전기전자 제품 측으로의 전원 공급 라인의 전류 또는 전압 등을 감지하여 현재 전기전자 제품이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 중인지의 여부(또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리모컨 신호가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온하기 위한 전원 온 제어 신호인지 아니면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오프하 기 위한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에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리모컨 신호가 전원 제어 신호이면서 현재 전기전자 제품이 구동 중인 경우, 또는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인 경우에 전원 스위치부(150)의 스위칭 오프 제어를 수행하여 상용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며, 반면에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리모컨 신호가 전원 제어 신호이면서 현재 전기전자 제품이 구동 중이 아닌 경우, 또는 전원 온 제어 신호인 경우에 전원 스위치부(150)의 스위칭 온 제어를 수행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 신호 송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리모컨 신호 송신부(160)는 마이콤(14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즉시 동작을 수행하여 마이콤(14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 제어 신호를 리모컨 신호로 전기전자 제품에 송출해 줌으로써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온시켜 준다. 이때, 마이콤(140)은 전원 스위치부(150)의 스위칭 온 제어를 수행한 다음에 일정 시간(예를 들어, 2 ~ 3초) 후에 내부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전원 제어 신호를 리모컨 신호 송신부(160)를 통해 송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스위치부(110), 전원 변환부(120),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 마이콤(140), 전원 스위치부(150), 리모컨 신호 송신부(160), 충전 배터리부(170), 충전 스위치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러그 스위치부(110), 전원 변환부(120),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 전원 스위치부(150), 리모컨 신호 송신부(160) 는 도 1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마이콤(140)은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만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충전 배터리부(170)는 예를 들어, 슈퍼갭, 고용량 콘덴서, 충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이콤(140)의 원격 전원 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여 마이콤(14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충전 배터리부(170)는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이하에서 전원 변환부(120)로부터 전원(예로, 5V)을 인가받고,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가 될 때까지 해당 인가받은 전원을 충전한 후에, 마이콤(14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충전된 전원을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 및 마이콤(140)으로 공급한다.
충전 스위치부(180)는 예를 들어, 릴레이, SCR, 트라이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이콤(14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플러그 스위치부(110)를 통해 공급받아 전원 변환부(120)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한다. 즉, 충전 스위치부(180)는 마이콤(140)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온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되어 플러그 스위치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전원 변환부(120)로 스위칭하며, 또한 마이콤(140)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오프되어 전원 변환부(120)로 스위칭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마이콤(140)은 충전 배터리부(17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충전 배터리부(17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양을 감지하고 해당 감지된 충전 용량에 따라 충전 스위치부(180)의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즉, 마이콤(140)은 충전 스위치부(180)의 스위칭 온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 부(170)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만충 상태인 경우에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충전 스위치부(180)에 인가한다. 또한, 마이콤(140)은 충전 스위치부(180)의 스위칭 오프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부(170)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이하인지를 비교하고, 해당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충전 스위치부(180)에 인가한다. 여기서, 해당 기준치는 충전 배터리부(17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양을 감지하고, 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충전 스위치부(180)에 인가하여 충전 스위치부(180)의 스위칭 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를 통해 리모컨 신호(즉,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도록 하는 등과 같은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전원을 미리 테스트 및 실험 등을 통해 설정해 둔 값(즉, 마이콤(140)이 대기 상태(즉, 상용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의 양)이다.
그리고 마이콤(140)은 콘센트(100)의 현재 동작 상태나 전기전자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콘센트(100)의 동작 상태와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 상태가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에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전원 스위치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마이콤(140)은 전원 스위치부(150)의 스위칭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기전자 제품을 오프시킨 경우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바로 전원 스위치부(150)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르게는, 마이콤(140)은 콘센트(100)의 동작 상태(또는, 전기전자 제품의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리모컨 신호에 실어 리모컨 신호 송신부(160)를 통해 리모컨(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나 알람 장치 등)으로 송신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쉽게 콘센트(100)의 동작 상태(또는, 전기전자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콘센트(100)의 동작 상태(또는, 전기전자 제품의 온/오프 상태)는 전기전자 제품 측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전류량을 체크하는 등과 같은 방식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콘센트(100)의 동작 상태(또는, 전기전자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는 이유는, 콘센트(100)의 동작 상태와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 상태 간의 불일치를 막기 위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100)는 스위칭 온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기전자 제품은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사시도를 일 예로 나타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도 3에 도시된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플러그 스위치부(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11), 복원 수단(112), 제1접속판(113), 제2접속판(114)을 포함한다.
버튼(111)은 콘센트(100)의 소켓부(190) 사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구현되며, 평상시에는 복원 수단(112)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200)를 콘센트(100)에 꽂는 경우(즉, 플러그(200)의 단자부(210)를 콘센트(100)의 소켓부(190)에 삽입하는 경우)에 플러그(200)(즉, 플러그(200)에 구비된 단자부(210) 사이의 배면부(220))에 의해 밀려 들어 가는 구조(즉, 눌러지는 구조)이다.
복원 수단(112)은 버튼(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플러그(200)의 단자부(210)를 콘센트(100)의 소켓부(190)에 꽂는 경우에 플러그(200)의 배면부(220)에 의해 버튼(111)이 밀려들어 갈 때에 복원력을 가지게 되며, 사용자가 플러그(200)의 단자부(210)를 콘센트(100)의 소켓부(190)로부터 뺄 때에 해당 복원력에 의해 버튼(111)을 원래의 상태(즉,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복원시켜 준다(즉, 밀어 올려 준다).
제1접속판(113)은 버튼(111)의 하단부와 일체 또는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111)이 밀려들어 갈 때에 같이 밀려들어 들어가, 제2접속판(114)에 접촉되어 상용 전원을 도 1에 도시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또는,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부(18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통전시켜 준다.
제2접속판(114)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부(180) 및 전원 스위치부(150)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접속판(113)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가, 제1접속판(113)이 밀려들어 오는 경우에, 제1접속판(113)과 접촉되어 상용 전원을 도 1에 도시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또는,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부(18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통전시켜 준다.
소켓부(190)는 플러그(200)에 구비된 단자부(210)가 꽂히도록 형성되며, 단자부(210)가 꽂힌 경우에 단자부(210)와 연결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용 전원을 플러그(200)를 통해 전기전자 제품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이 예로 나타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5의 구성 설명은 도 4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소켓부(190) 내에는 플러그(200)에 구비된 단자부(210)가 꽂히는 경우에 단자부(210)와 접촉되어 상용 전원을 플러그(200)를 통해 전기전자 제품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편(191)을 구비한다.
이때, 접속편(191)은 소켓부(190) 내면에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플러그(200)에 구비된 단자부(210)가 소켓부(190)에 꽂히는 경우에 단자부(210)에 의해 옆으로 벌어져(즉, 옆으로 밀어져) 버튼(111)을 누르게 되는 구조이다.
버튼(111)은 접속편(191)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복원 수단(112)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편(191)과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거나 근접되어 있다가, 접속편(191)이 옆으로 벌어지는 경우에 접속편(191)에 의해 밀려들어 가는 구조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첫 번째로, 사용자가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200)를 콘센트(100)에 꽂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면, 이때 플러그 스위치부(110)는 플러그(200)에 의해 스위치 온되어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도 1에 도시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전달해 주며, 또는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 부(18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전달해 준다. 여기서, 전기전자 제품은 예를 들어, TV, VTR, 오디오, 에어컨 등과 같이, 리모컨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제품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컴퓨터, 전자레인지 등과 같이 리모컨이 없는 제품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해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00)의 소켓부(190) 사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구현된 플러그 스위치부(110)의 버튼(111)은, 사용자가 플러그(200)의 단자부(210)를 콘센트(100)의 소켓부(190)에 삽입하는 경우에, 단자부(210) 사이의 배면부(220))에 의해 눌러지게 된다. 이때, 버튼(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원 수단(112)은 플러그(200)의 배면부(220)에 의해 버튼(111)이 눌러질 때에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버튼(111)의 하단부와 일체 또는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접속판(113)은 버튼(111)이 눌러질 때에 같이 밀려들어 들어가, 제1접속판(113)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접속판(114)에 접촉되어, 상용 전원을 도 1에 도시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또는,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부(18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통전시켜 준다.
다르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러그(200)의 단자부(210)를 콘센트(100)의 소켓부(190)에 삽입하는 경우에, 소켓부(190)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편(191)은, 단자부(210)에 의해 옆으로 벌어지게 된다. 또한, 접속편(191)에 근접되게 접속편(191)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111)은, 접속편(191)이 옆으로 벌어지는 경우에 접속편(191)에 의해 밀려들어 가게 된다. 이때, 버튼(111)의 하부 에 형성되어 있는 복원 수단(112)은 접속편(191)에 의해 버튼(111)이 밀려들어 갈 때에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버튼(111)의 하단부와 일체 또는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접속판(113)은 버튼(111)이 밀려들어 갈 때에 같이 밀려들어 들어가, 제1접속판(113)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접속판(114)에 접촉되어, 상용 전원을 도 1에 도시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또는,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부(18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통전시켜 준다.
이에, 전원 변환부(120)는 플러그 스위치부(110)를 통해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공급받은 상용 전원을 시스템에 필요한 직류 전원(예로, DC 5V)으로 변환시켜, 해당 변환된 직류 전원을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 및 마이콤(140)에 입력해 준다.
이에 따라,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는 전원 변환부(120)로부터 전원(예로, 5V)을 입력받아 구동하고 있다가,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컨 신호(즉,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리모컨 신호를 마이콤(140)에 입력한다.
그리고 마이콤(140)은 전원 변환부(120)로부터 전원(예로, 5V)을 입력받아 구동하고 있다가,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에 등록해 둔 전원 제어 신호를 판독하고,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리모컨 신호와 내부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전원 제어 신호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전원 스위치부(150)를 온시켜 주기 위한 스위칭 온 제어를 수행하거나, 또 는 전원 스위치부(150)를 오프시켜 주기 위한 스위칭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면, 전원 스위치부(150)는 마이콤(140)의 스위칭 온 제어에 의해 스위치 온되어 플러그 스위치부(110)를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전자 제품(예를 들어, TV 등)으로 스위칭해 주며, 반면에 마이콤(140)의 스위칭 오프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오프되어 전기전자 제품으로 스위칭되고 있는 상용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다르게는, 마이콤(140)은 전원 스위치부(150)의 스위칭 온 제어를 수행한 다음에 일정 시간(예를 들어, 2 ~ 3초) 후에 내부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전원 제어 신호를 리모컨 신호 송신부(160)를 통해 송신하도록 한다.
이에, 리모컨 신호 송신부(160)는 마이콤(14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즉시 동작을 수행하여 마이콤(14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 제어 신호를 리모컨 신호로 전기전자 제품에 송출해 줌으로써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온시켜 준다.
또한 다르게는, 마이콤(140)은 전원 변환부(120)로부터 전원(예로, 5V)을 입력받지 않는 경우에도, 충전 배터리부(17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마이콤(140)은 충전 배터리부(17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양을 감지하고 해당 감지된 충전 용량에 따라 충전 스위치부(180)의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마이콤(140)은 충전 스위치부(180)의 스위칭 온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부(170)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만충 상태인 경우에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충전 스위치부(180)에 인가한다. 반면에, 마이 콤(140)은 충전 스위치부(180)의 스위칭 오프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부(170)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이하인지를 비교하고, 해당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충전 스위치부(180)에 인가한다.
이에, 충전 스위치부(180)는 마이콤(140)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온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되어 플러그 스위치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전원 변환부(120)로 스위칭하며, 반면에 마이콤(140)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오프되어 전원 변환부(120)로 스위칭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전원 변환부(120)는 충전 스위치부(180)를 통해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공급받은 상용 전원을 시스템에 필요한 직류 전원(예로, DC 5V)으로 변환시켜, 해당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충전 배터리부(170)(또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 및 마이콤(140))에 입력해 준다.
또한, 충전 배터리부(170)는 전원 변환부(120)로부터 전원(예로, 5V)을 입력받아, 마이콤(140)의 원격 전원 제어에 필요한 전원으로 충전시켜 준다. 즉, 충전 배터리부(170)는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이하에서 전원 변환부(120)로부터 전원(예로, 5V)을 인가받고,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가 될 때까지 해당 인가받은 전원을 충전한 후에, 마이콤(14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충전된 전원을 리모컨 신호 수신부(130) 및 마이콤(140)으로 공급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마이콤(140)은 콘센트(100)의 동작 상태(또는, 전기전자 제품의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리모컨 신호에 실어 리모컨 신호 송신부(160) 를 통해 리모컨(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나 알람 장치 등)으로 송신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쉽게 콘센트(100)의 동작 상태(또는, 전기전자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로, 사용자가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200)를 콘센트(100)로부터 뽑았을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면, 이때 플러그 스위치부(110)는 스위치 오프되어 상용 전원을 차단시켜 도 1에 도시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또는,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부(18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러그(200)의 단자부(210)를 콘센트(100)의 소켓부(190)로부터 뺄 때에, 복원 수단(112)은 플러그(200)의 배면부(220)에 의해 버튼(111)이 밀려들어 갈 때에 가진 복원력으로, 버튼(111)을 원래의 상태(즉,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밀어 올려 준다.
이에, 버튼(111)의 하단부와 일체 또는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접속판(113)은, 버튼(111)과 함께 밀어 올려져, 제2접속판(114)과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에 도 1에 도시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또는,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부(18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통전시켜 주던 상용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다르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러그(200)의 단자부(210)를 콘센트(100)의 소켓부(190)로부터 뺄 때에, 탄성을 가진 접속편(191)은 원래의 상태로 오므라들게 된다.
이에, 복원 수단(112)은 접속편(191)에 의해 버튼(111)이 밀려들어 갈 때에 가진 복원력으로, 접속편(191)이 원래의 상태로 오므라든 만큼 버튼(111)을 원래의 상태(즉, 접속편(191)에 근접되어 있는 상태)로 밀어 올려 준다.
이에 따라, 제1접속판(113)은 버튼(111)과 함께 밀어 올려져, 제2접속판(114)과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에 도 1에 도시된 전원 변환부(120) 및 전원 스위치부(150)(또는,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위치부(180) 및 전원 스위치부(150))로 통전시켜 주던 상용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전자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경우에만 플러그 스위치가 온 되어 상용 전원을 콘센트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용 전원을 완전 차단시켜 대기 전력을 제로화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일 예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다른 예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콘센트
110: 플러그 스위치부
111: 버튼
112: 복원 수단
113: 제1접속판
114: 제2접속판
120: 전원 변환부
130: 리모컨 신호 수신부
140: 마이콤
150: 전원 스위치부
160: 리모컨 신호 송신부
170: 충전 배터리부
180: 충전 스위치부
190: 소켓부
191: 접속편
200: 플러그
210: 단자부
220: 배면부

Claims (6)

  1. 리모컨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전기전자 제품으로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에 꽂는 경우에만, 상기 플러그에 의해 스위치 온되어 상기 상용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시스템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받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리모컨 신호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등록된 전원 제어 신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콤, 그리고
    상기 마이콤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전기전자 제품으로 스위칭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이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전원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리모컨 신호로 상기 전기전자 제품으로 송출하는 리모컨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으로 충전해서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부,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상기 전원 변환부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충전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이콤은,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 경우에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충전 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스위칭 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충전 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스위칭 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에 꽂는 경우에, 상기 플러그의 단 자 사이에 형성된 배면부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
    상기 플러그의 단자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으로부터 뺄 때에, 상기 버튼을 원래의 상태로 밀어 올리는 복원 수단,
    상기 버튼의 하단부와 일체 또는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접속판, 그리고
    상기 제1접속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가,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제1접속판이 눌러지는 경우에, 상기 제1접속판과 접촉되어 상기 상용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2접속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콘센트의 소켓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의 단자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에 꽂는 경우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에 의해 옆으로 벌어지는 접속편,
    상기 접속편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편에 근접되어 있다가, 상기 접속편이 옆으로 벌어지는 경우에 상기 접속편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
    상기 플러그의 단자를 상기 콘센트의 소켓으로부터 뺄 때에, 상기 버튼을 원래의 상태로 밀어 올리는 복원 수단,
    상기 버튼의 하단부와 일체 또는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접속판, 그리고
    상기 제1접속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가,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제1접속판이 눌러지는 경우에, 상기 제1접속판과 접촉되어 상기 상용 전원을 공 급받도록 하는 제2접속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KR1020090094120A 2009-10-01 2009-10-01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110036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120A KR20110036451A (ko) 2009-10-01 2009-10-01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120A KR20110036451A (ko) 2009-10-01 2009-10-01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451A true KR20110036451A (ko) 2011-04-07

Family

ID=4404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120A KR20110036451A (ko) 2009-10-01 2009-10-01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64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37B1 (ko) * 2011-08-17 2013-01-30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의 플러그 삽입 여부에 따라 자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콘센트 및 자체 대기전력 차단 방법
CN104269698A (zh) * 2014-10-08 2015-01-07 成都蒲江珂贤科技有限公司 一种单相大功率远程遥控插座
CN110544593A (zh) * 2019-09-29 2019-12-06 朱曼均 联动开关装置、电源转换器、电源线和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37B1 (ko) * 2011-08-17 2013-01-30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의 플러그 삽입 여부에 따라 자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콘센트 및 자체 대기전력 차단 방법
CN104269698A (zh) * 2014-10-08 2015-01-07 成都蒲江珂贤科技有限公司 一种单相大功率远程遥控插座
CN110544593A (zh) * 2019-09-29 2019-12-06 朱曼均 联动开关装置、电源转换器、电源线和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818B1 (ko) 콘센트 대기 전력 감소장치
KR100992294B1 (ko) 콘센트
KR100975642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419932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801042B1 (ko) 자동전원차단콘센트
KR101121150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방법
US8686588B2 (en) Device arrangement comprising an electronic device and a power adapter and method for connecting a power adapter
JP4308064B2 (ja) 直流プラグ
KR20110036451A (ko)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WO2007136213A1 (en) Electric outlet device
JP2000324690A (ja) 待機電源システム
TWI482385B (zh) 電源控制系統
KR101367969B1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40012234A (ko)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10080618A (ko)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20170128748A (ko)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전원공급장치
KR101774950B1 (ko) 대기전력 차단형 콘센트 컨트롤 장치
KR20010077058A (ko) 리모콘 사용 가전기기의 절전제어회로
KR200427962Y1 (ko) 원격제어가 되는 콘센트
KR100999344B1 (ko)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CN108828983B (zh) 用电器自动供电系统及自动供电方法
WO2011029246A1 (zh) 遥控主控设备和受控设备及配电设施的系统
KR20050034972A (ko) 전원플러그
KR200183103Y1 (ko)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KR20120058053A (ko) 대기 전력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