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053A - 대기 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대기 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053A
KR20120058053A KR1020100119669A KR20100119669A KR20120058053A KR 20120058053 A KR20120058053 A KR 20120058053A KR 1020100119669 A KR1020100119669 A KR 1020100119669A KR 20100119669 A KR20100119669 A KR 20100119669A KR 20120058053 A KR20120058053 A KR 20120058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driving power
circuit driv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유리
Original Assignee
고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유리 filed Critical 고유리
Priority to KR1020100119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8053A/ko
Publication of KR2012005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13/183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3Application domotique, e.g. for house automation, bus connected switches, sensors, loads or intelligent wi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4Protecting elements,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용하던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함과 함께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기 누전 등에 따른 화재와 같은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기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전력 제어 장치는, 실내에서 실외로 연결되는 장소에 설치된 출입문의 개폐에 연동되어 사용자의 재실 또는 외출 여부를 판단하여 분전반을 통해 실내 가전기기로 흐르는 전력을 제어하는 대기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을 통해 실내 가전기기로 흐르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와, 상기 출입문의 개폐에 연동되어 개폐되는 개폐스위치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회로구동전원을 소정의 시간동안 흐르게 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발생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분전반에 있는 상기 대기전력 제어 스위치를 폐쇄하여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마그네틱 접점과, 상기 개폐스위치가 폐쇄되었을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릴레이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2릴레이와, 상기 제2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3릴레이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1-1접점과, 상기 제1-1접점과 직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동작이 끊어지더라도 자동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에 인가하여 전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1접점과, 상기 제1-1접점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3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1-2접점과, 상기 제1-2접점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3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2-2접점과, 상기 마그네틱 접점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3접점과, 사용자가 밖에서 상기 출입문을 닫아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동작신호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동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과 직렬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을 눌렀을 경우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4릴레이와, 상기 푸시버튼과 병렬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을 눌렀을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켜주기 위한 제4-1접점과,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4-2접점과, 상기 제4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접점을 개폐시키기 위한 타이머와, 상기 푸시버튼과 직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접점이 개방되는 타이머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기 전력 제어 장치{STAND-BY POWE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대기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용하던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함과 함께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기 누전 등에 따른 화재와 같은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기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기 전력이란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전기제품에서 소비되는 전력으로 기기의 동작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를 말한다. 리모컨으로 작동되고,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전자제품의 증가와 함께 대기 전력 소비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복사기나 비디오 레코더는 전체 사용 전력의 80%가 대기 전력으로 추정된다.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팩시밀리, 세탁기, 에어컨, 텔레비전, DVD플레이어, 전자레인지, 휴대전화충전기 등이 대기 전력 소비가 많다. 가구당 전력 소비량의 15%인 60와트가 대기 전력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자레인지는 사용하지 않고 플러그만 꽂아 뒀을 뿐인데 7와트가 새고 있다고 한다. 이뿐 아니라, 보일러 6와트, 텔레비전 3와트, 컴퓨터 본체 3와트, 세탁기 1와트, 에어컨 0.8와트, 전기매트 0.7와트 등등의 대기 전력이 소비되고 있다. 작은 양이라고 생각할지는 몰라도, 하루 24시간, 그리고 일년 365일을 생각하면 254.56키로와트나 되는 엄청난 양이다.
과거에는 전기 및 전자 제품이 있어서 대기 전력에 대한 규격 및 이에 대한 규제가 없었으나, 오늘날에는 제품 작동 중의 정격 소모 전력 뿐만 아니라 대기 전력도 해외 등지에서는 하나의 제품 규격으로 채택되고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종래의 TV나 VTR 또는 에어컨 등 가전기기에 있어서는 전원 공급을 위해 기계적인 스위치를 ON-OFF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전원을 OFF한 상태에서는 전원의 손실을 막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현재 생산 보급되고 있는 TV나 VTR 또는 에어컨 같은 가전기기에 있어서는 리모컨에 의한 원격 조정에 의해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ON-OFF하기 위해서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즉시 가전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대기하기 위해 가전기기의 내부에 설치된 파워 모듈에는 항상 3~5와트 정도의 전류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전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전력의 낭비를 막기 위해 가전기기의 전원을 콘센트로부터 코드를 빼놓아야함에도 현실적으로는 그러하지 못해 대기하기 위한 전력이 흐르는 상태이므로 국가적으로 막대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하던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함과 함께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기 누전 등에 따른 화재와 같은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대기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전력 제어 장치는, 실내에서 실외로 연결되는 장소에 설치된 출입문의 개폐에 연동되어 사용자의 재실 또는 외출 여부를 판단하여 분전반을 통해 실내 가전기기로 흐르는 전력을 제어하는 대기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을 통해 실내 가전기기로 흐르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와, 상기 출입문의 개폐에 연동되어 개폐되는 개폐스위치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회로구동전원을 소정의 시간동안 흐르게 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발생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분전반에 있는 상기 대기전력 제어 스위치를 폐쇄하여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마그네틱 접점과, 상기 개폐스위치가 폐쇄되었을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릴레이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2릴레이와, 상기 제2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3릴레이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1-1접점과, 상기 제1-1접점과 직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동작이 끊어지더라도 자동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에 인가하여 전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1접점과, 상기 제1-1접점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3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1-2접점과, 상기 제1-2접점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3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2-2접점과, 상기 마그네틱 접점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3접점과, 사용자가 밖에서 상기 출입문을 닫아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동작신호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동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과 직렬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을 눌렀을 경우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4릴레이와, 상기 푸시버튼과 병렬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을 눌렀을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켜주기 위한 제4-1접점과,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4-2접점과, 상기 제4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접점을 개폐시키기 위한 타이머와, 상기 푸시버튼과 직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접점이 개방되는 타이머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전력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던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함과 함께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기 누전 등에 따른 화재와 같은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제어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전력 제어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제어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실내에서 실외로 연결되는 장소에 설치된 출입문(D)의 개폐에 연동되어 사용자의 재실 또는 외출 여부를 판단하여 분전반(10)을 통해 실내 가전기기로 흐르는 전력을 제어하는 대기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와, 개폐스위치(20)와, 인체감지센서(30)와, 마그네틱 접점(40)과, 제1릴레이(50)와, 제1-1접점(51)과, 제1-2접점(52)과, 제2릴레이(60)와, 제2-1접점(61)과, 제2-2접점(62)과, 제3릴레이(70)와, 제3접점(71)과, 제4릴레이(80)와, 제4-1접점(81)과, 제4-2접점(82)과, 타이머(90)와, 타이머접점(91)과, 푸시버튼(P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는 분전반(10)을 통해 실내 가전기기로 흐르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외출 여부에 따라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가 개폐됨으로써 상기 분전반(10)을 통해 실내 가전기기로 흐르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스위치(20)는 상기 출입문(D)의 개폐에 연동되어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외출 여부에 따라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가 개폐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열었을 경우 후술할 상기 제3접점(71)을 폐쇄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밖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제3접점(71)을 개방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이 인가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제3접점(71)을 폐쇄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회로구동전원을 소정의 시간동안 흐르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후술할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폐쇄되므로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후술할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기 때문에 후술할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후술할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게 되므로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동작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동작하지만 후술할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은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3릴레이(70)는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후술할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은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발생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전력 제어 스위치를 폐쇄하여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은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열었을 경우와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 이 두 가지 경우에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고,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열었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개방되므로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은 인가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2접점(52)은 개방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3릴레이(70)는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폐쇄되므로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게 되므로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동작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동작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은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3릴레이(70)는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는 상기 개폐스위치(20)가 폐쇄되었을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폐스위치(20)가 폐쇄되었을 경우는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와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밖에서 닫았을 경우가 있다.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폐쇄되고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게 되므로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동작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동작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은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3릴레이(70)는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밖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가 폐쇄되어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밖에서 닫아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지 않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지 않아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2접점(52)과 상기 제2-2접점(62)은 폐쇄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개방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지 않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개방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60)는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제2릴레이(6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폐쇄되고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게 되므로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동작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동작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은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3릴레이(70)는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는 상기 제2릴레이(60)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열었을 경우와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열었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개방되므로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은 인가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2접점(52)은 개방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3릴레이(70)는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폐쇄되므로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안에서 닫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게 되므로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동작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동작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은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3릴레이(70)는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1접점(51)은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60)로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스위치(20)가 폐쇄되었을 경우를 말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닫았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폐쇄되므로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제1-1접점(51)은 폐쇄되어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1접점(61)은 상기 제1-1접점(51)과 직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인체감지센서(30)의 동작이 끊어지더라도 자동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60)에 인가하여 전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게 되면 단선이 되는데, 이때 상기 제2-1접점(61)이 폐쇄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에 지속적으로 회로구동전원을 흐르게 하여 실내 가전기기로 전력이 차단되지 않고 흐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2접점(52)은 상기 제1-1접점(51)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3릴레이(70)로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스위치(20)가 폐쇄되었을 경우를 말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닫았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폐쇄되므로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2접점(62)은 상기 제1-2접점(52)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릴레이(6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3릴레이(70)로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상기 제2릴레이(6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면 개방하는 것을 말한다.
즉, 상기 제2릴레이(6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없게 되고, 상기 제2릴레이(6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게 되면 상기 제2-2접점(62)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접점(71)은 상기 마그네틱 접점(40)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3접점(71)은 개방되므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없게 되고,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접점(71)은 폐쇄되므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시버튼(PB)은 사용자가 밖에서 상기 출입문(D)을 닫아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동작신호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동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외출하기 위해 상기 출입문(D)을 닫더라도 내부에 있는 다른 사용자를 위해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4릴레이(80)는 상기 푸시버튼(PB)과 직렬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눌렀을 경우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11)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밖에서 닫았을 경우 상기 개폐스위치(20)가 폐쇄됨으로써 상기 개폐스위치(2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릴레이(5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릴레이(50)가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제1-2접점(52)은 폐쇄되어 상기 제3릴레이(70)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을 밖에서 닫아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지 않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60)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지 않아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2접점(52)과 상기 제2-2접점(62)은 폐쇄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개방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지 않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개방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눌렀기 때문에 상기 제4릴레이(8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이때 상기 제4릴레이(8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하게 되면 후술할 상기 제4-1접점(81)과 후술할 상기 제4-2접점(82)은 폐쇄되어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2릴레이(6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6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지만 상기 제2-2접점(62)은 개방되므로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3릴레이(7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제3접점(71)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3접점(7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그네틱 접점(40)으로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상기 분전반(10)에 있는 상기 대기 전력 스위치(11)가 폐쇄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밖에서 상기 출입문(D)을 닫았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누르게 됨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1접점(81)은 상기 푸시버튼(PB)과 병렬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눌렀을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누르고 있을 경우에는 스위치가 폐쇄되어 회로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지만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누르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위치가 개방되어 회로구동전원이 흐르지 않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누르고 있을 경우에는 회동구동전원이 흐르게 되어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유지시키지만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누르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회로구동전원이 흐르지 않음으로써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아 내부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은 실내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4-1접점(81)은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눌렀을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켜줌으로써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2접점(82)은 상기 인체감지센서(30)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릴레이(8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60)로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밖에서 상기 출입문(D)을 닫아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아 동작신호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4릴레이(80)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제4-2접점(82)은 폐쇄되므로 상기 제2릴레이(60)에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이머(90)는 상기 제4릴레이(80)와 병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접점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PB)을 눌렀을 경우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게 됨으로써 후술할 상기 타이머접점(91)의 접점은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개방되어 회로구동전원은 인가되지 않게 된다.
상기 타이머접점(91)은 상기 푸시버튼(PB)과 직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접점이 개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D) 밖으로 나가면서 상기 푸시버튼(PB)을 누르게 되면 회로구동전원이 상기 타이머(90)에 인가되어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타이머접점(91)은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회로구동전원이 상기 타이머(90)에 인가되어 동작하게 되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접점이 개방됨으로써 회로구동전원은 흐르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실내의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이 차단되었을 경우 대기전력이 차단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출입문(D) 밖에서도 들을 수 있는 알람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가 사용하던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함과 함께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기 누전 등에 따른 화재와 같은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대기 전력 제어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분전반
11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
20 개폐스위치
30 인체감지센서
40 마그네틱 접점
50 제1릴레이
51 제1-1접점
52 제1-2접점
60 제2릴레이
61 제2-1접점
62 제2-2접점
70 제3릴레이
71 제3접점
80 제4릴레이
81 제4-1접점
82 제4-2접점
90 타이머
91 타이머접점
PB 푸시버튼

Claims (1)

  1. 실내에서 실외로 연결되는 장소에 설치된 출입문의 개폐에 연동되어 사용자의 재실 또는 외출 여부를 판단하여 분전반을 통해 실내 가전기기로 흐르는 전력을 제어하는 대기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을 통해 실내 가전기기로 흐르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와;
    상기 출입문의 개폐에 연동되어 개폐되는 개폐스위치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회로구동전원을 소정의 시간동안 흐르게 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발생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분전반에 있는 상기 대기전력 제어 스위치를 폐쇄하여 실내 가전기기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마그네틱 접점과;
    상기 개폐스위치가 폐쇄되었을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릴레이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2릴레이와;
    상기 제2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3릴레이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1-1접점과;
    상기 제1-1접점과 직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동작이 끊어지더라도 자동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에 인가하여 전력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1접점과;
    상기 제1-1접점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3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1-2접점과;
    상기 제1-2접점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3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2-2접점과;
    상기 마그네틱 접점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3접점과;
    사용자가 밖에서 상기 출입문을 닫아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동작신호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동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과 직렬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을 눌렀을 경우 상기 마그네틱 접점으로 회로구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4릴레이와;
    상기 푸시버튼과 병렬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푸시버튼을 눌렀을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시켜주기 위한 제4-1접점과;
    상기 인체감지센서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릴레이에 회로구동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 회로구동전원을 상기 제2릴레이로 인가하기 위한 제4-2접점과;
    상기 제4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접점을 개폐시키기 위한 타이머와;
    상기 푸시버튼과 직렬로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접점이 개방되는 타이머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제어 장치.
KR1020100119669A 2010-11-29 2010-11-29 대기 전력 제어 장치 KR20120058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69A KR20120058053A (ko) 2010-11-29 2010-11-29 대기 전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69A KR20120058053A (ko) 2010-11-29 2010-11-29 대기 전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53A true KR20120058053A (ko) 2012-06-07

Family

ID=4660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669A KR20120058053A (ko) 2010-11-29 2010-11-29 대기 전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80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882A1 (ko) * 2013-10-16 2015-04-23 금호전기통신(주) 분전반 자동 차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882A1 (ko) * 2013-10-16 2015-04-23 금호전기통신(주) 분전반 자동 차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818B1 (ko) 콘센트 대기 전력 감소장치
RU2419932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1063382Y (zh) 一种家用电器智能待机节电插座
KR100945210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101163114B1 (ko) 절전형 콘센트장치
CN102882364A (zh) 节能开关装置以及方法
KR101057982B1 (ko)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WO2007136213A1 (en) Electric outlet device
KR20120058053A (ko) 대기 전력 제어 장치
KR100918794B1 (ko) 대기 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KR200416937Y1 (ko) 무선 절전용 콘센트
KR100979259B1 (ko) 지능형 대기전력 자동 차단 방법
KR101137234B1 (ko) 절전용 콘센트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123735B1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10036451A (ko)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100061252A (ko) 대기전력차단용 절전장치
KR101367969B1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3211607U (ja) 待機回路、該待機回路を有するソケット、プラグ及び装置
KR20110080618A (ko)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CN210119676U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中手自动切换装置
KR20170128748A (ko)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전원공급장치
CN103502735A (zh) 节约微波炉中备用电源的装置
CN102890556B (zh) 一种显示终端
CN201601354U (zh) 一种红外线遥控节能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