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955A -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955A
KR20180034955A KR1020160124850A KR20160124850A KR20180034955A KR 20180034955 A KR20180034955 A KR 20180034955A KR 1020160124850 A KR1020160124850 A KR 1020160124850A KR 20160124850 A KR20160124850 A KR 20160124850A KR 20180034955 A KR20180034955 A KR 20180034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control
loa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955A/ko
Priority to US15/712,737 priority patent/US10468908B2/en
Priority to EP17193352.6A priority patent/EP3301214B1/en
Publication of KR20180034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by means of mobile telephony
    • H02J13/0075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40
    • Y02B4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3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1General power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제2제어부가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활성화 시점과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비활성화 시점을 입력받는 시간정보 설정단계; 제1제어부, 제1부하부 및 통신부에는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제2제어부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대기단계; 활성화 시점이 되면 제2제어부가 통신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통신부 전력공급단계; 통신부에 전력이 공급된 뒤 비활성화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이 통신부에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식기세척기, 오븐 등과 같은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고, 식기세척기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여 식기에 뭍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오븐은 조리재료를 가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의류의 세탁을 위한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를 제어하는 급수밸브,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로 구비되고, 의류의 건조를 위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분사암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 오븐은 조리재료와 같은 가열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가열대상이 수용된 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배출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종래 전자기기들 중에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이 있었다. 원격제어는 외출중인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원격제어 단말기(휴대폰 등)를 통해 각 전자기기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면, 해당 전자기기가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종래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는 각 전자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해야만 했다.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전자기기로 전송하면, 전자기기가 곧바로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각 전자기기에 전력이 공급된 상태(각 전자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시킨 채 외출해야만 외부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전자기기가 많은 대기전력(standby power)를 소비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가 소비하는 대기전력(standby power)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원격제어 모드를 설정하지 않고 외출하더라도,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적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제1부하부; 상기 제1부하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제어명령의 원격전송이 가능한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상기 전원과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1제어부 전력선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제1부하부를 연결하는 부하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는 전력 입력부; 상기 전원과 상기 통신부를 연결하며 통신부 스위치를 통해 개폐되는 통신부 전력선; 상기 부하부 전력선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부 스위치;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제어부와 통신 가능한 제2제어부; 상기 제2제어부에 항상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과 상기 제2제어부를 연결하는 제2제어부 전력선;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활성화 시점과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비활성화 시점을 입력받는 시간정보 설정단계;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제1부하부 및 상기 통신부에는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제2제어부에는 전력이 공급되는 대기단계; 상기 활성화 시점이 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통신부 전력공급단계; 상기 통신부에 전력이 공급된 뒤 상기 비활성화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 입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제어부 전력공급단계;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부하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하부 전력공급단계;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제1부하부를 제어하여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부하부를 작동시키는 제1부하부 작동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부하부 작동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제1부하부 및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부하부 작동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부하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 입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된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는 상기 활성화 시점의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활성화 시점과 상기 비활성화 시점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활성화 시점과 상기 비활성화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명령의 원격전송이 가능한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적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제1부하부; 상기 제1부하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전원과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1제어부 전력선, 상기 전원과 상기 제1부하부를 연결하는 부하부 전력선,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입력부를 연결하는 입력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는 전력 입력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원과 상기 통신부를 연결하는 통신부 전력선을 개폐하는 통신부 스위치; 상기 부하부 전력선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부 스위치; 및 제2제어부 전력선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통신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제어부와 통신 가능한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활성화 시점에서 비활성화 시점까지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부하부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과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 및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부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부는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부는 가열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가열대상이 수용된 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배출시키는 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원격제어 모드를 설정하지 않고 외출하더라도,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전자기기의 일례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전자기기의 일례로써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2)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의류를 수용부(2)에 투입하거나 드럼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1)가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11)는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13)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을 표시하는 컨트롤패널(5)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수용부(2)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1),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에는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와 터브 투입구(211)는 가스켓(21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는 지지부(215)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지지부는 터브(21)의 상부 원주면을 캐비닛(1)에 연결하는 스프링, 상기 터브의 하부 원주면을 캐비닛의 바닥면에 연결하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는 급수부(31, 33)를 통해 물을 공급 받고,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부(41, 43)를 통해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터브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31) 및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밸브(33)로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는 배수펌프(43) 및 상기 배수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4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4)은 상기 투입구(11) 및 터브 투입구(211)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241), 상기 드럼의 내부를 터브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243)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24)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모터는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도록 터브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245),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249),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24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수용부(2)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4)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외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공급덕트, 드럼 내부의 공기를 드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되는 팬 및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3)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의류처리장치가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을 표시하는 컨트롤패널(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5)에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53),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이 표시되는 표시부(57)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부하(load,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대상)들은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게 되는데, 상기 전력 입력부(51)는 전원과 상기 부하들을 연결하는 전력공급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전력 입력부(51)가 컨트롤패널(5)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부하들은 제1제어부(6) 및 제2제어부(7)의 제어를 받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구비된 부하는 상기 드럼(24)의 회전을 위해 구비된 모터의 스테이터(245), 급수부의 밸브(33), 배수부의 배수펌프(43), 컨트롤패널에 구비된 입력부(53) 및 표시부(57), 통신부(59)를 포함하는데, 상기 부하들은 제1제어부(6)의 제어를 받는 부하부(제1부하부)와 제2제어부(7)의 제어를 받는 부하부(제2부하부)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는 제1부하부는 상기 스테이터(245), 밸브(33) 및 배수펌프(43)로 구비되고, 제2부하부는 상기 입력부(53), 표시부(57) 및 통신부(59)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통신부(59)는 제어명령의 원격전송이 가능한 원격제어 단말기(9)와 통신하는 수단이고,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는 상기 통신부(59)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단말기(휴대폰 등)이다.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통신부(59)와 통신하는 단말기 통신부(93),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단말기 입력부(95), 상기 단말기 통신부(93)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9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 통신부(93), 단말기 입력부(95) 및 단말기 표시부(97)는 단말기 제어부(9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 입력부(95)를 통해 원격제어 단말기(9)에 입력된 제어명령은 상기 단말기 통신부(93)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송될 것이고,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서 발생한 정보는 상기 통신부(57)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6)는 제1부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제어부(7)는 제2부하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것은 사용자가 원격제어 모드를 설정하지 않고 외출해도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에서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의류처리장치(100)가 수신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00)가 소비하는 대기전력(standby power)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효과의 구현을 위해, 상기 제1제어부(6)는 제1제어부 전력선(85)을 통해 전원(8)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제2제어부 전력선(87)을 통해 전원(8)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제어부 전력선(85)에는 전력 입력부(5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력 입력부(51)가 제1제어부 전력선(85)이 형성하는 전력공급 회로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제어부(6)는 전원(8)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전력 입력부(51)가 제1제어부 전력선(85)이 형성하는 전력공급 회로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제어부(6)는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가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제어부 전력선(87)은 전원(8)과 제2제어부(7)를 연결하며, 상기 전력 입력부(51)가 제1제어부 전력선(85)을 개방했는지 폐쇄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제2제어부(7)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제어부(6)와 제2제어부(7)는 통신선(71)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제어부(6)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제2제어부(7)는 상기 통신선(71)을 통해 제1제어부(6)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제1제어부(6)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하부는 부하부 전력선(81)을 통해 전원(8)에 연결되는데, 상기 부하부 전력선(81)에 의해 형성되는 전력공급 회로는 상기 전력 입력부(51) 및 부하부 스위치(811)에 의해 개폐된다.
즉, 상기 제1부하부는 상기 전력 입력부(51) 및 부하부 스위치(811) 모두 부하부 전력선(81)을 폐쇄한 때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전력 입력부(51)와 부하부 스위치(811)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부하부 전력선(81)을 개방하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다. 상기 제1부하부 및 상기 부하부 스위치(811)는 제1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컨트롤패널(5)에 구비된 입력부(53) 및 표시부(57)는 상기 전력 입력부(51)에 의해 개폐되는 패널 전력선(83, 제2부하부 전력선)을 통해 전원(8)에 연결되는데, 상기 입력부(53)는 입력부 전력선(831)을 통해 전원(8)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부(57)는 표시부 전력선(833)을 통해 전원(8)에 연결된다.
상기 통신부(59)는 통신부 전력선(89, 통신부 제1전력선)과 통신부 제2전력선(83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전력선(89)에 의해 형성되는 전력공급 회로는 통신부 스위치(891)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통신부 제2전력선(835)에 의해 형성되는 전력공급 회로는 상기 전력 입력부(51)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통신부 스위치(891)는 제2제어부(7)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부 전력선(89)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59)는 상기 전력 입력부(51)가 통신부 제2전력선(835)을 폐쇄한 때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상기 제2제어부(7)가 통신부 스위치(891)를 통해 통신부 전력선(89)을 폐쇄한 때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패널 전력선(83), 제1제어부 전력선(85) 및 부하부 전력선(81)은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동시에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데, 상기 전력 입력부(51)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고, 제2제어부(7)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력 입력부(51)는 전원과 상기 부하들을 연결하는 전력공급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컨트롤패널(5)에 구비된 전력 입력부(51)를 눌러 상기 부하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력 입력부(51)를 누르지 않더라도 상기 제2제어부(7)가 전력 입력부(5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부하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3은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어방법은 통신부(59)에 전력이 공급되는 활성화 시점과 상기 통신부(59)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비활성화 시점을 설정하는 시간정보 설정단계(S1), 제2제어부(7)에는 전력을 공급하되 의류처리장치의 나머지 부하들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대기단계(S10),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를 통해 입력된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부(59)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통신부 전력공급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S1)는 상기 입력부(53)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활성화 시점과 비활성화 시점을 직접 입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에 구비된 단말기 입력부(95)를 통해 상기 활성화 시점과 비활성화 시점을 직접 입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53)를 통해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S1)가 진행될 경우, 사용자는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한 뒤 입력부(53)를 통해 시간정보를 입력해야 할 것이다.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S1)에서 설정되는 시간정보(상기 활성화 시점과 상기 비활성화 시점)는 상기 통신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통신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주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S1)는 상기 활성화 시간과 상기 비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준주기만을 설정하는 단계만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활성화 시점과 상기 비활성화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시점의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대기단계(S10)는 제2제어부 전력선(87)을 통해 제2제어부(7)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11), 상기 제1제어부(6)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제1제어부 전력공급 차단단계(S13),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하는 제1부하부 전력공급 차단단계(S15) 및 상기 통신부(59)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하는 통신부 전력공급 차단단계(S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제어부 전력공급 차단단계(S13) 및 제1부하부 전력공급 차단단계(S15)는 상기 전력 입력부(51)가 제1제어부 전력선(85) 및 부하부 전력선(81)에 의해 형성되는 전력공급 회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진행된다.
본 발명 제어방법이 의류처리장치(100)에 적용될 경우, 상기 제1부하부는 상기 드럼(24)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스테이터(245),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3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33), 터브(21)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43), 상기 드럼(24)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 차단단계(S17)는 상기 전력 입력부(51)가 통신부 제2전력선(835)에 의해 형성되는 전력공급 회로를 개방할 뿐만 아니라 상기 통신부 스위치(891)가 상기 통신부 전력선(89)에 의해 형성되는 전력공급 회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S30)는 상기 대기단계(S10)의 진행 중 시간정보 입력단계(S1)를 통해 설정된 활성화 시점이 되면 개시된다. 이와 달리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S30)는 상기 대기단계(S10)의 진행시간이 상기 시간정보 입력단계(S1)를 통해 설정된 기준주기에 도달하면 개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S30)는 통신부 전력선(89)을 통해 통신부(59)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로,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S30)에서 상기 제2제어부(7)는 상기 통신부 전력선(89)이 폐쇄되도록 상기 통신부 스위치(891)를 제어한다.
상기 통신부(59)에 전력이 공급되면, 본 발명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59)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를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진행(S60)한다.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S1)가 활성화 시점과 비활성화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로 구비되면 상기 기준시간은 활성화 시점과 비활성화 시점 간의 시간 차로 정의될 것이고,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S1)가 기준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로 구비되면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통신부에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시간으로 정의될 것이다.
상기 통신부에 전력이 공급(S30)된 뒤 상기 비활성화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기준시간 이내에) 원격제어 단말기(9)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59)에 수신되지 않으면(S60),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59)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대기단계(S10)를 재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통신부에 전력이 공급(S30)된 뒤 상기 비활성화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59)에 수신되었다면, 본 발명은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00)를 제어한다.
즉, 상기 통신부(59)에 수신된 제어명령이 시간정보(활성화 시점 및 비활성화 시점, 기준주기)를 변경하는 요청이면(A),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시간정보를 변경(S81)한 뒤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S60)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사용자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에 구비된 단말기 입력부(95)를 통해 상기 시간정보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제2제어부(7)는 상기 통신부(57)가 단말기 통신부(93)에서 발신된 활성화 시점 및 비활성화 시점(또는 기준주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때 시간정보 변경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59)에 수신된 제어명령이 제1부하부의 작동을 요청하는 신호이면(B),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1제어부(6)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82) 및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83)를 진행한다.
상기 제1제어부(6)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82)는 상기 제2제어부(7)가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통해 상기 제1제어부 전력선(85)에 의해 형성되는 전력공급 회로를 폐쇄함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83)는 상기 제1제어부(6)가 부하부 스위치(811)를 제어하여 부하부 전력선(81)에 의해 형성되는 전력공급 회로를 폐쇄함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제1제어부(6) 및 제1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부(59)를 통해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1부하부를 작동시키는 단계(S84)를 진행한다.
상기 제1부하부 작동단계(S84)가 완료되면(S85), 본 발명은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게 된다. 즉, 제1부하부 작동단계가 완료되면(S85), 본 발명은 제1제어부(6), 제1부하부 및 통신부(59)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제2제어부(7)에는 전력공급을 유지한다.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제어부(7)가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6) 및 상기 제1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제어부(7)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891)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59)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제어부(6)가 상기 부하부 스위치(811)를 제어하여 상기 제1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부(7)가 상기 전력 입력부(51)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6)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부(7)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891)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59)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격제어 모드를 설정하지 않고 외출하더라도(전원 입력부를 통해 제1부하부 및 제2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외출하더라도), 상기 통신부(59)가 기 설정된 시간정보에 따라 원격제어 단말기(9)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격제어 모드를 설정하지 않고 외출해도 외부에서 의류처리장치를 원격제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량을 최소화 가능하다.
이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통신부에 전력이 공급(S30)될 때마다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에 상기 통신부(59)가 활성화된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메시지 전송단계(S40)는 사용자로 하여금 원격제어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지만, 원격제어의 의사가 없는 사용자에게 상기 메시지 전송단계(S40)는 불필요한 메시지의 수신을 강요하는 불편함이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간정보 변경단계(S81)를 통해 시간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00)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나 오븐 등의 전자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식기세척기에 적용될 경우, 상술한 특징들 중 상기 제1부하부는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오븐에 적용될 경우, 상기 제1부하부는 가열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가열대상이 수용된 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배출시키는 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전자기기 1: 캐비닛 11: 투입구
13: 도어 21: 터브 24: 드럼
31: 급수관 33: 밸브 41: 배수관
43: 배수펌프 5: 컨트롤패널 51: 전력 입력부
53: 입력부 57: 표시부 59: 통신부
6: 제1제어부 7: 제2제어부 71: 통신선
8: 전원 81: 부하부 전력선 811: 부하부 스위치
831: 입력부 전력선 833: 표시부 전력선 835: 통신부 제2전력선
85: 제1제어부 전력선 87: 제2제어부 전력선 89: 통신부 전력선
891: 통신부 스위치 9: 원격제어 단말기

Claims (14)

  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적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제1부하부; 상기 제1부하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제어명령의 원격전송이 가능한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상기 전원과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1제어부 전력선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제1부하부를 연결하는 부하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는 전력 입력부; 상기 전원과 상기 통신부를 연결하며 통신부 스위치를 통해 개폐되는 통신부 전력선; 상기 부하부 전력선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부 스위치;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제어부와 통신 가능한 제2제어부; 상기 제2제어부에 항상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과 상기 제2제어부를 연결하는 제2제어부 전력선;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활성화 시점과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비활성화 시점을 입력받는 시간정보 설정단계;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제1부하부 및 상기 통신부에는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제2제어부에는 전력이 공급되는 대기단계;
    상기 활성화 시점이 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통신부 전력공급단계;
    상기 통신부에 전력이 공급된 뒤 상기 비활성화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 입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제어부 전력공급단계;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부하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하부 전력공급단계;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제1부하부를 제어하여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부하부를 작동시키는 제1부하부 작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부 작동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제1부하부 및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부 작동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단계를 재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부하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 입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된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통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 설정단계는 상기 활성화 시점의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전력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활성화 시점과 상기 비활성화 시점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활성화 시점과 상기 비활성화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0. 제어명령의 원격전송이 가능한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적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제1부하부;
    상기 제1부하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전원과 제1제어부를 연결하는 제1제어부 전력선, 상기 전원과 상기 제1부하부를 연결하는 부하부 전력선,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입력부를 연결하는 입력부 전력선을 동시에 개폐하는 전력 입력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원과 상기 통신부를 연결하는 통신부 전력선을 개폐하는 통신부 스위치;
    상기 부하부 전력선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부 스위치; 및
    제2제어부 전력선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통신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제어부와 통신 가능한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활성화 시점에서 비활성화 시점까지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부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과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 및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부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부는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부는 가열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가열대상이 수용된 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배출시키는 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60124850A 2016-09-28 2016-09-28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20180034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850A KR20180034955A (ko) 2016-09-28 2016-09-28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US15/712,737 US10468908B2 (en) 2016-09-28 2017-09-22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17193352.6A EP3301214B1 (en) 2016-09-28 2017-09-27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850A KR20180034955A (ko) 2016-09-28 2016-09-28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955A true KR20180034955A (ko) 2018-04-05

Family

ID=5997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850A KR20180034955A (ko) 2016-09-28 2016-09-28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68908B2 (ko)
EP (1) EP3301214B1 (ko)
KR (1) KR201800349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8906A (zh) * 2020-08-21 2020-12-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诸城市供电公司 一种基于安全监控的配电柜及安全监控方法
WO2024071627A1 (ko) * 2022-09-27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대기 전력을 저감하는 전원 제어 회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97989A1 (en) * 2018-12-19 2020-06-25 DPFSource LLC Flush Station
KR102627105B1 (ko) * 2019-02-07 2024-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DE102022205687B3 (de) 2022-06-03 2023-10-12 BSH Hausgeräte GmbH Vorhersagendes Steuern eines Haushaltsgeräts
CN114941227A (zh) * 2022-06-30 2022-08-26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237A (en) 1980-05-14 1985-07-23 Bar On Yair Energy conservation circuit for standby operation
DE59409457D1 (de) * 1993-01-30 2000-08-24 Thomson Brandt Gmbh Videorecorder
JP3403765B2 (ja) 1993-09-13 2003-05-06 株式会社アルファ 遠隔操作装置
JP2000092754A (ja) * 1998-09-14 2000-03-31 Toshiba Corp 電気機器の電源回路
DE60236032D1 (de) 2001-07-04 2010-05-27 Lg Electronics Inc Betriebsverfahren für eine mit Internet gesteuerte Waschmaschine
DE102008040744A1 (de) 2008-07-25 2010-01-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eine Geschirrspül- oder eine Waschmaschine
GB2464661A (en) 2008-08-21 2010-04-28 Gspk Design Ltd Power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field module and controller
DE102008042832A1 (de) 2008-10-14 2010-04-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lektrogerät mit einem Bereitschaftsmodul
JP2011082745A (ja) 2009-10-06 2011-04-21 San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KR100975642B1 (ko) * 2009-10-29 2010-08-17 주식회사 서비전자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313583A1 (en) * 2010-06-22 2011-12-22 Unified Packet Systems Corp. Integrated Wireless Power Control Device
TWI497859B (zh) * 2012-08-09 2015-08-21 電子裝置及其電源控制方法
JP6364204B2 (ja) 2014-02-27 2018-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8906A (zh) * 2020-08-21 2020-12-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诸城市供电公司 一种基于安全监控的配电柜及安全监控方法
WO2024071627A1 (ko) * 2022-09-27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대기 전력을 저감하는 전원 제어 회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1214B1 (en) 2018-12-19
US10468908B2 (en) 2019-11-05
US20180090982A1 (en) 2018-03-29
EP3301214A1 (en)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955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US10718080B2 (en)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90029B1 (ko) 의류처리장치
US10697104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remotely controlled airfl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970142B2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20012135A1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52207A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150067970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35710B2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home appliance
US20120023681A1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366164B (zh) 衣物处理设备及包含该衣物处理设备的在线系统的控制方法
US10233586B2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0965261B (zh) 洗衣机
KR2017009064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9917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092937B2 (en) Electric product
KR2020011088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21007635A (ja) 衣類処理装置
CN110295486A (zh) 洗衣机
US11946187B2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al washing of electronic devices 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US10544531B2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8007225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22175354A (ja) 洗濯機、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15047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03111B1 (ko)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