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365B1 -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365B1
KR101520365B1 KR1020130031937A KR20130031937A KR101520365B1 KR 101520365 B1 KR101520365 B1 KR 101520365B1 KR 1020130031937 A KR1020130031937 A KR 1020130031937A KR 20130031937 A KR20130031937 A KR 20130031937A KR 101520365 B1 KR101520365 B1 KR 101520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power
charging device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065A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ublication of KR20130109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02J7/008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02J7/007186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obtained with the battery disconnected from the charge or discharge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압을 발생하는 충전전압발생부(15)를 구비하는, 배터리(21) 충전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장치(10)를 개시한다. 본 충전장치는, 충전동작에 필요한 연산 및 비교판단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12)와, 상기 충전전압 발생부(15)와 배터리(21) 사이에 배치되고, 다수의 다이오드들(D1, D2, D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21)의 전압과 충전전압(Vd)이 충전장치(10)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11)와, 상기 제어부(12)와 AC 전원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장치에 AC 전원을 공급/차단하기 위한 릴레이(K1)를 포함하는 구동부(13)와, 배터리(21)의 충전시 접촉불량이나 충전완료를 알려 주기 위한 경보수단과, 그리고 피충전기(20)와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컨넥터(16)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장치는, 충전이 완료되거나 피충전기에서 배터리를 분리하면, 충전장치의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BATTERY CHARGER FOR CUTTING-OFF STANDBY ELECTRIC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전장치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용 충전장치에서 충전이 완료되거나 피충전기 배터리를 분리하면 충전장치의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 한 것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OECD 회원국에 있어 가정의 평균전력소비량의 적어도 10% 이상이 대기전력으로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알려져 있다. 대기전력(Standby Electric Power)이란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 전원 플러그가 통상적으로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전자기기의 미사용 시에도 계속해서 어떤 이유로 소모되고 있는 전력을 지칭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대기전력의 효과적인 차단이 각종 전자기기 등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들 중의 하나로 대두 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충전장치의 수량은 어마어마한 것으로서, 휴대폰 충전기만 약 48억대 정도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여기에 각종 전동공구용 충전장치 등까지 합하면 그 수량은 상상하는 것보다도 훨씬 많을 것이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충전장치의 사용시,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하루에 실제 충전을 하지 않는 시간을 20시간이라 가정할 경우, 충전장치를 계속해서 콘센트에 삽입해 놓고 있다면, 해당 충전장치 당 평균적으로 약 0.5W 의 대기전력이 낭비된다고 추산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체적으로는 하루에 약 2.4GWH의 전력이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낭비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만큼의 대기전력이 낭비되어버리고, 국가적으로는 이렇게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이고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것은 궁극적으로는 환경오염의 요인이 되는 등의 제반 문제가 초래된다고 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각종 전자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에 있어, 충전이 완료되거나 피충전기를 분리하여도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에서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하지 않으면 충전장치에서 상당한 대기전력이 소모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56,119호는 대기전력 차단용 배터리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바, 전원차단부, 역률개선부, 전원변환부, 변환전원 차단부, 배터리 충전부, 과전원 차단부, 전위 검출부, 배터리 상태 감지부, 배터리연결 감지부, 배터리 용량 감지부, 프로그램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충전장치는, 무효전력을 억제하여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역율제어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해질 수도 있어,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단가가 상승할 수도 있으므로, 종전보다 더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배터리 전용 충전장치의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1973호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바, 휴대폰 또는 충전용 배터리 케이스를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로부터 분리하거나, 휴대폰 배터리가 만충전 된 상태에서 충전기로 입력되는 AC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휴대폰 충전기에서 쓸모없이 낭비되었던 대기전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장치는 주로 휴대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더 간단한 구성과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써 제조가능한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충전장치의 필요성은 여전히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에 충전을 하기 위해서 충전장치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충전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수행되는 한편, 충전중 충전장치와 배터리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면 경보를 제공하고, 그 충전장치에서 배터리를 분리하거나 배터리가 만충전되면 자동으로 충전장치에 대한 입력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소모를 완전하게 차단하도록 고안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르면, 배터리가 과방전되어 충전장치에 연결하여도 충전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충전장치가 정상 동작 되도록 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AC 전원을 입력하여 배터리(2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압을 발생하는 충전전압 발생부(15)를 구비하는, 배터리(21) 충전 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장치(10)가 제공되는바, 상기 중전장치는,
상기 충전장치(10)의 충전동작에 필요한 연산 및 비교판단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12)와,
상기 충전전압 발생부(15)와 상기 배터리(21) 사이에 배치되고, 다수의 다이오드들(D1, D2, D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배터리(21)의 전압과 충전전압(Vd)이 충전장치(10)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11)와,
상기 제어부(12)와 상기 AC 전원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전압발생부(15)에 대하여 상기 AC 전원을 공급/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K1)를 포함하는 구동부(13)와,
상기 배터리(21)의 충전시 접촉불량이나 충전완료를 알려 주기 위한 경보수단과,
충전시 상기 배터리(21)를 수용하는 피충전기(20)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8)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장치는 AC 전원단과 충전전압 발생부(15)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21)의 과방전시 상기 충전장치(10)를 수동으로 정상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14)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류방지부(11)는, 상기 배터리(21) 전압과 충전 전압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피충전기(20) 내의 배터리와 상기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원단(Vc)에 제공하도록 접속된 다이오드들(D1, D2)과,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단(Vc)에 전달하도록 접속된 다이오드(D3)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제어부(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하는 버저(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21) 충전 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장치(10)의 제어방법이 제공되는바, 상기 제어방법은,
배터리(21)가 연결될 경우, 배터리의 전원이 제어부(12)에 전원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12)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μ-COM)는 정상 동작하며 상기 충전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동부(13)를 제어함으로써 AC 전원이 상기 충전장치(1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충전이 완료시에는, 정상적으로 충전이 완료되어 소정의 충전전압(Vs)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부(13)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켜 릴레이(K1)를 차단시킴으로써 전원이 차단되어 대기전력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슬립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장치(10)에 의한 충전 중 배터리 접촉불량 발생시, 충전전압(Vd)의 변화가 급속하게 일어나는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t1) 이내에 그 전압변동이 소정의 전압값(Vv)이상 변동하는가를 판단하여, 상기한 시간(t1) 이내에 상기한 전압값(Vv) 이상 변화가 발생 되면 경보수단에 소정의 경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를 충전장치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충전장치가 동작하고, 배터리가 만충전 되거나 충전장치에서 분리되면 자동으로 충전장치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해당 충전장치를 콘센트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충전장치의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낭비되었던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는 물론, 불필요한 전력의 생산시 발생될 수 있는 CO2 총량을 감소시켜 지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 구성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회로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피충전기, 역류방지부, 충전전압 발생부, 구동부, 마이크로프로세서(u-COM), 배터리, 커넥터, 스위치, 케이블 등과 같은 특정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명칭이 지칭되어 있는데, 이들은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되는 발명의 영역과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유사한 기능을 갖는 소자들을 사용하거나 상응하는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회로도로서, 충전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충전장치(10)는 충전동작에 필요한 연산 및 비교판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μ-COM)(1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마이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충전장치(10)는 또한 배터리(21) 전압과 충전 전압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세 개 또는 다수의 다이오드들(D1, D2, D3)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역류방지부(11)를 포함하며, 여기서 다이오드(D2, D3)의 음극(-)은 제어부(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Vc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충전장치(10)는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수단으로서 릴레이(K1)와 그 릴레이(K1)에 일단이 접속된 트랜지스터(Q1)를 구비하는 구동부(13), 및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충전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될 때 배터리(21)의 충전에 필요한 DC전원을 만들어 공급하는 충전전압 발생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의 출력단자(O2)는 구동부(13)의 릴레이(K1)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에 접속되어 릴레이를 온/오프하도록 제저하고, 그것의 또 다른 출력단지(O3)는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하는 버저(16)에 접속되어 필요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충전장치(10)에 연결하여 충전을 하고자 하는 배터리(21)가 과방전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21)를 충전장치(10)에 연결하여도 제어부(12)가 정상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충전장치(10)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위치(14)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14)는 AC 전원단과 충전전압 발생부(15)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어, 일종의 수동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버저(16)가 제어부(12)의 일 출력단(O3)에 접속되어, 충전장치(10)의 충전중 접촉불량이 되거나 충전이 완료되면, 소정의 경보를 제공한다. 또한 충전시 배터리(21)를 내부에 장착하는 피충전기(20)를 케이블(17)을 통해 충전장치(10)에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18)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충전장치(1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충전을 하기 위해 피충전기(20)를 충전장치(10)의 커넥터(18)에 연결하면, 배터리(21)에 남아있는 전원이 역류방지부(11)의 다이오드(D2)를 통해 제어부(12)에, 즉 마이크로프로세서(μ-COM)에 전원으로 공급되면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정상 동작하며 충전장치(10)에 외부 AC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출력(O2)을 '하이' 상태로 출력하여 구동부(13)의 트랜지스터(Q1)을 '턴-온'시켜 릴레이(K1)가 활성(energized) 상태가 됨으로써 접점들(C1,C2 및 C3,C4)가 접속되어서 AC 전원이 충전장치(10)에 공급된다.
상기 접점들이 접속되면, 충전전압 발생부(15)에 AC 전원이 공급되고 충전에 필요한 전압을 역류방지부(11)의 다이오드(D1)를 통해서 포인트 B의 전압(이하, Vb 라 지칭함)보다 약 0.6V정도 낮은 포인트 A의 전압(이하, 전압 Va라 지칭함)을 케이블(17)과 커넥터(18)를 통해 배터리(21)에 공급하여 충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포인트 B의 전압 Vb는 다이오드(D3)를 통해 포인트 C의 전압(이하, 전압 Vc라 칭함)은 상기 전압 Vb 보다 약 0.6V정도 낮은 전압으로서 배터리 전압 대신 제어부(12)의 제어부(12)의 Vc 단자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μ-COM)에 공급되므로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정상 동작을 계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2)는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전압(Vb)보다 0.6V 낮은 전압이 되므로 오픈상태가 되므로 포인트 A 및 C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상기 제어부(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포인트 D의 충전전압(이하, Vd라 칭함)을 입력단자 AD1을 통해 모니터링함으로써 출력단(O1)을 통해 충전전압 발생부(15)를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피충전기(20)에 적절한 충전전압(Vd)이 계속해서 공급되도록 한다.
역류방지부(11)는 충전전압 발생부(15)와 피충전기(20) 사이에 접속되는 한편, 제어부(12)와는 Vc 입력단과 접속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다이오드들(D1, D2 및 D3)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선 추가 없이도 기존의 충전장치와 마찬가지로 2선만을 이용하여 대기전력의 차단이 가능해지고, 배터리(21) 충전 및 충전장치(10)에 대한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만일 충전 도중, 예를 들어, 커넥터(18)에서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충전전압(Vd)가 비교적 짧은 시간에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2)는 충전전압의 이러한 급격한 변화를 입력단 AD1을 통해 모니터하게 되어, 피충전기(20)의 컨넥터가, 예컨대 분리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제어부(12)의 출력(O3)을, 예를 들면, '하이'에서 '로우'로 제공하여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버저(16)를 통해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피충전기(20)의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거나 커넥터의 연결상태가 불량한 것을 알 수가 있게 된다..
일단 정상적으로 충전이 완료되어, 충전전압 Vd가 충전완료전압(이하 전압 Vs라 칭함)에 도달되면,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것을 입력단(AD1)을 통해 모니터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2)는, 충전전압이 Vd = Vs에 도달하면 만충전 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의 출력(O2)을 '로우'로 제어하여 구동부(13)의 트랜지스터(Q1)을 '턴-오프'시키고, 이로써 릴레이(K1)를 비활성(de-energized) 상태로 스위칭하게 함으로써 접점들(C1,C2 및 C3,C4)이 오픈 상태로 되고 전원이 차단되어 충전장치의 대기전력은 완전히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한 접점들(C1,C2 및 C3,C4)이 오픈 상태로 되어 AC 전원이 차단되고나면, 충전전압 Vd는 공급되지 않아 제어부에는 배터리(21)의 전원이 역류방지부(11)의 다이오드(D2)를 통해서 공급되고, 이때 역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들(D1, D3)의 존재로 인하여 충전장치 쪽으로 배터리(21)가 방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충전이 완료되면 슬립모드로 진행하여 배터리(21)를 분리 할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만일 상기 배터리(21)가 피충전기(20)에서 분리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면, 상기와 같은 제어과정이 반복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μ-COM)는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의 제품인 저전력 마이콤(Low-Power MiCOM)을 사용하여 구현 가능한데, 이러한 저전력 마이콤를 적용하면, 슬립모드 시 소비전류는 1μA 이하로서, 해당 배터리가 1000mAh일 경우 다 방전이 되려면, 대략 추산하여 적어도 1,000,000시간(약 115년)이 소요될 것이므로 이러한 방전량은 무시하여도 좋을 것이다.
한편, 배터리(21)가 과방전된 경우, 피충전기(20)의 배터리(21)를 연결하여도 제어부가 정상 동작 되지 않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접점들(C5, C6 및 C7,C8)을 구비하는 수동스위치(14)가 AC 전원단과 충전전압 발생부(15)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만일 예컨대 배터리가 과방전되어 있거나, 기타 비상시에, 상기 스위치(14)의 노브를 누르면, 접점 C5 및 C6와 접점 C7 및 C8이 접속되어 충전전압 발생부(15)가 동작하게 되고, 이로써 제어부(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역류방지부(11)의 다이오드(D3)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차단 제어수단의 기능을 하는 구동부(13)를 제어함으로써 접점(C1, C2) 및 접점(C3, C4)가 접속되어 AC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노브를 놓으면 접점들(C5, C6 및 C7, C8)은 '오픈' 상태로 되어 수동 스위치는 끊어진다. 이때, 충전전압이 발생되어 공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개시된다.
이제, 충전중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이것을 판단 및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만일 배터리가 분리되면 만충전 전압(Vs)으로 충전전압(Vd)이 급속하게 변화되는데, 이때 일정시간(이하 "t1"이라 칭함. 예를 들어 1분으로 가정한다) 이내에 전압변동이 일정전압(이하 "Vv"이라 칭함, 예를 들어 0.3V 로 가정한다) 이상 변동하게 되면, 제어부(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것을 접촉불량으로 판단하여 제어를 한다. 즉, 시간 t1 이내에 Vv 이상의 변화가 발생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것을 모니터하여 버저(16)를 제어하여 소정의 경보음을 울림으로써 배터리 충전장치/피충전기에 접촉불량이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는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도록 구성한 충전장치의 구성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와 그의 균등물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그의 형태 및 세부사항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소정의 AC 전원을 입력하여 배터리(2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압을 발생하는 충전전압발생부(15)를 구비하는, 상기 배터리(21) 충전 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장치(10)에 있어서,
    피충전기(20)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장치(10)의 충전동작에 필요한 연산 및 비교판단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12)와,
    상기 충전전압발생부(15)와 상기 배터리(2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충전기(20)와 연결되고 구동부(13) 및 상기 제어부(12)와 각각 연결되며, 다수의 다이오드들(D1, D2, D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배터리(21)의 전압과 충전전압(Vd)이 상기 충전장치(10)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11)와,
    상기 제어부(12)와 상기 AC 전원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전압발생부(15)로 공급되는 상기 AC 전원을 공급/차단하기 위한 상기 충전전압발생부(15)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K1)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부(13)와,
    상기 배터리(21)의 충전시 접촉불량이나 충전완료를 알려 주기 위한 경보수단과,
    충전시 상기 배터리(21)를 수용하는 상기 피충전기(20)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8)를 포함하고,
    대기전력 차단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장치(10)에 상기 피충전기(20)가 연결되면 상기 피충전기(20)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21)에 남아있는 전원이 상기 제어부(12)에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충전장치(10)에 AC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구동부(13)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AC 전원단과 충전전압 발생부(15)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21)의 과방전시 상기 충전장치(10)를 수동으로 정상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14)를 더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충전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11)는, 상기 배터리(21) 전압과 충전 전압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피충전기(20) 내의 배터리와 상기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원단(Vc)에 제공하도록 접속된 다이오드들(D1, D2)과,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원단(Vc)에 전달하도록 접속된 다이오드(D3)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충전장치.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제어부(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하는 버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충전장치.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는 상기 제어부(12)에서의 제어신호 출력이 베이스로 인가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릴레이(K1)를 활성/비활성 상태로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충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10)는 배터리(21)와의 연결을 위하여 단지 2선으로 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충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1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충전을 하기 위해 피충전기(20)를 충전장치(10)의 커넥터(18)에 연결하면, 배터리(21)에 남아 있는 전원이 상기 역류방지부(11)의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제어부(12)에 전원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충전장치(10)에 외부 AC전원을 공급하도록 그 출력(O2)을 '하이' 상태로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13)의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상기 릴레이(K1)가 활성상태가 됨으로써 AC 전원이 상기 충전장치(10)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충전장치.
  8. 배터리(21) 충전 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장치(1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1)가 연결될 경우,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이 제어부(12)에 전원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12)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μ-COM)는 정상 동작하며 상기 충전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전압발생부(15)로 AC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동부(13)를 제어함으로써 AC 전원이 상기 충전장치(1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충전이 완료시에는, 정상적으로 충전이 완료되어 소정의 충전전압(Vs)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부(13)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켜 릴레이(K1)를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충전전압발생부(15)로 공급되는 AC전원이 차단되어 대기전력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슬립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충전장치(10)의 대기전력이 차단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장치(10)에 피충전기(20)가 연결되면 상기 피충전기(20)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21)에 남아있는 전원이 상기 제어부(12)에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충전장치(10)에 AC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구동부(1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10)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10)에 의한 충전 중 배터리 접촉불량 발생시, 충전전압(Vd)의 변화가 급속하게 일어나는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t1) 이내에 그 전압변동이 소정의 전압값(Vv)이상 변동하는가를 판단하여, 상기한 시간(t1) 이내에 상기한 전압값(Vv) 이상 변화가 발생 되면 경보수단에 소정의 경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제어부(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제공하는 버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130031937A 2012-03-26 2013-03-26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20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0353 2012-03-26
KR1020120030353 2012-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65A KR20130109065A (ko) 2013-10-07
KR101520365B1 true KR101520365B1 (ko) 2015-05-14

Family

ID=4926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937A KR101520365B1 (ko) 2012-03-26 2013-03-26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85457B2 (ko)
KR (1) KR101520365B1 (ko)
CN (1) CN104471823B (ko)
WO (1) WO2013147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4743B2 (en) 2013-10-29 2019-12-24 Velvetwire Llc Software controlled power supply
KR101693798B1 (ko) * 2015-05-08 2017-01-17 권나희 충전 잔량 표시 콘트롤러
KR20180078261A (ko) * 2015-11-26 2018-07-09 김창호 절전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모니터 또는 빔프로젝터
KR20180094613A (ko) * 2017-02-16 2018-08-24 김창호 낭비전력을 차단하는 모니터 및 전원어댑터와 그 제어방법
CN110932539A (zh) * 2019-12-13 2020-03-27 常州格力博有限公司 高压驱动器开关系统及其开关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19B1 (ko) * 2009-04-14 2010-05-04 (주)씨이에스티 대기전력 차단용 배터리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6958A (en) * 1995-12-15 1998-10-27 Ora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ditioning rechargeable batteries
JPH09233725A (ja) * 1996-02-20 1997-09-05 Brother Ind Ltd 急速充電回路
US5903764A (en) * 1997-05-02 1999-05-11 Micro International, Ltd. Smart battery selector offering power conversion internally within a portable device
JP3670522B2 (ja) * 1999-07-30 2005-07-13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KR100417339B1 (ko) 2001-07-28 2004-02-11 (주)이안테크놀로지 절전형 배터리 충전 장치
JP2003070172A (ja) * 2001-08-27 2003-03-07 Sharp Corp 複数バッテリシステム
JP2004282950A (ja) * 2003-03-18 2004-10-0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Acアダプタの待機電力遮断装置
KR100516659B1 (ko) 2003-08-07 200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마이크 잭을 이용한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US7382113B2 (en) * 2006-03-17 2008-06-03 Yuan Ze University High-efficiency high-voltage difference ratio bi-directional converter
CN101419434B (zh) * 2007-10-26 2012-08-29 王海 具有微功耗待机功能的容开电源
CN101329960B (zh) * 2008-06-06 2011-12-21 袁想平 一种实现零功耗待机的控制装置
KR20100096976A (ko) * 2009-02-24 2010-09-02 김창호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TWI390818B (zh) * 2009-07-14 2013-03-21 Richpower Microelectronics 改善充電器待機時之效率的裝置及方法,以及超低待機功率充電器
KR101121150B1 (ko) * 2010-02-10 2012-03-20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방법
RU2013102650A (ru) * 2010-06-23 2014-07-27 Макита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итания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KR101501918B1 (ko) 2011-06-08 2015-03-18 조한대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19B1 (ko) * 2009-04-14 2010-05-04 (주)씨이에스티 대기전력 차단용 배터리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71823B (zh) 2017-03-29
WO2013147489A1 (ko) 2013-10-03
CN104471823A (zh) 2015-03-25
KR20130109065A (ko) 2013-10-07
US9985457B2 (en) 2018-05-29
US20150015191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890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시스템
RU2392701C2 (ru) Комплект адаптер/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варианты), электроинструмент (варианты), использующий этот комплект, адаптер 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520365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2478B1 (ko)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20130093381A1 (en) Energy saving cable assembly
WO2011024479A3 (en) Electric operating machine
CN103066822A (zh) 电源启动电路
CN212725408U (zh) 电池管理电路和电源电路
CN104850021B (zh) 一种开关机系统
CN104467065A (zh) 充电设备
US20060259200A1 (en) Hybrid gen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521079B (zh) 用于防止能量存储设备过放电和重新操作能量存储设备的设备和方法
CN213027534U (zh) 应急储能装置和家用电器
JP6017563B2 (ja) 電池及びdc−dcコンバータを有する電気器具のための電力供給回路
JPWO2013136655A1 (ja) 充放電制御装置
CN102282736A (zh) 一种电源的开关控制电路及一种供电电路
KR101402062B1 (ko) 에너지 절약 효과가 우수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JP2015080375A (ja) 電力変換装置
JPH09308115A (ja) 充電装置
CN205882312U (zh) 一种智能插排
CN218867972U (zh) 一种双电源切换电路
CN216016467U (zh) 低压保护电路、装置及电器设备
JP2007325390A (ja) 充電装置
CN111641259A (zh) 一种电源模组与电池结合的不间断供电方法
KR20100120274A (ko) 영상기기 대기 전력 자동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