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912B1 -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912B1
KR101850912B1 KR1020160183509A KR20160183509A KR101850912B1 KR 101850912 B1 KR101850912 B1 KR 101850912B1 KR 1020160183509 A KR1020160183509 A KR 1020160183509A KR 20160183509 A KR20160183509 A KR 20160183509A KR 101850912 B1 KR101850912 B1 KR 10185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wer
type
pow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훈
Original Assignee
박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훈 filed Critical 박명훈
Priority to KR102016018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7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1General power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일실시예는 외부 전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력을 부하 측 기기로 전달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대한 콘센트를 통한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의 전원 접속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와 연동하여,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력 공급(ON) 명령을 무선으로 입력받는 경우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상기 전력을 강제 일괄 공급시키며,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력 차단(OFF)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전력을 강제 일괄 차단시켜, 콘센트에 연결된 부하 측 기기로의 전원을 일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하 측 기기로의 전력을 통합하여 차단하면서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로는 전력을 계속하여 공급해서 전원 공급 정지로 발생하는 해당 기기의 동작 멈춤 등에 따라 일어나는 점 등을 예를 들어, 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보관 중인 음식이 상하는 점 등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Apparatus for accessing power of outle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 출근시나 퇴근시 등에, 콘센트를 통한 부하 측 기기로의 전력을 일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는 콘센트를 통하여 전원을 부하 측 기기로 공급하는 동작과 차단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회사 등에서 사용자가 출근시나 퇴근시에 조작하여, 그를 통해 부하 측 기기로의 전원을 공급시키거나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은 아래와 같다.
- 아래 -
1)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08-0110206호, 발명의 명칭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
2)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08-0110208호, 발명의 명칭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그런데, 이러한 점과 관련하여, 콘센트를 통한 전원 차단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전원을 차단하고 더불어,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 중에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를 사용하며, 예를 들어 냉장고 등의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를 사용하며, 이러한 경우에 다른 기기와 더불어 전력 공급 정지할 경우 해당 기기의 동작 멈춤 등에 따라 보관 중인 음식이 상하는 점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는 특히, 부하 측 기기로의 전력을 일괄하여 차단할 경우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와 접속한 콘센트에 대한 전력도 차단한다.
그래서,
개시된 내용은, 부하 측 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운용 환경 하에서, 콘센트를 통한 전원 공급이나 차단을 자동으로 일괄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콘센트에 연결된 부하 측 기기로의 전력 차단시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와 접속한 콘센트에 대한 전력도 차단함으로 발생하는 점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와 연동하여,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력 공급(ON) 명령을 무선으로 입력받는 경우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상기 전력을 강제 일괄 공급시키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력 차단(OFF)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전력을 강제 일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더불어 콘센트를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1 유형 콘센트와 비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2 유형 콘센트로 각기 분류한 상이한 전원 사용시간 유형별 기기 삽입에 관한 콘센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하고, 외출 시 등에 따른 사용자의 일괄적인 전력 차단 명령 입력시 콘센트별로 현재 콘센트 유형을 확인하여, 현재 콘센트 유형이 제1 유형 콘센트로는 강제 전력을 공급시키고 제2 유형 콘센트로의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는 콘센트를 통한 부하 측 기기로의 전원 공급이나 차단을 무선으로 자동 일괄 원격 제어하여,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쉽게 콘센트를 통한 부하 측 기기의 전원 공급과 차단을 한다.
더불어, 부하 측 기기 특히, 가정용 부하 측 기기로의 전력을 통합하여 차단하면서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로는 전력을 계속하여 공급해서 전원 공급 정지로 발생하는 해당 기기의 동작 멈춤 등에 따라 일어나는 점 등을 예를 들어, 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보관 중인 음식이 상하는 점 등을 방지한다.
그리고,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사용처에 따라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콘센트의 개수나 위치를 조정하여 편의성 등을 높인다.
또한,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설정 콘센트 위치에 타 기기 구체적으로는, 비상시 전원 사용 기기 접속시 즉, 접속 오류시, 이를 감지해서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고, 나아가 그를 통해 조치를 받는다.
그리고, 부하 측 기기로 전력을 강제 일괄 차단하도록 설정한 상태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원할 경우 특정 기기만을 사용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는 외부 전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인터페이스부(101), 상기 전력을 부하 측 기기로 전달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102) 및, 상기 전력의 부하 측 기기 특히, 가정용과 관련된 부하 측 기기에 대한 콘센트를 통한 공급 동작을 제어하여 전력 공급(ON)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전력을 일괄 공급시키고, 전력 차단(OFF)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전력을 일괄 차단시키며 특히, 상이한 전원 사용시간 유형별 기기 삽입에 관한 콘센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해서(구체적으로는, 콘센트를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1 유형 콘센트와 비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2 유형 콘센트로 분류한 콘센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함), 전력 차단 명령 입력시 전력을 일괄적으로 전체 차단하지 않고 제1 유형 콘센트로는 강제 전력을 공급시키고 제2 유형 콘센트로의 전력을 차단시키는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추가로, 콘센트를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1 유형 콘센트와 비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2 유형 콘센트로 각기 분류한 상이한 전원 사용시간 유형별 기기 삽입에 관한 콘센트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나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사용처에 따라 제1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와 제2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한 콘센트의 전원 접속과 관련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키 입력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101)는 외부 전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가정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으로부터의 전력을 콘센트로 공급하는 것이다.
제2 인터페이스부(102)는 부하 측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외부 전선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콘센트를 통하여 부하 측 기기로 구체적으로는, 부하 측 기기로 전달하는 것이다.
제어부(103)는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대한 콘센트를 통한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리모트 콘트롤러(200)나 사용자 키 입력부(104) 등으로부터 전력 공급(ON)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콘센트에서 부하 측 기기로 전력을 일괄 공급시키며, 전력 차단(OFF)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콘센트에서 부하 측 기기로 전력을 일괄 차단시키는 것이다. 특히,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03)는 콘센트를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예: 냉장고 등)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1 유형 콘센트와 비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예: 컴퓨터 등)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2 유형 콘센트로 각기 분류한 상이한 전원 사용시간 유형별 기기 삽입에 관한 콘센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하고, 상기 전력 차단 명령 입력시 전력을 일괄적으로 전체 차단하지 않고 콘센트별로 현재 콘센트 유형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콘센트 유형이 제1 유형 콘센트인 콘센트로는 강제 전력을 공급시키고,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콘센트 유형이 제2 유형 콘센트인 콘센트로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도 1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는 먼저, 콘센트의 전원 접속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와 연동하여,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력 공급(ON) 명령을 무선으로 입력받는 경우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상기 전력을 강제 일괄 공급시킨다.
반면,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력 차단(OFF)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전력을 강제 일괄 차단시켜, 콘센트에 연결된 부하 측 기기로의 전원을 일괄 제어한다.
그 결과, 콘센트를 통한 부하 측 기기로의 전원 공급이나 차단을 무선으로 자동 일괄 원격 제어하여,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쉽게 콘센트를 통한 부하 측 기기의 전원 공급과 차단을 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콘센트에 연결된 부하 측 기기로의 전력 차단시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와 접속한 콘센트에 대한 전력도 차단함으로 발생하는 점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일실시예는 상호 간에 상이한 전원 사용시간 유형별 기기 삽입에 관한 콘센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한다(S201).
즉, 콘센트를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1 유형 콘센트와 비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2 유형 콘센트로 각기 분류한 상이한 전원 사용시간 유형별 기기 삽입에 관한 콘센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한다.
다음, 사용자가 집에서 외출하는 경우 등에 기기로의 전력을 전체 일괄적으로 차단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콘센트의 전원 접속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나 사용자 키 입력부를 통하여 전력 차단(OFF) 명령을 입력받는다(S202).
그리고, 상기 전력 차단(OFF) 명령 입력시, 콘센트별로 현재 콘센트 유형을 확인한다(S203).
다음,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콘센트 유형이 제1 유형 콘센트인 콘센트로는 강제 전력을 공급시킨다(S204).
즉, 현재 콘센트 유형이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어, 냉장고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1 유형 콘센트인 콘센트로는 전력 차단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콘센트에서 부하 측 기기로 전력을 일괄 전체 차단하지 않고, 강제 전력을 공급시킨다.
반면,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콘센트 유형이 제2 유형 콘센트인 콘센트로는 전력을 차단시킨다(S205).
즉, 현재 콘센트 유형이 비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어, 컴퓨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2 유형 콘센트인 콘센트로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그 결과, 일괄적인 전력 차단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로는 전력을 계속하여 공급하여, 전원 공급 정지로 발생하는 기기 동작 멈춤 등에 따라 일어나는 점 등을 예를 들어, 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보관 중인 음식이 상하는 점 등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콘센트를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1 유형 콘센트와 비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2 유형 콘센트로 각기 분류한 상이한 전원 사용시간 유형별 기기 삽입에 관한 콘센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하고, 외출 시 등에 따른 사용자의 일괄적인 전력 차단 명령 입력시 콘센트별로 현재 콘센트 유형을 확인하여, 현재 콘센트 유형이 제1 유형 콘센트로는 강제 전력을 공급시키고 제2 유형 콘센트로의 전력을 차단시켜, 부하 측 기기로의 전력을 통합하여 차단하면서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로는 전력을 계속하여 공급해서, 전원 공급 정지로 발생하는 해당 기기의 동작 멈춤 등에 따라 일어나는 점 등을 예를 들어, 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보관 중인 음식이 상하는 점 등을 방지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콘센트를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변경해서, 구체적으로는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사용처에 따라 그 개수나 위치를 조정하여 편의성 등을 높인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사용처에 따라 제1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와 제2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등록하고, 상기 전력 차단 명령 입력시, 현재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사용처에 대응하는 제1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와 제2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해서 제한적으로 제1 유형 콘센트로 강제 전력을 공급시키거나 제2 유형 콘센트로 전력을 차단시킨다.
한편, 일실시예는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설정 콘센트 위치에 타 기기 구체적으로는, 비상시 전원 사용 기기 접속시 즉, 접속 오류시, 이를 감지해서 관리자에게 알린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일실시예는 콘센트별로 해당 콘센트 유형에 대응하는 설정 연속 시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콘센트의 설정 연속 시간 단위 동안 전력 공급 시간과 해당 콘센트 유형에 대응하는 설정 전력 공급 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제1 유형 콘센트 즉,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1 유형 콘센트의 설정 연속 시간 단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이 설정 전력 공급 시간 내인 경우 접속 오류로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자동 알림한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제1 유형 콘센트의 설정 연속 시간 단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이 설정 전력 공급 시간 외인 경우 접속 정상으로 미알림한다.
한편, 상기 비교 결과 제2 유형 콘센트 즉, 비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2 유형 콘센트의 설정 연속 시간 단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이 설정 전력 공급 시간 외인 경우 접속 오류로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자동 알림한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제2 유형 콘센트의 설정 연속 시간 단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이 설정 전력 공급 시간 내인 경우 접속 정상으로 미알림한다.
그 결과,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설정 콘센트 위치에 타 기기 구체적으로는, 비상시 전원 사용 기기 접속시 즉, 접속 오류시, 이를 감지해서 관리자에게 알림으로, 그를 통해 조치를 받는다.
한편, 일실시예는 일괄적인 전력 차단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부하 측 기기로 전력을 강제 일괄 차단하도록 설정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특정 기기만을 사용할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는 일시 전력 공급장치를 구비하여(도 1 참조, 부호 300 : 일시 전력 공급장치), 이러한 설정 일시 전력 공급장치 삽입 여부를 감지해서, 상기 감지 결과 설정 일시 전력 공급장치 삽입을 감지한 경우 일괄적인 상기 전력 차단 명령 입력시, 상기 설정 일시 전력 공급장치 삽입한 콘센트로 강제 전력을 공급시킴으로, 그를 통해 해당 기기로 전력을 일시 공급해서 사용자는 원하는 특정 기기를 사용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제1 인터페이스부 102 : 제2 인터페이스부
103 : 제어부 104 : 사용자 키 입력부
200 : 리모트 콘트롤러 300 : 일시 전력 공급장치

Claims (5)

  1. 외부 전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력을 부하 측 기기로 전달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대한 콘센트를 통한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의 전원 접속을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력 공급 명령을 무선 입력받는 경우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상기 전력을 강제 일괄 공급시키며,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력 차단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의 부하 측 기기에 전력을 강제 일괄 차단시켜, 전원을 일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콘센트별로 콘센트 유형에 대응하는 설정 연속 시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을 카운트하고, 제1 유형 콘센트의 설정 연속 시간 단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이 설정 전력 공급 시간 내인 경우 접속 오류로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자동 알림하고 제1 유형 콘센트의 설정 연속 시간 단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이 설정 전력 공급 시간 외인 경우 접속 정상으로 미알림하며, 제2 유형 콘센트의 설정 연속 시간 단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이 설정 전력 공급 시간 외인 경우 접속 오류로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자동 알림하고 제2 유형 콘센트의 설정 연속 시간 단위 동안 전력 공급 시간이 설정 전력 공급 시간 내인 경우 접속 정상으로 미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를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1 유형 콘센트와 비상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제2 유형 콘센트로 각기 분류한 상이한 전원 사용시간 유형별 기기 삽입에 관한 콘센트 정보를 설정하여 등록하고, 상기 전력 차단(OFF) 명령 입력시 콘센트별로 현재 콘센트 유형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콘센트 유형이 제1 유형 콘센트인 콘센트로는 강제 전력을 공급시키고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콘센트 유형이 제2 유형 콘센트인 콘센트로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사용처에 따라 제1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와 제2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등록하고, 상기 전력 차단 명령 입력시 현재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사용처에 대응하는 제1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와 제2 유형 콘센트 개수나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해서 제한적으로 제1 유형 콘센트로 강제 전력을 공급시키거나 제2 유형 콘센트로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 일시 전력 공급장치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 결과 설정 일시 전력 공급장치 삽입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전력 차단(OFF) 명령 입력시, 상기 설정 일시 전력 공급장치 삽입한 콘센트로 강제 전력을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KR1020160183509A 2016-12-30 2016-12-30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KR10185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09A KR101850912B1 (ko) 2016-12-30 2016-12-30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09A KR101850912B1 (ko) 2016-12-30 2016-12-30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912B1 true KR101850912B1 (ko) 2018-04-20

Family

ID=6208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09A KR101850912B1 (ko) 2016-12-30 2016-12-30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9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961A (ko) * 2010-04-02 2011-10-10 김영빈 지능형소켓과 리모컨을 사용한 절전시스템
KR20140063395A (ko) * 2012-11-15 2014-05-27 김문일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로 기기와 개폐장치를 함께 제어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및 공급 시스템
KR20150137429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그린기술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1129A (ko) *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타이드 대기전력 낭비를 차단하는 다기능 멀티텝 콘센트와 그 멀티텝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방법 및 그 멀티텝 콘센트와 앱프로그램을 이용한 리모트컨트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961A (ko) * 2010-04-02 2011-10-10 김영빈 지능형소켓과 리모컨을 사용한 절전시스템
KR20140063395A (ko) * 2012-11-15 2014-05-27 김문일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로 기기와 개폐장치를 함께 제어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및 공급 시스템
KR20150137429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그린기술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1129A (ko) *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타이드 대기전력 낭비를 차단하는 다기능 멀티텝 콘센트와 그 멀티텝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방법 및 그 멀티텝 콘센트와 앱프로그램을 이용한 리모트컨트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1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AC/DC surge protection
US6744150B2 (en) Outlet strip controlled by PC using low voltage powertap
JP5021465B2 (ja) 電力セーバー制御装置
US9368955B2 (en) System and method to derive power and trip a circuit breaker from an external device
KR20150137429A (ko)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KR100789915B1 (ko) 멀티 탭에서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의 방법
KR101850912B1 (ko) 콘센트의 전원 접속 장치
KR20180054246A (ko) IoT 기반의 실시간 원격감시가 가능한 과부하를 포함하는 아크겸용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장치
KR102476696B1 (ko) 콘센트 장치
CA30485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ac/dc surge protection
KR101606085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050000437A (ko) 전원 자동 차단 장치
KR101123735B1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23463B1 (ko) 부하유형에 따라 출력전원의 온/오프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각구제어 멀티탭
KR102239636B1 (ko)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KR101764356B1 (ko) 리모컨 신호 자동 설정이 가능한 자동 절전 제어 장치
KR20140126934A (ko) 절전 지능형 멀티콘센트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80092703A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117687A (ko) 대기전력을 이용한 전기제품의 원격제어시스템
KR102199742B1 (ko)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가정용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20180003964A (ko) 스마트 전원 단자함
KR20090111451A (ko) 콘센트,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절전네트워크 시스템
KR101900147B1 (ko)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
KR101470804B1 (ko) 컴퓨터 또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22586B1 (ko) 대기전원 차단장치를 구비한 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