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147B1 -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147B1
KR101900147B1 KR1020160090678A KR20160090678A KR101900147B1 KR 101900147 B1 KR101900147 B1 KR 101900147B1 KR 1020160090678 A KR1020160090678 A KR 1020160090678A KR 20160090678 A KR20160090678 A KR 20160090678A KR 101900147 B1 KR101900147 B1 KR 101900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let
unit
mod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146A (ko
Inventor
서문수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to KR102016009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1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모드에 콘센트에서 전원을 출력하는 시간을 사용자의 생활 리듬에 맞게 설정하고 상기 모드의 상기 시간을 콘센트에 적용하여 상기 시간 동안에 상기 콘센트에서 전원을 출력하게 하여, 각각의 콘센트에 서로 다른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가진 모드를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콘센트를 개별적으로 전원 관리 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콘센트에 적용하는 모드의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유연하게 각각의 콘센트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가진 모드와 모드가 적용된 콘센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손이 닫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콘센트 별로 사용 전류를 감시하여 각각의 콘센트 별로 사용전류를 확인하고 원간 사용전력도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콘센트 별로 사용 전류를 감시하여 현재 시간이 콘센트에 전원을 차단하는 시간에 도달하여도 콘센트에 연결된 기기를 사용 중일 경우에는 콘센트에서 전원을 출력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하여 의도치 않게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가 종료 되지 않게 하고,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USB 포트를 두어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없어도 쉽게 모바일 기기를 충전 할 수 있게 하고, 리모트스위치를 통해 원거리에서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가진 모드와 모드가 적용된 콘센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손이 본체에 닫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Biorhythm Multi-Plug}
본 발명은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모드에 콘센트에서 전원을 출력하는 시간을 사용자의 생활 리듬에 맞게 설정하고 상기 모드의 상기 시간을 콘센트에 적용하여 상기 시간 동안에 상기 콘센트에서 전원을 출력하게 하는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멀티 콘센트는 단순히 콘센트만 여러 개가 포함되어 있는 형태였고, 후에는 콘센트 밑에 각각의 스위치가 있는 형태인 개별 멀티 콘센트로 발전하고 최근에는 대기 전력 절감형 멀티 콘센트가 개발되었다.
대기 전력 절감형 멀티 콘센트가 개별 멀티 콘센트를 대체하리라 예상과는 달리 이마트, 홈플러스 등등의 대형마트와 동네 철물점을 가봐도 대기 전력 절감형 멀티 콘센트는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고, 정부시책에 동조하려는 공공기업이나 전기료를 절감하려는 일부 기업체를 제외한 일반 가정집에서는 수요가 거의 없다.
그 원인은 첫째, 대기 전력 절감형 멀티 콘센트 제품은 개별 멀티 콘센트 대비 너무 비싸고, 소비자들은 멀티 콘센트를 말 그대로 멀티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순기기로 생각할 뿐 전기 제품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둘째, 하나의 제품을 하나의 구성(컴퓨터 또는 TV)으로 밖에 사용 못하는 제약성이 있으며 기능이 추가(스피커 내장용 모니터)된 주변기기의 등장으로 그 필요성 자체가 감소했다.
소비자들은 개별 멀티 콘센트 정도의 하드웨어에 On/Off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수준의 제품을 원하고, 가구분석결과 2035년에는 가장 많은 가구수를 차지할 1인가구의 특징은 생활 패턴이 거의 정해져 있어 전기 사용 시간대가 일정하고, 1인 가구가 아닌 일반 가정이라도 전기 사용 시간은 거의 정해져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번거롭게 Off하지 않는 방법으로 확실하게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를 원하지만, 현재는 간단히 선풍기의 시간을 맞추고 시간이 지나면 전원이 차단되는 멀티 콘센트 정도만 개발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 20-0335118 등록실용 20-0379787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콘센트에 서로 다른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가진 모드를 적용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콘센트에 적용하는 모드의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가진 모드와 모드가 적용된 콘센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콘센트 별로 사용 전류를 감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콘센트 별로 사용 전류를 감시하여 현재 시간이 콘센트에 전원을 차단하는 시간에 도달하여도 콘센트에 연결된 기기를 사용 중일 경우에는 콘센트에서 전원을 출력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USB 포트를 두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모트스위치를 통해 원거리에서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가진 모드와 모드가 적용된 콘센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전원을 입력 받고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와 모바일 기기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는 표시부(200);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하는 전류와 전력을 검출하고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00)가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300);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400); 및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원제어부(300)에서 상기 콘센트에 적용하는 상기 모드의 상기 설정된 시간 및 전류를 변경하고 상기 전원제어부(300)에서 검출한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의 전류와 전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0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100)는, 전원출력부(12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110); 상기 전원제어부(300)의 제어를 받아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와 모바일 기기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출력부(120); 및 상기 전원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입력부(110)에 입력되게 연결하는 전원스위치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전원출력부(120)는,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전원출력부(121); 및 모바일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USB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바일전원출력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원제어부(300)는,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하는 전류와 전력을 검출하는 전류감지부(310); 및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모드제어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전원모드제어부(320)는, 시간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시간을 저장하고 채널제어부(322)가 현재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채널제어부(322)에 현재시간을 제공하는 시간제어부(321); 모드제어부(323)에 저장된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모드제어부(323)에 저장되고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해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각각의 콘센트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채널제어부(322); 및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각각의 콘센트에서 기기에 공급하는 전류 허용치 정보와 모드에 시간정보가 적용된 콘센트에서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정보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드를 저장하는 모드제어부(323);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채널제어부(322)는, 상기 모드제어부(323)의 상기 모드에 상기 시간정보가 적용된 콘센트에 상기 시간정보의 전원공급 차단 시간에 현재시간이 도달하고 상기 전류감지부(310)를 통해 상기 콘센트에서 기기에 공급하는 전류의 양의 검출결과 상기 기기가 사용중인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게 하는 전원연장부(322a);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400)는,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를 선택하는 채널선택스위치부(410);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부(420);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상기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부(420)를 작동시키기 위해 리모트스위치연결부(440)에 연결되어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리모트스위치부(430); 및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를 통해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고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와 전기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리모트스위치연결부(44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는,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를 선택하는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리모트스위치모드선택부(432);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리모트스위치표시부(433); 및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를 통해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고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와 전기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리모트스위치단자(4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콘센트에 서로 다른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가진 모드를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콘센트를 개별적으로 전원 관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콘센트에 적용하는 모드의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유연하게 각각의 콘센트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가진 모드와 모드가 적용된 콘센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손이 닫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콘센트 별로 사용 전류를 감시하여 각각의 콘센트 별로 사용전류를 확인하고 원간 사용전력도 확인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콘센트 별로 사용 전류를 감시하여 현재 시간이 콘센트에 전원을 차단하는 시간에 도달하여도 콘센트에 연결된 기기를 사용 중일 경우에는 콘센트에서 전원을 출력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하여 의도치 않게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가 종료 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USB 포트를 두어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없어도 쉽게 모바일 기기를 충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트스위치를 통해 원거리에서 콘센트 작동 시간 정보를 가진 모드와 모드가 적용된 콘센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손이 본체에 닫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례 멀티 플러그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전원부(1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전원제어부(3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전원모드제어부(32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스위치부(4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리모트스위치부(43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관해 도 2 내지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전원을 입력 받고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와 모바일 기기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와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는 표시부(200)와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하는 전류와 전력을 검출하고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00)가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300)와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400)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원제어부(300)에서 상기 콘센트에 적용하는 상기 모드의 상기 설정된 시간 및 전류를 변경하고 상기 전원제어부(300)에서 검출한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의 전류와 전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0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50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400)를 통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부(400)를 직접 조작하여 상기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에 적용할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원제어부(300)의 상기 모드의 상기 설정된 시간 및 전류를 변경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거나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설치된 상기 모드의 상기 설정된 시간 및 전류을 변경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웹페이지 이용의 바람식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 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마치 상기 스위치부(400)에 의해 콘센트와 콘센트에 적용될 모드를 선택하는 것과 같이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상기 콘센트에 적용할 상기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상기 콘센트에 적용할 상기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거나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설치된 상기 콘센트에 적용할 상기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원제어부(300)에서 검출한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의 전류와 전력을 확인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콘센트에 흐르는 전류를 확인하여 현재 콘센트가 사용 중(사용모드)인지 대기 중(대기모드)인지 확인하고, 1분당과 1시간당과 1일당과 1달당과 1년당 상기 전원부(100)가 공급하는 전체 또는 상기 콘센트가 공급하는 전력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사용모드와 상기 대기모드를 판단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콘센트가 사용 중일 때 전기 사용량을 추출 후 저장하고 상기 콘센트가 사용 중일 때 저장된 상기 전기 사용량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된 사용량과 현재 사용량의 차이가 저장된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0%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모드 그러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모드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전원부(1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100)는, 전원출력부(12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110)와 상기 전원제어부(300)의 제어를 받아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와 모바일 기기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출력부(120)와 상기 전원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입력부(110)에 입력되게 연결하는 전원스위치부(13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전원스위치부(130)가 상기 전원을 차단하고 연결하는 것을 구현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전선을 개방 또는 연결하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원출력부(120)는,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전원출력부(121)와 모바일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USB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바일전원출력부(122)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전원제어부(3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제어부(300)는,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하는 전류와 전력을 검출하는 전류감지부(310)와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모드제어부(32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전류감지부(310)가 전류를 검출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전류를 검출하며 전류검출회로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검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전원모드제어부(32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모드제어부(320)는, 시간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시간을 저장하고 채널제어부(322)가 현재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채널제어부(322)에 현재시간을 제공하는 시간제어부(321)와 모드제어부(323)에 저장된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모드제어부(323)에 저장되고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해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각각의 콘센트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채널제어부(322)와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각각의 콘센트에서 기기에 공급하는 전류 허용치 정보와 모드에 시간정보가 적용된 콘센트에서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정보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드를 저장하는 모드제어부(323)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시간제어부(321)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정확한 시간을 위해 RTC(Real Time Clock) Chip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채널제어부(322)가 상기 콘센트에 출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릴레이(Relay)를 통해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모드제어부(323)에 저정된 상기 모드의 상기 시간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콘센트에 전원 공급이 시작하는 시간(예를 들어 15:42)과 상기 콘센트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시간(예를 들어 22:56)이다.
이때, 상기 채널제어부(322)는, 상기 모드제어부(323)의 상기 모드에 상기 시간정보가 적용된 콘센트에 상기 시간정보의 전원공급 차단 시간에 현재시간이 도달하고 상기 전류감지부(310)를 통해 상기 콘센트에서 기기에 공급하는 전류의 양의 검출결과 상기 기기가 사용중인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게 하는 전원연장부(322a)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전원연장부(322a)가 전류의 양 검출을 통해 상기 기기의 사용 중을 판단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전류감지부(310)를 통해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기기가 사용 중일 때 전기 사용량을 추출한 후 저장하고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기기가 사용 중일 때 저장된 상기 전기 사용량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된 사용량과 현재 사용량의 차이가 저장된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0%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기기가 사용 중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스위치부(40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400)는,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를 선택하는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부(420)와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상기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부(420)를 작동시키기 위해 리모트스위치연결부(440)에 연결되어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리모트스위치부(430)와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를 통해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고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와 전기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리모트스위치연결부(440)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의 리모트스위치부(430)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는,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를 선택하는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와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리모트스위치모드선택부(432)와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리모트스위치표시부(433)와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를 통해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고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와 전기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리모트스위치단자(434)로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전원부
110 : 전원입력부
120 : 전원출력부
121 : 콘센트전원출력부
122 : 모바일전원출력부
130 : 전원스위치부
200 : 표시부
300 : 전원제어부
310 : 전류감지부
320 : 전원모드제어부
321 : 시간제어부
322 : 채널제어부
322a : 전원연장부
323 : 모드제어부
400 : 스위치부
410 : 채널선택스위치부
420 : 모드선택스위치부
430 : 리모트스위치부
431 :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
432 : 리모트스위치모드선택부
433 : 리모트스위치표시부
434 : 리모트스위치단자
440 : 리모트스위치연결부
500 : 통신부

Claims (8)

  1.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전원을 입력 받고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와 모바일 기기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와,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는 표시부(200)와,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하는 전류와 전력을 검출하고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00)가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300)와,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부(400)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원제어부(300)에서 상기 콘센트에 적용하는 상기 모드의 상기 설정된 시간 및 전류를 변경하고 상기 전원제어부(300)에서 검출한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의 전류와 전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0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100)는,
    전원출력부(12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110)와,
    상기 전원제어부(300)의 제어를 받아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와 모바일 기기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출력부(120)와,
    상기 전원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상기 전원을 상기 전원입력부(110)에 입력되게 연결하는 전원스위치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출력부(120)는,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전원출력부(121)와,
    모바일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USB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바일전원출력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부(300)는,
    상기 전원부(100)에 의해 공급하는 전체 및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하는 전류와 전력을 검출하는 전류감지부(310)와,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1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모드제어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모드제어부(320)는,
    시간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시간을 저장하고 채널제어부(322)가 현재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채널제어부(322)에 현재시간을 제공하는 시간제어부(321);
    모드제어부(323)에 저장된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모드제어부(323)에 저장되고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해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각각의 콘센트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채널제어부(322)와,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각각의 콘센트에서 기기에 공급하는 전류 허용치 정보와 모드에 시간정보가 적용된 콘센트에서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정보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드를 저장하는 모드제어부(323)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제어부(322)는,
    상기 모드제어부(323)의 상기 모드에 상기 시간정보가 적용된 콘센트에 상기 시간정보의 전원공급 차단 시간에 현재시간이 도달하고 상기 전류감지부(310)를 통해 상기 콘센트에서 기기에 공급하는 전류의 양의 검출결과 상기 기기가 사용중인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게 하는 전원연장부(322a)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400)는,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를 선택하는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부(420)와,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상기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부(420)를 작동시키기 위해 리모트스위치연결부(440)에 연결되어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리모트스위치부(430)와,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를 통해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고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와 전기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리모트스위치연결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는,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를 선택하는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와,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리모트스위치모드선택부(432)와,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는 리모트스위치표시부(433)와,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를 통해 원거리에서 선택된 상기 콘센트에 선택된 상기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전류 내에서 상기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와 상기 모드를 선택하고 원거리에서 콘센트전원출력부(121)의 상기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고 채널선택스위치부(410)와 리모트스위치채널선택부(431)에 의해 선택된 상기 콘센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리모트스위치부(430)와 전기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리모트스위치단자(4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90678A 2016-07-18 2016-07-18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 KR101900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78A KR101900147B1 (ko) 2016-07-18 2016-07-18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78A KR101900147B1 (ko) 2016-07-18 2016-07-18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46A KR20180009146A (ko) 2018-01-26
KR101900147B1 true KR101900147B1 (ko) 2018-09-18

Family

ID=6102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78A KR101900147B1 (ko) 2016-07-18 2016-07-18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1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46A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5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evice control, device protection, and power savings
US20130069617A1 (en) Power adapter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KR100909598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CN104932335B (zh) 一种插孔工作状态的控制方法及装置
US9509155B2 (en) Remotely monitorable multi-port charging device
US20160285310A1 (en) Smart electrical power meter with auto-switching control for optimizing energy savings
US20160190748A1 (en) Power Strip with External Networking Accessory Devices
KR100909790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KR20110092948A (ko)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KR101900147B1 (ko) 바이오 리듬 멀티 콘센트
KR101801808B1 (ko)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720865B2 (en) Portable power generator with power monitor and control
KR20210053146A (ko) 분배 제어 장치
KR100996834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
KR101763903B1 (ko) 대기전력 자동 설정이 가능한 자동 절전 제어 장치
CN204559753U (zh) 一种基于同轴供电技术的供电电路
KR101661392B1 (ko) 스마트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충전장치 및 제어방법
KR20160028893A (ko)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CN216121092U (zh) 电源延长线装置
KR20190063981A (ko) 멀티 콘센트의 부하전력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20080019919A (ko) 부하 인식 전원 시스템
KR20180024433A (ko) 스마트 멀티탭
JP2006172723A (ja) 通信機能付きテーブルタップ
KR20180003964A (ko) 스마트 전원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