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552A - 호출 신호의 생성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호출 신호의 생성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7552A KR20180037552A KR1020160145077A KR20160145077A KR20180037552A KR 20180037552 A KR20180037552 A KR 20180037552A KR 1020160145077 A KR1020160145077 A KR 1020160145077A KR 20160145077 A KR20160145077 A KR 20160145077A KR 20180037552 A KR20180037552 A KR 201800375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button
- controller
- supply voltage
- reference ti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호출 신호와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한 버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가 개시된다. 상기 무인 기기는 상기 호출 버튼과, 컨트롤러와,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는 상기 호출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러의 인에이블과 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호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출 버튼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상기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상기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무인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을 위해 무인 기기(예컨대, 무인 발매기)는 상기 무인 기기의 도어(door)를 개방한 후, 상기 무인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기기에 포함된 전자 시스템으로 전원(또는 전압)을 공급하거나 원격으로 상기 전자 시스템으로 상기 전원을 공급한다.
무인 기기의 외부에는 관리자를 호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호출 버튼이 설치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관리자를 호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호출 버튼을 이용하여 전원(또는 전압)한 전원 제어 장치, 상기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상기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무인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기기는 호출 버튼과, 제1공급 전압을 제2공급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 장치와, 상기 제2공급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수신하는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와, 상기 제2공급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수신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제2공급 전압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공급 전압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원 분리 장치와, 상기 전원 분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공급 전압을 제3공급 전압으로 변환하는 주전원 장치와, 상기 제3공급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호출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제1버튼 신호의 지속 시간이 제1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상기 제2공급 전압을 상기 전원 분리 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인에이블을 지시하는 제1제어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기기는 호출 버튼과, 컨트롤러와, 상기 호출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러의 인에이블과 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호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기기와 상기 무인 기기로부터 출력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무인 기기가 호출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무인 기기가 상기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의 인에이블과 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생성과 상기 호출 신호의 생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기기는 호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무인 기기에 포함된 전자 시스템을 온 시킬 수 있고 오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호출 버튼은 상기 호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 시스템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기기는 상기 호출 신호를 상기 무인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무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AS 센터 또는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기기는 상기 무인 기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무인 기기에 포함된 전자 시스템을 오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기기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 기기에 포함된 전자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켜기(on) 위한 버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끄기(off) 위한 버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끄기 위한 버튼 신호의 패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기기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 기기에 포함된 전자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켜기(on) 위한 버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끄기(off) 위한 버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끄기 위한 버튼 신호의 패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기기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인 기기 시스템(100)은 무인 기기(200), 관리 서버(300), 및 관리자 휴대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인 기기(200)는 무인 발권기, 무인 발매기, 금융 자동화기기, 또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ATM))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인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10), 상태 표시 장치(220), 배출구(230), 및 투입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무인 기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무인 기기 (200)에 의해 처리될 데이터, 및/또는 무인 기기(20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TFT-LCD(thin-film-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LED(light-emitting diode) 장치(또는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장치(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태 표시 장치(220)는 호출 버튼(221),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표시 장치 (223), 및 '사용준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시 장치(2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호출 버튼(221)은 관리자를 호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무인 기기(200)에 포함된 전자 시스템(도 2의 201)을 켜고(on) 끄는(of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호출 버튼(221)을 누름(또는 터치)에 따라 생성된 호출 신호의 파형은 도 3부터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배출구(230)는 무인 기기(200)의 기능에 따라 지폐, 티켓, 또는 상품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투입구(240)는 무인 기기(200)의 기능에 따라 신용 카드, 체크카드, 지폐, 상품권, 또는 특정한 기능을 갖는 카드(예컨대, 주차카드 등)를 투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무인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무인 기기(2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30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인 기기(200)와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예컨대, 호출 버튼(221)의 누름 또는 터치에 의해 무인 기기(200)에서 생성된 호출 신호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통신망, 인터넷,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 신호에 관련된 지시 신호(또는 지시 메시지)를 관리자 휴대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 기기에 포함된 전자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무인 기기(200)에 포함되는 전자 시스템(201)은 호출 버튼(250),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 전원 장치(254), 메인 컨트롤러(또는 컨트롤러; 256), 전원 분리 장치(258), 주전원 장치(260), 및 장치 블록(262)을 포함한다.
호출 버튼(250)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누름 또는 누름 행위(BI)에 의해 버튼 신호(PUS)를 생성하고, 버튼 신호(PUS)를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로 전송한다. 비록, 도 1에서는 호출 버튼(250)이 사용자에게 노출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호출 버튼(250)은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버튼 신호(PUS)를 수신하고, 버튼 신호 (PUS)가 눌려진 시간(또는 지속 시간)을 분석(또는 기준 시간과 비교)하고, 분석(또는 비교)의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PON 또는 POFF) 또는 호출 신호(CALL)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할 수 있고, 제2공급 전압(PW1)을 전원 분리 장치(258)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전원 분리 장치(258)로 공급되는 제2공급 전압 (PW1)은 전원 분리 장치(25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로 대체될 수 있다.
전원 장치(254)는 제1공급 전압(또는 상용 전압; ACI)에 기초하여 제2공급 전압(예컨대, DC 전압, PW1)을 생성하고, 제2공급 전압(PW1)을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와 메인 컨트롤러(256)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장치(254)는 AC-DC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장치(254)는 제2공급 전압(PW1)을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와 메인 컨트롤러(256)로 항상 공급할 수 있다.
무인 기기(200)에 포함되는 전자 시스템(201)이 대기 상태(또는 스탠바이 상태)일 때, 전원 장치(254)는 제2공급 전압(PW1)을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 (252)와 메인 컨트롤러(256)로 항상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256)는 제2공급 전압(PW1)을 수신하지만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대기 상태에서, 전원 분리 장치(258)는 제1공급 전압(또는 상용 전압; ACI)을 주전원 장치(260)로 공급하지 않으므로, 장치 블록(262)에 포함된 장치들 (262-1~262-n, n은 3 이상의 자연수)는 동작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켜기 위한 버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버튼 신호(PUS)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속 시간(DU1) 동안 생성되면,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제1지속 시간(DU1) 동안에 입력되는 버튼 신호(PUS)가 제1기준 시간(예컨대, 2초)과 같거나 긴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지속 시간(DU1)이 제1기준 시간(예컨대, 2초)과 같거나 길면,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제2공급 전압(PW1) 또는 제어 신호를 전원 분리 장치 (258)로 공급하고, 제1제어 신호(PON)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한다. 그러나, 제1지속 시간(DU1)이 제1기준 시간(예컨대, 2초)보다 짧으면,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버튼 신호(PUS)를 무시할 수 있다.
전원 분리 장치(258)는 제2공급 전압(PW1) 또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공급 전압(또는 상용 전압; ACI)을 주전원 장치(260)로 공급한다. 전원 분리 장치 (258)는 SSR(solid state relay)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SSR은 입력 신호(예컨대, PW1 또는 제어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에는 온(on)되고, 상기 입력 신호(예컨대, PW1 또는 제어 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오프(off)되는 무접점 릴레이 소자의 일 예이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전원 분리 장치(258)는 릴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원 분리 장치(258)는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 (252)로부터 출력된 제2공급 전압(PW1) 또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공급 전압(또는 상용 전압; ACI)을 주전원 장치(260)로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장치이면 족하다.
주전원 장치(260)는 제1공급 전압(또는 상용 전압; ACI)을 제3공급 전압 (PW2)으로 변환하고, 제3공급 전압(PW2)을 장치 블록(262)으로 전송한다. 주전원 장치(260)는 AC-DC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장치 블록(262)에 포함된 각 장치(262-1~262-n)로 공급되는 각 제3공급 전압(PW2)은 서로 다를 수도 있고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제3공급 전압(PW2)이 장치 블록(262)으로 공급됨에 따라 장치 블록(262)에 포함된 각 장치 (262-1~262-n)는 동작 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제1제어 신호(PON)가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됨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 (256)는 인에이블(또는 활성화) 상태로 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제어 신호(PON)는 메인 컨트롤러(256)의 인에이블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256)는 무인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또는 컴퓨팅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파형을 갖는 버튼 신호(PUS)가 생성될 때, 무인 기기(200) 또는 전자 시스템(201)은 대기 상태로부터 시스템 온 상태로 변경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무인 기기(200) 또는 전자 시스템(201)이 시스템 온 상태일 때, 버튼 신호(PUS)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속 시간(DU2<DU1) 동안 생성되면,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제2지속 시간(DU2) 동안 입력되는 버튼 신호(PUS)가 제1기준 시간(예컨대, 2초 또는 2초보다 짧게 설정도 가능)보다 짧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지속 시간(DU2)이 제1기준 시간(예컨대, 2초)보다 짧으면,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버튼 신호(PUS)를 호출 신호(CALL)로서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제어 신호(PON)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또는 활성화)된 메인 컨트롤러(256)는 호출 신호(CALL)를 수신하고, 호출 신호(CALL)에 관련된 지시 신호(BCS)를 장치 블록(26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장치(262-1)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이고, 제2장치(262-2)는 프린터이고, 제n장치(262-n)는 무선 송출기(또는 무선 전송기)라고 가정한다. 제n장치(262-n)는 호출 신호(CALL)에 관련된 지시 신호(BCS)를 AS 센터(after service center; 500)에 배치된 출력 장치, 예컨대 디스플레이로 전송할 수 있다. 지시 신호(BCS)는 무선 기기 (200)의 ID와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장치(262-1)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이고, 제2장치(262-2)는 프린터이고, 제n장치(262-n)는 송신기라고 가정한다. 제n장치(262-n)는 호출 신호 (CALL)에 관련된 지시 신호(BCS)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지시 신호(BCS)는 무선 기기(200)의 ID와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끄기 위한 버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무인 기기(200) 또는 전자 시스템(201)이 시스템 온 상태일 때, 버튼 신호 (PUS)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속 시간(DU3) 동안 생성되면,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제3지속 시간(DU3) 동안 입력되는 버튼 신호(PUS)가 제2기준 시간(예컨대, 5초)과 같거나 긴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지속 시간(DU3)이 제2기준 시간(예컨대, 5초)과 같거나 길면,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전원 분리 장치(258)로 공급되던 제2공급 전압(PW1)을 차단하고, 제2제어 신호(POFF)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한다.
제2공급 전압(PW1)이 차단됨에 따라, 전원 분리 장치(258)는 주전원 장치 (260)로 공급되던 제1공급 전압(또는 상용 전압; ACI)을 차단한다.
제2제어 신호(POFF)가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됨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 (256)는 디스에이블(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제어 신호(POFF)는 메인 컨트롤러(256)의 디스에이블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2공급 전압(PW1)이 메인 컨트롤러(256)로 공급되더라도 메인 컨트롤러(256)는 제1제어 신호(PON)가 입력될 때까지 동작하지 않는다.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제3지속 시간(DU3) 동안 입력되는 버튼 신호(PUS)가 제2기준 시간(예컨대, 5초)보다 짧으면 버튼 신호 (PUS)를 무시할 수 있으므로, 제2공급 전압(PW1)은 전원 분리 장치(258)로 계속 공급되고 메인 컨트롤러(256)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2제어 신호(POFF)는 생성되지 않는다. 무인 기기(200) 또는 전자 시스템(201)은 시스템 온 상태로부터 시스템 오프 상태로 변경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끄기 위한 버튼 신호의 패턴을 나타낸다.
무인 기기(200) 또는 전자 시스템(201)이 시스템 온 상태일 때, 버튼 신호(PUS)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패턴일 때,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상기 신호 패턴이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에 미리 저장된 기준 신호 패턴과 일치하는지의 여부 판단한다. 상기 신호 패턴은 호출 버튼(250)의 누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패턴은 '0010101111'일 수 있고, 상기 신호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는 전자 시스템(201)이 정당한 관리자 이외의 사람에 의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1'은 호출 버튼(250)을 눌렸을 때 생성된 신호를 의미하고 '0'은 호출 버튼(250)을 누르지 않았을 때 생성된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신호 패턴이 상기 기준 신호 패턴과 일치할 때,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전원 분리 장치(258)로 공급되던 제2공급 전압(PW1)을 차단하고, 제2제어 신호(POFF)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한다. 제2공급 전압(PW1)이 차단됨에 따라, 전원 분리 장치(258)는 주전원 장치(260)로 공급되던 제1공급 전압(또는 상용 전압; ACI)을 차단한다.
제2제어 신호(POFF)가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됨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 (256)는 디스에이블 상태로 될 수 있다. 무인 기기(200) 또는 전자 시스템(201)은 시스템 온 상태로부터 시스템 오프 상태로 변경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1부터 도 7을 참조하면, 무인 기기(200)의 전자 시스템(201)에서, 제2공급 전압(PW1)은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와 메인 컨트롤러(256)로 공급된다. 따라서 전자 시스템(201)의 상태는 대기 상태이다(S1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 신호(PUS, 예컨대, 제1버튼 신호)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발생한다(S120). 버튼 신호(PUS, 예컨대, 제1버튼 신호)가 생성된 제1지속 시간(DU1), 예컨대 제1버튼 신호 시간이 제1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S130의 YES),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제2공급 전압(PW1)을 전원 분리 장치(258)로 출력하고, 제1제어 신호(PON)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한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러(256)는 켜(on)지고, 주전원 장치(260)에 의해 생성된 제3공급 전압(PW2)은 장치들(262-1~262-n)로 공급된다. 즉, 전자 시스템(201)은 온 된다 (S130).
전자 시스템(201)이 온 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 신호(PUS, 예컨대, 제2버튼 신호)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발생한다(S150). 버튼 신호 (PUS, 예컨대, 제2버튼 신호)가 생성된 제2지속 시간(DU2), 예컨대 제2버튼 신호 시간이 제2기준 시간(또는 제1기준 시간)보다 짧을 때(S160의 YES),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호출 신호(CALL)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한다. 메인 컨트롤러(256)는 호출 신호(CALL)에 관련된 지시 신호(BCS)를 제n장치(262-n)로 전송한다(S170).
그러나 전자 시스템(201)이 온 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 신호 (PUS, 예컨대, 제2버튼 신호)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발생한다(S150). 제2버튼 신호 시간이 제2기준 시간(또는 제1기준 시간)보다 길 때(S160의 NO),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전원 분리 장치(258)로 공급되던 제2공급 전압(PW1)을 차단하고, 제2제어 신호(POFF)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한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러(256)는 꺼지고, 제3공급 전압(PW2)은 생성되지 않는다. 즉, 전자 시스템 (201)은 오프 된다(S180). 여기서, 전자 시스템(201)의 오프는 제2공급 전압(PW1)이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와 메인 컨트롤러(256)로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자 시스템(201)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110). 전자 시스템(201)의 오프는 대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1부터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무인 기기(200)의 전자 시스템(201)에서, 제2공급 전압(PW1)은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와 메인 컨트롤러(256)로 공급된다. 따라서 전자 시스템(201)의 상태는 대기 상태이다(S1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 신호(PUS, 예컨대, 제1버튼 신호)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발생한다(S120). 버튼 신호(PUS, 예컨대, 제1버튼 신호)가 생성된 제1지속 시간(DU1), 예컨대 제1버튼 신호 시간이 제1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S130의 YES),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제2공급 전압(PW1)을 전원 분리 장치(258)로 출력하고, 제1제어 신호(PON)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한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러(256)는 켜지고, 주전원 장치(260)에 의해 생성된 제3공급 전압(PW2)은 장치들(262-1~262-n)로 공급된다. 즉, 전자 시스템(201)은 온 된다 (S140).
전자 시스템(201)이 온 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 신호(PUS, 예컨대, 제2버튼 신호)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발생한다(S210). 버튼 신호 (PUS, 예컨대, 제2버튼 신호)가 생성된 제2시간(DU2), 예컨대 제2버튼 신호 시간이 제2기준 시간(또는 제1기준 시간)보다 짧을 때(S240의 YES),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호출 신호(CALL)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한다. 메인 컨트롤러 (256)는 호출 신호(CALL)에 관련된 지시 신호(BCS)를 제n장치(262-n)로 전송한다 (S260).
그러나 전자 시스템(201)이 온 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패턴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발생한다(S220). 신호 패턴과 기준 신호 패턴이 서로 동일 할 때,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252)는 전원 분리 장치(258)로 공급되던 제2공급 전압(PW1)을 차단하고, 제2제어 신호(POFF)를 메인 컨트롤러(256)로 전송한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러(256)는 꺼지고, 제3공급 전압(PW2)은 생성되지 않는다. 즉, 전자 시스템(201)은 오프 된다(S230).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지속 시간 (DU1, DU2, 및 DU3)과 비교되는 각 기준 시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되고 설명된 것으로서, 제1지속 시간(DU1)은 제1기준 시간과 비교될 수 있고, 제2지속 시간 (DU2)은 제2기준 시간과 비교될 수 있고, 제3지속 시간(DU3)은 제3기준 시간과 비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준 시간은 상기 제2기준시간보다 길고, 상기 제3기준 시간은 상기 제1기준 시간보다 길 수 있으나 각 기준 시간은 설계 사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무인 기기(200)와 무인 기기(200)로부터 출력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100)의 동작 방법은 무인 기기(200)가 호출 버튼(250)으로부터 출력된 버튼 신호(PUS)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무인 기기 (200)가 상기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256)의 인에이블과 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PON 또는 POFF)의 생성과 호출 신호(CALL)의 생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신호 (PUS)의 제1버튼 신호 시간(DU1)이 제1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무인 기기(200)가 컨트롤러(256)의 인에이블을 지시하는 제1제어 신호(PON)를 생성하고, 컨트롤러(256)가 제1제어 신호(PON)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되고, 무인 기기(200)의 상태가 대기 상태로부터 시스템 온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56)가 제1제어 신호(PON)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된 후, 즉, 시스템 온 상태에서 버튼 신호(PUS)의 제2버튼 신호 시간(DU2)이 제2기준 시간보다 짧을 때, 무인 기기(200)는 호출 신호(CALL)를 생성하고, 상기 제2기준 시간은 상기 제1기준 시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56)가 제1제어 신호(PON)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된 후, 버튼 신호(PUS)의 제3버튼 신호 시간(DU3)이 제3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무인 기기(200)가 컨트롤러(256)의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제2제어 신호(POFF)를 생성한다. 컨트롤러(256)는 제2제어 신호(POFF)에 기초하여 디스에이블되고, 무인 기기(200)의 상태는 상기 시스템 온 상태로부터 시스템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신호(PUS)가 신호 패턴일 때, 무인 기기 (200)는 상기 신호 패턴과 무인 기기(200)에 미리 저장된 기준 신호 패턴을 비교하고, 상기 신호 패턴과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일치할 때, 무인 기기(200)는 컨트롤러(256)의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제2제어 신호(POFF)를 생성한다. 컨트롤러(256)는 제2제어 신호(POFF)에 기초하여 디스에이블되고, 무인 기기(200)의 상태가 상기 시스템 온 상태로부터 시스템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무인 기기 시스템
200: 무인 기기
201: 전자 시스템
210: 디스플레이 장치
220: 상태 표시 장치
230: 배출구
240: 투입구
250: 호출 버튼
252: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
254: 전원 장치
256: 메인 컨트롤러
258: 전원 분리 장치
260: 주전원 장치
262: 장치 블록
300: 관리 서버
400: 관리자 휴대 단말기
500: AS 센터
200: 무인 기기
201: 전자 시스템
210: 디스플레이 장치
220: 상태 표시 장치
230: 배출구
240: 투입구
250: 호출 버튼
252: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
254: 전원 장치
256: 메인 컨트롤러
258: 전원 분리 장치
260: 주전원 장치
262: 장치 블록
300: 관리 서버
400: 관리자 휴대 단말기
500: AS 센터
Claims (19)
- 호출 버튼;
제1공급 전압을 제2공급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 장치;
상기 제2공급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수신하는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
상기 제2공급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수신하는 컨트롤러;
상기 제2공급 전압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공급 전압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원 분리 장치;
상기 전원 분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공급 전압을 제3공급 전압으로 변환하는 주전원 장치; 및
상기 제3공급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호출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제1버튼 신호의 지속 시간이 제1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상기 제2공급 전압을 상기 전원 분리 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인에이블을 지시하는 제1제어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무인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호출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제2버튼 신호의 제2지속 시간이 제2기준 시간보다 짧을 때, 호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지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지시 신호를 상기 장치로 전송하는 무인 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AS(after service) 센터 또는 관리 서버로 상기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무인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호출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제3버튼 신호의 제3지속 시간이 제3기준 시간보다 길 때, 상기 전원 분리 장치로 공급되던 상기 제2공급 전압을 차단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제2제어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무인 기기. - 호출 버튼;
컨트롤러; 및
상기 호출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러의 인에이블과 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호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신호의 제1버튼 신호 시간이 제1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인에이블을 지시하는 제1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무인 기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신호가 생성된 후에 생성된 상기 버튼 신호의 제2버튼 신호 시간이 제2기준 시간보다 짧을 때,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는 상기 호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기준 시간은 상기 제1기준 시간보다 짧은 무인 기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신호가 생성된 후에 생성된 상기 버튼 신호의 제2버튼 신호 시간이 제2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무인 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신호가 신호 패턴일 때,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무인 기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는 상기 신호 패턴이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 제어 장치에 미리 저장된 기준 신호 패턴과 일치할 때 상기 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무인 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제1공급 전압을 전송하는 전원 분리 장치;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하는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전원 분리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공급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의 동작 전압을 생성하는 주 전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무인 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신호의 제1버튼 신호 시간이 제1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인에이블을 지시하는 제1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상기 전원 분리 장치로 전송하는 무인 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신호가 생성된 후에 생성된 상기 버튼 신호의 제2버튼 신호 시간이 제2기준 시간보다 짧을 때,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는 상기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무인 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신호가 생성된 후에 생성된 상기 버튼 신호의 제2버튼 신호 시간이 제2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상기 입력 감지 및 전원제어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분리 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신호를 차단하는 무인 기기. - 무인 기기와 상기 무인 기기로부터 출력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인 기기가 호출 버튼으로부터 출력된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무인 기기가 상기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의 인에이블과 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생성과 상기 호출 신호의 생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신호의 제1버튼 신호 시간이 제1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상기 무인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의 인에이블을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무인 기기의 상태가 대기 상태로부터 시스템 온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된 후, 상기 버튼 신호의 제2버튼 신호 시간이 제2기준 시간보다 짧을 때, 상기 무인 기기가 상기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준 시간은 상기 제1기준 시간보다 짧은 무인 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된 후, 상기 버튼 신호의 제3버튼 신호 시간이 제3기준 시간과 같거나 길 때, 상기 무인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에이블되고, 상기 무인 기기의 상태가 상기 시스템 온 상태로부터 시스템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신호가 신호 패턴일 때, 상기 무인 기기가 상기 신호 패턴과 상기 무인 기기에 미리 저장된 기준 신호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신호 패턴과 상기 기준 신호 패턴이 일치할 때, 상기 무인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의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에이블되고, 상기 무인 기기의 상태가 상기 시스템 온 상태로부터 시스템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기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127866 | 2016-10-04 | ||
KR1020160127866 | 2016-10-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7552A true KR20180037552A (ko) | 2018-04-12 |
KR101891210B1 KR101891210B1 (ko) | 2018-08-23 |
Family
ID=6196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5077A KR101891210B1 (ko) | 2016-10-04 | 2016-11-02 | 호출 신호의 생성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121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6506A (ko) | 2001-12-19 | 2002-01-19 | 류왕수 | 현금인출기의 비상상황 전달장치 |
KR20070070581A (ko) | 2005-12-29 | 2007-07-04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긴급 콜기능을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
KR100766442B1 (ko) * | 2006-06-27 | 2007-10-12 | 주식회사 롯데기공 |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
KR20090008895A (ko) * | 2007-07-19 | 2009-01-2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전원시스템 |
JP2011221762A (ja) * | 2010-04-08 | 2011-11-04 | Shibaura Jihanki Kk | 自動販売機 |
KR20140063395A (ko) * | 2012-11-15 | 2014-05-27 | 김문일 |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로 기기와 개폐장치를 함께 제어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및 공급 시스템 |
-
2016
- 2016-11-02 KR KR1020160145077A patent/KR1018912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6506A (ko) | 2001-12-19 | 2002-01-19 | 류왕수 | 현금인출기의 비상상황 전달장치 |
KR20070070581A (ko) | 2005-12-29 | 2007-07-04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긴급 콜기능을 구비한 금융 자동화기기 |
KR100766442B1 (ko) * | 2006-06-27 | 2007-10-12 | 주식회사 롯데기공 |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
KR20090008895A (ko) * | 2007-07-19 | 2009-01-2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전원시스템 |
JP2011221762A (ja) * | 2010-04-08 | 2011-11-04 | Shibaura Jihanki Kk | 自動販売機 |
KR20140063395A (ko) * | 2012-11-15 | 2014-05-27 | 김문일 |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로 기기와 개폐장치를 함께 제어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및 공급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1210B1 (ko) | 2018-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343751A1 (en) | Wireless Charging Systems with Multiple Power Receiving Devices | |
US20160094054A1 (en) | Wireless load modulation | |
EP3182641B1 (en) | Remote powering system and method | |
US20150263663A1 (en) | Light-Harvesting Power Supply With Power Management and Load Identification Capability | |
JP2010114967A (ja) | 電力使用量送信装置、電力使用量管理方法、電力使用量管理システム | |
US20240063658A1 (en) | Power socket for reducing wastage of electrical energy and related aspects | |
CN106920343A (zh) | 一种金融设备的外设控制装置及系统 | |
WO2020011234A1 (zh) | 双电池充放电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 |
CN113992233B (zh) | 天线切换装置、方法和电子设备 | |
CN104931774A (zh) | 一种电器电量监控系统及监控方法 | |
KR101891210B1 (ko) | 호출 신호의 생성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 |
EP3666044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n auxiliary load to a driver | |
CN106775296A (zh) | 一种终端控制方法及装置 | |
CN104808830B (zh) | 触控电子装置与触控连接方法 | |
KR20170085818A (ko) |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1878246B1 (ko) |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101365288B1 (ko) |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 |
KR20120087565A (ko) | 대기 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 시스템 | |
CN104407883B (zh) |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 |
KR101700404B1 (ko) |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10990152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non-contact power supply | |
KR20160034687A (ko) | 대기전력 차단장치, 전력공급 장치 및 전원 모니터링 시스템 | |
KR20170025015A (ko) |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및 제어 방법 | |
EP3439139A1 (en) | Smart device charging in hotels | |
CN115131924A (zh) | 一种atm机状态提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