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818A -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5818A KR20170085818A KR1020160005431A KR20160005431A KR20170085818A KR 20170085818 A KR20170085818 A KR 20170085818A KR 1020160005431 A KR1020160005431 A KR 1020160005431A KR 20160005431 A KR20160005431 A KR 20160005431A KR 20170085818 A KR20170085818 A KR 201700858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data
- pattern
- usage
- smart plu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H02J13/0075—
-
- Y02B20/44—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02B70/3233—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대기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300. 하위 스마트 플러그 400. 멀티 탭
500. 전자 기기
Claims (7)
- 전력 사용량과 종류에 따라 사용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사용 패턴과 다른 패턴으로 대기 전력이 소비되거나 사용자 부재 시에 불필요하게 전력이 사용될 경우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모니터링 장치;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에서 기기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어부에서 전원 차단 신호를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서버에 연결되어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장치들;
전력 모니터링 장치에 연결되어 측정된 전력 사용량과 기기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는 전력 사용 제어 장치;
전력 모니터링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재실 유무를 판단하는 인체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 측정 장치는,
측정된 실시간 전력 사용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와,
멀티탭에 연결되어 전자기기 하나 하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력 사용 제어 장치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하위 스마트 플러그들과,
하위 스마트 플러그들이 연결되고 하위 스마트 플러그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 하나하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력 사용 제어 장치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하고, 전원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즉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 사용 제어 장치는,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전원 공급/차단 신호, 기기별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체 감지 장치로부터 인체감지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자기기별 사용 패턴과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와,
기기별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스마트 플러그가,
자체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되면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고, 전원이 완전 차단되기 전에 데이터 백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인체가 스마트 플러그에 가까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와 스마트 플러그 버튼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스마트 플러그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할 때 디바이스간 통신을 지원하여 스마트 플러그가 전원 공급/차단을 제어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플러그와 통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마트 플러그에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스마트 플러그가,
기기의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 및 너비를 갖고 기기 플러그의 컨넥터 단자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고 구성되어 기기 플러그와 결합되어 멀티탭 또는 벽면 콘센트에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 전력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실시간 전력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전력 모니터링 장치 내부의 전력 제어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전력 측정 장치별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인체 감지 장치에서 사용자의 재실 유무를 감지하여 판별하는 단계;
전력 사용 제어 장치의 패턴 학습부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자기기별 사용 패턴과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고 저장하는 단계;
서버가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에서 기기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원 차단 신호를 전송하고, 전력 사용 제어 장치에서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전력 사용 제어 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패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된 패턴이 아닌 경우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인체 감지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대기전력 또는 불필요 전력 사용으로 판단하고 전원 차단 신호를 전력 측정 장치로 전송하고, 전력 측정 장치가 전원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즉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전력 관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5431A KR101801808B1 (ko) | 2016-01-15 | 2016-01-15 |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5431A KR101801808B1 (ko) | 2016-01-15 | 2016-01-15 |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5818A true KR20170085818A (ko) | 2017-07-25 |
KR101801808B1 KR101801808B1 (ko) | 2017-11-27 |
Family
ID=5942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54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1808B1 (ko) | 2016-01-15 | 2016-01-15 |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180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3424B1 (ko) * | 2019-07-08 | 2019-12-06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스마트그리드를 이용한 효율적 배전 방법 및 시스템 |
KR20210102588A (ko) * | 2020-02-12 | 2021-08-20 | (주)다산지앤지 |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
KR20220014641A (ko) * | 2020-07-29 | 2022-02-07 | (주)다산지앤지 | 재실 기반 ai 스위치 |
KR102720675B1 (ko) * | 2024-02-22 | 2024-10-22 | (주)동성이엔씨 |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한 배터리팩 보호 시스템 및 배터리팩 보호 방법 |
WO2025075263A1 (ko) * | 2023-10-06 | 202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를 저전력 상태로 동작시키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042B1 (ko) * | 2005-09-02 | 2008-02-11 | 김선영 | 자동전원차단콘센트 |
KR101433081B1 (ko) * | 2010-06-14 | 2014-10-01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
-
2016
- 2016-01-15 KR KR1020160005431A patent/KR10180180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3424B1 (ko) * | 2019-07-08 | 2019-12-06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스마트그리드를 이용한 효율적 배전 방법 및 시스템 |
KR20210102588A (ko) * | 2020-02-12 | 2021-08-20 | (주)다산지앤지 |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
KR20220014641A (ko) * | 2020-07-29 | 2022-02-07 | (주)다산지앤지 | 재실 기반 ai 스위치 |
KR20240010525A (ko) * | 2020-07-29 | 2024-01-23 | (주)다산지앤지 | 재실 기반 ai 스위치 |
WO2025075263A1 (ko) * | 2023-10-06 | 202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를 저전력 상태로 동작시키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720675B1 (ko) * | 2024-02-22 | 2024-10-22 | (주)동성이엔씨 |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한 배터리팩 보호 시스템 및 배터리팩 보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1808B1 (ko) | 2017-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1808B1 (ko) |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US8281162B2 (en) |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 |
US8072197B2 (en) | Power-managed socket | |
KR101666226B1 (ko) | 전력량 검출장치 | |
KR101877913B1 (ko) | 전기기기를 자동 감지하는 전원 콘센트, 이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20130048358A (ko) |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 |
KR20130125184A (ko) | 스마트그리드 지원 지능형 절전콘센트 | |
KR101221727B1 (ko) | 절전형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 |
CN104932335A (zh) | 一种插孔工作状态的控制方法及装置 | |
KR101791030B1 (ko) | 전력 모니터링 장치 | |
KR101167585B1 (ko) |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20210024828A (ko) | 원격 제어형 스마트 멀티탭 장치 | |
KR101389897B1 (ko) |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 |
KR20160076140A (ko) | 스마트 전력모니터링 콘센트 | |
WO2017149367A1 (en) | Multiple input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outlet device | |
KR102138629B1 (ko) |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센트 관리 장치 | |
KR102476696B1 (ko) | 콘센트 장치 | |
KR101099819B1 (ko) |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 관리 장치, 에너지 관리 방법 | |
KR20160100565A (ko) |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 |
KR20160107692A (ko) | 실시간 전력 측정 장치 및 방법 | |
CN205882319U (zh) | 带智能漏电保护的基于云端多任务控制线缆一体插头 | |
KR102109801B1 (ko) | 스마트 콘센트 장치 | |
KR101198475B1 (ko) |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 |
KR20120050320A (ko) | 도전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
TWI659587B (zh) | 基於物聯網的電源插座之供電管理系統及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17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8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