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246B1 -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246B1
KR101878246B1 KR1020160095417A KR20160095417A KR101878246B1 KR 101878246 B1 KR101878246 B1 KR 101878246B1 KR 1020160095417 A KR1020160095417 A KR 1020160095417A KR 20160095417 A KR20160095417 A KR 20160095417A KR 101878246 B1 KR101878246 B1 KR 101878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in board
adapter
power consump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503A (ko
Inventor
채기병
김동규
방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에이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에이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6009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2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어댑터(adapter; SMPT)를 이용하여 일체형 컴퓨터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일체형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고, 컴퓨터와 연결된 파워 선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통해 컴퓨터의 파워 재개를 제어하며, 비 접촉식 표준 무선통신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보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 제어를 위한 복수의 전원 모드로 운영하며, 외부 조작에 따라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파워 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최소 전력 모드로 운영중이면 상기 메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사용자 인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상기 메인 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포함하여,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Integrated computer power control device using adapter and a method}
본 발명은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댑터(adapter; SMPT)를 이용하여 일체형 컴퓨터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일체형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고, 컴퓨터와 연결된 파워 선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통해 컴퓨터의 파워 재개를 제어하며, 비 접촉식 표준 무선통신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보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IO(all-in-one)로 불리는 일체형 퍼스널컴퓨터는 노트북 퍼스널컴퓨터용 부품을 활용하여 대형(19인치 이상) LCD 디스플레이와 PC 부품을 일체형으로 제조한 것을 말한다. AIO PC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전력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비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일체형 PC 및 일반적인 PC에서는 근래에 보안을 위해 다양한 보안 기능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USB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잠금 기능 등이 적용되어, 컴퓨터 보안 및 컴퓨터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
지문 인식일 경우, 등록된 지문과 입력된 지문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컴퓨터의 전원을 온 시키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컴퓨터의 전원을 오프하여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음성 인식일 경우, 지문 인식과 유사하게 등록된 음성과 입력된 음성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컴퓨터의 전원을 온 시키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컴퓨터의 전원을 오프하여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체형 PC에서 보안을 위한 기술이 적용된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2개의 컴퓨터와 1개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조합 설치한 구조로, 1개의 컴퓨터에는 내부 망(LAN)에 연결하고 다른 1개의 컴퓨터에는 외부 망(WAN)에 연결하여, 완전한 독립적인 운영체계를 구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3-0002680호(2013.05.03. 공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일체형 PC에서 망 전환이 가능하고, 대기 전력 제어는 어느 정도 가능하나,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은 방지할 수 없어, 보안에 취약성이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문 인식이나 음성 인식을 통해 컴퓨터의 보안을 해소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PC는 지문 인식 및 음성 인식을 통해 어느 정도는 보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있으나, 사용자가 지문인식이나 음성 인식을 위한 수작업을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절전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어댑터(adapter; SMPT)를 이용하여 일체형 컴퓨터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일체형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고, 컴퓨터와 연결된 파워 선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통해 컴퓨터의 파워 재개를 제어하여, 최적의 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 접촉식 표준 무선통신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보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는 전원 제어를 위한 복수의 모드로 전원 모드를 운영하며, 외부 조작에 따라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파워 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 보드; 상기 메인 보드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최소 전력 모드로 운영중이면 상기 메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사용자 인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상기 메인 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메인 보드는 온 모드, 대기 모드, 절전 모드, 오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원 모드로 전원을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어댑터는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을 감시하여 상기 메인 보드가 절전 모드로 운영중일 경우, 최소 전력 모드로 판단을 하고 상기 메인 보드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어댑터는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공급 시 NFC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를 판독하고, 판독한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에 한하여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어댑터는 어댑터의 구동 전원을 결정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시에만 상기 메인 보드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며, 상기 메인 보드에서 소비하는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전원 생성부; 상기 전원 생성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한 소비전력을 기초로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메인 보드의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조작될 경우,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파워 온 상태이면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스위치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전원 생성부와 연계하여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과 기준 최소 소비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 상태를 판단하는 소비전력 판단부; 상기 메인 보드의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는 임피던스 감지부; 상기 소비전력 판단부의 소비전력 판단결과와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의 임피던스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어댑터는 소비자가 휴대한 NFC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에 의해 판독한 사용자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식정보를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사용자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원 제어부는 소비전력 판단부의 소비전력 판단결과와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의 임피던스 감지 결과 및 상기 사용자 인식부의 사용자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방법은 (a) 메인 보드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단계; (b)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을 감시하여 최소 전력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판단 결과 메인 보드가 최소 전력 모드로 운영중이면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을 차단하고 파워 라인의 전력을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감지 결과 파워 라인에 전력 변화가 감지되면, 사용자 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에 한하여 상기 메인 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 단계는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전력 변화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NFC 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의 분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adapter; SMPT)를 이용하여 일체형 컴퓨터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일체형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고, 컴퓨터와 연결된 파워 선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통해 컴퓨터의 파워 재개를 제어하여, 최적의 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 접촉식 표준 무선통신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보안성을 향상하며, 지문인식이나 음성 인식에 따른 사용자의 수작업을 제거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는 어댑터(10) 및 메인 보드(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보드(20)는 전원 제어를 위한 복수의 모드로 전원 모드를 운영하며, 외부 조작에 따라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파워 스위치(21)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보드(20)는 일체형 컴퓨터에 구비되는 메인 보드로서, 온 모드, 대기 모드, 절전 모드, 오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원 모드로 전원을 운영한다.
상기 어댑터(10)는 상기 메인 보드(20)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메인 보드(20)의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최소 전력 모드로 운영중이면 상기 메인 보드(20)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사용자 인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상기 메인 보드(2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어댑터(10)는 상기 메인 보드(20)의 소비전력을 감시하여 상기 메인 보드(20)가 절전 모드로 운영중일 경우, 최소 전력 모드로 판단을 하고 상기 메인 보드(20)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어댑터(10)는 상기 메인 보드(20)의 전원 공급 시 NFC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를 판독하고, 판독한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에 한하여 상기 메인 보드(20)의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어댑터(10)는 어댑터의 구동 전원을 결정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5), 상기 전원 스위치(15)의 온 시에만 상기 메인 보드(20)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며, 상기 메인 보드(20)에서 소비하는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전원 생성부(11), 상기 전원 생성부(11)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한 소비전력을 기초로 상기 메인 보드(2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메인 보드(20)의 전원 스위치(21)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조작될 경우,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파워 온 상태이면 상기 메인 보드(20)의 전원 스위치(21)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전원 생성부(11)와 연계하여 상기 메인 보드(20)의 소비전력과 기준 최소 소비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메인 보드(20)의 소비전력 상태를 판단하는 소비전력 판단부(13a), 상기 메인 보드(20)의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는 임피던스 감지부(13b), 상기 소비전력 판단부(13a)의 소비전력 판단결과와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13b)의 임피던스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메인 보드(20)의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13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10)는 소비자가 휴대한 NFC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안테나(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안테나(14)에 의해 판독한 사용자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식정보를 상기 전원 제어부(13b)에 전달하는 사용자 인식부(13d)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13c)는 상기 소비전력 판단부(13a)의 소비전력 판단결과와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13b)의 임피던스 감지 결과 및 상기 사용자 인식부(13d)의 사용자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메인 보드(20)의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댑터(10)의 전원 스위치(15)를 온 상태로 조작하여 어댑터(10)에서 메인 보드(20)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메인 보드(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 보드(20)에 연결되는 파워 스위치(21)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어댑터(10)의 제어부(13) 내의 임피던스 감지부(13b)는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감지하여, 파워 스위치(21)가 온 상태로 조작된 것을 인지한다. 여기서 메인 보드(20)와 어댑터(10) 간에 연결된 파워 라인은 파워 스위치(21)가 오프된 상태와 파워 스위치(21)가 온 된 상태의 임피던스가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워 스위치(21)의 조작에 따라 파워 라인에서 감지되는 임피던스 변화량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파워 스위치(21)의 온 조작 상태와 오프 조작 상태를 인지한다.
상기 파워 스위치(21)가 온 상태로 조작되는 것으로 인지되면, 제어부(13)는 안테나(14)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컴퓨터의 보안성 향상을 위해, 등록된 사용자만이 컴퓨터를 이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사전에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NFC 태그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주고,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해 놓는다.
이어, 특정 사용자가 파워 스위치(21)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안테나(14)를 통해 주변의 NFC 태그를 인지한다. 여기서 주변의 NFC 태그가 복수로 존재할 수 있으나, 실제 컴퓨터를 사용하는 등록된 사용자가 자리에 착석한 경우, NFC 태그가 가정 인접하다는 가정하에 NFC 태그를 판독한다.
물론, 특정 사용자가 파워 스위치(21)를 온 상태로 조작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 안에 NFC 태그가 판독되지 않으면 제어부(13)는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인지하고, 메인 보드(2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안테나(14)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판독되면, 제어부(13)는 판독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인식을 하고 메인 보드(2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이와는 달리 판독된 사용자 정보와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면, 허가된 사용자라고 인식을 하고, 상기 메인 보드(2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서 파워 스위치(12)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러한 전원 제어에 따라, 전원 생성부(11)에서 생성된 구동 전원(본체 전원)은 턴-온된 파워 스위치(12)를 경유하여 메인 보드(20)에 공급된다. 이때, 메인 보드(20)는 공급되는 전원으로 정상적인 동작을 한다.
한편, 메인 보드(20)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태에 따라 4가지의 전원 모드로 운영을 한다. 즉, 전원 온 모드, 대기 모드, 절전 모드, 그리고 전원 오프 모드가 그것이다.
메인 보드(20)가 전원을 4가지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운영하는 경우, 소비전력이 달라지며, 전원 생성부(11)는 이러한 메인 보드(20)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의 소비전력 판단부(13a)는 상기 전원 생성부(11)로부터 감지된 메인 보드(20)의 소비전력과 기준 최소 소비전력을 비교하여, 메인 보드(20)가 최소 전력 모드(절전, 전원오프)로 운영중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최소 소비전력은 메인 보드(20)가 절전 모드나 전원 오프 상태 중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서, 실험을 통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감지한 소비전력과 상기 기준 최소 소비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한 소비전력이 상기 기준 최소 소비전력 이하일 경우, 메인 보드(20)가 파워 오프 또는 절전 모드로 운영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그 결과신호를 전원 제어부(13c)에 전달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13c)는 상기 소비전력 판단부(13a)로부터 감지한 소비전력이 기준 최소 소비전력 이하라고 판단이 되면, 파워 스위치(12)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메인 보드(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즉, 메인 보드(20)가 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절전 모드로 운영중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메인 보드(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후, 임피던스 감지부(13b)는 지속적으로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를 감지한다. 여기서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는 메인 보드(20)에 구비한 파워 스위치(21)를 온 상태로 조작하거나 오프 상태로 조작할 경우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해, 메인 보드(20)의 파워 스위치(21)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조작할 때,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조작할 때 임피던스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임피던스 변화량을 감지하여 전원 오프 상태에서 파워 라인에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파워 스위치(21)를 조작한 것으로 판단을 하고, 제어부(13)는 상기와 같이 안테나(14)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고,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에 한하여 파워 위치(12)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메인 보드(20)에 전원 공급을 재개하게 된다.
이후, 메인 보드(20)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게 되며, 메인 보드(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다시 메인 보드의 전원 운영 모드에 따라 메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메인 보드의 전원 운영 모드에 따라 메인 전원의 전원을 제어하여 최적의 절전을 구현하고, 메인 보드에 전원 공급시에는 파워 스위치의 조작과 사용자 정보 인식을 통해 전원 공급을 결정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만이 일체형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을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메인 보드(본체)(2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단계(S11), (b) 상기 메인 보드(20)의 소비전력을 감시하여 최소 전력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 (c) 상기 (b)단계의 판단 결과 메인 보드(20)가 최소 전력 모드로 운영중이면 상기 메인 보드(20)의 전원을 차단하고 파워 라인의 전력을 감지하는 단계(S13 ~ S16), (d) 상기 (c)단계의 감지 결과 파워 라인에 전력 변화가 감지되면, 사용자 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에 한하여 상기 메인 보드(2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단계(S18 ~ S19); (e) 상기 (d)단계의 사용자 인식 정보를 분석한 결과,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이면 상기 메인 보드(20)의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S2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d) 단계는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전력 변화를 판단고, NFC 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의 분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1에서 메인 보드(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 보드(2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파워 스위치(21)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어댑터(10)의 제어부(13) 내의 임피던스 감지부(13b)는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감지하여, 파워 스위치(21)가 온 상태로 조작한 것을 인지한다. 여기서 어댑터(10)와 메인 보드(20) 간에 연결된 파워 라인은 파워 스위치(21)가 오프된 상태와 파워 스위치(21)가 온 된 상태의 임피던스가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워 스위치(21)의 조작에 따라 파워 라인에서 감지되는 임피던스 변화량을 감지하여, 파워 스위치(21)의 온 조작 상태와 오프 조작 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상기 파워 스위치(21)가 온 상태로 조작된 경우, 제어부(13)는 안테나(14)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일체형 컴퓨터의 사용자는 NFC 태그를 휴대하고, 일체형 컴퓨터의 사용 시 NFC 판독 거리 이내에 NFC 태그를 위치시킨다.
제어부(13) 내의 사용자 인식부(13d)는 상기 안테나(14)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등록된 사용자로 인식하고 사용자 인식정보를 전원 제어부(13c)에 전달한다. 이와는 달리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상이할 경우,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 인식하고 사용자 인식정보를 상기 전원 제어부(13c)에 전달하지 않는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가 판독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인식정보가 상기 전원 제어부(13c)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전원 제어부(13c)는 임피던스 감지부(13b)에서 파워 스위치(21) 온 상태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 감지되고, 사용자 인식정보가 전달되면 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을 하고, 파워 스위치(12)를 온 상태로 만들어, 전원 생성부(11)에서 생성된 본체 전원이 메인 보드(20)에 공급되도록 한다. 메인 보드(20)는 공급되는 전원으로 정상적인 동작을 한다.
한편, 메인 보드(20)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4가지의 전원 모드로 운영을 한다. 즉, 전원 온 모드, 대기 모드, 절전 모드, 그리고 전원 오프 모드가 그것이다.
메인 보드(20)가 전원을 4가지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운영하는 경우, 소비전력이 달라지며, 전원 생성부(11)는 단계 S12에서 메인 보드(20)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의 소비전력 판단부(13a)는 단계 S13에서 상기 전원 생성부(11)로부터 감지된 메인 보드(20)의 소비전력과 기준 최소 소비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메인 보드(20)가 최소 전력 모드(절전, 전원 오프)로 운영중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최소 소비전력은 메인 보드(20)가 절전 모드나 전원 오프 상태 중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서, 실험을 통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감지한 소비전력과 상기 기준 최소 소비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한 소비전력이 상기 기준 최소 소비전력 이하가 아닐 경우, 단계 S14로 이동하여 파워 오프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실시간으로 감지한 소비전력이 상기 기준 최소 소비전력 이하일 경우, 메인 보드(20)가 파워 오프 또는 절전 모드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그 결과신호를 전원 제어부(13c)에 전달한다.
전원 제어부(13c)는 상기 소비전력 판단부(13a)로부터 감지한 소비전력이 기준 최소 소비전력 이하라고 판단이 되면, 단계 S15로 이동하여 파워 스위치(12)를 자동으로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메인 보드(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즉, 메인 보드(20)가 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절전 모드로 운영중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메인 보드(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후, 단계 S16에서 임피던스 감지부(13b)는 지속적으로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를 감지한다. 여기서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는 메인 보드(20)에 연결되는 파워 스위치(21)를 온 상태로 조작하거나 오프 상태로 조작할 경우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해, 메인 보드(20)의 파워 스위치(21)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조작할 때,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조작할 때 임피던스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임피던스 변화량을 감지하여 전원 오프 상태에서 파워 라인에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되면(S17) 사용자가 파워 스위치(21)를 조작한 것으로 판단을 하고, 제어부(13)는 단계 S18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를 인식한다.
예컨대, 안테나(14)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를 판독하여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 단계 S19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할 경우, 사용자 인식정보를 생성하여 전원 제어부(13c)에 전달한다. 이와는 달리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사용자 정보가 일정 시간 이내에 획득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인식정보를 전원 제어부(13c)에 전달하지 않는다.
상기 전원 제어부(13c)는 미리 지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인식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을 하고, 보안을 위해 메인 전원을 차단한다(S2). 이로써 일체형 컴퓨터의 보안성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 인식 정보가 전달되면 전원 제어부(13c)는 자동으로 파워 스위치(12)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메인 보드(20)에 전원 공급을 재개하게 된다.
이후, 메인 보드(20)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게 되며, 메인 보드(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한 상태에서는, 다시 메인 보드의 전원 운영 모드에 따라 메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어댑터를 이용하는 일체형 컴퓨터에서 메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절전을 구현하고, 보안성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10: 어댑터
11: 전원 생성부
12: 파워 스위치
13: 제어부
13a: 소비전력 판단부
13b: 임피던스 감지부
13c: 전원 제어부
13d: 사용자 인식부
14: 안테나
15: 전원 스위치
20: 메인 보드
21: 파워 스위치

Claims (12)

  1. 어댑터를 이용하여 일체형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고 보안성을 향상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원 제어를 위한 복수의 전원 모드로 운영하며, 외부 조작에 따라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파워 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최소 전력 모드로 운영중이면 상기 메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사용자 인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상기 메인 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어댑터의 구동 전원을 결정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시에만 상기 메인 보드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며, 상기 메인 보드에서 소비하는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전원 생성부; 상기 전원 생성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한 소비전력을 기초로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보드의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조작될 경우,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파워 온 상태이면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스위치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메인 보드는 온 모드, 대기 모드, 절전 모드, 오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원 모드로 전원을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을 감시하여 상기 메인 보드가 절전 모드로 운영중일 경우, 최소 전력 모드로 판단을 하고 상기 메인 보드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공급 시 NFC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를 판독하고, 판독한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에 한하여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생성부와 연계하여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과 기준 최소 소비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메인 보드의 소비전력 상태를 판단하는 소비전력 판단부; 상기 메인 보드의 파워 라인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는 임피던스 감지부; 상기 소비전력 판단부의 소비전력 판단결과와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의 임피던스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어댑터는 소비자가 휴대한 NFC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에 의해 판독한 사용자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식정보를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사용자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9. 청구항 8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소비전력 판단부의 소비전력 판단결과와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의 임피던스 감지 결과 및 상기 사용자 인식부의 사용자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95417A 2016-07-27 2016-07-27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878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417A KR101878246B1 (ko) 2016-07-27 2016-07-27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417A KR101878246B1 (ko) 2016-07-27 2016-07-27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03A KR20180012503A (ko) 2018-02-06
KR101878246B1 true KR101878246B1 (ko) 2018-07-16

Family

ID=6122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417A KR101878246B1 (ko) 2016-07-27 2016-07-27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407A (ko)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46067B1 (ko) 2019-07-17 202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864A (ko) *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전원 절약이 가능한 전자 장치
KR20080032358A (ko) * 2006-10-09 2008-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의 전원공급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55497A (ko) * 2006-12-15 2008-06-19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드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rfid장치
KR20130002680U (ko) * 2013-04-11 2013-05-03 양해선 보안 강화용 2(Two) 컴퓨터 1(One) 모니터 기기.
KR101295761B1 (ko) * 2013-04-23 2013-08-12 정숙호 비사용전력차단·대기전력 완전차단형 제어장치
KR101328393B1 (ko) * 2013-06-10 2013-11-13 (주)엔텍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864A (ko) *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전원 절약이 가능한 전자 장치
KR20080032358A (ko) * 2006-10-09 2008-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의 전원공급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55497A (ko) * 2006-12-15 2008-06-19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드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rfid장치
KR20130002680U (ko) * 2013-04-11 2013-05-03 양해선 보안 강화용 2(Two) 컴퓨터 1(One) 모니터 기기.
KR101295761B1 (ko) * 2013-04-23 2013-08-12 정숙호 비사용전력차단·대기전력 완전차단형 제어장치
KR101328393B1 (ko) * 2013-06-10 2013-11-13 (주)엔텍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03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187B1 (ko)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KR19990079584A (ko) 사용자 감지 장치를 갖는 저소비 전력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전원 공급 제어 방법
EP1115054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ng state control method
US1121238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US7657731B2 (en) Computer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device
US20090124297A1 (en) Mobile phon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US20100031072A1 (en) System for power management and safety prote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878246B1 (ko)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160154955A1 (en) Communic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201601705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40026852A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모니터 보안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6317A (ko) 컴퓨터의 전원 인가 및 사용 인증 장치와 인증 방법
EP3598269B1 (en) Computer power saving method and computer waking method
US20230147849A1 (en) Change of operating mode
US20120210148A1 (en) Energy-saving apparatus using computer user information, and energy-saving method using same
TW200641695A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enhancing information security of a computer system
KR101287294B1 (ko) 컴퓨터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23864A (ko) 전원 절약이 가능한 전자 장치
KR2007005826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50114775A1 (en) User assisting program produc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233461B1 (ko) 컴퓨터의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45669A (ko)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100934131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48977A (ko) 절전 및 전원 제어 기능이 구비된 pc 시스템 제어방법
KR20230050742A (ko) 배터리 타입의 스마트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