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267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267A
KR20070058267A KR1020050117292A KR20050117292A KR20070058267A KR 20070058267 A KR20070058267 A KR 20070058267A KR 1020050117292 A KR1020050117292 A KR 1020050117292A KR 20050117292 A KR20050117292 A KR 20050117292A KR 20070058267 A KR20070058267 A KR 2007005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mode
external device
uni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8267A/ko
Publication of KR2007005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오프 모드 및 전원 온 모드로 동작 가능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 시스템부와; 고유 ID를 갖는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접속이 허가된 인증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ID 판단부(130)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 오프 모드에서 상기 ID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상기 인증 ID와 일치하면, 상기 전원 온 모드로 전원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시스템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갖는 제2 시스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인증된 ID를 갖는 외부장치가 접속된 경우에만 전자장치를 전원 온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자장치 110 : 제2 시스템부
120 : 접속부 130 : ID 판단부
131 : RF 리더부 135 : 저장부
150 : 전원제어부 170 : 전원공급부
190 : 제1 시스템부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장치와 통신하여 전자장치를 부팅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의 전자장치는 전원 선택버튼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전 자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원 선택버튼을 통해 전자장치를 전원 온 모드로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도중 전자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원 선택버튼을 통해 전자장치의 전원모드를 전원 오프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전원모드를 전원 온 모드와 전원 오프 모드로 선택하기 위한 전원 선택버튼과, 전자장치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전원 선택버튼을 통해 전원모드가 전원 온 모드 또는 전원 오프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전원모드에 따라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전자장치는,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 선택버튼을 통해 전원모드를 조절한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장치에서는 권한 없는 자라도 전원 선택버튼만 선택하면 전자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의 전자장치 사용자들은 보안을 중요시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사용자의 상황 및 기호를 고려하여, 전자장치의 보안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자장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누구라도 전원 선택버튼만 선택하여 전자장치의 전원모드를 전원 온 모드로 선택하여 전자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증된 ID를 갖는 외부장치가 접속된 경우에만 전자장치를 전원 온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원 오프 모드 및 전원 온 모드로 동작가능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1 시스템부와; 고유 ID를 갖는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접속이 허가된 인증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ID 판단부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 오프 모드에서 상기 ID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상기 인증 ID와 일치하면, 상기 전원 온 모드로 전원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시스템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갖는 제2 시스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유 ID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갖는 RF 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D 판단부는, 상기 인증 ID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RF ID를 판독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RF ID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인증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RF ID가 상기 인증 ID와 일치하는 경우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승인신호를 상기 전원제어부로 출력하는 RF 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원 오프 모드 및 전원 온 모드로 동작 가능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오프 모드에서 고유 ID를 갖는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단계와;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접속이 허가된 인증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상기 인증 ID와 일치하면, 상기 전원 온 모드로 전원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해 시스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유 ID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갖는 RF 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제1 시스템부(190)와 소정의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는 제2 시스템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장치(200)는 전자장치(100)의 접속부(120)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접속부(120)(미도시)와, 고유 ID를 갖는 저장부(135)와, 외부장치(200)내의 정보를 전자장치(100)로 제공하는 등 전자장치(100)와 통신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장치(20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ID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갖는 RF 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F ID는, 외부장치(200)에 마련되어 정보축적과 RF신호 발신기능을 가진 RF-ID태그로부터 발신되는 고유의 발신신호(RF신호)에 의한 식별정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전원 온 모드와 전원 오프 모드로 동작가능하다. 여기서, 전원 온 모드와 전원 오프 모드는 전원모드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가 전원 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후술한 전원공급부(170)는 제1 시스템부(190) 및 제2 시스템부(150)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가 전원 오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원공급부(170)는 제2 시 스템부(150)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 오프 모드란, 전자장치(100)의 시스템이 오프 된 상태이나, 전자장치(100)의 전원코드가 외부전원부에 연결되어 있거나 전자장치(100)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어서, 전자장치(100)의 전원모드가 전원 온 모드로 바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후술할 전원제어부(150) 및 기설정된 부에만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여기서, 전원제어부(150) 및 기설정된 부란 제2 시스템부(150)의 각 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제1 시스템부(190)는 후술한 제2 시스템부(150)를 제외한 전자장치(100) 내부의 각 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가 컴퓨터인 경우, 제1 시스템부(190)는 CPU, BIOS, 그래픽 카드, RAM 및 ROM 등의 메모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가 모니터,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 신호수신부, 신호처리부 등 수신된 영상신호 등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각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제2 시스템부(150)는 고유 ID를 갖는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는 접속부(120), ID 판단부(130), 전원공급부(17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150)를 포함한다.
ID 판단부(130)는 기 설정되는 인증 ID를 저장하는 저장부(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135)는 EEPRO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저장부(135)에 기 저장되는 인증 ID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 조작부(미도시)를 통한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변경/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인증 ID 역시 RF ID일 수 있다. 그리고, ID 판단부(130)는 이에 대응하여 RF 리더부(13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F 리더부(131)는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근접한 위치에 있는 외부장치(200)의 RF ID를 판독한다. 즉, RF 리더부(131)는 접속부(120)에 접속된 외부장치(200)의 RF ID를 읽을 수 있을 정도의 거리제한 스펙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속부(120)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된다는 것은 접속부(12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RF 리더부(131)는 접속부(120)에 접속된 외부장치(200)의 RF ID를 판독하고, 판독한 외부장치(200)의 RF ID가 저장부(135)에 저장된 인증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RF 리더부(131)는, 판단결과 RF ID가 저장부(135)에 저장된 인증 ID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접속된 외부장치(200)에 대한 승인신호를 출력한다.
전원제어부(150)는 전원 온 모드인 경우,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하여 전원공급부(170)가 전자장치(100)의 각 부, 즉 제1 시스템부(190)의 각 부 및 제2 시스템부(150)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원제어부(150)는 전원 오프 모드인 경우, 전원공급부(170)가 제2 시스템부(150)의 각 부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제어부(150)는 super I/O 칩 또는 마이컴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원제어부(150)는 전원 오프 모드인 경우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전원모드를 바꾸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즉, 전원제어부(150)는 전원 오프 모드에서 ID 판단부(130)의 판단결과, 접속부(120)에 접속된 외부장치(200)의 고유 ID가 인증 ID와 일치하면, 전원 온 모드로 전원모드를 변경시킨다. 즉, 전원제어부(150)는 RF 리더부(131)로부터 전술한 승인신호가 수신되면 전원모드를 전원 온 모드로 변경시킨다.
따라서, 전원제어부(150)는 전원 온 모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1 시스템부(19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한다. 이 때, 제1 시스템부(190)는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부팅이 되어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전원 오프 모드에서 제2 시스템부(150)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가 전원 오프 모드인 경우(S11) 접속부(120)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면(S13), RF 리더부(131)는 접속된 외부장치(200)로부터 고유 ID, 즉 RF ID를 읽는다. 즉, RF 리더기에 의해 외부장치(200)의 고유 ID가 수신되면(S15), RF 리더부(131)는 읽어들인 고유 ID와 저장부(135)에 저장된 인증 ID를 비교한다(S17). 그리고, 비교 결과 RF 리더부(131)는 고유 ID와 인증ID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S19), 외부장치(200)에 대한 승인신호를 전원제어부(150)에 출력한다.
전원제어부(150)는 RF 리더부(131)로부터 승인신호가 인가되면, 전원 오프 모드에서 전원 온 모드로 전원모드를 전환한다(S21). 따라서, 전원제어부(150)는 제1 시스템부(19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한다.(S23).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200)로부터 수신된 RF ID가 저장부(135)에 기 저장된 인증 ID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전자장치 (100)의 전원을 온 모드로 변경시켜서 부팅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인증 ID와 일치하는 RF ID를 가진 외부장치(200)를 가진 자만이 전자장치(100)를 부팅시킬 수 있어서 전자장치(100)에 접근할 수 있는 자를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된 ID를 갖는 외부장치가 접속된 경우에만 전자장치를 전원 온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5)

  1. 전원 오프 모드 및 전원 온 모드로 동작 가능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1 시스템부와;
    고유 ID를 갖는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접속이 허가된 인증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ID 판단부(130)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 오프 모드에서 상기 ID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상기 인증 ID와 일치하면, 상기 전원 온 모드로 전원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시스템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갖는 제2 시스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ID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갖는 RF 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D 판단부는,
    상기 인증 ID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RF ID를 판독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RF ID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인증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RF ID가 상기 인증 ID와 일치하는 경우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승인신호를 상기 전원제어부로 출력하는 RF 리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전원 오프 모드 및 전원 온 모드로 동작 가능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오프 모드에서 고유 ID를 갖는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단계와;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접속이 허가된 인증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의 고유 ID가 상기 인증 ID와 일치하면, 상기 전원 온 모드로 전원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해 시스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ID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갖는 RF 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50117292A 2005-12-03 2005-12-0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58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92A KR20070058267A (ko) 2005-12-03 2005-12-0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92A KR20070058267A (ko) 2005-12-03 2005-12-0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267A true KR20070058267A (ko) 2007-06-08

Family

ID=3835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292A KR20070058267A (ko) 2005-12-03 2005-12-0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82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256A (ko) * 2017-09-01 2019-03-11 주식회사 대한항공 초경량 비행장치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356060A (zh) * 2020-10-14 2022-04-15 全汉企业股份有限公司 主从互换式电源供应装置及电源供应方法、主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256A (ko) * 2017-09-01 2019-03-11 주식회사 대한항공 초경량 비행장치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356060A (zh) * 2020-10-14 2022-04-15 全汉企业股份有限公司 主从互换式电源供应装置及电源供应方法、主机
CN114356060B (zh) * 2020-10-14 2024-02-23 全汉企业股份有限公司 主从互换式电源供应装置及电源供应方法、主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187B1 (ko) 패턴 인식을 통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방법
US8312559B2 (en)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security authentication
US7657731B2 (en) Computer system having an identification device
US20080126570A1 (en) Computer system providing selective wireless network enablement
US2011024325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tartup control method
US9177151B2 (en) Operating speed control of a processor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before an operating system is started
KR2007005826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138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564285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to cover device, data acquired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over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17126125A (ja) Icカード、携帯可能電子装置及び処理装置
KR101878246B1 (ko) 어댑터를 이용한 일체형 컴퓨터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8417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생체인식 터치패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7115187A (ja) 携帯可能電子装置およびicカード
US7904733B2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mote control system
KR102448579B1 (ko) 지문 인식 카드 및 지문 인식 카드를 이용한 카드 동작 방법
CN113900154A (zh) 电子设备、以及控制方法
KR100874390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멀티부팅시스템
KR100478843B1 (ko) 무선휴대장비를 이용한 개인용 컴퓨터의 잠금장치
JP2006190180A (ja) 情報装置及び起動管理プログラム
KR20050045669A (ko)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US9235699B2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puter
KR20070006323A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470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233461B1 (ko) 컴퓨터의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146066A (ja) 電源制御装置、電源制御システム、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