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442B1 -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442B1
KR100766442B1 KR1020060057969A KR20060057969A KR100766442B1 KR 100766442 B1 KR100766442 B1 KR 100766442B1 KR 1020060057969 A KR1020060057969 A KR 1020060057969A KR 20060057969 A KR20060057969 A KR 20060057969A KR 100766442 B1 KR100766442 B1 KR 10076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manager
management server
zigbee
cal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롯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롯데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롯데기공
Priority to KR102006005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그비를 이용하여 소정 구역 내에 설치된 자동판매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은 물론 긴급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통보 및 호출할 수 있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은 각각이 식별정보를 가지고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하며, 기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관리 서버로 전송하되, 관리 서버로 송수신하거나 관리 서버로 송신이 불가능할 경우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며, 관리자 호출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다수의 자동판매기와;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관리자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관리 서버와;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Vend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using Zigbe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관리자 호출 안내 메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그비를 이용하여 소정 구역 내에 설치된 자동판매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은 물론 긴급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통보 및 호출할 수 있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내부에 다수의 상품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일정 금액이 투입하고 상품 선택버튼을 입력하면, 해당 상품을 제공하는 무인 판매 기기이다.
이러한 자동판매기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커피, 캔음료와 같은 음료 자동판매기가 있으며, 현재는 입장권, 지하철과 같은 승차권 등으로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의 관리는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자동판매기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면서 매진 물품의 보충, 자동판매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수리 등을 수행한다. 이 경우 물품의 판매에 따른 매상, 자동판매기의 고장 정도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판단하고 다시 관리소로 복귀한 후에 다시 대상 자동판매기로 이동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자동판매기에서 금전이 걸리거나, 물품이 투출되지 않고 투입된 금전만을 먹었을 경우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신속한 처리를 원하며,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따라서는 불쾌감을 발산하기 위해서 자동판매기를 발로 차서 자동판매기를 파손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리자가 신속하게 장애를 처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관리자에게 이러한 상황발생을 알릴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자동판매기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관리자 호출기가 부착되어 있더라도 관리자가 관리소에 있지 않을 경우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그비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 구역 내에 위치한 자동판매기들의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판매기의 긴급 상황 발생시 관리자를 호출할 수 있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관리자 호출 상황을 자동판매기에 구비된 표시수단과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각각의 식별 정보를 갖는 지그비 통신 모듈 간 상호 상태정보 전달을 통해 상태정보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판매기의 도난 발생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의 자동판매기는 내부에 구비되는 물품 잔량 예를 들어 커피 자동판매기의 경우 커피, 크림, 설탕과 같은 재료와 종이컵, 물과 같은 재료의 유무 및 잔량과 같은 물품 정보와 매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한다.
감지된 자동판매기의 상태정보는 소정 주기 마다 자동판매기에 구비된 지그비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 서버가 통신 가능 거리에 존재할 경우 직접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통신 가능 거리 밖에 존재하는 경우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로 해당 자동판매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관리 서버는 이러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자동판매기의 식별정보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상태정보를 서버와 연결된 표시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자동판매기별로 내부에 구비된 재료의 잔량에 따라 재료의 보충이 필요할 경우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하여 사전에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는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에서 금전이 걸리거나, 물품이 투출되지 않고 투입된 금전만을 먹었을 경우와 같은 사용자에게 불편 및 불쾌감을 줄 수 있어 관리자가 긴급하게 장애 처리를 요하는 경우 관리자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를 기다리지 않고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들의 중계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긴급 상황이 발생한 자동판매기는 관리 서버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표시수단을 통해 관리자가 호출된 것과 관리자가 현재 해당 자동판매기로 이동중에 있음을 알리는 관리자 호출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은 자동판매기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저출력의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원격지 자동판매기의 상태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으며, 자동판매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전 감지가 가능하여 미리 처리 가능한 정보는 소정 주기로 관리 서버가 수신 또는 수집하고, 긴급 장애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가 수신 또는 수집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자동판매기 관리의 편리성과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장애 처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자동판매기의 지그비 통신 모듈로부터 직접 또는 중계되어 수신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가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판매기가 도난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은 자동판매기의 지그비 통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의 수신 유무를 이용하여 저출력의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자동판매기의 도난 및 고장 발생 여부를 수집 관리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은 각각이 식별정보를 가지고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하며, 기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되, 관리 서버(300)로 송수신하거나 관리 서버(300)로 송신이 불가능할 경우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며, 관리자 호출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다수의 자동판매기(100)와, 자동판매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되, 자동판매기(100)로부터 관리자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400)로 송출하는 관리 서버(300)와,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이 가능하며,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원거리의 관리 서버(300) 또는 관리자 단말기(400)로의 상태정보 전송을 위해 무선 중계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중계기(500)는 자동판매기(100) 또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송출되는 상태정보 또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증폭하여 원거리로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 PDA와 같은 개인용 단말기이면 족하며, 바람직하게는 지그비 통신 모듈이 내장된 단말기로 구현된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자동판매기(100) 또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출력되며 해당 자동판매기(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 수단으로 해당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자동판매기(100)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한다. 부가적으로 단말기의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긴급 상황 발생을 통보할 수도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되는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자동판매기(100)는 내부에 다양한 제품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금전과 상품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무인 판매 장치로써, 대표적인 예로써, 커피 자동판매기 및 캔음료 자동판매기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는 지그비 통신 모듈이 내장되어 있으며, 지그비 통신 모듈을 통해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관리 서버(300)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100)로 출력하여 관리 서버(300)로 중계 전송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100)의 설명은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관리자 호출 안내 메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는 자동판매기(100)의 일반적인 구성 및 자동판매기(100)의 각 부분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160)과,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자동판매기(100) 또는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는 지그비 통신 모듈(170)과, 긴급 상황 발생시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80)와, 자동판매기(100) 전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판매기(100)의 일반적인 구성은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110)와, 금전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금전을 판별하는 금전 판별부(120)와, 자동판매기(100)의 구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구동 표시부(130)와, 사용자로부터 물품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물품 선택부(140)와, 물품 선택부(140)에 의해 선택된 물품을 물품 수납부(110)로부터 투출하는 물품 투출부(150) 및 투출된 물품을 꺼내기 위한 물품 투출구로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자동판매기(100)의 구동 설명은 이미 주지의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감지수단(160)은 자동판매기(100) 구동 상태 및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의 잔량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면, 커피 자동판매기의 경우 커피, 크림, 설탕의 잔량,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의 수위, 온수의 온도, 종이컵의 잔량, 판매된 커피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등의 감지 센서이면 족하며, 감지된 상태정보를 컨트롤러(190)로 출력한다.
또한, 감지수단(160)은 금전 투입구로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가 걸려서 금전 투입이 판별되지 않은 경우나, 물품이 투출되지 않고 투입된 금전만을 먹었을 경우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90)로 긴급 상황 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금전 투입 확인 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들은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양방향 통신한다. 각각의 자동판매기(100)들은 해당 자동판매기(100)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100)의 지그비 통신 모듈(170)로 전송하거나 다른 자동판매기(100)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를 중계한다. 또한, 관리 서버(300)와 관리 서버(300)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100) 역시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한다. 지그비는 무선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규격으로 저전력, 저비용, 저속이 특징인 통신 방식이다.
반경 30m 내에서 20∼25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 최대 255대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작은 크기로 전력 소모량이 적고 가격이 저렴하여 홈네트워크 등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적외선 통신 또는 알에프 통신과 달리 라우터 기능이 있어 Ad-hoc network 구성이 가능하여 지그비 통신 모듈(170)이 구비된 다양한 외부기기들과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다.
각각의 자동판매기(100)들은 지그비 통신 모듈(170)을 통해 관리 서버(300) 또는 지그비 통신 모듈(170)의 송출거리 밖에 관리 서버(300)가 위치하여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자동판매기(100)로 자신의 상태정보를 전송한 다. 또한, 다른 자동판매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다시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100)로 전달하여 관리 서버(300)로 해당 상태정보가 중계되도록 한다.
상술한 지그비 통신 모듈(170)은 바람직하게는 자동판매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물리적으로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어 자동판매기(100)의 외부 소정 위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9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주변 회로를 집적화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이면 족하며, 자동판매기(100) 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감지수단(160)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지그비 통신 모듈(170)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송수신하거나 관리 서버(300)로 송신이 불가능할 경우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고, 긴급 상황 발생을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며, 표시부(180)를 통해 관리자 호출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90)는 감지수단(160)에 의해 감지되는 자동판매기(100)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상태정보 수집부(191)와, 상태정보 수집부(191)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관리 서버(300)로 직접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100)를 통해 중계하여 제공하는 상태정보 전송부(192)와, 감지수단(160)으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되면,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300)로 해당 자동판매기(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송출하고, 표시부(180)로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 하는 관리자 호출부(193)를 포함한다.
상태정보 수집부(19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100) 구동 상태 및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의 잔량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는 예를 들면, 커피 자동판매기의 경우 커피, 크림, 설탕의 잔량,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의 수위, 온수의 온도, 종이컵의 잔량, 판매된 커피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등의 감지수단(160)으로부터 출력되는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한다.
상태정보 전송부(192)는 상태정보 수집부(191)에 의해 수집된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지그비 통신 모듈(170)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관리 서버(300)로의 전송이 불가능할 경우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100)로 출력하고, 근거리의 자동판매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다른 자동판매기(100)로 중계한다.
관리자 호출부(193)는 상술한 감지수단(160) 중 금전 투입 확인 수단으로부터 자동판매기(100)에서 금전이 걸리거나, 물품이 투출되지 않고 투입된 금전만을 먹었을 경우에 해당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긴급하게 장애 처리를 요하는 긴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고, 관리 서버(300)로의 전송 주기를 무시하고,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300)로 해당 자동판매기(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표시부(180)로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자동판매기(100)에서 금전이 걸리거나, 물품이 투출되지 않고 투입된 금전만을 먹었을 경우와 같은 사용자에게 불편 및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따라서는 불쾌감을 발산하기 위해서 자동판매기(100)를 발로 차서 자동판매기(100)를 파손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리자가 신속하게 장애를 처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관리자 호출부(193)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를 기다리지 않고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100)들의 중계를 통해 전송한다.
표시부(180)는 예를 들면, 소형의 LCD 또는 도트 매트릭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관리자 호출부(193)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예를 들면, "현재 관리자를 호출하였습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는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를 음성으로도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는 관리자 호출부(193)로부터 출력되는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 메세지 출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안내 메세지를 음성 출력하는 예를 들면,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부(20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은 자동판매기(100)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저출력의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원격지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전 감지가 가능하여 미리 처리 가능한 정보는 소정 주기로 관리 서버(300)가 수신 또는 수집하고, 긴급 장애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300)가 수신 또는 수집하여 관리자 단말기(400)로 호출 신호를 송출하고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를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자동판매기(100) 관리의 편리성과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장애 처리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사용자에 의해 자동판매기(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는 자동판매기(100)의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지그비 통신 모듈(170) 구동에 적절한 전원으로 변전하여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지그비 통신 모듈(170)은 함께 구비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해당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 이외에도 다른 자동판매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들을 수신하여 중계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출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잦은 송수신에 따른 전원 소모로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기기 가동 전원으로 사용되는 상용전원을 변전하여 지그비 통신 모듈(170)에 적절한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 없으며, 영구적인 지그비 통신 모듈(170)의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호출부(193)는 긴급 상황 발생시 관리자 단말기(400)로 직접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100)를 통해 중계하여 관리자 호출 신호를 송출하고, 표시부(180)로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관리 서버(300)는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100)의 지그비 통신 모듈(170)과 통신 가능한 지그비 통신 모듈(170)이 구비된 컴퓨터이면 족하며, 자동판매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되, 자동판매기(100)로부터 관리자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이러한 관리 서버(300)의 설명은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자동판매기(100)의 지그비 통신 모듈(17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10)와,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식별정보별로 저장하는 상태정보 데이타베이스(320)와, 통신부(310)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관리자의 정보 조회 요청에 따라 상태정보 데이타베이스(320)에 저장된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정보 제공부(330)와, 자동판매기(100)로부터 전송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자동판매기(100)의 관리자 단말기(400)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송출하는 관리자 호출 처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자동판매기(100)의 지그비 통신 모듈(17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지그비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지그비 통신 모듈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태정보 데이타베이스(320)는 예를 들면,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고용량의 스토리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태정보 데이타베이스(320)는 통신부(310) 를 통해 수집 또는 수신되는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식별정보별로 분류 저장한다. 상태정보 데이타베이스(320)에 저장된 상태정보는 상태정보 제공부(330)에 의해 엑세스 제어된다.
상태정보 제공부(330)는 통신부(310)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3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현황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관리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여 상태정보 데이타베이스(320)에 저장된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엑세스하여 제공한다.
관리자 호출 처리부(340)는 자동판매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자동판매기(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기(400)로 호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관리 서버(300)와 관리자 단말기(400)는 지그비 통신 규약에 의해 통신할 수 있으며, 지그비 통신 규약이 아닌 예를 들면, CDMA, PCS, GSM, WCDMA 등과 현존하는 모든 이동통신 규약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기(400)가 지그비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면, 지그비 통신 규약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400)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출력하고, 지그비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술한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수집된 자동판매기(100)별 상태정보를 웹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컴퓨터(600)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제공부(350)를 더 포함한다.
웹 서비스 제공부(350)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접속 요청에 따라 관리자 컴퓨터(600)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연결 설정된 관리자 컴퓨터(600)로 수집된 자동판매기(100)의 상태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다수의 자동판매기(100)의 지그비 통신 모듈(170)로부터 직접 또는 중계되어 수신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가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해당 자동판매기(100)가 도난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직접 또는 다른 자동판매기(100)의 지그비 통신 모듈(170)을 통해 전달된 상태정보를 통해 상태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자동판매기(100)를 선별하고, 선별된 자동판매기(100)가 도난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기(400)로 통보하는 도난 감지부(360)를 더 포함한다.
도난 감지부(360)는 직접 또는 다른 자동판매기(100)의 지그비 통신 모듈(170)을 통해 전달된 상태정보를 식별정보별로 분류하고, 정해진 시간 동안 상태정보가 수신 또는 전달되지 않은 지그비 통신 모듈(170)을 포함하고 있는 자동판매기(100)을 추출하여 해당 자동판매기(100)의 도난 또는 고장 발생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출력하거나 관리 서버(300)의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즉, 소정 시간 주기로 출력되는 상태정보들을 수신하되, 상태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지그비 통신 모듈(170)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100)를 추출한다. 소정 시간동안 상태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것은 해당 자동판매기(100)의 지그비 통신 모 듈(170)이 통신 가능 영역을 이탈하거나 고의적으로 지그비 통신 모듈(170)이 제거된 것 및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도난 감지부(360)는 해당 자동판매기(100)가 도난 또는 고장 난 것으로 판단하여 도난 또는 고장 발생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출력하거나 관리 서버(300)의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은 자동판매기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저출력의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원격지 자동판매기의 상태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전 감지가 가능하여 미리 처리 가능한 정보는 소정 주기로 관리 서버가 수신 또는 수집하고, 긴급 장애 처리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가 수신 또는 수집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송출하고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를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자동판매기 관리의 편리성과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장애 처리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사용자에 의해 자동판매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기기 가동 전원으로 사용되는 상용전원을 변전하여 지그비 통신 모듈에 적절한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 없으며, 영구적인 지그비 통신 모듈의 구동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자동판매기의 지그비 통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의 수신 유무를 이용하여 저출력의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자동판매기의 도난 또는 고장 발생 여 부를 수집 관리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각각이 식별정보를 가지고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하며, 기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관리 서버로 전송하되, 관리 서버로 송수신하거나 관리 서버로 송신이 불가능할 경우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며, 관리자 호출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다수의 자동판매기와;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관리자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관리 서버와;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판매기가:
    상기 자동판매기의 각 부분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상기 자동판매기 또는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지그비 통신 모듈과;
    상기 긴급 상황 발생시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자동판매기 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자동판매기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상태정보 수집부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관리 서버로 직접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를 통해 중계하여 제공하는 상태정보 전송부와,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되면,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 서버로 해당 자동판매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표시부로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관리자 호출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가:
    상기 관리자 호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 메세지 출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안내 메세지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가:
    자동판매기로 인가되는 상용전원을 상기 지그비 통신 모듈 구동에 적절한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호출부가:
    긴급 상황 발생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직접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판매기를 통해 중계하여 관리자 호출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표시부로 관리자 호출 상황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6. 각각이 식별정보를 가지고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하며, 기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관리 서버로 전송하되, 관리 서버로 송수신하거나 관리 서버로 송신이 불가능할 경우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며, 관리자 호출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다수의 자동판매기와;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관리자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관리 서버와;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자동판매기의 지그비 통신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자동판매기의 상태정보를 식별정보별로 저장하는 상태정보 데이타베이스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관리자의 정보 조회 요청에 따라 상태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자동판매기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정보 제공부와;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전송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자동판매기의 관리자 단말기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송출하는 관리자 호출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수집된 자동판매기별 상태정보를 웹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웹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직접 또는 다른 자동판매기의 지그비 통신 모듈을 통해 전달된 상태정보를 통해 상태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자동판매기를 선별하고, 선별된 자동판매기가 도난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도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9. 각각이 식별정보를 가지고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하며, 기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관리 서버로 전송하되, 관리 서버로 송수신하거나 관리 서버로 송신이 불가능할 경우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관리자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호 간 통신을 통해 중계하여 전송하며, 관리자 호출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다수의 자동판매기와;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관리자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관리 서버와;
    지그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자동판매기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정보 또는 관리자 호출 신호를 원거리의 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중계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KR1020060057969A 2006-06-27 2006-06-27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KR10076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969A KR100766442B1 (ko) 2006-06-27 2006-06-27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969A KR100766442B1 (ko) 2006-06-27 2006-06-27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442B1 true KR100766442B1 (ko) 2007-10-12

Family

ID=3942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969A KR100766442B1 (ko) 2006-06-27 2006-06-27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552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케이씨티 호출 신호의 생성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95A (ko) * 1991-09-19 1993-04-21 이우에 사또시 자동 판매기의 정보수집 시스템
KR20010001612A (ko) * 1999-06-07 2001-01-05 이혁병 무선수신장치를 내장한 자동판매기
KR20010094850A (ko) * 2000-04-07 2001-11-03 이일희 무선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벤딩머신시스템
KR20040079582A (ko) * 2003-03-07 2004-09-16 주식회사 지엔앤에스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시스템
KR20070041056A (ko) * 2005-10-14 2007-04-18 김성근 도어개폐형 자동판매기의 판매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95A (ko) * 1991-09-19 1993-04-21 이우에 사또시 자동 판매기의 정보수집 시스템
KR20010001612A (ko) * 1999-06-07 2001-01-05 이혁병 무선수신장치를 내장한 자동판매기
KR20010094850A (ko) * 2000-04-07 2001-11-03 이일희 무선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벤딩머신시스템
KR20040079582A (ko) * 2003-03-07 2004-09-16 주식회사 지엔앤에스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시스템
KR20070041056A (ko) * 2005-10-14 2007-04-18 김성근 도어개폐형 자동판매기의 판매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552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케이씨티 호출 신호의 생성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891210B1 (ko) * 2016-10-04 2018-08-23 주식회사 케이씨티 호출 신호의 생성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무인 기기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0954B2 (en) Wireless purchase and on-line inventory apparatus and method for vending machines
US837355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shless payment and diagnostics for vending machines
CA25521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washroom dispensers and products
KR101087709B1 (ko) 자판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5916B1 (ko) 전자 선반 라벨 및 배터리 잔량 관리 방법
WO201006248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shless payment and diagnostics for vending machines
JP2001325644A (ja) 自動取引装置の防犯監視方式
CN101542545A (zh) 机柜监视和报告设备和系统
US111269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and purchasing goods
US20110071668A1 (en) Vending machine monitoring system and its monitoring method
EP2296119A1 (en) Vending machine monitoring system and its monitoring method
EP3098749A1 (en) Sales assisting system
KR100766442B1 (ko)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KR100849195B1 (ko) 지그비를 이용한 쇼케이스 관리 시스템
KR20180016903A (ko) 자동판매기의 매출, 상태, 그리고 출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자동 관리 시스템
JPH03116395A (ja) 自動販売機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4224057B2 (ja) 災害情報端末装置、この端末装置を組み込んだ自動販売機、管理サーバー装置、および、災害情報通信システム
CN114237114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自助售卖系统
KR200314503Y1 (ko) 자동판매기의 고장 경보장치
KR20150124015A (ko)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분석 및 원격 관리장치와 그 방법
US20130203330A1 (en) Information reporting system for coin-operated device
JPH04253294A (ja) 自動販売機の状態情報遠隔収集方式
KR200317009Y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시스템
KR20040079582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관리시스템
JPH05108928A (ja) 自動販売機の販売情報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