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047A -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047A
KR20140063047A KR1020120129928A KR20120129928A KR20140063047A KR 20140063047 A KR20140063047 A KR 20140063047A KR 1020120129928 A KR1020120129928 A KR 1020120129928A KR 20120129928 A KR20120129928 A KR 20120129928A KR 20140063047 A KR20140063047 A KR 20140063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s
sleeper
reinforcing beam
binding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058B1 (ko
Inventor
장승엽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0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48Distance keepers or tie-rods for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1Track with ball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갈도상 위에 설치된 침목들을 열차 주행방향으로 서로 결속하여 보강함으로써, 레일을 통해 열차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이웃하는 침목으로 분산시키고, 그에 따라 각각의 침목이 담당하여야 할 하중을 줄임으로써 자갈도상궤도의 성능을 향상시켜 개량하게 되는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강빔(10)과, 상기 보강빔(10)의 하면에서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체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침목(100)의 상면과 종방향의 양측면을 감싸서 침목(100)과 결속하게 되는 복수개의 결속띠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침목(100) 사이에 걸쳐서 침목(100)과 결속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결속장치가 제공되며, 더 나아가, 이러한 침목결속장치를 침목에 설치하여 궤도 구조를 보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Sleeper Tieing Apparatus and Method Reinforcing Track Structure of Railway Ballasted Track Using Such Apparatus}
본 발명은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목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갈도상 위에 설치된 침목들을 열차 주행방향으로 서로 결속하여 보강함으로써, 레일을 통해 열차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이웃하는 침목으로 분산시키고, 그에 따라 각각의 침목이 담당하여야 할 하중을 줄임으로써 자갈도상궤도의 성능을 향상시켜 개량하게 되는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는, 열차가 주행하게 되는 레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자갈도상 위에 침목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자갈도상궤도에 침목과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열차가 레일을 주행할 때 레일에 가해지는 하중은 침목에 개별적으로 가해지고, 침목은 이러한 하중을 자갈도상을 통해서 지반으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개별 침목에 하중이 집중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침목 하부에 자갈 입자들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은 경우 혹은 노반의 상태가 나쁜 경우, 침목에 큰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에 의해 자갈입자가 마모 또는 파쇄 되거나, 자갈도상이 옆으로 밀려 나가거나 또는 하부 노반에 관입되면서 침목의 위치가 가라앉게 되고, 그에 따라 레일에 연직 또는 수평변위가 발생하게 되어 열차 주행안전을 위협하거나 승차감을 저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15248호에는 침목에 작용하는 횡방향 저항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15248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침목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에는 침목(100)의 측면(110)에 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200)의 단부(214)를 상기 삽입공(110)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침목(100)을 서로 연결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개시하고 있는 연결구조는 단지 횡방향 저항력 즉, 열차가 주행할 때, 열차 주행방향(종방향)에 대해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일 뿐이며, 침목에 가해지는 연직하중을 이웃하는 침목으로 전달하는 기능은 극히 미미하다.
또한 종래기술의 연결구조는 침목의 외측 측면에 연결부재가 설치되는데, 침목의 외측 측면으로는 여러 가지 시설물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를 설치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6248호(2011. 10. 21. 공개) 참조.
본 발명은 자갈도상 위에 설치된 침목들을 열차 주행방향으로 서로 결속하여 보강함으로써, 레일을 통해 열차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이웃하는 침목으로 분산시키고, 그에 따라 각각의 침목이 담당하여야 할 하중을 줄임으로써 자갈도상궤도의 성능을 향상시켜 개량하게 되는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의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강빔과, 상기 보강빔의 하면에서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체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침목의 상면과 종방향의 양측면을 감싸서 침목과 결속하게 되는 복수개의 결속띠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침목 사이에 걸쳐서 침목과 결속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결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침목결속장치를,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의 상부에 상기 결속띠부재가 각각 존재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침목결속장치를 연직하게 가압하여 상기 침목이 침목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결속띠부재가 침목의 외면을 감싸면서 침목과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침목 사이에 걸쳐서 상기 침목결속장치가 침목과 결속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침목에 가해지는 하중이 이웃하는 침목으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궤도 구조를 보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구조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에서, 상기 결속띠부재는, 상기 보강빔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종방향 양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결속띠부재에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침목이 끼워져 위치하게 되는 침목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판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침목이 상가 침목삽입공간으로 삽입되었을 때 침목에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에서, 상기 보강빔은 종방향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보강빔은 크랭크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침목에 작용하는 하중이 침목결속장치를 통해 이웃하는 침목으로도 분산 전달되며, 그에 따라 각각의 침목에 과도한 집중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침목을 지지하는 자갈도상에도 과도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자갈도상궤도의 열화 방지 및 성능 향상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는 침목 위에서 연직방향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쉽게 침목과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간편하며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열차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은 채 자갈도상궤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개량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의 자갈도상궤도에 침목과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침목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목결속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의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가 침목에 설치된 자갈도상궤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보강빔의 종방향 길이가 신축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가 레일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된 보강빔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침목결속장치가 레일의 내측에서 침목과 결합되어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속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침목결속장치가 레일의 내측에서 침목과 결합되어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속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의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1)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100)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의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1)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100)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침목(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자갈도상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 8에서는 레일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1)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강빔(10)과, 상기 보강빔(10)의 하면에서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체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침목(100)의 상면과 종방향의 양측면을 감싸서 침목(100)과 결속하게 되는 복수개의 결속띠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듯이, 보강빔(10)은 예를 들어 강재빔과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결속띠부재(20)는 상기 보강빔(10)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판(21)과, 상기 상판(21)의 종방향 양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2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판(21)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22)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침목(100)이 끼워져 위치하게 되는 침목삽입공간(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22)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즉,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결속띠부재(20)가 보강빔(10)의 하면에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어 일체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1)를 구성하게 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보강빔(10)에 2개의 결속띠부재(20)가 결합되어 있으나, 보강빔(10)에 구비되는 결속띠부재(20)의 개수는 3개 이상의 복수개라도 좋다. 결속띠부재(20)를 보강빔(10)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상판(21)을 보강빔(10)의 하면에 용접하거나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침목결속장치(1)는, 결속띠부재(20)의 침목삽입공간(23)에 침목(100)이 각각 끼워짐으로써,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100) 사이에 설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100)의 상부에 상기 결속띠부재(20)가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침목결속장치(1)를 연직하게 가압하게 되면, 결속띠부재(20)를 이루는 한 쌍의 측면판(22) 사이의 종방향 간격이 벌어지면서 침목(100)이 침목삽입공간(23)으로 삽입되고, 걸림돌기(24)는 침목(100)의 가장자리 하면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 즉, 침목결속장치(1)를 침목(100) 상부에 놓고 하향 가압하는 작업을 통해서 결속띠부재(20)가 침목(100)의 외면을 감싸면서 침목(100)과 결합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침목(100) 사이에 걸쳐서 침목(100)과 결속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가 침목(100)에 설치된 자갈도상궤도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침목결속장치(1)의 높이 즉, 결속띠부재(20)가 침목(100)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보강빔(10)의 상면 높이는 레일의 상면 높이보다 낮다. 따라서 침목결속장치(1)는 열차의 통행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특히, 위와 같이, 침목결속장치(1)를 침목(100)에 결합설치함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침목결속장치(1)가 겹쳐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4개의 침목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경우, 종방향의 순서로서 첫 번째 침목과 두 번째 침목에 제1침목결속장치가 설치되고, 두 번째 침목과 세 번째 침목 사이에도 제2침목결속장치가 설치되며, 세 번째 침목과 네 번째 침목 사이에도 제3침목결속장치가 설치되는 방식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겹침 방식의 설치에 의하면, 하나의 침목에는 종방향 양측으로 각각 1개씩의 침목결속장치가 설치되므로, 결국 하나의 침목에는 2개의 결속띠부재(20)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로 동시에 결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침목에 작용하는 하중은 종방향 양측 옆에 있는 침목으로 분산된다.
이와 같이 종방향으로 이웃한 복수개의 침목(100)이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레일을 통해 열차 하중이 침목(100)에 가해지면, 침목(100)에 결합된 침목결속장치(1)를 통해서 열차 하중이 이웃하는 침목(100)으로 전달된다. 즉, 열차 하중이 하나의 침목(100)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침목결속장치(1)를 통해서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100)으로 전달되어 분산되는 것이다. 따라서 침목(100)에 열차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각각의 침목이 담당하여야 할 하중이 줄어들게 되고, 침목을 지지하는 자갈도상에도 과도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자갈도상궤도의 성능을 향상시켜 개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에서는, 상기 보강빔(10)의 종방향 길이가 신축됨으로써, 상기 결속띠부재(20) 사이의 종방향 간격이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보강빔(10)의 종방향 길이가 신축할 수 있는 구성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보강빔(10)은 2개의 빔 부재로 이루어지고, 중간에서 2개의 빔 부재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볼트 부재와 같은 체결수단(9)이 2개의 빔 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빔 부재가 포개지는 부분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장공을 형성함으로써, 2개의 빔 부재가 포개지는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보강빔(10)이 신장되거나 신축되어 보강빔(10)의 종방향 길이를 필요에 맞게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것은 보강빔(10)의 종방향 길이 신축 구성의 일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한 구성을 비롯하여 기타 빔부재의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보강빔(10)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강빔(10)의 종방향 길이가 신축되는 구성을 가지게 되면, 현장에 설치된 침목 간의 종방향 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또는 현장마다 달라지는 경우에 매우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즉, 보강빔(10)을 신축함으로써, 결속띠부재(20)의 종방향 간격을,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침목 간의 종방향 간격에 맞춘 상태에서 침목결속장치(1)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의 내측, 즉 2개의 레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레일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침목결속장치(1)가 레일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1에 도시된 침목결속장치(1)는 도 10에 도시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도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레일의 외측에는 열차 운행을 위한 여러 가지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는 레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침목결속장치(1)는 횡방향으로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복수개의 침목결속장치(1)를 레일의 내측에서 종방향으로 연속배치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보강빔(10)을 절곡하여 크랭크 형상으로 만들므로써, 복수개의 침목결속장치(1)가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속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는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된 보강빔(10)을 가지는 침목결속장치(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4에는 각각 도 12에 도시된 크랭크형 보강빔(10)을 가지는 침목결속장치(1)가 레일의 내측에서 침목과 결합되어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연속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크랭크 형상의 보강빔(1)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보강빔(1)은 그 종방향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를 이용하게 되면, 침목(100)에 작용하는 하중이 침목결속장치(1)를 통해 이웃하는 침목(100)으로도 분산 전달되며, 그에 따라 각각의 침목(100)에 과도한 집중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침목을 지지하는 자갈도상에도 과도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자갈도상궤도의 열화 방지 및 성능 향상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침목결속장치(1)는 침목 위에서 연직방향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쉽게 침목과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간편하며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열차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은 채 자갈도상궤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개량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1: 침목결속장치
10: 수평보강부재
20: 결속띠부재

Claims (6)

  1.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강빔(10)과, 상기 보강빔(10)의 하면에서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체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침목(100)의 상면과 종방향의 양측면을 감싸서 침목(100)과 결속하게 되는 복수개의 결속띠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침목(100) 사이에 걸쳐서 침목(100)과 결속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띠부재(20)는, 상기 보강빔(10)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판(21)과, 상기 상판(21)의 종방향 양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판(22)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결속띠부재(20)에는 상기 상판(21)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22)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침목(100)이 끼워져 위치하게 되는 침목삽입공간(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판(22)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침목(100)이 상가 침목삽입공간(23)으로 삽입되었을 때 침목(100)에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결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빔(10)은 종방향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결속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빔(10)은 크랭크 형상을 가지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결속장치.
  5.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강빔(10)과, 상기 보강빔(10)의 하면에서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체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침목(100)의 상면과 종방향의 양측면을 감싸서 침목(100)과 결속하게 되는 복수개의 결속띠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침목결속장치(1)를,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침목(100)의 상부에 상기 결속띠부재(20)가 각각 존재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침목결속장치(1)를 연직하게 가압하여 상기 침목(100)이 침목삽입공간(23)으로 삽입되어 결속띠부재(20)가 침목(100)의 외면을 감싸면서 침목(100)과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침목(100) 사이에 걸쳐서 상기 침목결속장치(1)가 침목(100)과 결속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침목(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이웃하는 침목(100)으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궤도 구조를 보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구조 보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목결속장치(1)는 레일의 내측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구조 보강방법.
KR1020120129928A 2012-11-16 2012-11-16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 KR101429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928A KR101429058B1 (ko) 2012-11-16 2012-11-16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928A KR101429058B1 (ko) 2012-11-16 2012-11-16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047A true KR20140063047A (ko) 2014-05-27
KR101429058B1 KR101429058B1 (ko) 2014-08-12

Family

ID=5089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928A KR101429058B1 (ko) 2012-11-16 2012-11-16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6542A (zh) * 2019-07-03 2019-08-30 成都货安计量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轨道秤体及其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236B2 (ja) * 1993-04-26 1996-11-06 日本軌道工業株式会社 レールの挫屈防止装置
JP4224419B2 (ja) * 2004-03-31 2009-02-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まくら木連結構造、まくら木補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6542A (zh) * 2019-07-03 2019-08-30 成都货安计量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轨道秤体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058B1 (ko)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4866B2 (ja) 構造体の施工方法および構造体の施工構造
US8720792B2 (en) Ballast retaining structure, tool jig, and bedded track
US8240580B2 (en) Ballast retaining structure, bedded track
KR101297713B1 (ko) 철도레일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468565B1 (ko) 열차속도 유지용 장치판이 구비된 철도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228397B2 (ja) 構造体の敷設工法および構造体の敷設構造
KR101429058B1 (ko)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
JP2012136854A (ja) 道床縦抵抗力強化形ラダーマクラギとその軌道
RU2003127024A (ru) Настил для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KR101646719B1 (ko) 철도 자갈도상궤도에서의 자갈도상 밀착형 침목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궤도 구조 보강방법
KR101807079B1 (ko) 고무보판 철도 건널목 장치
KR100667584B1 (ko) 연약지반 철도 보강을 위한 방석침목구조
JP2008031653A (ja) Pc枕木継手
KR100818757B1 (ko) 철도 레일 충격 흡수 체결 장치
JP2000144603A (ja) 分岐器下部構造
US20140231533A1 (en) Track assembly
JP3818636B2 (ja) 分岐器用箱抜型弾性軌道装置
KR20190092684A (ko) 철도레일 처짐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RU2066721C1 (ru) Подрельсовое основани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JP2021059942A (ja) ラダーマクラギ
JP3824831B2 (ja) ラダー型マクラギ及び車両用軌道
US1399123A (en) Railway-rail support
KR101673957B1 (ko) 강콘크리트 합성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자갈궤도
US1242299A (en) Tie-plate.
JP3572260B2 (ja) 枕木連結具および鉄道分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