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729A - 핸들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핸들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729A
KR20140062729A KR1020120129436A KR20120129436A KR20140062729A KR 20140062729 A KR20140062729 A KR 20140062729A KR 1020120129436 A KR1020120129436 A KR 1020120129436A KR 20120129436 A KR20120129436 A KR 20120129436A KR 20140062729 A KR20140062729 A KR 20140062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xed
fixing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368B1 (ko
Inventor
이건복
김태호
김보명
장기석
배정은
임성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3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핸들 보조 장치는 본체부, 손잡이부 및 고정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삽입부 및 고정홈을 포함하며, 핸들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잡이에 해당된다. 상기 고정유닛들은 상기 본체부를 운전대에 고정한다.

Description

핸들 보조 장치{HANDLE ASSISTING DEVICE}
본 발명은 핸들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핸들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약자,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자들을 위한 일상생활 보조기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장애의 종류 및 불편한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목적과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거동이 불편한 자들이 운전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차에 부착되는 보조 장치들에 대한 개발이 다수 진행되고 있으며, 장애의 정도나 장애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편하게 착석이 가능한 운전석 좌석에 대한 보조 장치, 가속페달이나 브레이크페달을 손으로 제어할 수 있는 페달용 보조 장치, 기어변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기용 보조 장치, 각종 제어버튼을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장치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운전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조향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 장치로서 핸들 보조 장치에 대한 개발은 미흡한 상태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핸들 보조 장치와 관련하여, 벨트 형태의 고정 장치를 핸들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손을 벨트 형태의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핸들에 직접 고정시키는 장치가 많이 사용되어 왔지만, 상기 벨트 형태의 고정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운전하지 않는 경우라도 손을 계속 핸들 위에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 외에, 일반인이 사용하는 핸들 보조 장치와 같이, 핸들에 보조 장치를 직접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은 핸들 보조 장치를 일반인과 같이 강하게 쥐고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핸들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는 본체부, 손잡이부 및 고정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삽입부 및 고정홈을 포함하며, 핸들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잡이에 해당된다. 상기 고정유닛들은 상기 본체부를 운전대에 고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본체 및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제1 끝단 및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제2 끝단을 포함하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면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단, 사용자의 손잡이에 해당되는 제2 단, 및 상기 제1 단 및 제2 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에는 장갑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을 상기 장갑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제2 연결부가 이동하는 제1 홈,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단이 이동하는 제2 홈, 및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들은, 상기 제1 연결부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 및 상기 제2 고정유닛을 핸들에 고정하는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제3 단, 제4 단 및 상기 제3 및 제4 단들을 연결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은 상기 제1 고정유닛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 및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은, 상기 핸들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제3 및 제4 수납공간, 상기 제2 고정유닛의 제3 단을 수납하는 제5 수납공간, 및 상기 제2 고정유닛의 제2 몸체를 수납하는 제6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단은 원형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몸체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 및 상기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은 나사 결합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손잡이부가 본체부로부터 이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운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손잡이부를 본체부로부터 탈착하여 손을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운전시에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 장갑을 부착하여 장갑에 손을 끼우는 행위만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부를 쥐는 것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 노약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가 핸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유닛들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핸들에 고정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고정유닛을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끝단과 원통형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끝단 및 몸체가 각각 상기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이 형성하는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설계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본체부의 상대적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들 보조 장치가 핸들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핸들 보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핸들 보조 장치용 손잡이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들 보조 장치가 핸들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핸들 보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핸들 보조 장치(100)는 일반적인 자동차 핸들(10)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핸들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핸들 보조 장치(100)는 상기 핸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므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과 같이 핸들 조작이 불편한 사용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작은 동작으로도 핸들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핸들 보조 장치(100)는 본체부(110), 손잡이부(120), 제1 고정유닛(130), 제2 고정유닛(140), 제3 고정유닛(150) 및 제4 고정유닛(16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본체(111) 및 제1 연결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1)는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가지며, 'U'자 형상의 양 끝단을 각각 제1 끝단(112) 및 제2 끝단(113)이라 한다. 상기 제1 연결부(114)는 'U'자 형상의 상기 본체(111)의 서로 마주하는 면을 연결한다.
상기 제1 끝단(112)은 폐쇄되며, 상기 손잡이부(120)가 고정되는 고정홈(119)이 형성된다. 반면, 상기 제2 끝단(113)은 개방되며, 상기 손잡이부(120)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삽입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1)는 상기 고정홈(119)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돌출부(118)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18)는 상기 고정홈(119)에 고정된 상기 손잡이부(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삽입부(117)는 'Y'형상의 끝단과 같이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20)의 삽입 또는 이탈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본체(111)에는 제1 홈(115) 및 제2 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홈들(115, 116) 각각은 후술할 손잡이부(120)의 돌출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20)가 상기 삽입부(117)로 삽입된 후 상기 고정홈(119)으로 이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11)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끝단(112)에 인접하도록 돌출부(118)가 형성된 고정홈(119)을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부(120)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해야만 상기 고정홈(119)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불의의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120)가 상기 고정홈(119)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U'자 형상으로 인해 쉽게 상기 본체(111)를 이탈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20)를 상기 본체(111)로부터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사용자가 운전이 필요없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20)를 탈착시켜 손을 편한 자세로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제1 단(121), 제2 단(122) 및 제2 연결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I'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단들(121, 122) 각각은 원형의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연결부(123)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1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121) 및 상기 제2 연결부(123)의 일부는 상기 본체(111)의 삽입부(117)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115)의 제1 및 제2 홈들(115, 116)을 따라 이동한 뒤, 상기 고정홈(119)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121)은 상기 제2 홈(116)을 통해 삽입 및 이동되며, 상기 연결부(123)는 상기 제1 홈(115)을 통해 삽입 및 이동된다. 이 후, 사용자는 상기 제2 단(122)을 쥐고 상기 손잡이부(120)를 통해 상기 본체(111) 및 상기 본체(111)와 연결된 상기 핸들(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운전이 필요없는 경우, 상기 고정홈(119)에 고정된 상기 제1 단(121) 및 상기 제2 연결부(123)를 상기 제1 및 제2 홈들(115, 116)을 따라 상기 삽입부(117) 방향으로 이동시킨 뒤, 상기 삽입부(117)를 통해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유닛(130)은 제1 수납공간(132)을 형성하며 휘어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몸체(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131)의 양 끝단에는 각각 제1 개구(133) 및 제2 개구(1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유닛(130)은 후술할 제2 고정유닛(140)과 결합하며, 상기 본체부(110)를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제1 연결부(114)는 상기 제1 수납공간(132)의 수납 및 고정된다. 상기 제1 개구(133) 및 제2 개구(134)는 후술할 제2 고정유닛(140)의 제3 개구(144) 및 제4 개구(145)와 각각 정렬되며, 제1 고정부(135) 및 제2 고정부(136)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135, 136) 각각은 나사 결합 유닛일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유닛(140)은 제3 단(141), 제4 단(142) 및 상기 제3 및 제4 단들(141, 142)을 연결하는 제2 몸체(1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유닛(130)과 함께 상기 본체부(110)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유닛(140)은 후술할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150, 160)에 의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단(141)은 원형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단(142)은 상기 제1 고정유닛(130)의 제1 몸체(131)에 대응되는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143)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단(142)에는 제3 개구(144) 및 제4 개구(145)가 형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개구들(144, 14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135, 136)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개구들(133, 134)과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3 고정유닛(150)은 제3 수납공간(152)을 형성하며 휘어진 내면을 갖는 제3 몸체(151), 상기 제3 몸체(151)의 일 끝단에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상으로 연장된 제5 단(153), 상기 제3 몸체(151)의 다른 끝단에 형성되며 원통형 외면을 갖는 제6 단(155), 및 상기 제6 단(155)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6 단(155)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원통형 외면을 갖는 제7 단(156)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4 고정유닛(150)은 상기 제3 고정유닛(150)에 대칭인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제4 고정유닛(160)은 제4 수납공간(162)을 형성하며 휘어진 내면을 가지며 상기 제3 몸체(15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4 몸체(161), 상기 제4 몸체(161)의 일 끝단에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5 단(153)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8 단(163), 상기 제4 몸체(161)의 다른 끝단에 형성되며 원통형 외면을 갖고 상기 제6 단(155)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9 단(165), 및 상기 제9 단(165)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9 단(165)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원통형 외면을 가지며 상기 제7 단(156)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0 단(166)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고정유닛(150)의 상기 제5 단(153)에는 제5 개구(154)가 형성되고, 상기 제4 고정유닛(160)의 상기 제6 단(163)에는 제6 개구(164)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3 고정부(157)는 상기 제5 개구(154) 및 상기 제6 개구(164)를 통과하며 상기 제3 고정유닛(150)과 상기 제4 고정유닛(160)을 서로 결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3 고정부(157)는 나사 결합 유닛일 수 있다.
상기 제3 몸체(151)의 제3 수납공간(152)은, 상기 제4 고정유닛(160)의 제4 수납공간(162)과 함께 상기 핸들(10)을 수납 및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핸들(10)은 상기 제3 및 제4 수납공간들(152, 162)에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 단(155) 및 상기 제9 단(165)은 서로 결합하면서 내부에 제5 수납공간(167)을 형성하고, 상기 제5 수납공간(167)에는 상기 제2 고정유닛(140)의 제3 단(141)이 수납 및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단(141)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5 수납공간(167)도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유닛(140)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핸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3 단(141)은 상기 제5 수납공간(167)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 단(156) 및 상기 제10 단(166)은 서로 결합하면서 내부에 제6 수납공간(168)을 형성하고, 상기 제6 수납공간(168)에는 상기 제2 고정유닛(140)의 제2 몸체(143)의 일부가 수납 및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몸체(143)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6 수납공간(168)도 원통형 형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유닛(140)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핸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2 몸체(143)도 상기 제6 수납공간(168)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내지 제4 고정유닛들(130, 140, 150, 160)을 통해 상기 본체부(110)를 상기 핸들(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켜, 사용자의 핸들(10)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유닛들(130, 140, 150, 160)의 구조를 간단히 설계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핸들 보조 장치용 손잡이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220)에 장갑(230)이 고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핸들 보조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손잡이부(220)는 제2 단(222)의 외면(224)이 상기 장갑(230)과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 단(222)을 손으로 쥐기 힘든 중증 장애인, 노약자 등이 상기 장갑(230)에 손을 끼워 용이하게 상기 손잡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222)의 외면(224)과 상기 장갑(230)은 접착 물질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장애인, 노약자의 장애의 성격을 고려하여 상기 장갑(230)의 형태도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손잡이부가 본체부로부터 이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운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손잡이부를 본체부로부터 탈착하여 손을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운전시에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 장갑을 부착하여 장갑에 손을 끼우는 행위만으로 상기 손잡이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부를 쥐는 것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 노약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가 핸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유닛들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핸들에 고정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고정유닛을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끝단과 원통형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끝단 및 몸체가 각각 상기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이 형성하는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설계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본체부의 상대적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는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의 거동 보조수단으로 핸들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 핸들 보조 장치 110 : 본체부
120 : 손잡이부 130 : 제1 고정유닛
140 : 제2 고정유닛 150 : 제3 고정유닛
160 : 제4 고정유닛

Claims (10)

  1. 삽입부 및 고정홈을 포함하며, 핸들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잡이에 해당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운전대에 고정하는 고정유닛들을 포함하는 핸들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제1 끝단 및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제2 끝단을 포함하는 'U'자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단;
    사용자의 손잡이에 해당되는 제2 단; 및
    상기 제1 단 및 제2 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에는 장갑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을 상기 장갑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제2 연결부가 이동하는 제1 홈,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단이 이동하는 제2 홈, 및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들은,
    상기 제1 연결부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 및
    상기 제2 고정유닛을 핸들에 고정하는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제3 단, 제4 단 및 상기 제3 및 제4 단들을 연결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은 상기 제1 고정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3 단 및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은,
    상기 핸들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제3 및 제4 수납공간;
    상기 제2 고정유닛의 제3 단을 수납하는 제5 수납공간; 및
    상기 제2 고정유닛의 제2 몸체를 수납하는 제6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은 원형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몸체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들, 및 상기 제3 및 제4 고정유닛들은 나사 결합으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KR1020120129436A 2012-11-15 2012-11-15 핸들 보조 장치 KR10141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36A KR101410368B1 (ko) 2012-11-15 2012-11-15 핸들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36A KR101410368B1 (ko) 2012-11-15 2012-11-15 핸들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729A true KR20140062729A (ko) 2014-05-26
KR101410368B1 KR101410368B1 (ko) 2014-06-24

Family

ID=5089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436A KR101410368B1 (ko) 2012-11-15 2012-11-15 핸들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97U (ko) * 2020-01-28 2021-08-05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 조작용 컨트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827B1 (ko) 2021-12-09 2023-12-27 신준혁 차량용 핸들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731A (ko) * 2001-03-15 2002-09-28 황선익 조향편의장치
JP2003220955A (ja) 2002-01-30 2003-08-05 Nippon Yusoki Co Ltd 車輌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90043822A (ko) * 2007-10-30 2009-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의 보조 핸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97U (ko) * 2020-01-28 2021-08-05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 조작용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368B1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09714A (ja) 携帯型パーカッションマッサージ装置
EP2168500A1 (en) Sperm collection device
AU2012216809B2 (en) Catheter fixation device
US20100044259A1 (en) Bag for a portable computer
KR101410368B1 (ko) 핸들 보조 장치
WO2012071802A1 (zh) 调节式头盔及头部按摩器
WO2005105524A1 (ja) 車載用表示装置
US11191400B2 (en) Toilet assist device
US102139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buckle release assistive device
JP4718581B2 (ja) 身障者用車椅子
CN101357248B (zh) 一次性使用阴道扩张器
KR200426595Y1 (ko) 손가락의 보조구
US11789483B2 (en) Adaptive driving device
JP2010083076A (ja) 筆記補助具
JP2015178334A (ja) 車両用物品ホルダ
KR102238447B1 (ko) 핸들 보조 장치
TWI487550B (zh) 外掛式偏癱復健模組
KR200386728Y1 (ko) 손가락의 보조구
JP2010119733A (ja) 箸補助具及び補助具付き箸
KR200408708Y1 (ko) 차량용 손목받침대의 기능을 갖는 보조핸들
TW201201965A (en) Direction control device for a tool
CN219963203U (zh) 手关节牵伸活动器具
CN215230742U (zh) 一种间歇导尿辅助器
US11857832B2 (en) Body stretching system
Mokhtari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THE DISABLED PEOPLE-SHOULD IT WORK? THE FRENCH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