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827B1 - 차량용 핸들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핸들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827B1
KR102616827B1 KR1020210175668A KR20210175668A KR102616827B1 KR 102616827 B1 KR102616827 B1 KR 102616827B1 KR 1020210175668 A KR1020210175668 A KR 1020210175668A KR 20210175668 A KR20210175668 A KR 20210175668A KR 102616827 B1 KR102616827 B1 KR 10261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vehicle
fixing
groove
vertic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068A (ko
Inventor
신준혁
Original Assignee
신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혁 filed Critical 신준혁
Priority to KR102021017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8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6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add-on parts, e.g. retro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핸들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바를 포함하고 정단면 상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한손 또는 양손 파지가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 각각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를 차량용 핸들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용 핸들의 조작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핸들바 장치{HANDLEBAR DEVICE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핸들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급커브에서 코너링을 하기 위해서는 양손으로 빠르게 핸들을 회전시켜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양팔이 X자 형태로 꼬이게 되므로 핸들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특히, 초보 운전자의 경우, 급커브에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핸들을 조작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따라, 핸들 조작 시 자칫 핸들을 놓치는 경우에는 큰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급커브에서 한 손 만으로도 차량의 방향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일명 파워핸들(혹은 핸들봉)을 핸들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 손으로 파워핸들을 잡고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급커브에서의 대처가 용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파워핸들은 운전의 기본이 되는 정상적인 두 손 운전 자체를 불편하거나 위험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10368호(2014.06.16)는 핸들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손잡이부 및 고정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삽입부 및 고정홈을 포함하며 핸들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잡이에 해당되고, 상기 고정유닛들은 상기 본체부를 운전대에 고정하는 핸들 보조 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2-0073731호(2002.09.28)는 조향편의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향핸들의 일측에 운전자의 손가락을 끼워 조향핸들을 조작하기 위한 구멍을 갖춘 커버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나아가 상기 커버는 조향핸들의 일측에 장착되는 별도의 케이스부재에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의 구멍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조작봉을 더 구비하여 종래의 조향편의장치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으며, 커버의 구멍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압력패드를 더 구비하여 압력패드를 손바닥으로 눌러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조향핸들로부터 돌출되는 종래의 손잡이 대신에 손가락을 끼워서 조작할 수 있는 편의장치를 제공한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410368호(2014.06.16)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02-0073731호(2002.09.2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핸들에 장착시 고정부위를 탄성 소재로 감싸서 차량 사고의 발생으로 운전자와 핸들이 충격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충격을 최소화시켜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의 편의에 맞춰 운전자 쪽으로 가깝게 혹은 멀게 장착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로 운전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핸들에 핸들바를 장착한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운전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핸들바의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는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바를 포함하고 정단면 상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한손 또는 양손 파지가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 각각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를 차량용 핸들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운전자의 신체 상태나 의자 위치에 따른 핸들 위치에 따라 모양을 조절하기 위해, 우레탄 소재의 외피 내부에 금속 심재가 삽입되어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각각 고정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어 상기 고정 유닛의 상부를 개폐하는 가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핸들의 일부가 안착되고 중앙 부분에 상기 제1 수직바 또는 제2 수직바의 단부와 고정 체결을 위한 고정 체결홈이 마련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안쪽으로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동 유닛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유닛은 상기 안착홈에 힌지 결합되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핸들을 커버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양측으로 요입된 'ㄷ'자 형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체결홈의 가이드돌기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체결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체결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체결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체결시 상기 나사홈에 연통되는 나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의 연통되는 나사홈을 통해 나사 체결하여 나사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핸들에 상기 본체부의 장착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용 핸들바 장치는 상기 덮개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도록 PVC(Polyvinyl chloride) 소재 기반의 판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의 두께에 따라 설치되어 상기 핸들과 상기 고정부 사이를 밀착시키는 두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용 핸들바 장치는 차량의 핸들 위치에 따라 모양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우레탄 소재의 외피부재와 내부 금속심재로 이루어지는 핸들바 본체, 및 상기 핸들바 본체의 양측에 각각 상기 핸들이 수용되는 고정부재가 마련되고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을 개폐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바 본체를 상기 핸들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용 핸들바 장치는 상기 고정부에 핸드폰이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핸드폰이 거치되는 거치 홀더, 및 상기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거치 홀더에 거치되는 상기 핸드폰의 후면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는 차량의 핸들에 장착시 고정부위를 탄성 소재로 감싸서 차량 사고의 발생으로 운전자와 핸들이 충격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충격을 최소화시켜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는 운전자의 편의에 맞춰 운전자 쪽으로 가깝게 혹은 멀게 장착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로 운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는 핸들에 핸들바를 장착한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운전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핸들바의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는 조작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6b는 도 1의 차량용 핸들 장치의 고정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의 핸들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에 핸드폰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 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및 6b는 도 1의 차량용 핸들바 장치의 고정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차량용 핸들바 장치(100)는 본체부(110), 고정부(130) 및 두께 조절부(15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체부(110)와 고정부(130)는 실리콘(silicon) 소재 기반의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고,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일론, 우레탄, TPU 또는 PP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나일론(Nylon)은 폴리아미드계에 속하는 소재로, 마찰에 강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소재이다. 특히, 나일론은 인장강도가 좋고 열에 강하여 자동차 내부소재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우레탄은 탄력이 좋고 신축성이 좋으며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실리콘은 탄성 중합체로서 모든 산업분야에서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며, 복원력, 내후성, 내자외선, 내열특성 등이 월등하다.
TPU(Thermo Plastic Poliurethane)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PVC를 대체하는 소재이다. TPU는 신축성을 가짐과 동시에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PP(Polypropylene)는 친환경 소재로 내화학성이 높고 가볍다는 특징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100)는 기후적인 환경이나 차종 또는 운전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소재를 적절하게 취사 선택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제1 특정 길이의 제1 수직바(111)와 제2 수직바(113),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제2 특정 길이의 수평바(115)를 포함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단면 상에서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한손 혹은 양손으로 편의대로 파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특정 길이는 제2 특정 길이와 같거나 짧게 정해질 수 있고 핸들에 장착시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신체에 걸리지 않도록 정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직바(111)와 제2 수직바(113)는 운전자의 원활한 조작을 고려하여 3㎝ 내지 7㎝의 길이로 구현될 수 있고 원형 바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수직바(111)와 제2 수직바(11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단면 상에서 특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수직바(111)와 제2 수직바(113)는 핸들에 고정될 때 운전석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제1 수직바(111)와 제2 수직바(113)는 끝단에서 체적을 넓혀 핸들과의 장착 면적을 넓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바(115)는 제1 수직바(111)와 제2 수직바(113) 각각의 일단부가 절곡되어 연결되는 원형 바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바(115)는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레탄 소재의 외피(117) 내부 전구간에 걸쳐 금속 심재(119)가 삽입되어 핸들바의 모양을 운전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조절하고 조절된 모양의 유지를 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금속 심재(117)는 알루미늄 와이어 또는 마그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핸들바 장치(100)는 핸들에 장착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허벅지 굵기나 의자 위치에 따라 핸들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춰 핸들바 장치(100)의 본체부(110) 모양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제1 수직바(111)와 제2 수직바(113) 각각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10)를 차량의 핸들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30)는 제1 수직바(111)를 핸들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131)와 제2 수직바(113)를 핸들에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고정부재(131)와 제2 고정부재(133) 각각의 제1 수직바(111)와 제2 수직바(113)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31)와 제2 고정부재(133)는 각각 핸들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원형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31)와 제2 고정부재(133)는 각각 고정 유닛(132)과 가동 유닛(134)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고정 유닛(132)은 각각 제1 수직바(111)와 제2 수직바(113)의 끝단에 결합되며 핸들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32a), 안착홈(132)의 일측에 가동 유닛(134)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132b) 및 체결홈(132b)의 바닥면에 체결을 나사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132a)은 중앙 부분에 본체부(110)와 고정부(130)의 결합을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 체결하기 위한 고정 체결홈(1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체결홈(132b)은 상단에 안쪽으로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유닛(134)은 각각 고정 유닛(13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어 고정 유닛(132)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 유닛(134)은 고정 유닛(132)의 안착홈(132a)에 힌지 결합되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홈(132a)에 안착된 핸들을 커버할 수 있는 덮개(134a), 덮개(134a)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체결홈(132b)과 탈착 가능하게 끼움 체결되는 체결돌기(134b) 및 체결돌기(134b)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체결돌기(134b)가 체결홈(132b)에 체결시 나사홈(132c)에 연통되는 나사홈(134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체결돌기(134b)는 양측으로 요입된 대략 'ㄷ'자 형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가이드홈이 체결홈(132b)의 가이드돌기를 따라 이동하여 체결돌기(134b)가 체결홈(132b)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31)와 제2 고정부재(133)는 각각 고정 유닛(132)의 안착홈(132a)에 핸들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가동 유닛(134)의 덮개(134a)를 덮고 고정 유닛(132)의 체결홈(132b)에 가동 유닛(134)의 체결돌기(134b)을 끼움 체결함으로써 핸들에 핸들바 장치(10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나사를 가동 유닛(134)의 나사홈(134c)과 고정 유닛(132)의 나사홈(132c)에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연결함으로써 장착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고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두께 조절부(150)는 고정부(130)의 내부에 추가 설치되어 핸들과의 사이에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두께 조절부(150)는 고정부(130)의 가동 유닛(134)의 원호 형상의 덮개(134a)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PVC(Polyvinyl chloride) 소재 기반의 판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두께 조절부(150)는 핸들바 장치(100)를 핸들에 장착시 고정부(130)의 직경이 핸들 직경보다 클 경우 고정부(130)의 내측에 추가 설치하여 직경을 축소시켜 핸들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의 핸들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핸들바 장치(100)는 차량용 핸들(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핸들바 장치(100)는 고정부(130)의 제1 고정부재(131)와 제2 고정부재(133) 각각을 핸들(200)에 고정시킨다. 제1 고정부재(131)와 제2 고정부재(133) 각각의 고정 유닛(132)의 안착홈(132a)에 핸들(20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가동 유닛(134)의 덮개(134a)를 힌지 방식으로 안착홈(132a)을 향해 회동시켜 안착홈(132a)에 안착된 핸들(200)을 커버한다. 이때, 핸들(200)의 두께에 따라 덮개(134a)의 내측에 두께 조절부(150)를 추가 설치하여 핸들(200)의 두께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다. 가동 유닛(134)의 결합돌기(134b)가 고정 유닛(132)의 결합홈(132b)에 끼움 결합되면서 핸들(200)에 장착되게 되고 육각 렌치 등을 사용하여 나사(300)를 가동 유닛(134)의 나사홈(134c)과 고정 유닛(132)의 나사홈(132c)을 연통시켜 핸들(200)에 장착된 상태를 고정시킨다. 이때, 운전자는 고정부(130)를 고정하기 전에 고정부(130)의 장착 각도를 조절하여 본체부(110)의 수평바(115)가 운전자 쪽으로 가깝도록 하거나 멀리하도록 한 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용 핸들바 장치(400)는 핸들바 본체(410)와 핸들바 본체(410)를 차량의 핸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바 본체(410)는 고정부(430)를 통해 핸들에 결합되어 운전자가 한손 또는 양손을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핸들바 본체(410)는 핸들의 위치에 따라 모양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우레탄 소재의 외피부재(411)와 내부 금속심재(4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바 본체(410)는 양측이 절곡 형성되고 양측 각각에 고정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30)는 고정부재(431)와 가동부재(433)를 포함하고, 힌지부재(435)를 통해 가동부재(433)가 고정부재(43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가동부재(433)는 힌지부재(435)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고정부재(431)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다. 고정부재(431)는 커버모듈(431a)과 결합모듈(4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모듈(431b)은 일측에 가동부재(433)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측에 커버모듈(431a)이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모듈(431a)에는 핸드폰 거치를 위한 홀더를 형성하여 핸들바 기능과 함께 핸드폰 거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들바 장치에 핸드폰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용 핸들바 장치(400)는 핸들에 고정되는 고정부(430)에 핸드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 홀더(810) 및 지지 패널(83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 홀더(810)는 고정부(430) 각각의 커버모듈(431a)에 'ㄴ'자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져 핸드폰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지지 패널(830)은 거치 홀더(810)에 거치된 핸드폰의 후면을 고정 지지하여 핸드폰의 유동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거치 홀더(810)는 PV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 패널(830)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핸드폰과의 마찰에 의해 핸드폰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 지지할 수 있다. 거치 홀더(810)는 고정부(4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 패널(830)은 고정부(4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운전자는 핸드폰 거치 유무에 따라 차량용 핸들바 장치(400)의 앞뒤를 전환하여 핸들에 장착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폰 거치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 패널(830)을 탈착하고 거치 홀더(810)가 핸들의 뒤쪽으로 가도록 차량용 핸들바 장치(400)를 핸들에 장착하므로써 운전자의 운전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핸들바 장치는 차량 핸들에 운전자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해서 편안한 자세로 운전이 가능하며, 운전자의 편의에 맞춰 장착 각도를 앞뒤로 조절할 수 있고 한손 또는 양손의 파지가 모두 가능하여 좌회전, 우회전, 유턴 등을 할 때 안전하게 핸들 조작을 할 수 있으며 핸들 두께에 상관없이 장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400: 차량용 핸들바 장치
110: 본체부
111: 제1 수직바 113: 제2 수직바
115: 수평바 117: 우레탄 외피
119: 금속 심재
130: 고정부
131: 제1 고정부재 132: 고정 유닛
132a: 안착홈 132b: 체결홈
132c: 나사홈
133: 제2 고정부재 134: 가동 유닛
134a: 덮개 134b: 체결돌기
134c: 나사홈
135: 고정 체결홈
150: 두께 조절부
200: 차량 핸들 300: 나사
410: 핸들바 본체
411: 외피부재 413: 금속심재
430: 고정부
431: 고정부재
431a: 커버모듈 431b: 결합모듈
433: 가동부재 435: 힌지부재
810: 거치 홀더 830: 지지 패널

Claims (9)

  1.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바를 포함하고 정단면 상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한손 또는 양손 파지가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 각각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를 차량용 핸들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운전자의 신체 상태나 의자 위치에 따른 핸들 위치에 따라 모양을 조절하기 위해, 우레탄 소재의 외피 내부에 금속 심재가 삽입되어 성형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각각 고정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어 상기 고정 유닛의 상부를 개폐하는 가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핸들의 일부가 안착되고 중앙 부분에 상기 제1 수직바 또는 제2 수직바의 단부와 고정 체결을 위한 고정 체결홈이 마련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안쪽으로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동 유닛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유닛은
    상기 안착홈에 힌지 결합되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핸들을 커버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양측으로 요입된 'ㄷ'자 형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체결홈의 가이드돌기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체결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체결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체결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체결시 상기 나사홈에 연통되는 나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의 연통되는 나사홈을 통해 나사 체결하여 나사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핸들에 상기 본체부의 장착 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도록 PVC(Polyvinyl chloride) 소재 기반의 판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의 두께에 따라 설치되어 상기 핸들과 상기 고정부 사이를 밀착시키는 두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
  8. 차량의 핸들 위치에 따라 모양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우레탄 소재의 외피부재와 내부 금속심재로 이루어지는 핸들바 본체; 및
    상기 핸들바 본체의 양측에 각각 상기 핸들이 수용되는 고정부재가 마련되고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을 개폐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바 본체를 상기 핸들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핸드폰이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핸드폰이 거치되는 거치 홀더; 및
    상기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거치 홀더에 거치되는 상기 핸드폰의 후면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들바 장치.
KR1020210175668A 2021-12-09 2021-12-09 차량용 핸들바 장치 KR10261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668A KR102616827B1 (ko) 2021-12-09 2021-12-09 차량용 핸들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668A KR102616827B1 (ko) 2021-12-09 2021-12-09 차량용 핸들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068A KR20230087068A (ko) 2023-06-16
KR102616827B1 true KR102616827B1 (ko) 2023-12-27

Family

ID=8694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668A KR102616827B1 (ko) 2021-12-09 2021-12-09 차량용 핸들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82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397B1 (ko) 1998-12-11 2001-12-17 인 택 박 자동차용스티어링휠
KR100357390B1 (ko) 1999-11-29 2002-10-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휠
KR200426446Y1 (ko) 2006-07-03 2006-09-13 전승수 차량용 보조핸들 연결조립체
JP2010516542A (ja) 2007-01-22 2010-05-20 チュンス イ 自動車操向ハンドルの補助ハンドル及びそのクランプ
JP2011213250A (ja) 2010-03-31 2011-10-27 Nippon Plast Co Ltd ハンドル
KR200471572Y1 (ko) 2013-08-14 2014-03-04 우양섭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76460Y1 (ko) 2014-07-21 2015-03-11 (주)신형아이엔티 차량용 보조핸들 어셈블리
JP2021070351A (ja) 2019-10-29 2021-05-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舵装置および移動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731A (ko) 2001-03-15 2002-09-28 황선익 조향편의장치
KR20120005428U (ko) * 2011-01-18 2012-07-26 신우균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KR20130080201A (ko) * 2012-01-04 2013-07-12 박은서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KR101410368B1 (ko) 2012-11-15 2014-06-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핸들 보조 장치
KR20170029767A (ko) * 2015-09-08 2017-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형상 변경 시스템
KR101752195B1 (ko) * 2015-12-08 2017-06-30 (주)미도아트웍스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커버에 설치되는 핸드폰 홀더 거치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397B1 (ko) 1998-12-11 2001-12-17 인 택 박 자동차용스티어링휠
KR100357390B1 (ko) 1999-11-29 2002-10-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휠
KR200426446Y1 (ko) 2006-07-03 2006-09-13 전승수 차량용 보조핸들 연결조립체
JP2010516542A (ja) 2007-01-22 2010-05-20 チュンス イ 自動車操向ハンドルの補助ハンドル及びそのクランプ
JP2011213250A (ja) 2010-03-31 2011-10-27 Nippon Plast Co Ltd ハンドル
KR200471572Y1 (ko) 2013-08-14 2014-03-04 우양섭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76460Y1 (ko) 2014-07-21 2015-03-11 (주)신형아이엔티 차량용 보조핸들 어셈블리
JP2021070351A (ja) 2019-10-29 2021-05-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舵装置および移動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068A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4583Y2 (ja) 車両用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
US8807408B2 (en) Adaptive storage area
US8668266B2 (en) Integrated lumbar for thin seat
US20040118851A1 (en) Receptacle
US7819481B2 (en) Head rest devices
EP0502272A1 (en) Helmet with visor
KR20100042035A (ko)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KR102616827B1 (ko) 차량용 핸들바 장치
US20070126413A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of refrigerator
US11383648B2 (en) Shielding member
KR20110135654A (ko) 도어트림용 핸들
KR20120005428U (ko)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US4403787A (en) Covering apparatus for a handle bar of a bicycle
EP1310410B1 (en) Seat belt tongue with handle
KR102412254B1 (ko) 암레스트의 플립 커버형 수납구조체
CN210191027U (zh) 轮子支架、脚轮及箱包
KR101754893B1 (ko) 자전거용 후사경
US6431024B1 (en) Backpack-type working machine
KR10122915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장치
KR100526975B1 (ko) 차량의 시트백용 포켓구조
KR200146763Y1 (ko) 시트백 내장형 어시스트 그립 어셈블리
JP7385405B2 (ja) 椅子
CN220615670U (zh) 一种车用储物盒及汽车
KR100550041B1 (ko) 다기능 오버 헤드 콘솔
KR20170032978A (ko) 자동차용 도어 그립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