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0520A - 복합 레이돔 월 - Google Patents

복합 레이돔 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0520A
KR20140060520A KR1020147006342A KR20147006342A KR20140060520A KR 20140060520 A KR20140060520 A KR 20140060520A KR 1020147006342 A KR1020147006342 A KR 1020147006342A KR 20147006342 A KR20147006342 A KR 20147006342A KR 20140060520 A KR20140060520 A KR 20140060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adome
polymeric
present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베어드
루이스 코락
채 톰슨
엘코 오스터보쉬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6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 H01Q1/424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comprising a layer of expande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56Antennas, e.g. rado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의 코어에 의해 분리된, 중합체성 테이프를 함유하는 통합된 다수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함유하는 2개의 도형재를 함유하는 샌드위치 타입의 복합 패널을 포함하는 레이돔 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레이돔 월{COMPOSITE RADOME WALL}
본 발명은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expanded polymeric material)의 코어에 의해 분리된 2개의 도형재(facing)를 함유하는 샌드위치 타입의 복합 패널을 포함하는 레이돔 월(radome wall)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레이돔 및 레이더 안테나와 본 발명의 레이돔을 포함하는 레이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이돔은 레이더 시스템, 즉 레이더 안테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용의 전자기 커버(electromagnetic cover)이며, 이는 시스템을 환경 요소로부터 보호하는, 예를 들면 그것을 바람과 비에 대해 차폐시키는데 사용된다. 레이돔의 중요한 요건은 레이돔이 레이돔을 통과하는 레이더파에 실질적으로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사된 레이더파가 레이돔을 통하여 다시 유입되어 레이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레이돔은 원칙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2가지의 중요한 특성을 가져야만 한다: 환경 요소에 대한 충분한 구조적 일체성 및 내구성 및 레이돔을 통한 레이더파의 만족스러운 전송 효율을 제공하는 적절한 전자기 성능.
레이돔의 전자기 성능은 전형적으로 레이더파가 레이돔을 통과하는 방향의 반사, 왜곡 및 감쇠를 최소화하는 레이돔의 능력에 의해 측정된다. 전송 효율은 레이더파에 대한 레이돔의 가시 투명도와 유사하며, 시스템상에서 레이돔 커버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측정된 송신 전력의 백분율로서 표시된다. 레이돔은 전자기 장치로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레이돔을 튜닝하여 전송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레이돔의 튜닝은 레이돔 월의 두께 및 그의 조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관리된다. 예를 들면, 각각 레이더 시스템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파동 주파수의 함수인 결정된 유전율 및 손실 탄젠트를 갖는 물질을 조심스럽게 선택함으로써, 레이돔을 튜닝할 수 있다. 좋지 못하게 튜닝된 레이돔은 레이더파가 다양한 방향에서 감쇠되고 산란하고 반사되어 레이더 신호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능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된 한 가지의 종래의 레이돔 월은 A-샌드위치 구조로서 지칭된다. A-샌드위치 레이돔 월은 팽창된 코어,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는 에폭시/유리섬유 라미네이트를 함유하는 도형재에 의해 결합된 허니콤 또는 발포체-함유 코어(honeycomb or a foam-containing core)를 함유하는 복합 패널을 함유한다. 전체 샌드위치 구조, 코어 및 도형재의 두께는 대략적으로는 레이더파의 근접 입사각(near incidence angle)에 대해 대략 4분의 1 파장 정도 두껍다. 이러한 A-샌드위치 레이돔 월이 예를 들면 EP 0 843 379; EP 0 359 504; EP 0 470 271; GB 633,943; GB 821,250; GB 851,923; US 2,659,884; US 4,980,696; US 5,323,170; US 5,662,293; US 6,028,565; US 6,107,976; 및 US 2004/0113305 에 개시되어 있다.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도형재를 함유하는 A-샌드위치 레이돔 월은 예를 들면 US 3,002,190 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사용되는 합성 섬유의 예는 US 5,182,155 에 공지된 폴리에틸렌 섬유 및 US 5,408,244 에 공지된 아라미드 섬유이다.
샌드위치 레이돔 월의 다른 예로는 B, C 및 D 샌드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C-샌드위치 레이돔 월은 그들 자체가 코어의 물질의 또 다른 층에 의해 결합된 2개의 도형재에 의해 결합된 코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구조가 US 4,613,350; US 4,725,475; US 4,677,443; US 4,358,772 및 US 3,780,374 에 나타나 있다.
때로는 복합체로 지칭되는 공지된 샌드위치-타입의 레이돔 월이 주로 만족스러운 전자기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관찰하였다. 예를 들면, 이러한 복합 레이돔 월중의 어느 것도 극초단파(UHF)에서, 예를 들면 50 GHz 이상 및 더 높은 70 GHz 이상의 GHz 수준에서 작동하는 안테나에 효과적인 레이돔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극초단파 안테나용으로 공지된 복합 레이돔 월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안테나는 짧은 작동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그의 전력은 특정 신호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대폭 증가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안테나의 전력을 증가시키면 결과적으로 안테나의 작동 수명이 감소할 수 있으며, 또한 많은 전력 소비로 인하여 운전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광대역 레이돔, 즉 넓은 대역폭 및 특히 마이크로파 대역폭, 예를 들면 140 GHz 이하의 주파수, 보다 특히는 1 GHz 내지 130 GHz 사이의 주파수 대역폭 상에서 양호한 전자기 투명도를 나타내는 레이돔을 제조할 수 있는 복합 레이돔 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의 코어에 의해 분리된, 중합체성 테이프를 함유하는 통합된(consolidated) 다수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함유하는 2개의 도형재를 함유하는 샌드위치 타입의 복합 패널을 포함하는 레이돔 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광범위한 주파수에 대해 만족스러운 전자기 성능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X-밴드 작동식 레이더에 대해 양호한 성능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W- 및/또는 F-밴드 작동식 레이더에서도 잘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X-, W- 및 F-밴드는 본원에서는 각각 8 내지 12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 75 내지 11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 및 90 내지 14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로 이해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이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자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상기에서 언급된 범위내의 이산 주파수(discrete frequency)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뛰어난 전자기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강도, 강성 및 운동에너지 흡수와 같은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WO 2010/122099 호에서는 레이돔 월의 제조시에 중합체성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공고는 공지된 복합 레이돔 월, 즉 본 발명의 월 또는 US 5,182,155호에 기술되어 있는 월과 같은 코어 및 도형재를 포함하는 월을 단일-층 월, 즉 단일 물질로 제조된 월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월이 쉽게 제조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더 양호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테이프란 본원에서는 길이 치수, 폭 치수 및 두께 치수를 갖는 가늘고 긴 몸체(elongated body)로 이해되며, 이때 테이프의 길이 치수는 그의 폭 치수보다는 더 크고 그의 두께 치수보다는 훨씬 더 크다. 그러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테이프는 비섬유질 테이프, 즉 섬유를 생산하는 단계 및 섬유를 테이프로 만드는 단계, 예를 들면 융합(fusing)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과는 다른 공정으로 수득된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고체-상태 테이프, 즉 중합체성 분말 베드(polymeric powder bed)를 압착한 다음 압착된 분말 베드를 추가적으로 더 캘린더링하고/하거나 연신시킴으로써 수득된 테이프이다. 이러한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00 ㎛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20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150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mm 내지 1200 mm의 폭을 갖는다. 상기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4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내지 35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300 ㎛의 평균 두께를 갖는다. 테이프의 폭이란 본원에서는 상기 테이프의 단면의 둘레상의 2개 지점 사이에서 측정된 가장 긴 거리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테이프의 두께는 상기 테이프의 단면의 둘레상의 2개 대향점 사이에서 측정된 가장 긴 거리로 이해되는데, 이러한 두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거리는 테이프의 폭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거리에 대해 수직이다. 상기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의 폭(W) 대 평균 두께(T)의 비(W/T)를 갖는다. 상기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4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00 이하의 폭(W) 대 평균 두께(T)의 비(W/T)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160 g/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g/m2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g/m2 이하의 면적 밀도(areal density)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되는 테이프는 종래의 레이돔 월의 도형재에 의해 함유되는 섬유와는 구조적으로 다르다. 이러한 섬유는 단면의 최저 치수에 대한 최고 치수의 비가 5 이하인 타원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가늘고 긴 몸체이다.
본원에서 중합체성 테이프란 중합체성 물질로부터 제조된 테이프로 이해되며, 이러한 중합체성 물질의 적합한 예로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라미드, 예를 들면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p-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PBO); 액체 결정성 중합체(LCP), 예를 들면 벡트란®(Vectran®)(파라 하이드록시벤조산 및 파라 하이드록시나프탈산의 공중합체); 폴리{2,6-디이미다조-[4,5b-4',5'e]피리디닐렌-1,4(2,5-디하이드록시)페닐렌};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나일론 6,6, 으로 공지됨), 폴리(4-아미노부티르산)(나일론 6 으로서 공지됨);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1,4 사이클로헥실리덴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을 포함하지만, 그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중합체성 테이프가 폴리올레핀 테이프였을 경우에 아주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상기 테이프가 폴리에틸렌의 테이프, 보다 바람직하게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의 테이프였을 경우에 훨씬 더 우수한 결과가 얻어졌다. 바람직한 UHMWPE 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dl/g,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dl/g 의 고유점도(IV)를 갖는다. 상기 UHMWPE 의 IV는 바람직하게는 40 dl/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dl/g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dl/g 이하이다. UHMWPE 는 바람직하게는 100개의 C 원자당 1개 미만의 측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개의 C 원자당 1개 미만의 측쇄를 갖는다. 더 바람직한 UHMWPE 는 적어도 10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6 이하의 Mw/Mn 비를 갖는데, 여기서 Mn 은 수평균 분자량이다. 폴리에틸렌을 제조하는 적합한 방법은 예를 들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WO 2001/021668 및 US 2006/0142521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UHMWPE 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WO 2010/007062 의 17 및 18 페이지에 기술된 조건을 사용하는 공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는 잘 풀린 UHMWPE 이다.
중합체성 테이프는 중합체성 물질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물질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테이프를 압출한 다음, 압출된 테이프를 인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합체성 물질을 압출기에 공급하기 전에, 상기 물질을 적합한 용매와 혼합하여,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겔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UHMWPE 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모두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EP 0 205 960 A, EP 0213208 A1, US 4 413 110, WO 01 73173 A1 을 포함한 다양한 공보, 및 문헌[참조: Advanced Fiber Spinning Technology, Ed. T. Nakajima, Woodhead Publ. Ltd (1994), ISBN 1-855-73182-7], 및 본원에서 인용된 참조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공보에서, UHMWPE 테이프는 겔 방사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유리한 기계적 특성, 예를 들면 높은 모듈러스 및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UHMWPE 테이프는 EP 0205960 A, EP 0213208 A1, US 4413110, GB 2042414 A, GB-A-2051667, EP 0200547 B1, EP 0472114 B1, WO 01/73173 A1, EP 1,699,954 을 포함한 다양한 공보, 및 문헌[참조: "Advanced Fibre Spinning Technology", Ed. T. Nakajima, Woodhead Publ. Ltd (1994), ISBN 185573 182 7]에 기술된 바와 같은 겔 방사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공정은 방사 구멍(spinning hole) 대신에 방사 슬릿(spinning slit)을 가진 방사 염료(spinning dye)를 사용함으로써 관례적으로 개조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월의 대표적인 전자기 반응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테이프는 (a) 중합체성 분말 베드를 순환 벨트(endless belts)의 조합 사이에 공급한 다음, 분말 베드를 가압 수단 사이에서 중합체성 분말의 융점 아래의 온도에서 압축-성형하는 단계; (b) 생성되는 압축-성형된 분말을 캘린더 롤 사이로 운반하여 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테이프를 인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사용되는 중합체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보다 바람직하게는 UHMWPE 이다. 이러한 실시태양에 따른 공정에 의해 수득된 테이프는 통상적으로는 본 기술분야에서 고체-상태 테이프로서 지칭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시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층은 중합체성 테이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층은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가 없는 층(matrix-free layer), 즉 상기 층을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특정의 결합제, 접착제 또는 다른 물질이 실질적으로 없는 층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층들은 필수적으로는 중합체성 테이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층들은 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중합체성 테이프는 단방향 직물(unidirectional fabric)을 형성한다. 중합체성 테이프의 단방향 직물이란 본원에서는 테이프가 단방향으로 정렬되어 그들의 길이가 단일 평면에 의해 정의되고 거기에 함유되는 공통 방향(common direction)을 따라 진행하는 직물로 이해된다. 2개의 인접한 테이프 사이에 갭(gap)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갭은 상기 2개의 인접 테이프의 가장 좁은 폭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프는 인접 관계(abutting relationship)에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은 그들 표면의 일부분상에서 그들의 길이를 따라 서로 중첩하는 인접 테이프(adjacent tape)를 포함하는데, 이때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2개의 중첩하는 인접 테이프의 가장 좁은 부분의 폭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층내의 테이프의 진행하는 공통 방향(running common direction)은 인접 층내의 테이프의 진행하는 공통 방향과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5°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이다.
중합체성 테이프가 직조 직물(woven fabric)을 형성하는 경우에 아주 양호한 결과가 수득된다. 바람직한 직물 구조(woven structure)는 평직, 바스켓 구조(basket weave), 수자직(satin weaves) 및 크로우-풋 구조(crow-foot weave)이다. 가장 바람직한 직물 구조는 평직이다. 바람직하게는, 직조 직물의 두께는 테이프 두께의 1.5배 내지 3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두께의 약 2배이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다층 시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층의 적어도 일부는 시트의 길이 및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는 싱글 테이프(single tape)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태양을 위하여, 이러한 테이프는 필름으로서 지칭된다. 따라서, 필름의 폭 및 길이의 치수는 결과적으로 그의 용도에 좌우되는 시트의 치수에 좌우된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필름의 횡방향 치수를 관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이방성이다. 이방성이란 말은 본 발명의 문맥에서는 2개의 상호 직각 방향(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이 필름의 평면내에서 제 1 방향에서의 탄성계수가 그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탄성계수보다 적어도 3배 이상 높게 한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방성 필름의 제 1 방향은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는 가장 높은 기계적 특성을 갖는 기계 방향 또는 연신 방향(drawing direction)으로서 (또는 배향 방향으로서) 지칭된다. 필름을 함유하는 단층(monolayer)이 2개의 인접한 단층에서의 필름의 배향 방향, 즉 기계 방향이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35°,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15°,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되었을 경우에 아주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이러한 이방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WO2010/066819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형재는 통합된 다수의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함유한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은, 예를 들면 층들의 스택(stack)을 승온에서, 일반적으로는 상기 층들내에 함유된 중합체성 테이프의 용융온도 아래에서 압착함으로써 다수의 층들을 통합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다층 시트는 매트릭스가 없는 다층 시트(matrix-free multi-layered sheet)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다층 시트는 시트 부피(sheet volume)(Vs)를 한정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상기 부피는 필수적으로 중합체성 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는 외부 표면중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덮는 코팅을 함유할 수 있다.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다층 시트를 수득할 때 고품질의 레이돔 월이 수득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a) 중합체성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수의 층을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c) 다수의 층을 적층하여 상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과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갖는 층의 스택을 수득한 다음, 적어도 하나의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을 적어도 상부 표면에 위치시켜 상기 스택 및 상기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을 함유하는 어셈블리를 생성하는 단계;
(D) 단계(C)의 어셈블리를 적어도 100 bar 의 압력에서 및 중합체성 테이프의 용융온도 아래의 온도에서 동일장소 체류시간(dwell time) 동안 압착하는 단계;
(e) 어셈블리를 70℃ 미만, 바람직하게는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압력을 해제하는 단계; 및
(f) 상기 어셈블리로부터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본 발명 공정의 단계(b)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이 제공된다. 다양한 중합체성 물질로부터 제조된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이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은 층에 의해 함유된 중합체성 테이프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중합체성 물질과는 다른, 즉 다른 부류의 중합체에 속하는 중합체성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사용되는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한 중합체성 물질은 폴리비닐계 물질, 예를 들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실리콘계 물질을 포함한다.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실리콘 고무로부터 제조된 필름일 경우에 양호한 결과가 수득될 수 있다.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 ㎛ 이다.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2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내지 2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 내지 15 mm 이다.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필름의 경우 가장 바람직한 두께는 500 ㎛ 내지 15 mm 인 반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의 경우 가장 바람직한 두께는 1 mm 내지 10 mm 이다. 광범위한 두께 범위를 갖는 실리콘 고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예를 들면 알론(Arlon,(US)) 및 윈 플라스틱 익스트루션(WIN Plastic Extrusion(US))으로부터 각각 입수될 수 있다.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이 적어도 3 MPa 의 인장강도를 가질 경우에 양호한 결과가 수득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의 인장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MPa,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9 MPa 이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이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10 MPa 내지 25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MPa 내지 22 MPa, 가장 바람직하게는 16 MPa 내지 20 MPa의 인장강도를 갖는다. 실리콘 고무 필름이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실리콘 고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3 MPa 내지 20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Pa 내지 17 MPa, 가장 바람직하게는 7 MPa 내지 15 MPa의 인장강도를 갖는다.
압착 단계(d) 도중의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압축 온도를 통하여 제어되거나, 또는 몰드가 사용된 경우에는 몰드 온도를 통하여 제어되며, 예를 들면 층들 사이에 위치한 열전대로 측정될 수 있다. 압착 단계(d) 도중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DSC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중합체성 테이프의 용융온도(Tm) 아래에서 선택된다. 어셈블리가 한 가지 타입 이상의 중합체성 테이프를 함유하는 경우, 용융 온도는 본원에서는 한 가지 타입 이상의 중합체성 테이프의 가장 낮은 용융 온도로 이해된다. 압착 단계(d) 도중의 온도는 중합체성 테이프의 융점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이하 아래이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이프의 경우, 보다 특히는 UHMWPE 테이프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150℃의 압착 온도가 선택될 수 있다. 최소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적정한 통합 속도가 얻어지도록 선택된다. 이와 관련하여, 50℃ 가 적절한 하한 온도이며, 이러한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5℃ 이다.
본 발명의 레이돔 월에 함유된 도형재도 또한 코팅,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PTFE, 및 폴리부타디엔을 함유할 수 있다. 코팅하기 전에, 상기 도형제도 또한 예를 들면 적합한 에폭시 프라이머 또는 사용되는 코팅에 적합한 다른 프라이머로 하도칠될 수 있다. 프라이머에 대한 적합한 두께는 0.02 내지 1.0 mil(0.5 내지 25.4 ㎛),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mil(1.3 내지 12.7 ㎛),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5 mil(1.3 내지 6.4 ㎛)이다.
각각의 도형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k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 kg/m2,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kg/m2 의 면적 밀도(AD)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의 코어는 2개의 도형재 사이에 함유된다.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이란 본원에서는 상기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중합체성 물질의 고유밀도보다 더 낮은 밀도를 갖는 물질로 이해된다.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의 바람직한 예는 중합체성 발포체 및 중합체성 허니콤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은 중합체성 발포체이다. 이러한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중합체성 물질은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물질로서, 그들의 예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폴리이미드, 폴리메타크릴이미드 및 이들의 블렌드 뿐만 아니라 고무 및 수지와 같은 다른 합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중합체성 물질의 적합한 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메타-아라미드, 에폭시 수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PTFE, 및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한다. 발포체의 특정 예는 합성 발포체, 즉 무기질중공구체(glass microballoon)를 함유하는 발포체이다. 이러한 발포체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의 예가 상기에서 언급된 공보에 나타나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폐쇄형-셀 발포체(closed-cell foam), 즉 대부분의 셀, 바람직하게는 모든 셀이 전체적으로 셀 벽에 의해 둘러싸인 발포체이다. 상기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5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30 ㎛ 범위의 직경을 가진 셀을 갖는다. 상기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20 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 kg/m3,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00 kg/m3의 밀도를 갖는다. 상기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 이하의 유전상수를 갖는다. 상기 발포체는 ASTM D1621 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바람직하게는 13,000 psi,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psi,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00 psi 의 압출 모듈러스를 갖는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은 개방형-셀 발포체 또는 허니콤이다. 그들의 공통된 특징은 이러한 2가지 타입의 팽창된 물질 모두가 셀 벽으로 완전하게 둘러싸이지 않은 셀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돔 월은 샌드위치 타입의 복합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은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의 코어에 의해 분리된 2 개의 도형재를 함유한다. 이러한 샌드위치 타입의 패널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i) 중합체성 테이프를 함유하는 통합된 다수의 층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다층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ii)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iii) 적어도 2 개의 시트를 도형재로서 사용하고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을 상기 도형재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로서 사용하여 2 개의 도형재와 코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타입 구조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iv) 상기 샌드위치 타입 구조물을 승압 및 승온에서 압착하여 샌드위치 타입 패널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샌드위치 타입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 psi,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0 psi,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0 psi 의 압력에서 압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물은 DSC 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중합체성 테이프 및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 모두의 용융온도보다 아래의 온도에서 압착한다. 상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35℃ 이하이다.
코어에 대한 도형재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착제 층이 각 도형재와 코어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접착제는 놀락스(Nolax), 이그잭트(Exact), 스펀팹(Spunfab) 및 LDPE 로서 공지된 접착제와 같은 폴리올레핀 또는 변성 폴리올레핀을 기본으로 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특성을 갖는 레이돔 월이 수득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기타 다른 적합한 접착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우레탄을 기본으로 하는 접착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엘라스토머를 기본으로 하는 접착제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접착제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C2 내지 C12 α-올레핀 공단량체와의 반-결정성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플라스토머(plastomer)이며, 이때 상기 플라스토머는 ISO1183 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870 내지 930 kg/m3 의 밀도를 갖는다. 상기 플라스토머는 열가소성 물질의 부류에 속하는 플라스틱 물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토머는 단일 자리 촉매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되나, 상기 플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플라스토머, 즉 메탈로센 단일 자리 촉매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토머이다. 특히, 에틸렌이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에서 바람직한 공단량체인 반면, 에틸렌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모두에 대한 바람직한 α-올레핀 공단량체는 부텐, 헥센 및 옥텐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플라스토머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열가소성 공중합체이며, 공단량체로서 2 내지 12개의 C-원자를 가진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특히 에틸렌, 이소부텐,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을 함유한다. 에틸렌이 공단량체로서 하나 이상의 C3 - C12 α-올레핀 단량체와 함께 적용된 경우, 공중합체중의 공단량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1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wt%이다. 에틸렌 공중합체의 경우, 바람직한 공단량체는 1-옥텐이며, 상기 공단량체는 5 wt% 내지 2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wt% 내지 20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경우, 공단량체, 특히 에틸렌 공단량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1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wt%이다. 플라스토머의 밀도가 880 내지 920 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880 내지 910 kg/m3일 경우에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샌드위치 타입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물-분사 장치 또는 레이저 절단 장치를 사용하여 그들의 목적하는 형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독특한 전자기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공지된 물질에 의해서는 자유가 거의 제공되지 않았던 다양한 레이돔 구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훨씬 더 많은 자유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극초단파, 예를 들면 50 GHz 이상 및 70 GHz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독특한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극초단파에서, 본 발명의 물질은 달리는 보호된 안테나의 동작을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는 범위까지 특정의 신호 잡음을 증폭시켜야 하는 공지된 물질과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감소된 다중 반사 또는 공명을 나타낸다. 레이돔에 사용되었을 때의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의 신호대잡음비는 양호하여 레이돔-안테나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레이돔 월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레이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월은 다양한 용도로 설계된 레이돔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을 포함하는 측지선 구조물(geodesic structure)을 포함하는 레이돔에 관한 것이다. 측지선 구조물을 포함하는 레이돔은 예를 들면 그의 개시내용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US 4 946 736 호(도 2 및 그에 대한 설명 참조)에 공지되어 있다. 측지선 구조물의 다른 통상의 디자인은 "이글루(Igloo)" 형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이러한 레이돔을 제조하는데 충분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을 함유하는 레이돔을 포함하는 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그들을 항공기내의 구조 요소(structural component)로서 유용하게 만드는 특성, 예를 들면 그들이 항공기의 동체 표면에서 그 안에 안테나가 위치되어 있는 개구부(opening)용의 개구 밀폐부(aperture seal)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유사한 레이돔 구조가 그의 개시내용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US 4 677 443 호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을 포함하는 영공(airborne), 육지 및 해양 응용 장치내의 구조 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구조 요소는 양호한 구조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예를 들면 위상 어레이 안테나(phased array antenna)용으로 적합한,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을 함유하는 레이돔에 관한 것이다. 어레이 안테나용으로 적합한 디자인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US 4 783 666 호, 특히 그의 도면 및 도면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돔의 추가적인 디자인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US 5 182 155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어레이 안테나의 경우,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양호한 전자기 특성 뿐만 아니라 기계적 특성을 갖는 레이돔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형 요소(spherical element)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부분 구형 요소를 함유하는 구형 구조물(spherical structure) 또는 구형 구조물의 일부를 함유하는 레이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이 그 개시내용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US 5 059 972 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특히 기상 교란을 감시하는데 사용되는 대형 안테나를 에워싸는데 적합한 구형 레이돔을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을 포함하는 접이식 강성 구조물 (folding rigid structure)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지붕을 더 포함하는, 대기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레이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레이돔 구조가 예를 들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US 4 833 837 호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 선박 또는 다른 레이더 시설용의 레이더 안테나를 보호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을 포함하는 레이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을 함유하는 레이돔 및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레이돔-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어레이; 마이크로파 안테나; 바람직하게는 39.5 GHz 이상의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이중 또는 다중 주파수 안테나; 레이더 안테나; 평면형 안테나; 및 방송용 안테나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다.
안테나란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 방사선을 방출, 방사,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이해된다. 대표적인 안테나의 예로는 대공 감시용 레이더 안테나 및 위성 통신 기지국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파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때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은 상기 전자기파의 경로내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레이돔 월을 포함하는 보호 구조물은 레이저, 메이저, 다이오드 및 기타 다른 전자기파 발생 및/또는 수신 장치를 수용하고/하거나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본원에 기술된 보호 구조물은 약 1 GHz 내지 130 GHz, 바람직하게는 약 1 GHz 내지 100 GHz, 보다 바람직하게는 1 GHz 내지 72 GHz의 주파수와 같은 무선주파수 전파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장치와 함께 사용된다. 보호 구조물은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 부위 또는 그들의 기관을 감시하고, 기상 패턴을 감시하고, 항공 교통 및 지상 교통을 감시하거나 또는 항공기, 보트 또는 예를 들면 전함을 비롯한 군사시설 주변의 다른 운송 수단의 존재 유무를 탐지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기기를 보호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월의 대표적인 전자기 반응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하기 실시예 및 비교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이 거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 샘플(도형재 또는 코어)의 굴곡강도 및 모듈러스는 ASTM D790-07 에 따라 측정한다. 샘플의 다양한 두께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ASTM D790-07 의 7.3 항에 따라 샘플 두께의 2배인 하중 및 지지대 인선 반경(support nose radius), 및 32의 지름 대 깊이 비(span-to-depth ratio)를 채택하여 측정을 실시한다.
● 섬유의 인장 특성, 예를 들면 인장 강도 및 인장 모듈러스는 500 mm 의 섬유의 공칭 게이지 길이, 50%/min 의 크로스헤드 속도 및 화이버 그립(Fibre Grip) 타입의 인스트롱(Instron) 2714 클램프를 사용하여 ASTM D885M 에 명시된 바와 같이 다중필라멘트사 상에서 측정하였다. 강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측정된 인장력을 섬유 10m를 칭량함으로써 결정되는 역가로 나누고; 중합체의 천연밀도를 추정하여 값(GPa)을 계산하는데, 예를 들어 UHMWPE 의 경우에는 0.97 g/㎤ 이다.
●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의 인장 강도, 인장 모듈러스 및 파단신도를 포함한 테이프 및 필름의 인장 특성, 예를 들면 인장 강도 및 인장 모듈러스는 440 mm 의 테이프의 공칭 게이지 길이 및 50 mm/min 의 크로스헤드 속도를 사용하여 폭 2mm 의 (경우에 따라서는 칼로 필름을 슬리팅(slitting)함으로써 필름으로부터 수득된) 테이프상에서 25℃에서 ASTM D882 에 명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고 측정한다. 테이프가 슬리팅 필름(slitting film)으로부터 수득된 경우, 테이프의 특성은 테이프가 수득된 필름의 특성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 코팅의 두께는 본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예를 들면 코팅된 물질의 단면상에서 현미경, 예를 들면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 (존재하는 경우 코팅을 포함한) 본 발명 생성물중 특정한 한 가지 생성물의 두께는 원래의 위치상에서 및 원래의 위치에서 0.5 cm 이하의 반경내에 위치한 8개의 주변 위치상에서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평균할 수 있다.
● 사전-형성된 중합체성 필름의 두께는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할 수 있다.
● 중합체성 분말의 용융온도(이는 또한 융점이라 지칭됨)는 ASTM D3418-97 에 따라 DSC를 사용하여 용융 범위에 속하고 가장 높은 용융속도를 나타내는 20℃/min 의 가열속도로 측정한다.
● 중합체성 섬유 또는 테이프,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섬유 또는 테이프의 용융온도(이는 또한 융점이라 지칭됨)는 인듐 및 주석으로 보정된 전력-보상 퍼킨엘머(PerkinElmer) DSC-7 기구상에서 DSC를 사용하여 10℃/min 의 가열속도로 측정한다. DSC-7 기구의 보정(2점 온도 보정)을 위하여, 약 5mg의 인듐 및 약 5mg의 주석을 사용하는데, 이때 이들의 중량은 적어도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칭량하였다. 인듐은 온도 및 열 흐름 보정 모두에 사용되며; 주석은 단지 온도 보정에만 사용된다. DSC-7의 가열로 블록(furnace block)은 4℃의 온도를 가진 물로 냉각한다. 이는 일정한 블록 온도를 제공하여 그 결과로 보다 안정한 기준선(baseline) 및 더 양호한 샘플 온도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실시된다. 가열로 블록의 온도는 1차 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적어도 한 시간 동안 안정해야만 한다. 샘플은 광학 현미경을 통하여 확인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인접 섬유의 인접 주변 섬유 표면의 대표적인 단면이 달성되도록 선택한다. 적어도 약 1 mg (+/- 0.1 mg)의 샘플 중량을 달성하도록 샘플을 5 mm 최대 폭 및 길이의 작은 조각으로 절단한다. 샘플을 알루미늄 DSC 샘플 팬(50㎕)에 투입하고, 그것을 알루미늄 뚜껑(둥근 면을 위로)으로 덮은 다음, 밀봉한다. 샘플 팬에서 (또는 뚜껑에서), (팬 변형 및 따라서 해로운 열적 접촉을 유발하는)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은 구멍이 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샘플 팬을 보정된 DSC-7 기구내에 배치한다. 참조용 가열로내에 (뚜껑으로 덮고 밀봉한) 비어 있는 샘플 팬을 배치한다.
하기의 온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5 분, 40℃ (안정화 기간)
10℃/min 의 속도로 40℃ 에서 200℃로 상승(제 1 가열 곡선)
5 분, 200℃
200℃ 에서 40℃로 하강(냉각 곡선)
5 분, 40℃
10℃/min 의 속도로 40℃ 에서 200℃로 상승(제 2 가열 곡선)
DSC 가열로(비어 있는 팬 측정)의 샘플측내에서 비어 있는 팬을 사용하여 동일한 온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 1 가열 곡선의 분석 방법이 사용된다. 비어 있는 팬 측정치를 샘플 곡선에서 차감하여 기준선 곡률을 보정한다. 피크 전후의 평탄부에서 (예를 들어 UHMWPE의 경우에는 60℃ 및 190℃에서) 기준선을 정렬하여 샘플 곡선의 기울기 보정을 실시한다. 피크 높이는 피크의 기준선에서 정상까지의 거리이다. 예를 들어, UHMWPE의 경우에는, 제 1 가열 곡선에 대하여 2개의 흡열 피크가 예상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2개 피크의 피크 높이를 측정하여 피크 높이의 비를 측정한다.
● 주요 용융 피크(melting peak)에 앞서 흡열 피크 천이(endothermic peak transition)의 엔탈피를 계산하기 위하여, 하기의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흡열 효과는 주요 용융 피크상에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S자형 기준선은 주요 용융 피크의 곡선을 따르도록 선택되며, 이때 기준선은 퍼킨엘머 파이리스TM(PerkinElmer PyrisT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피크 천이의 좌우측 한계에서 접선을 그려 계산한다. 계산된 엔탈피는 작은 흡열 피크 천이와 S자형 기준선 사이의 피크 영역이다. 엔탈피를 중량%와 연관시키기 위하여, 검정곡선이 사용될 수 있다.
● 폴리에틸렌에 대한 고유점도(IV)는 데칼린중에서 135℃에서 방법 PTC-179 (Hercules Inc. Rev. Apr. 29, 1982)에 따라 제로 농도에 대한 상이한 농도에서 측정된 점도를 추정함으로써 측정하는데, 이때 용해시간은 16시간이며, 산화방지제로서의 DBPC의 양은 2 g/l 용액이다.
● 폴리에틸렌 또는 UHMWPE 샘플내의 측쇄는 2 mm 두께의 압축성형된 필름상에서 (예를 들면 EP 0 269 151 호에서와 같이) NMR 측정치에 기초한 검정곡선을 이용하여 1375 cm-1 에서의 흡수율을 정량화하여 측정한다.
● 독립된 중합체성 필름용의 중합체성 코팅의 인장 모듈러스는 ASTM D-638(84)에 따라 25℃ 및 약 50% RH에서 측정하였다.
● 독립된 중합체성 필름용의 중합체성 코팅의 인장강도는 ASTM D882-10에 따라 23℃ 및 약 50% RH에서 측정하였다.
● 전자기 특성, 예를 들면 유전율 및 유전 손실은 널리 공지된 스플릿 포스트 유전체 공진기(Split Post Dielectric Resonator)(SPDR) 기법으로 1 GHz 내지 20 GHz의 주파수에 대해 측정하였다. 20 GHz 이상, 예를 들면 20 GHz 내지 144 GHz의 주파수의 경우, 상기 전자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방형 공진기(Open Resonator)(OR)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때 오목 거울 및 평면 거울을 가진 고전적인 파브리-페롯 공진기 장비(Fabry-Perot resonator setup)가 이용되었다. 이들 양 기법 모두에서, 평면 샘플, 즉 그들의 폭과 길이에 의해 한정된 평면내에 특정의 곡률을 갖지 않은 샘플이 사용되었다. SPDR 기법의 경우, 샘플의 두께는 단지 장비 디자인, 즉 공진기의 최대 높이에 의해서만 국한되는 한은 가능한 한 크게 선택되었다. OR 기법의 경우, 샘플의 두께는 약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측정을 실시하는 파장이다)의 정수가 되도록 선택되었다. SPDR 기법의 경우, 유전 특성을 측정하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별개의 장비가 사용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SPDR 기법은 1.8 GHz; 3.9 GHz; 및 10 GHz 의 주파수에서 실시하였다. 이러한 주파수에 해당하는 장비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QWED 사(폴란드)로부터 취득하였지만, 또한 애질런트(Agilent)사에서도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장비와 함께 공급받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전자기 특성을 계산하였다. OR 기법의 경우, 장비는 문헌[참조: "Guide to characterization of dielectric materials at RF and Microwave frequencies " by Clarke, R N, Gregory, A P, Cannell, D, Patrick, M, Wylie, S, Youngs, I, Hill, G, Institute of Measurement and Control /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2003, ISBN: 0904457389]의 챕터(Chapter) 7.1.17, 및 상기 챕터에 인용된 참고문헌, 즉 참고문헌 1 - 6, 특히 참고문헌 [3][참조: R N Clarke and C B Rosenberg, "Fabry - Perot and Open - resonators at Microwave and Millimetre - Wave Frequencies , 2 - 300 GHz" , J. Phys . E: Sci . Instrum., 15, pp 9 - 24, 1982]에 제시된 지침에 따라 만들었다.
● 주파수 구간에서의 손실 탄젠트(loss tangent)의 변동계수는 주파수 구간에서의 손실 탄젠트의 값을 적어도 3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회 측정하고, 이들 값으로부터 평균 손실 탄젠트 및 손실 탄젠트의 표준편차를 계산한 다음, 상기 표준편차를 상기 평균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변동계수는 % 로 표시된다.
● 패널의 기계적 특성을 특성화하는데 하기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코어 전단 변형을 위한 ASTM C 393(3" x 8" x 두께); 평면 장력을 위한 ASTM C 297(1" x 1" x 두께); 압축강도를 위한 ASTM C 365(1" x 1" x 두께); 클라이밍 드럼 박리를 위한 ASTM D 1781(3" x 12" x 두께 - 하나의 표피상의 양 단부상에서 1" 돌출이 필요함, 보정을 위한 하나의 3" x 14" 표피 조각, 페이스 시트(face sheet) ~0.200" 두께); 코어 물 흡수를 위한 ASTM C 272(3" x 3" x 두께); 충격 후 압축을 위한 ASTM D 7136(4" x 6" x 두께). 모든 기준은, 6개의 표본을 필요로 하는 ASTM D 1781 을 제외하고는, 시험당 5개의 표본을 필요로 한다. 공차는 ±0.010" 이고, 코어 두께는 0.500" 이며, 총 두께는 1" 를 초과하지 않는다.
UHMWPE 테이프의 생산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20 dl/g 의 고유점도를 갖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데칼린과 혼합하여 7 wt% 현탁액으로 만들었다. 현탁액을 압출기에 공급한 다음 170oC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균질 겔을 생성하였다. 이어서, 겔을 600 mm의 폭 및 800㎛의 두께를 갖는 슬롯 다이(slot die)를 통하여 공급하였다. 슬롯 다이를 통하여 압출시킨 후, 겔을 수조내에서 급냉시킴으로써 겔-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겔 테이프를 3.8배로 연신시킨 다음, 데칼린의 양이 1% 미만이 되었을 때까지 테이프를 50℃ 및 80℃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오븐내에서 건조하였다. 계속하여 생성된 건조 겔 테이프를 오븐중 140℃에서 5.8의 연신비로 연신시킨 다음, 150℃의 오븐 온도에서 2차 연신 단계를 실시하여 18㎛의 최종 두께를 달성하였다. 테이프의 폭은 0.1m 였으며, 그들의 인장강도는 440 MPa였다. 본 발명을 위하여, 본 실시태양에 따라 제조된 테이프는 본원에서 겔-방사 테이프라 지칭될 것이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4,000,000 내지 5,000,000의 평균 분자량(Mw) 및 약 26 dl/g의 IV를 가진 UHMWPE 중합체성 분말을 0.2 mm 두께의 테이프로 가압하여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프레싱은 125℃의 온도 및 약 0.02 GPa의 압력에서 이중 벨트 프레스내에서 실시하였다. 0.2 mm 두께의 테이프를 130℃에서 100 mm의 직경 및 상이한 주변속도를 가진 한 쌍의 역방향-회전식 롤러에 통과시킴으로써 6배로 인발된 테이프를 성형하였다. 인발된 테이프를 약 145℃의 오븐내에서 약 5배 더 인발하였다. 생성된 테이프는 약 15㎛의 두께, 약 1.7 GPa의 인장강도, 약 115 GPa의 인장 모듈러스 및 약 80mm의 폭을 가졌다. 본 실시태양의 공정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EP 1 627 719 호의 공정과 유사하였다. 본 발명을 위하여, 본 실시태양에 따라 제조된 테이프는 본원에서 고체-상태 테이프라 지칭될 것이다.
실시예
직포 직물을 형성하도록 정렬된, 필수적으로 상기 고체-상태 UHMWPE 테이프로 이루어진 다수의 층을 압력 및 온도하에 통합시켜 2개의 다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층들을 실리콘계 사전-형성된 필름과 함께 가압하였다. 각각의 다층 시트의 면적 밀도는 약 0.5 Kg/m2 이었다.
통합된 시트를 도형재로서 사용하여 레이돔 월을 제조하였다. 도형재를 R82.110 알칸 에어렉스®(Alcan Airex) 발포체를 함유하는 코어에 의해 분리시켰다. 이그잭트®(Exact®)로서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형재와 코어 사이의 접속을 강화하였다. 샌드위치를 125℃에서 1시간 동안 14.5 psi(약 1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였다.
레이돔 월은 우수한 구조적 특성 및 전자기 특성을 가졌다. 도형재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샌드위치의 주파수 응답이 더 공진하게 된다는 점에서 주목할만 하였다. 이러한 공진을 이동시켜 표적 주파수에서의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4.0 GHz, 39.5 GHz 및 72 GHz의 표적 주파수에서의 전송 효율(TE)은 35°이하의 입사각에서 매우 양호한 광대역 성능을 갖는 95% 이상이었다.
도면은 실시예의 샌드위치가 레이돔 월에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 요건을 충족하고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탁월한 전송 효율 및 광대역 성능을 발휘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이러한 탁월한 전자기 특성은 특히 운동에너지 흡수율 및 강성에 관해서는 탁월한 구조적 성능에 의해 보상된다.

Claims (15)

  1.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의 코어에 의해 분리된 2개의 도형재(facing)를 함유하는 샌드위치 타입의 복합 패널을 포함하는 레이돔 월(radome wall)로서, 상기 도형재가, 중합체성 테이프를 함유하는 통합된 다수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함유하는, 레이돔 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 고체-상태 테이프인 레이돔 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 1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레이돔 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 160 g/m2 이하의 면적밀도를 갖는 레이돔 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테이프가 폴리올레핀 테이프인 레이돔 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테이프인 레이돔 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이 매트릭스를 함유하지 않은 층인 레이돔 월.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테이프가 단방향 직물을 형성하는 레이돔 월.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테이프가 직포 직물을 형성하는 레이돔 월.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재가 코팅된 것인 레이돔 월.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이 중합체성 발포체인 레이돔 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가 폐쇄형-셀 발포체인 레이돔 월.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된 중합체성 물질이 중합체성 발포체이고,
    상기 발포체가 1 ㎛ 내지 80 ㎛ 범위의 직경을 갖는 셀을 가진, 레이돔 월.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레이돔 월을 포함하는 레이돔.
  15. 제 14 항의 레이돔 및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레이돔-안테나 시스템.
KR1020147006342A 2011-09-12 2012-09-12 복합 레이돔 월 KR20140060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0893 2011-09-12
EP11180893.7 2011-09-12
PCT/EP2012/067813 WO2013037811A1 (en) 2011-09-12 2012-09-12 Composite radome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520A true KR20140060520A (ko) 2014-05-20

Family

ID=4685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42A KR20140060520A (ko) 2011-09-12 2012-09-12 복합 레이돔 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27595A1 (ko)
EP (1) EP2756548A1 (ko)
JP (2) JP2014531800A (ko)
KR (1) KR20140060520A (ko)
CN (1) CN103828124A (ko)
IL (1) IL230877A0 (ko)
WO (1) WO2013037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51634B1 (en) * 2010-12-14 2020-03-11 DSM IP Assets B.V. Material for radom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20160014013A (ko) * 2013-05-26 2016-02-05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고강도 폴리에틸렌 제품 및 이의 제조 공정
US9735466B2 (en) * 2013-07-18 2017-08-15 Ebert Composites Corporation Advanced composite rado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0450697B2 (en) * 2014-09-16 2019-10-22 Dsm Ip Assets B.V. Space frame radome comprising a polymeric sheet
EP3034263A1 (en) 2014-12-19 2016-06-22 Sadair Spear AB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bre-reinforced structure, mandrel, molding system and fibre-reinforced structure
US9835425B2 (en) * 2015-08-14 2017-12-05 Raytheon Company Metallic nosecone with unitary assembly
KR20180094899A (ko) * 2015-12-18 2018-08-24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다층 중합체 시트를 가진 레이돔 벽
EP3345245A1 (en) * 2016-09-14 2018-07-11 Raytheon Company High performance plastic radome
US10461413B2 (en) * 2016-09-19 2019-10-29 Peraso Technologies Inc. Enclosure for millimeter-wave antenna system
EP3688839A4 (en) 2017-09-30 2021-05-1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RADOM STRUCTURE, PROTECTED RADI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773488B2 (en) * 2017-11-29 2020-09-15 Dupont Safety & Construction, Inc. Polyethylene sheet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08614241A (zh) * 2018-05-03 2018-10-02 合肥光博量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阻燃的用于保护雷达的防尘防雨罩
DE102018124277A1 (de) * 2018-10-02 2020-04-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tennenanordnung
WO2020212943A1 (en) 2019-04-18 2020-10-22 Srg Global, Llc Stepped radar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0218382B (zh) * 2019-06-24 2022-03-11 西安安聚德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天线罩材料
US11721888B2 (en) 2019-11-11 2023-08-08 Ticona Llc Antenna cover including a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low dielectric constant and dissipation factor
CN111421937A (zh) * 2020-03-05 2020-07-17 上海阿莱德实业股份有限公司 5g毫米波天线罩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969316A (zh) * 2020-08-26 2020-11-20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济南特种结构研究所 一种单向带结构的变厚度前襟天线罩
CN113471691B (zh) * 2021-06-30 2023-05-09 航天特种材料及工艺技术研究所 一种w波段天线罩
JP2023039303A (ja) * 2021-09-08 2023-03-20 株式会社レゾナック 電波透過部材、エンブレム及び対象物検知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33943A (en) 1945-08-13 1949-12-30 John Betteley Birk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mpound sheet dielectric structures
US2659884A (en) 1949-08-03 1953-11-17 Mcmillan Dielectric wall for transmission of centimetric radiation
US3002190A (en) 1955-04-15 1961-09-26 Zenith Plastics Company Multiple sandwich broad band radome
GB821250A (en) 1956-06-01 1959-10-07 Edward Bellamy Mcmillan Dielectric walls for transmission of centimetric radiation
GB851923A (en) 1958-03-18 1960-10-19 Gen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domes
JPS5148435B2 (ko) 1971-03-11 1976-12-21
US4677443A (en) 1979-01-26 1987-06-30 The Boeing Company Broadband high temperature radome apparatus
NL177759B (nl) 1979-06-27 1985-06-17 Stamicarbo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polyetheendraad, en de aldus verkregen polyetheendraad.
NL177840C (nl) 1979-02-08 1989-10-16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polyetheendraad.
US4358772A (en) 1980-04-30 1982-11-09 Hughes Aircraft Company Ceramic broadband radome
US4413110A (en) 1981-04-30 1983-11-01 Allied Corporation High tenacity, high modulu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ers and intermediates therefore
US4543113A (en) 1984-08-10 1985-09-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niform minimum-permeability woven fabric, filter, and process therefor
US4663101A (en) 1985-01-11 1987-05-05 Allied Corporation Shaped polyethylene articles of intermediate molecular weight and high modulus
EP0213208B1 (en) 1985-02-15 1991-10-30 Toray Industries, Inc. Polyethylene multifilament yarn
JPH06102846B2 (ja) 1985-05-01 1994-12-14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延伸物の製造方法
DE3675079D1 (de) 1985-06-17 1990-11-29 Allied Signal Inc Polyolefinfaser mit hoher festigkeit, niedrigem schrumpfen, ultrahohem modul, sehr niedrigem kriechen und mit guter festigkeitserhaltung bei hoher temperatu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R2594157B1 (fr) 1986-02-07 1991-03-15 Sodeteg Radome pliant.
US4725475A (en) 1986-08-25 1988-02-16 General Dynamics Electronics Division Multi-octave thick dielectric radome wall
IN170335B (ko) 1986-10-31 1992-03-14 Dyneema Vof
US4980696A (en) 1987-05-12 1990-12-25 Sippican Ocean Systems, Inc. Radome for enclosing a microwave antenna
US4783666A (en) * 1987-05-21 1988-11-08 General Electric Company Protective shield for an antenna array
US4946736A (en) 1987-08-06 1990-08-07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ive electromagnetically transparent window
US4956393A (en) * 1988-08-29 1990-09-11 Basf Aktiengesellschaft Structures exhibiting improved transmission of ultra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structural materials which allow their construction
GB8821741D0 (en) 1988-09-14 1989-09-13 British Aerospace Radomes
DE3938230A1 (de) * 1989-11-17 1991-05-23 Telefunken Systemtechnik Radom mit hochtemperatureigenschaften
JP2500317B2 (ja) * 1989-05-02 1996-05-29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レ―ダド―ム
US5059972A (en) 1989-12-15 1991-10-22 Heieren Erik V Method for assembling elements to a radome
ATE108580T1 (de) 1990-08-03 1994-07-15 Miki Spa Radom mit grossen abmessungen.
US5408244A (en) 1991-01-14 1995-04-18 Norton Company Radome wall design having broadband and mm-wave characteristics
US5182155A (en) 1991-04-15 1993-01-26 Itt Corporation Radome structure providing high ballistic protection with low signal loss
US5323170A (en) 1992-10-09 1994-06-21 M & N Aerospace, Inc. Radomes having vinyl foam core construction
JPH071673A (ja) * 1993-06-14 1995-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耐熱性を有する軽量広帯域電波透過材
JPH0774528A (ja) * 1993-08-31 1995-03-17 Nec Corp ハニカムサンドイッチレドーム
JP3586700B2 (ja) * 1995-03-24 2004-11-10 株式会社高分子加工研究所 超高分子量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より高強度ヤーンの製法
US5662293A (en) 1995-05-05 1997-09-02 Hower; R. Thomas Polyimide foam-containing radomes
FR2752835B1 (fr) * 1996-09-05 1999-05-07 Ctmi Cotton Textiles Pour Mate Materiau composite ceramique a structure de type "sandwich"
US6028565A (en) * 1996-11-19 2000-02-22 Norto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W-band and X-band radome wall
WO2000062371A2 (en) * 1999-03-25 2000-10-19 Teel Bradley B Hybrid core sandwich radome
US6107976A (en) 1999-03-25 2000-08-22 Bradley B. Teel Hybrid core sandwich radome
US6265504B1 (en) 1999-09-22 2001-07-24 Equistar Chemicals, Lp Preparation of ultra-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US6448359B1 (en) 2000-03-27 2002-09-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tenacity, high modulus filament
JP3572517B2 (ja) * 2001-03-29 2004-10-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飛行体用レドーム
US6918985B2 (en) 2002-12-12 2005-07-19 The Boe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a radome
US7671159B2 (en) 2003-06-26 2010-03-02 Stichting Dutch Polymer Institut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haped part of an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S20050024289A1 (en) * 2003-07-16 2005-02-03 Fredberg Marvin I. Rigid radome with polyester-polyarylate fibers and a method of making same
KR101233589B1 (ko) 2004-01-01 2013-02-22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고성능 폴리에틸렌 다중필라멘트 얀의 제조 방법
IL203401A (en) 2004-08-16 2013-03-24 Yuval Fuchs Methods of preparation of monolayers and bilayers comprising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nd ballistic resistant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US8168292B2 (en) * 2006-06-15 2012-05-01 Innegra Technologies, Llc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amorphous thermoplastic fibers
US7976930B2 (en) * 2007-06-25 2011-07-12 Bae Systems Tensylon H.P.M., Inc. Non-fibrous high modulus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tape for ballistic applications
WO2008128708A1 (en) * 2007-04-18 2008-10-30 Dsm Ip Assets B.V. Method of producing a filament wound curved product and product obtained thereby
ES2457823T3 (es) * 2007-12-17 2014-04-29 Dsm Ip Assets B.V. Proceso para hilado de UHMWPE, hilos multifilamento de UHMWPE producidos por el mismo y su utilización
ES2720178T3 (es) 2008-07-17 2019-07-18 Teijin Aramid Bv Objetos con resistencia balística que comprenden cuerpos alargados
EP2358528B1 (en) 2008-12-11 2014-03-12 DSM IP Assets B.V. Transparent antiballistic article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AU2010240905B2 (en) * 2009-04-23 2016-08-11 Dsm Ip Assets B.V. Compressed sheet
JP5084808B2 (ja) * 2009-10-14 2012-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ナッペ構造のレドーム
US20130040098A1 (en) * 2011-08-08 2013-02-14 Composite Technology Development, Inc. Benzoxazine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51115A (ja) 2017-08-31
US20140327595A1 (en) 2014-11-06
EP2756548A1 (en) 2014-07-23
JP2014531800A (ja) 2014-11-27
CN103828124A (zh) 2014-05-28
IL230877A0 (en) 2014-03-31
WO2013037811A1 (en)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0520A (ko) 복합 레이돔 월
US9744741B2 (en) Material for radom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10153546B2 (en) Composite antiballistic radome wal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2906902B1 (en) Composite antiballistic radome walls
KR20180094899A (ko) 다층 중합체 시트를 가진 레이돔 벽
EP3194649B1 (en) Space frame radome comprising a polymeric sheet
US11888226B2 (en) Radar-absorbing material having honeycomb sandwich structure and stealth structure using same
WO2019121663A1 (en) High performance polyethylene fibers composite fabric
EP3606982B1 (en) High performance fibers composite sheet
WO2019121675A1 (en) Method to produce a high performance polyethylene fibers composite fabric
US20200203821A1 (en) Rugged radome closure utilizing oriented thermoplastics and oriented thermoplastic compo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