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899A - 다층 중합체 시트를 가진 레이돔 벽 - Google Patents

다층 중합체 시트를 가진 레이돔 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899A
KR20180094899A KR1020187016801A KR20187016801A KR20180094899A KR 20180094899 A KR20180094899 A KR 20180094899A KR 1020187016801 A KR1020187016801 A KR 1020187016801A KR 20187016801 A KR20187016801 A KR 20187016801A KR 20180094899 A KR20180094899 A KR 2018009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radome
film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레 헤르트뤼다 이레네 페트라
윌리암 아드리아누스 코르넬리스 루버스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9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 H01Q1/424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comprising a layer of expande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7Flexible rado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radome wall)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층 시트는 a) 적어도 2 개의 단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 (이때, 상기 단층은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함), 및 b)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필름 층 B1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시트는 0.05 mm 이상 0.8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레이돔 벽을 포함하는 레이돔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레이돔은 바람직하게는 비-탄도성 레이돔이며, 바람직하게는 전기통신용으로 적합하다.

Description

다층 중합체 시트를 가진 레이돔 벽
본 발명은,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시트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레이돔 벽을 포함하는 레이돔 및 상기 레이돔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이돔(radome) 구조물 또는 간단하게는 레이돔은, 안테나 및 레이더 시스템을 커버하고 보호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기적으로 투명한 구조물로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안테나는, 본원에서, 전자기 방사선을 방출, 방사,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이해된다. 레이더는, 본원에서, 물체의 범위, 각도 또는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전파를 사용하는 물체 탐지 시스템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항공기, 선박, 우주선, 유도 미사일, 자동차, 기상(weather) 구조물 및 지형을 탐지하는 데 사용된다. 레이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무선 또는 마이크로파 도메인에서 전자기파를 생성하는 송신기,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종종 동일한 안테나가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사용됨) 및 물체의 특성을 결정하는 수신기 및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파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피드(feed) 안테나, 반사기 디쉬(dish), 쉬라우드(shroud)(즉, 원통형 하우징), 레이돔(즉, 전면 보호 커버) 및 장착 부품(예를 들면, 장착물, 고정 부품)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안테나의 예는 기상(air) 감시 레이더 안테나 및 위성 통신국 안테나를 포함한다. 안테나, 및 특히 레이더 설치물, 무선 전기 통신 인프라구조 및 전파 망원경과 같은 대형 안테나는, 종종 기상 조건 예를 들어 햇빛, 바람 및 습기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레이돔과 같은 커버 구조물을 필요로 한다. 바람에 의해 운반되는 파편과 같은 발사체로부터의 충격 및 우박으로부터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해, 강풍 또는 폭풍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 배치된 안테나에 있어서, 레이돔의 존재는 특히 중요하다. 레이돔 설계는 일반적으로, 전자기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공기 역학적인 형상, 강성(rigidity), 및 날씨, 충격, 충돌, 진동 및 생분해에 대한 저항성뿐만 아니라 전자기 투명성(예: 통과 전자기 에너지의 최소 반사 및/또는 흡수)를 비롯한 구조적 요건을 다룬다. 레이돔의 구조적 요건은, 레이돔, 특히 레이돔 벽을 구성할 때 일반적으로 적절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복합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보통 충족된다. 또한, 특히 전기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레이돔의 경우, 레이돔 벽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시트의 제조에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프로필렌 재료가 현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예를 들어 발포 PVC로 만들어진 약간 복합적인 원추형 형상의 레이돔은 비-탄도성(non-ballistic) 전기통신용 레이돔에 사용된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레이돔 벽을 제조하기 위한 시트 형태로 적용될 수 있는 재료는, 매우 낮은 가요성을 갖거나 가요성이 없으므로 운반이 어렵고 원추형 또는 틸드(tilled) 레이돔 구성에만 사용될 수 있고 평평한(flat) 레이돔 구성에는 사용될 수 없다. 또한, 공지된 시트는 특히 고주파 및 초고주파에서 다소 낮은 전자기 특성, 예를 들어 높은 유전 상수 및 높은 유전 손실을 나타낸다. 또한, 종래 기술의 복합 재료로 제조된 시트는 부적절한 전자기 투명성, 특히 고 전자기 흡수성 및/또는 고 반사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레이돔 구성에 사용되는 공지된 물질의 일부, 예를 들면 PVC는 친환경적이지 않으며 비용면에서도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가시적인) 손상, 예를 들면 균열 또는 파손 없이 운송 중에 매우 가요성이고 접히고/거나 구부러지고/거나 말릴(rolling) 수 있고, 레이돔(평평한 형상의 레이돔 포함)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레이돔 구성에 설치, 고정 및 유지하는 것이 쉽고 저렴하며, 동시에 높은 바람 하중 요건을 견딜 수 있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친 전자기파에 대한 고 투명성, 높은 리턴(return) 손실,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갖고, 사용 중 탈층 및 느슨한 필라멘트가 없고, 세척 및 염색이 쉬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으로 달성되며, 이때 상기 다층 시트는 a) 적어도 2 개의 단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 (이때, 상기 단층은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함), 및 b)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필름 층 B1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시트는 0.05 mm 이상 0.8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에 사용되는 다층 시트는 고도의 가요성을 가지며, 그 표면 및/또는 그 내부 구조에서 (가시적인) 손상(예컨대 파손이나 균열 또는 공극으로 존재함)을 겪지 않고 운송 중에 접히고/거나 구부러지고/거나 말릴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대형 크기 및 평평한 형상의 레이돔 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이점이다. 더욱이, 상기 시트는 레이돔 벽으로서 설치, 고정 및 유지하는 것이 더 쉽고 저렴하며, 동시에 상기 레이돔 벽은 그의 얇은 두께 및 다층 구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강도를 나타내며 높은 바람 하중 요건을 견딜 수 있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전자기파에 대한 높은 투명도를 갖는다. 상기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은 또한, 레이돔 및 안테나 시스템에 사용될 때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고, 탈층 및 느슨한 필라멘트가 없으며, 환경 친화적이고 매우 가벼우며, 따라서 특히 전기 통신용 레이돔 안테나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을 쉬라우드 및/또는 반사기에 고정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문헌 WO2012/080315A1은, 중합체성 섬유를 함유하는 라미네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개시하고, 상기 재료는 1GHz와 130GHz 사이의 주파수 간격 내에서 측정시 8 × 10-3 라디안 미만의 평균 손실 탄젠트를 갖고, 상기 재료는 상이한 두께 및 조성을 갖는 다수의 상이한 층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WO2012/080315A1의 실시예는 적어도 1mm 및 심지어 4mm 이상의 총 두께를 갖는 다층 시트를 예시하며, 상기 시트는 패널의 형태이다. 그러나, 이 문헌은 전체 두께가 0.05 mm 이상 0.8 mm 이하이고, 중합체성 섬유 및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필름의 단층을 포함하는 특정한 다층 시트를 개시하지 않으며, 그러한 특정한 다층 시트가 (가시적인) 손상을 입지 않고 레이돔 벽으로 설치, 고정 및 유지하기 쉬우면서도 매우 가요성이고 운송 중에 접히고/거나 구부리고/거나 말릴 수 있고 동시에 두께가 얇고 다층 구조 임에도 불구하고 레이돔 벽이 여전히 높은 강도를 나타내고 높은 바람 하중 요건을 견딜 수 있으며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서 전자기파에 대해 높은 투명성을 가짐을 제시하지 못한다.
본원에서 "섬유"는, 길이, 폭 및 두께를 갖는 긴 몸체로 이해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 치수는 폭 및 두께의 횡방향 치수보다 크다. 상기 섬유는 연속 길이(당분야에서 필라멘트로 알려짐) 또는 불연속 길이(당분야에서 스테이플 섬유로 알려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섬유는 다양한 단면, 예컨대 원형, 콩 모양,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모양의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비틀리거나 또는 비틀리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섬유는 테이프이다.
본원에서 "얀"은 복수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 즉 적어도 2 개의 개별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길다란 몸체로 이해된다. 개별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본원에서 섬유 또는 필라멘트 자체로 이해된다. 용어 "얀"은, 연속 필라멘트 얀 또는 복수의 연속 필라멘트 섬유를 함유하는 필라멘트 얀, 또는 스테이플 얀 또는 단 섬유(스테이플 섬유라고도 함)를 함유하는 방사 얀을 포함한다. 이러한 얀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서 "시트"는, 또한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두께보다 훨씬 큰 길이, 폭 및/또는 직경을 갖는 편평한 몸체로 이해된다. "다층 시트"는 본원에서 그의 구조 내에 하나 초과의 층을 포함하는 시트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가요성 시트"는 임의의 (가시적인) 손상없이 접히거나, 말리거나, 롤 상에 놓이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다층 시트로 이해된다. 상기 다층 시트의 가요성 척도는, 지지된 단부(즉 그 단부가 테이블과 같은 단단한 지지체 상에 배치됨); 자유 단부, 즉 지지되지 않은 단부; 및 강성 지지체와 자유 단부 사이의 500 mm의 길이를 가진 다층 시트의 샘플이 그 자체의 중량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86.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및 더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상기 시트와 수평 축 간의 각도로 변형(deflect)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각도 값이 낮을수록 더 가요성인 다층 시트이다.
본원에서 "테이프"는 길이 치수, 폭 치수 및 두께 치수를 갖는 몸체로 이해되며, 이때 테이프의 길이 치수는 그의 폭 치수와 적어도 거의 같지만 바람직하게는 그의 폭 치수보다 크며, 상기 길이 치수는 그 두께 치수보다 훨씬 크다. 바람직하게는, 용어 "테이프"는 또한 리본, 스트립, 필름의 실시 양태를 포함하고,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단면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테이프는 단면 종횡비, 즉 폭 대 두께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1,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0: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00: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0:1이다. 상기 테이프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600mm 이하(그러나, 실용성에 의해서만 제한됨),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4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m 내지 300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mm 내지 20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mm 내지 150 mm이다.
"필름"이라는 용어는, 통상적으로 재료의 얇은 가요성 층인 것으로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고강도" 섬유라는 용어는 "고성능" 섬유 또는 "고 모듈러스" 섬유라는 용어와 호환가능하다.
상기 다층 시트 내의 각각의 층 및 다층 시트의 두께는, 본원에서, 각각의 상기 층의 평균 두께로 이해된다. 평균 두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면, 테이프의 다른 단면을 현미경으로 검사한 다음 그 결과를 평균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평균 두께 및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층 및 다층 시트의 두께는 본 특허 출원의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의 다층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86.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상기 시트와 수평축 사이의 변형 각도(deflection angle)를 갖는다. 시트의 가요성을 나타내는 상기 변형 각도는, 하기의 "실시예" 부분에 제시된 바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각도 값이 작을수록 다층 시트의 가요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의 다층 시트는 0.05mm 이상 0.8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고도의 가요성 및 고강도를 가지며, 취급하기가 더 용이하고 운송을 위해 접고/거나 구부리고/거나 마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표면이나 구조에 임의의 (가시적인 손상)이 없으며, 이는 특히 평평한 형태 및 대형 크기의 레이돔 구성과 관련이 있다. 더욱이, 상기 시트는 쉬라우드 및/또는 반사기에 고정되기 쉽고; 적어도 250 km/h 내지 심지어 450 km/h의 바람 하중을 견딜 수 있고, 동시에 광범위한 주파수 범위, 예를 들면, 1 GHz 내지 130 GHz, 바람직하게는 1 GHz 내지 100 GHz에서 전자기파에 대해 매우 투명하다. 본원에서, 다층 시트의 두께란 다층 시트의 전체 두께를 의미하며, 이는 모든 층(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의 구성에 존재하는 단층 및 필름(들))의 두께의 합계이다.
바람직하게는, 다층 시트의 두께는 0.06 mm 이상 0.8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mm 이상 0.7 m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0.6 mm 이하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0.4 m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층 시트의 두께는 0.05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15m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이다. 더 얇은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은 요구되는 바람 하중 및/또는 다른 기계적 요건을 견딜 수 없다. 다층 시트의 두께는 0.8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5 mm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m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mm 이하이다. 보다 두꺼운 다층 시트(예를 들어, 패널의 형태)를 갖는 레이돔 벽은 더 낮은 RF 투과성, 더 많은 전자기 신호 반사를 보이고, 사용시의 가요성이 매우 낮거나 전혀 없으며,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이 더 어렵다.
상기 다층 시트는, 2 개 이상의 단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시트 층 A를 포함하며, 상기 단층은 중합체성 섬유,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테이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층 A는, 2 내지 14 개의 단층,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2 개의 단층,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8 개의 단층,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6 개의 단층,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4 개의 단층 범위의, 짝수 개의 단층을 포함한다. 시트 층 A의 단층 수가 많을수록 본 발명의 레이돔 벽의 RF 투과성이 감소하고, 전자기 반사가 더 많으며, 가요성이 감소하거나 없으며, 수송 중에 말리거나 구부러지거나 또는 접힐 때 (가시적인) 손상이 일어난다.
용어 "중합체성 테이프"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테이프를 의미한다. 상기 중합체는 임의의 중합체 및/또는 중합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섬유로 제조될 수 있는 임의의 중합체 및/또는 중합체 조성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층 A는 적어도 2 개의 단층을 포함하며, 상기 단층은 고성능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고성능 섬유"는 α-올레핀(예를 들면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라미드, 예를 들어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케블라(Kevlar)(상표명)으로 알려짐); 폴리아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2,6-다이이미다조-[4,5b-4',5'e]피리디닐렌-1,4(2,5-다이하이드록시)페닐렌}(M5로 알려짐); 폴리(p-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PBO)(자일론(Zylon)(상표명)으로 알려짐);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나일론 6,6으로 알려짐); 폴리부텐;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1,4-사이클로헥실리덴 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 알콜 및 열방성(thermotropic) 액정 중합체(LCP)(예를 들어 US 4384016에 공지된 바와 같음)(예를 들어 벡트란(Vectran)(상표명)(파라 하이드록시벤조산과 파라 하이드록시나프탈산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한다. 그러한 중합체들의 조합물 또한 시트 층 A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A 내의 중합체성 섬유는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알파-폴리올레핀, 예컨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또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 및/또는 에틸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 물질의 평균 분자량(Mw) 및/또는 고유 점도(IV)는 원하는 기계적 특성 예컨대 인장 강도를 갖는 섬유를 얻도록 당업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기술 문헌은 강한 섬유, 즉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섬유를 수득하기 위해 당업자가 사용해야하는 Mw 또는 IV 값뿐만 아니라 이러한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 지침을 제공한다.
다르게는, 고성능 섬유는 본원에서 적어도 12cN/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cN/dtex,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cN/dtex,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cN/dtex의 강인성(tenacity) 또는 인장 강도를 갖는 고분자 섬유 또는 얀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얀의 강인성의 상한은 없으며, 약 60cN/dtex 까지의 강인성을 갖는 UHMWPE 얀이 현재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강도 얀은 또한 높은 인장 모듈러스, 예컨대 500 cN/d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750 cN/dtex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cN/dtex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50 cN/dtex 이상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다. 섬유의 인장 강도(이는 강도, 강인성 및 모듈러스로 간단하게 지칭될 수 있음)는 ASTM D885M에 기초하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트 층 A의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단독 중합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성능 폴리에틸렌,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이다. 본원에서 UHMWPE는 적어도 4 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dl/g,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dl/g의 고유 점도(IV)를 갖는 폴리에틸렌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IV는 50 dl/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dl/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dl/g 이하이다. 고유 점도는, Mn 및 Mw와 같은 실제 분자량 파라미터보다 더 쉽게 결정될 수 있는 분자량(몰 질량이라고도 함)에 대한 척도이다. IV는, ASTM D1601(2004)에 따라, 데칼린 중 135℃에서 용해 시간을 16 시간으로 하고, 항산화제로서 BHT(부틸화된 하이드록시 톨루엔)를 2g/l 용액의 양으로 사용하여, 상이한 농도에서 측정된 점도를 제로 농도로 외삽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V는 섬유, 얀 및 대상물에 최적의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기 위해 4 내지 40 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 dL/g,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 dL/g이다. 고유 점도가 너무 낮으면 UHMWPE로부터의 각종 성형품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너무 높으면 성형시 등에서 가공성 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UHMWPE 섬유 또는 얀은 본원에서, 초고 몰 질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적어도 25 cN/dtex,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8 cN/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2 cN/dtex,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5cN/dtex 이상의 강인성을 갖는 섬유 또는 얀으로 이해된다. 시트 내의 UHMWPE 섬유 또는 얀의 강인성의 상한은 없지만, 이용가능한 섬유 또는 얀은 전형적으로 약 50 내지 60 cN/dtex의 강인성을 갖는다. UHMWPE 섬유 또는 얀은 또한 높은 인장 모듈러스, 예컨대 적어도 75 cN/dtex,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cN/dtex 또는 적어도 125 cN/dtex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다.
UHMWPE 섬유 또는 얀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dtex의 타이터(titer)를 갖는다. 실용적인 이유로, 섬유의 타이터는 많아야 수천 dtex, 바람직하게는 많아야 500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많아야 3000 dtex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타이터는 10 내지 1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0 dtex의 범위이다.
UHMWPE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dtex,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8dtex의 필라멘트 타이터를 갖는다. 최대 필라멘트 타이터는 바람직하게는 50dtex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dtex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dtex 이하이다.
A 층 내의 중합체성 섬유는 다양한 공정, 예를 들어 용융 방사 공정, 겔 방사 공정 또는 고체 상태 분말 압축 공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는 겔 방사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는 겔-방사 섬유, 즉 겔-방사 공정으로 제조된 섬유를 포함한다. 겔 방사 방법의 적합한 예는 EP 0205960A, EP 0213208A1, US 4413110, GB 2042414A, GB-A-2051667, EP 0200547B1, EP 0472114B1, WO 01/73173 A1 및 EP 1,699,954를 포함하는 다수의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UHMWPE 섬유를 제조하는데 겔 방사법이 사용되는데, 이 방법에서는 UHMWPE 용액을 제조하는데 UHMWPE 중합체를 사용하고, 이어서 UHMWPE 용액을 방사기(spinneret)를 통해 방사시키고 수득된 겔 섬유를 건조시켜 고체 섬유를 형성시킨다. 특히, 겔 방사 공정은 전형적으로, UHMWPE 중합체 및 용매의 용액을 제조하고, UHMWPE의 용해 온도 초과의 온도에서 상기 용액을 섬유로 압출하고, 상기 섬유를 겔화 온도 미만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겔화시키고, 상기 용매의 적어도 부분적 제거 이전, 동안 및/또는 이후에 상기 섬유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의 연신은 전형적으로, 방사된 필라멘트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의 연신비로 연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신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신은 적어도 2 단계로, 바람직하게는 증가하는 프로필의 상이한 온도들에서 수행된다. 상기 연신은 바람직하게는 약 120 내지 약 155℃에서 발생한다. 수득된 겔-방사된 섬유는 매우 낮은 양, 예를 들어 많아야 500ppm의 잔류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시트 층 A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2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3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4mm의 두께를 갖는다. 시트 층 A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m 이하이다.
중합체성 테이프는 섬유 물질 또는 비-섬유 물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이프가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물질일 수 있다. 중합체성 테이프는 종래 기술에서 이미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비-섬유 테이프는,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와 섬유를 사용(예를 들어, 융합)하여 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과 상이한 공정으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섬유 테이프는, 엔드리스(endless) 벨트의 조합물 사이에 중합체 분말을 공급하고, 상기 중합체 분말을 그의 융점(용융 온도로도 칭해짐) 아래의 온도에서 압축 성형하고, 생성된 압축 성형된 중합체를 롤링하고 연신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EP 0 733 460 A2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를 본원에 참조로 인용한다. 압축 성형은 또한, 중합체 분말을 이송하면서 엔드리스 벨트 사이에 일시적으로 보유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엔드리스 벨트와 관련하여 가압용 플래튼(platen) 및/또는 롤러를 제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UHMWPE가 이러한 공정에서 사용되는 중합체인 경우, UHMWPE는 고체 상태로 연신가능할 필요가 있다. 얻어진 비-섬유 테이프는 "고체 상태 테이프"로도 알려져 있다.
중합체성 테이프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은 용융 방사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중합체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테이프를 그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압출하고, 압출된 중합체성 테이프를 그의 용융 온도 미만으로 연신하여 용융-방사된 중합체성 테이프를 수득함을 포함한다. 용융 방사된 중합체성 테이프는 전형적으로 임의의 용매가 실질적으로 없다.
상기 중합체성 테이프는 또한 겔 방사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이프는 겔 방사된 UHMWPE를 포함한다. 적절한 겔 방사 공정은 예를 들어 GB-A-2042414, GB-A-2051667, EP 0205960A 및 WO 01/73173 A1 및 문헌["Advanced Fiber Spinning Technology", Ed. T. Nakajima, Woodhead Publ. Ltd (1994)]에 기술되어 있다. 요약하면, 겔 방사 공정은, 고유 점도가 높은 중합체의 용액을 제조하고, 중합체의 용해 온도 초과의 온도에서 상기 용액을 테이프로 압출시키고, 필름을 겔화 온도 미만으로 냉각시켜 테이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겔화시키고, 용매의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 이전, 동안 및/또는 이후에 테이프를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득된 생성물은 전형적으로 ppm 수준, 예를 들어 500ppm 이하의 용매를 함유한다.
중합체성 테이프를 제조하는 상기 기술된 방법에서, 제조된 테이프의 연신, 바람직하게는 일축 연신은 당업계에 공지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적절한 연신 장치 상에서의 압출 연신 및 인장 연신을 포함한다. 증가된 기계적 강도 및 강성(stiffness)을 달성하기 위해, 다단계로 연신이 수행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UHMWPE를 포함하는 테이프의 경우, 연신은 전형적으로 다수의 연신 단계에서 일축으로 수행된다. 제 1 연신 단계는 예를 들어 3의 연신 인자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이 UHMWPE인 경우, 다중 연신 공정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여기에서는 120℃까지의 연신 온도의 경우 9의 연신 인자로, 140℃까지의 연신 온도의 경우 25의 연신 인자로, 150℃까지 및 그 초과의 연신 온도의 경우 50의 연신 인자로 테이프가 연신된다. 증가하는 온도에서 다중 연신함으로써 약 50 및 그 이상의 연신 인자에 도달할 수도 있다.
중합체성 테이프는 하기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때 적어도 0.3 GPa,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 GPa,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GPa,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GPa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층 A 내의 중합체성 테이프는 직물, 바람직하게는 직조 직물을 형성한다. 중합체성 테이프의 직물은, 본원에서는, 테이프가 단일 방향으로 정렬되고, 하나의 평면에 의해 한정되고 포함되는 길이로 공통 방향을 따라 주행되는, 직물로 이해된다. 2 개의 인접한 테이프 사이에 갭(gap)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갭은, 상기 2 개의 인접한 테이프 중 가장 좁은 테이프의 폭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프는 인접하는 관계로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은 그 표면의 일부분에 걸쳐 그의 길이를 따라 서로 중첩되는 인접한 테이프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중첩 부분은, 상기 두 개의 중첩되는 인접한 테이프의 가장 좁은 부분의 폭의 최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이다. 바람직하게는, 층 내의 테이프의 주행 공통 방향은 인접한 층에서의 테이프의 주행 공통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이다. 중합체성 테이프가 직조 직물을 형성할 때 매우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바람직한 직조 구조는 평직, 바스켓 직조, 새틴 직조 및 크로우-풋(crow-foot) 직조이다. 가장 바람직한 직조 구조는 평직이다. 바람직하게는, 직조 직물의 두께는 테이프의 두께의 1.5 배 내지 3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프의 두께의 약 2 배이다.
시트 층 A 내의 단층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공정에 의해 직조될 수 있다. 테이프를 제직하는 것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WO2006/075961에서 테이프-형 경사(warp) 및 위사(weft)로부터 직물 층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은 테이프-형 경사를 공급하여 쉐드(shed) 형성 및 직물 권취를 보조하는 단계; 상기 경사에 의해 형성된 쉐드 내에 테이프-형 위사를 삽입하는 단계; 삽입된 테이프-형 위사를 직물-펠(fell)에 퇴적시키는 단계; 생성된 직조된 단층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테이프-형 위사를 삽입하는 단계는, 위사 테이프를 클램핑(clamping)에 의해 본질적으로 편평한 상태로 잡고 이를 상기 쉐드를 통해 잡아당기는 것을 포함한다. 삽입된 위사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소정 위치에서 그의 공급원으로부터 절단된 다음 상기 직물-펠 위치에 퇴적된다. 테이프를 직조할 때 특별히 설계된 직조 요소가 사용된다. 특히 적합한 직조 요소는 US6450208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층들의 직조된 구조는 평직이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층 A 내의 단층내 위사 방향은 인접한 단층 내의 위사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는 90°이다.
시트 층 A 내의 단층은 단일 방향으로 배열된 중합체성 테이프(즉, 공통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테이프)의 어레이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프는 그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단층 내의 테이프의 공통 방향은 인접한 단층 내의 테이프의 공통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각도는 약 90°이다.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DSC로 측정된 폴리올레핀의 용융 온도(Tm) 미만의 온도에서 가압되어 층 A의 통합된(consolidated)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테이프가 단층으로 배열될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된 시트는, 증가된 압력 하에, 바람직하게는 Tm 미만의 온도에서, 다수의 단층을 가압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유용한 압력은 1 bar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ba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ba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bar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bar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bar 이상의 압력일 수 있다. 보다 낮은 압력은 층 A의 단층 사이의 접착력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은 100 ba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 bar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bar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bar 이하이다. 사용되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m보다 120℃ 미만 내지 Tm의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Tm보다 50℃ 미만 내지 Tm보다 2℃ 미만의 온도이다. UHMWPE 테이프가 사용될 때 적절한 온도는 30℃ 내지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이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층 A는 적어도 하나의 직조 층,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개의 직조 층,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직조 층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직조 층은, 함께 직조되어 직조된 직물로 결합되는 두 개의 단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층은 중합체성 섬유,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테이프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된다. 시트 층 A 내의 하나의 단층은 또한 본원에서 하나의 "플라이"로 호환되게 언급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트 층 A의 모든 인접한 2 개의 단층, 바람직하게는 2 개의 테이프 인접 단층은 하나의 평직 구조물 직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평직 구조물은, 0,90°의 각도로 교차-플라이 형성될 수 있는 2 개의 교차-플라이 형성된 테이프 단층을 포함한다.
다층 시트는 b)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1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 층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필름 층 B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04 mm 내지 0.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4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6 mm 내지 0.08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5 mm 내지 0.04 mm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B1의 두께는 적어도 0.00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06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07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1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2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4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6 mm이다. 보다 얇은 필름 층 B1은 시트 층 A에 대한 그의 접착력을 저하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B1의 두께는 0.3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9 mm 이하 또는 심지어는 0.08 mm 이하일 수 있다. 보다 두꺼운 필름 층 B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의 전자기 특성 및 RF 투명 반사성을 저하시킨다.
필름 층 B1은 바람직하게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폴리올레핀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LDPE 및/또는 이들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그 이유는 상기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의 기계적 성질이 개선되기 때문이다(즉, 상기 다층 시트 내의 층간 균열 및/또는 층간 탈층의 양이 감소하고 층들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보다 바람직하게는 LDPE를 포함하는 필름 층 B1은 다층 시트의 사용 중에 시트 층 A의 표면 상에 느슨한 필라멘트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름 층 B1 내의 폴리올레핀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필름 층 B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의 표면의 평활성,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및 레이돔 벽의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개 내지 최대 8 개의 범위의 필름 층 B1,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개 내지 최대 5 개의 필름 층 B1,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개 내지 최대 3 개의 필름 층 B1을 포함한다. 보다 많은 수의 필름 층 B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의 RF 투명성 및 가요성을 감소시키며, 동시에 더 두꺼운 다층 시트의 생산은 보다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층 시트는 하나 이상의 필름 층 B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필름 층 B2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중합체일 수 있고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필름 층 B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의 다층 시트에서 시트 층 A의 상부 표면 및/또는 하부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위치할 수 있는 층이기 때문에, 본원에서 "마무리 필름 층"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필름 층 B2 내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공지된 열가소성 (공)중합체 또는 엘라스토머이다. 상기 필름 층 B2 내의 중합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또는 극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군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및/또는 극성 중합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바람직하게는 고 저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 층 B2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우레탄, 예를 들면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PMMA; 에폭시 수지; 폴리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에틸-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스티렌, 폴리아민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B1은 필름 층 B2 내의 중합체와 상이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B1은 LDPE를 포함하고, 필름 층 B2는 HDPE를 포함한다.
상기 다층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개 내지 최대 8 개 범위의 필름 층 B1,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개 내지 최대 5 개의 필름 층 B2, 더욱 바람직하게는 1 개 내지 3 개의 범위의 다수의 필름 층 B2를 포함한다. 필름 층 B2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의 RF 투명성 및 가요성이 감소되고, 동시에 더 두꺼운 층 B2의 제조는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며, 또한 그러한 다층 시트는 프레임에 설치하기가 더 어렵다.
필름 층 B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05mm 내지 0.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6 내지 0.4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4 내지 0.08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4mm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B2의 두께는 적어도 0.00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06 mm,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07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1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2 mm,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4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6 mm이다. 더 얇은 필름 층 B2는 층 A과 그의 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B2의 두께는 0.3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9 mm 이하 또는 심지어는 0.08 mm 이하이다. 더 두꺼운 필름 층 B2는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의 전자기적 성질 및 RF 투명 반사성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층 B1 및 B2 각각은 통상적인 양의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첨가제, 예컨대 다양한 충전제, 안료 및 첨가제, 예컨대 난연제, 안정화제, 예를 들면 자외선(UV) 안정화제, 착색제, 안료, 예를 들면 백색 안료, 염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충전제, 안료 및 첨가제의 양은 0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층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 및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1 및 임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2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층 시트는 하나의 시트 층 A, 하나 또는 두 개의 필름 층 B1 및 임의적으로 하나의 필름 층 B2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다.
상기 다층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 및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1 및 임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2를 포함하며, 상기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층체(stack)을 형성하고, 상기 적층체는 상부 적층체 표면 및 상기 상부-적층체 표면과 대향하는 하부 적층체 표면을 가지며, 적어도 상부 적층체 표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적층체 표면 모두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1 및 임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2를 포함한다. 상부 적층체 표면 및 하부 적층체 표면이라고 칭하였지만 이러한 명명은 제한적이지 않고 상호교환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다층 시트의 각각의 층은 전형적으로 상부 표면(본원에서 "상부 측면"으로도 지칭될 수 있음) 및 상부 표면과 대향하는 하부 표면(본원에서 "하부 측면"으로도 지칭될 수 있음)을 갖는다.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이라고 칭하였지만 이러한 명명은 제한적이지 않고 상호교환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층 A는 상부 표면과 상기 상부 표면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포함하며, 이때 적어도 상부 표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모두는 필름 층 B1 및 임의적으로 필름 층 B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B1 또한 상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표면은 임의적으로 층 B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표면은 다층 시트 내의 시트 층 A을 포함한다. 시트 층 A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 둘다가 각각 하나의 층 B1을 포함하는 경우, 층 B1은 시트 층 A를 포함하는 상부 표면 및 임의적으로 층 B2를 포함하는 하부 표면을 갖고, 층 B2의 하부 표면은 자유롭다 . 층 B2가 존재할 때, 층 B2는 다층 시트 내의 최외 하부 및 최외 상부 층이다(즉, 이는 다층 시트의 외측을 향하고, 필름 층 B2와 시트의 외측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다). 층 B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층 B1이 다층 시트의 최외 하부 및 최외 상부 층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다층 시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여기서 1, 2, 3 및 4 각각은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하나의 단층 또는 플라이(ply)를 나타내고 함께 시트 층 A를 형성하며, 이때 단층(1)은 단층(2)와 교차-플라이(즉, 0,90°의 각도) 형성되어 2-플라이 평직 구조를 형성하고, 단층(3)은 단층(4)와 교차-플라이(즉, 0,90°의 각도) 형성되어 또다른 2-플라이 평직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2 개의 평직 구조는 서로의 상부에 적층되고 시트 층 A를 형성한다 (22는 층 B1이고 33은 층 B2이다).
필름 층 B1 및 B2는 각각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다층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층들은 액체 코팅 예컨대 스프레이 코팅으로서 개별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이는 전형적으로 후속적으로 건조되고 필름을 형성한다. 이러한 액체 코팅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전형적으로 필름 표면 처리(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접착 촉진제 도포)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라이머 용액을 사용하여 필름 표면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액체 코팅이 균일한 색상의 필름을 제공하긴 하지만, 이는 고가의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필름은 또한 대안적으로, 자립(freestanding) 코팅 필름으로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 단층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 각각은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1 bar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ba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ba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bar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bar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bar 이상의 압력에서 자립 코팅 필름으로서 적용된다. 압력을 낮추면 단층 사이의 접착성이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은 100 ba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 bar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bar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bar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 필름 단층이 적용되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m보다 120℃ 이하 내지 Tm, 더욱 바람직하게는 Tm보다 50℃ 이하 내지 Tm보다 2℃ 이하이다. 적절한 온도는 30℃ 내지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이다.
시트의 각 층의 두께가 상부의 모든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층들의 각각의 두께는, 적어도 전자기 신호가 상기 단층과 상호 작용하는 위치 또는 위치들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조의 용이함을 위해, 상기 단층의 다양한 위치에서 측정될 때 상기 단층의 두께는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의 다층 시트는 임의의 매트릭스, 결합제, 함침된 성분, 또는 테이프 또는 단층을 결합시켜 상기 시트를 함께 형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이 없다. 매트릭스 및/또는 결합제가 없는 시트는 향상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다층 시트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프로파일에 부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고정 방법은 WO2014140260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상기 다층 시트는, 볼트 및 너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 클램핑(clamping) 수단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프로파일에 클램핑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 수단은 강철, 알루미늄, 청동, 황동 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일 수 있는 경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예를 들어 시트 재료의 모서리를 당긴 다음 클램핑 수단을 잠금으로써 및/또는 밀봉재(seal)를 사용함으로써 및/또는 당분야에서 적합한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시트를 프레임에 접착함으로써 및/또는 시트 원주 둘레의 꼰(braided) 로프 또는 케이블과 같이 파이프를 스티칭하고 필요하다면 과잉의 시트 재료를 절단함으로써, 프로파일의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고 인장될 수 있다. 현장에서 사용하기 전에 제조업체의 구내에서 시트 재료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장 및 잠금 후, 과잉의 다층 시트 재료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 b)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1, 및 임의적으로 c)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2를 적층하여, 0.05 mm 이상 0.8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다층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을 제조하는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체를 제공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얻어진 적어도 하나의 적층체의 상부 표면 및/또는 하부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1 및 임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2를 배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 적어도 하나의 층 B1 및 임의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 B2를 함유하는 어셈블리를 얻는 단계;
c) 단계 b)에서 얻어진 어셈블리를 가압하고,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필름 층 B1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얻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층 A는,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하는 단층을 적어도 2 개 포함하고, 상기 층 B1은, 0.05 mm 이상 0.8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체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 층 B1 및 임의적으로 필름 층 B2의 폭 및 길이의 측 방향 치수는 적어도 상기 적층체의 측 방향 치수와 일치하도록 선택되어, 상기 층(들)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상부-적층체 표면을 커버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이 또한 상기 층 B1 및/또는 B2의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 상에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중합체 물질로부터 제조된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은 상이한 중합체 물질로부터 제조되며, 예를 들어 그것은,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내의 층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중합체 물질과는 다른 중합체 부류에 속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한 중합체 물질은 폴리비닐-계 물질,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실리콘-계 물질을 포함한다.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실리콘 고무로 제조된 필름인 경우에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프레스를 사용하는 경우 제품의 배취 생산이 경제적으로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당업계에 공지된 고압 프레스 용으로 사용된다.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은 본원에서 중합체성 물질로 제조된 필름으로 이해되며, 상기 필름은 자립성이며, 예를 들어 50 cm x 50 cm의 상기 필름의 샘플은 그의 최고 높이 치수의 두 배 높이에 매달려있을 때 자체 무게로 깨지지 않는다.
상기 다층 시트의 0.8 mm 이하의 두께는, 예비 형성된 중합체 필름을 고려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프레스 후에 전형적으로 상기 필름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의 두께는 100 ㎛ 내지 25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내지 2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 내지 15 ㎜이다.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필름의 경우, 가장 바람직한 두께는 500 ㎛ 내지 15 ㎜이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의 경우 가장 바람직한 두께는 1 ㎜ 내지 10 ㎜이다. 넓은 범위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고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예를 들어 아를론(Arlon)(미국) 및 윈 플라스틱 익스트루젼(WIN Plastic Extrusion)(미국)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이 3 MPa 내지 25 MPa 또는 그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질 때 우수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예비-형성 중합체 필름으로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MPa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실리콘 고무 필름이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실리콘 고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3 MPa 내지 20 MPa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은 100 내지 600% 또는 그 이상의 파단 연신율을 갖는다.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으로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의 파단 연신율을 갖는다. 실리콘 고무 필름이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실리콘 고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900%의 파단 연신율을 갖는다.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의 인장 모듈러스가 3 MPa 내지 100 MPa 범위일 때 우수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예비-형성 중합체 필름으로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은 바람직하게 3 MPa 내지 25 MPa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다. 실리콘 고무 필름이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실리콘 고무 필름은 바람직하게 1 MPa 내지 20 MPa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다. 위에서 언급한 물질로 제조되고 전술한 특성을 갖는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또한, 당업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압출, 압출-성형, 고체 상태 압축 또는 필름 블로잉(film-blowing)을 사용하여 그러한 필름을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기계적 성질을 얻기 위해 이러한 필름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층 A, B1 및 임의적으로 B2는 상기 문단에 상술되고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실시양태의 층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테이프,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이프, 가장 바람직하게는 UHMWPE 테이프가 시트 층 A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시트 층 A의 적층은, 상기 층들이 그 표면의 대부분, 예를 들어 그 표면의 8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초과량으로 중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들이 실질적으로 그의 전체 표면 위에서 중첩되도록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b)의 어셈블리는 단계 c)에서 적어도 1 bar,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bar,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bar,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bar,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bar의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압력을 낮추면 단층들 간의 접착성이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은 300 ba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bar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65 bar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bar 이하이다. 임의의 통상적인 가압 수단, 예컨대 WN 언라지프레스(Anlagepress)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중 벨트 프레스를 사용하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중 벨트 프레스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힘멘(Hymmen)(DE)에 의해 제조된다.
단계 c) 동안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DSC로 측정되는, 층 A 내의 중합체성 섬유의 용융 온도(Tm) 미만으로 선택된다. 상기 어셈블리가 층 A의 테이프에 하나 초과의 유형의 중합체성 섬유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용융 온도는 하나 초과의 유형의 중합체성 섬유의 최저 용융 온도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는 120℃ 내지 T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Tm보다 50℃ 낮은 온도 내지 Tm보다 2℃ 낮은 온도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단계 c) 동안의 온도는 중합체성 섬유의 용융 온도보다 20℃ 이하 낮은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낮은 온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낮은 온도이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섬유의 경우, 특히 UHMWPE 섬유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50℃의 압축 온도가 선택될 수 있다. 최소 온도는 일반적으로, 합리적인 통합(consolidation) 속도가 얻어지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50℃가 적절한 온도 하한치이고, 바람직하게는 이 하한이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이다.
단계 c)에서 어셈블리를 가압한 후에, 어셈블리는 압력 하에서 냉각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압력은 해제될 수 있다. 예비-성형된 중합체 필름은 상기 어셈블리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0.8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다층 시트가 얻어진다. 상기 시트는 다음 이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가요성이 더 높아서, 예를 들어 수송 중에 접히고/거나 말릴 수 있다; 염료 도포에 적합하다;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전자기파에 대한 높은 투명성을 가지며 더 나은 기계적 성질(예를 들어 높은 내스크래치성, 층들의 탈층 없음, 느슨한 필라멘트 없음, 및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짐)을 보이고, 높은 바람 하중 요건을 견디며, 높은 RF 전송 효율을 가지므로 전자기 복사 특성을 나타내는 전기통신 레이돔의 구성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에 관한 것이며, 이때 상기 다층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단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이때, 각 단층은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함), b)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1, 및 임의적으로 c) 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층 B2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 시트는 0.05 mm 이상 0.8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이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레이돔 벽은, 레이돔(특히 비-탄도성 또는 전기통신 레이돔)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시트 또는 편평한/원추형 패널과 비교하여, 많은 이점을 나타낸다. 즉, 더 높은 가요성을 가지며(즉, (가시적인) 손상 없이 수송 중에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음), 염색 및 착색될 수 있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전자기파에 대한 높은 투명성을 가지며,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보여 주며 (예를 들면, 높은 인장 강도를 갖고 높은 바람 하중 요건을 견딤), 동시에 높은 내스크래치성, 층들의 탈층 없음, 느슨한 필라멘트 없음, 및 사용 중의 높은 RF 전송 효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은 특히 레이돔, 특히 비-탄도성 레이돔, 특히 전기통신에 적합한 레이돔(전기통신 레이돔으로 공지됨) 및 안테나, 레이더 시스템 및 레이돔을 포함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모바일 마스트 및 통신 기지국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는 매우 얇은 두께로 인해 탄도성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돔 벽은, 상부 표면과 상기 상부 표면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를 포함하는 다층 시트를 포함하고, 이때 적어도 상기 상부 표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모두는 필름 층 B1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상부 표면은 필름 층 B2를 임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B1은 상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표면은 임의적으로 층 B2를 포함하고, 상부 표면은 다층 시트 내의 층 A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품 내의 다층 시트는, 상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포함하는 하나의 시트 층 A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모두는 필름 층 B1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표면은 필름 층 B2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품 내의 다층 시트는 상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포함하는 하나의 시트 층 A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모두는 필름 층 B1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표면은 필름 층 B2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층 B2는 자유롭고(즉, B2가 시트 내의 마지막 층이고 시트의 바깥 쪽을 향하고, 필름 층 B2와 시트의 바깥쪽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다), 층 B1은 바깥 쪽을 직접 향하여, 예를 들어 레이돔에서 반사기 및 안테나를 마주 보게 된다. 층 B2가 존재할 때, 층 B2는 다층 시트 내의 최외 하부 층 및 최외 상부 층이다. 층 B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층 B1이 다층 시트 내의 최외 상부 층 및 최외 하부 층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을 포함하는 레이돔에 관한 것이며, 상기 레이돔 벽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층 시트를 포함하며, 이는
a) 2 개 이상의 단층(이 단층은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시트 층 A, 및
b)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필름 층 B1
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시트는 0.05 mm 이상 0.8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을 포함하는 레이돔 및 안테나 및/또는 레이더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돔의 구성, 바람직하게는 전기통신에 적합한 레이돔의 구성,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탄도성 레이돔의 구성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에 기재된 특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특징부들은 더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제품에 대한 설명은 또한 이들 성분으로 구성된 제품을 개시함을 이해해야한다. 유사하게, 특정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대한 설명은 또한 이들 단계로 구성된 공정을 또한 개시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측정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굴곡 강도 및 모듈러스는 ASTM D790-07에 따라 측정되었다. 필름 층의 다양한 두께에 대해 적용하기 위해, 상기 측정은 ASTM D790-07의 단락 7.3에 따라 수행하되 라미네이트 성분의 두께의 두 배인 하중(loading) 및 지지cp 노즈(support nose) 반경, 및 32의 스팬(span)-대-깊이 비를 사용하였다.
섬유의 인장 특성, 예컨대 인장 강도 및 인장 모듈러스는, ASTM D885M에 명시된 대로 멀티필라멘트 얀에 대해 500mm의 섬유의 공칭 게이지 길이, 50%/분의 크로스헤드 속도 및 인스트론(Instron) 2714 클램프를 사용하여 파이버 그립(Fibre Grip) D5618C에서 결정되었다. 강도 계산을 위해, 측정된 인장력을 10 미터의 섬유 무게로 결정된 타이터로 나누며, GPa 단위의 값이 중합체의 천연 밀도(예컨대 UHMWPE의 경우 0.97 g/cm3임)를 가정하여 계산된다.
테이프의 인장 특성, 예컨대 인장 강도 및 인장 모듈러스는, 440 mm의 테이프의 공칭 게이지 길이 및 50 mm/min의 크로스 헤드 속도를 사용하여 2 mm의 폭을 갖는 테이프(적용가능한 경우, 필름을 칼로 슬리팅하여 필름으로부터 얻음)에 대해 25℃에서 ASTM D882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정의 및 결정되었다. 테이프가 필름을 슬리팅하는 것으로부터 얻어진 경우, 테이프의 특성은 테이프가 얻어진 필름의 특성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필름 층의 인장 모듈러스는 25℃ 및 약 50% 상대 습도에서 ASTM D-638(84)에 따라 측정되었다.
필름 층의 인장 강도는 23℃ 및 약 50% 상대 습도에서 ASTM D882-10에 따라 측정되었다.
가요성은 지지된 단부(즉 단단한 테이블 상에 배치된 단부); 자유 단부(즉, 지지되지 않은 단부); 및 단단한 지지체와 자유 단부 사이의 500 mm 길이를 갖는 상기 시트의 샘플 상에서 측정되었으며, 이는 시트와 수평축 사이가 10보다 큰 각도를 가질 때 자체 중량 하에 변형될 것이다. 총 길이 약 65 cm의 시트가 사용되었다. 시트의 15cm 길이(시트의 첫 번째 부분)를 테이블의 표면에 놓은 다음 클램프로 테이블에 대해 가압하였다. 시트 길이의 나머지 50cm(시트의 제 2 부분)를 테이블과 자유 단부 사이에 위치시켰다. 이어서,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시트의 이들 2 개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각도 "알파"(변형 각도)를 독립적으로 3 회 측정하고 α = cos-1 (P2-P1)/L의 관계로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P1은 바닥면(테이블이 놓이는 곳)과 시트의 두 번째 부분의 말단(즉, 바닥면에서, 50cm 길이 시트의 말단) 사이의 거리(cm)이고; P2는 바닥면에서 테이블 상단까지의 높이(P2 = 97.4cm)이고; L은 시트의 두 번째 부분의 길이(L = 50cm)이다. 동일한 샘플(다층 시트의 P1 및 두께에 대해)에서 수행된 이러한 3회의 독립적인 측정의 평균 값을 표 1에 보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및 시트 내의 층 중 어느 하나의 두께는 원래의 위치와 8 개의 주변 위치에서 마이크로미터로 측정되었고, 상기 주변 위치는 원래 위치로부터 최대 0.5 cm의 반경 내에 있으며, 값들은 평균되었다. ISO-11357-3에 따라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실온 내지 200℃의 범위에서 10℃/분의 가열 속도로 2 차 가열 곡선을 평가하여 용융 온도( T m ) 및 융해열( ΔH F )을 확립하였다. 결정화도(Xc)를 식 Xc = ΔHF/ΔHF0로부터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ΔHF0는 완전 결정질 HDPE의 융해열로서 280 J/cm3인 것으로 가정되었다.
UHMWPE의 고유 점도(IV)는 ASTM D1601/2004에 따라 데칼린 중 135℃에서 16 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BHT(부틸화된 하이드록시 톨루엔)를 2g/l 용액의 양으로 산화 방지제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IV는 상이한 농도들에서 측정된 점도를 제로 농도로 외삽하여 얻어진다.
dtex: 섬유의 타이터(dtex)는 섬유 100m를 칭량함으로써 측정되었다. 섬유의 dtex는 밀리그램 단위의 중량을 10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되었다.
전자기 특성, 예컨대 유전 상수 및 유전 손실은, 잘 알려진 스플릿 포스트 유전체 공진기(SPDR) 기술로 1GHz 내지 10GHz의 주파수에 대해 결정되었다. 10GHz 초과, 예를 들어 10 GHz 내지 144 GHz의 주파수의 경우, 상기 전자기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개방 공진기(OR)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여기서는 오목 거울 및 평면 거울을 갖는 고전적인 파브리-패롯(Fabry-Perot) 공진기가 사용되었다. 네트워크 분석기를 사용하여 100 GHz에서 유전 특성 및 손실 탄젠트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문헌[T. M. Hirvonen 및 P. Vainikainen et al., IEEE Transactions on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vol. 45, no. 4, August 1996, page 780-786]에서, 개방 마이크로파 공진기를 사용하는 35 ㎓에서의 유전성 측정에 대해서는 문헌 [R.G. Jones, Proc. IEE, vol. 123, No. 4, April 1976, pages 285-29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두 기술 모두 평평한(plain) 샘플, 즉 그 폭과 길이로 정의된 평면에 임의의 곡률을 갖지 않는 샘플이 사용되었다. SPDR 기술의 경우 유전 특성이 측정되는 각 주파수에 대해 별도의 셋업이 이용되어야 하므로, SPDR 기술은 3.9 및 5 GHz의 주파수에서 수행되었다. 이 주파수에 해당하는 셋업은 시판 중이며 QWED(폴란드)에서 구입하였다. 이러한 셋업과 함께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전자기 특성을 계산하였다. OR 기술의 경우, 셋업은 문헌["A Guide to characterization of dielectric materials at RF and Microwave frequencies" by Clarke, R N, Gregory, A P, Cannell, D, Patrick, M, Wylie, S, Youngs, I, Hill, G, Institute of Measurement and Control /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2003, ISBN: 0904457389]의 7.1.17 장 및 그 장에서 언급된 모든 참고 문헌, 즉 참조 1-6, 및 특히 문헌 3 [R N Clarke and C B Rosenberg, "Fabry-Perot and Open-resonators at Microwave and Millimetre-Wave Frequencies, 2 - 300 GHz", J. Phys. E: Sci . Instrum., 15, pp 9 - 24, 1982]에 제시된 지침에 따라 제작되었다. OR 기법은 35, 50 및 72 GHz의 주파수에서 수행되었다. 샘플을 삽입할 때 동일한 공진 모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공진기 길이의 변화로부터 상대 투자율(permittivity)(유전 상수로도 공지됨)을 계산하였다. 손실 탄젠트 값은 Q 계수의 해당 변화로부터 계산되었다. 주파수 간격에서의 유전 상수 및 손실 탄젠트의 변동 계수는 주파수 간격에서의 유전율 및 손실 탄젠트의 3개의 값을 측정하고, 이들 값으로부터 평균 유전 상수 및 손실 탄젠트 및 유전 상수 및 손실 탄젠트의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표준 편차를 상기 평균값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반사 손실( RL ) 측정은 표준 방법 IEEE Std. 149-1979, 제 15 장에 따라, 아래에 명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위한 마이크로파 디쉬 안테나 앞에서 수행하였다: 실온에서, 무반사 실(anechoic chamber)을 사용하고 안테나 전송 라인 포트에서 검정(calibration)을 수행하고, 파라볼릭 디쉬를 사용하고, 빔(beam)에 수직으로 레이돔을 놓았다.
바람 하중 시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로 제조된 레이돔에 가해질 수 있는 최대 힘을 분석하기 위해 13cm 직경을 갖는 원추형 샘플 홀더 클램핑 장치를 인장 시험기에 사용하였다. 원추형 샘플 홀더는, 미끄러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시트 상에 더 많은 클램핑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직경 11cm의 둥근 스탬프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시트를 함유하는 레이돔 상에 최대 힘을 적용하였다. 최대 힘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가 상기 원추형 홀더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시트가 손상되지 않은 순간의 힘으로 정의된다.
바람 하중은 레이돔에 샌드백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4 ft 레이돔(1.2m) 직경의 다층 시트의 표면 상에 450kg의 샌드백을 적용한 후 3982 N/m2(0.0039 MPa)의 압력을 레이돔 상에 인가함으로써 250 ㎞/h의 풍속을 시뮬레이션하였다. 평평한 레이돔 표면에 바람에 의해 가해진 힘은 잘 알려진 드래그(Drag) 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F = Cd * ½ * ρ * V2 * A, 여기서 Cd = 드래그 계수이고 평평한 표면의 경우 1.17이며, V2 = 풍속(m/s) = 250 km/h = 69.4 m/s; A = 레이돔 표면(m2) = 4ft 직경 =(4 * 0.3m)2 * π/4 = 1.13 m2; δ 공기 = 1.293 kg/m3. 따라서, F = 1.17 * ½ * 1.293 *(69.4)2 * 1.13 = 4117 N. 따라서 레이돔의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파손하지 않으면서 매우 높은 4117 N의 힘을 레이돔에 가할 수 있다.
직경 13 cm의 시트에 스탬프로 51 N을 인가할 때 직경 1.2 m의 시트 레이돔에 450 kg의 샌드백과 동일한 250 kg/h의 평균 바람 하중이 적용되고/시뮬레이션되었다.
10 및 100 mm/min의 속도로 다층 시트 상에 스탬프를 가압하여 바람 하중 힘을 시뮬레이션하고 10 N에서 시작하여 원추형 샘플 홀더에서 다층 시트 상에서 얻을 수 있는 최대 바람 하중을 평가하였다. 원추형의 샘플 홀더에서 미끄러짐 없이 원추형 샘플 홀더에 고정된 시트 상에서 직경 13cm에 2500 N의 힘(0.25MPa)을 적용할 수 있으며 시트는 본래대로 유지되었다 (즉, 손상 또는 파손되지 않았다). 고강도 다층 시트의 원추형 홀더 내에서의 고정은, 이러한 높은 힘을 얻을 수 있도록 매우 양호했다.
500N에서 60 분간의 일정한 힘 시험을 실시하여, 레이돔에 사용된 다층 시트의 일정한 바람 하중을, 상기한 최대 바람 하중 시험과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이 측정은 10 N 힘에서 시작되었다. 다층 시트 상에 500 N의 힘을 60 분 동안 유지하기 위해 인장 시험기에서 추가적인 변위가 단지 0.5 mm 발생하였다.
UHMWPE를 포함하는 고체 상태 테이프의 제조
UHMWPE 분말의 분말 베드를 40bar의 압력 및 130℃의 온도에서 이중 벨트 프레스로 압축시켰다. 분말 베드의 면적 밀도는 m2 당 1kg이었다. 생성된 생성물을 135℃의 온도에서 2 개의 캘린더 롤 사이에서 270 ㎛의 두께로 압축한 다음, 오븐에서 147℃로 10 배로 연신한 다음, 다시 다른 오븐에서 온도 150℃에서 2.5 배 연신하였다. 생성된 배향된 테이프는 42 ㎛의 두께, 1.7 GPa의 인장 강도, 115 GPa의 인장 모듈러스 및 35 ㎝의 폭을 가졌다. 테이프의 종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 대 횡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의 비는 150이었다.
UHMWPE를 포함하는 직조 시트의 제조
UHMWPE를 포함하는 고체 상태 테이프의 제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득된 테이프의 4 개의 단층(각각의 단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10 ㎝ 폭 및 0.042 ㎜ 두께의 고체 상태 UHMWPE 테이프를 함유함)을 2 개의 평직 직물 구조로 직조하였으며, 이때 각각의 평직 직물 구조는 상기 테이프로 이루어진 두개의 0,90° 교차-플라이 단층을 함유하였다. 상기 2 개의 평직 직물 구조를 대기 조건(약 23℃의 실온) 하에서 서로 겹쳐서 적층하여 4 개의 단층을 갖는 하나의 직물 시트 층을 제조하였고, 이때 각각의 단층은 상기 테이프로 구성되었다. 얻어진 시트를 폭 40cm, 길이 40cm, 두께 0.17mm, 테이프의 0.90° 방향에서의 강인성 8.5 cN/dTex 및 면적 밀도 168 g/m2를 가진 시트 샘플로 절단하였다.
레이돔 벽 제조
균일한 압력 분포를 위해 시트의 한면(즉, 상부 표면)상에 프레스 공정 동안 60 쇼어 A 경도를 갖는 실리콘 고무의 프레스 패드(호프랜드 델타플렉스(Hofland Deltaflex)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를 적용하였다. 이어서, 본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트 샘플의 양면에 하나의 2층 마무리 필름을 적용한 다음, 그렇게 형성된 어셈블리를 유압 프레스에서 145℃의 온도에서 50 bar의 압력 및 10 분의 드웰(dwell) 시간 동안 가압하였다. 그 후, 어셈블리를 실온(약 23℃)으로 냉각시키고, 실리콘 고무 패드를 제거하여 다층 시트를 수득하였다.
“UHMWPE를 포함하는 직조 시트의 제조”에 의해 수득되고 본원의 실시예 1 및 비교예에 따른 다층 시트를 이어서, 볼드 앤드 너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클램핑함으로써 플라스틱 링 프레임 상에 장착하여 레이돔 벽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
“UHMWPE를 포함하는 직조 시트의 제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득된 다층 시트의 하부 측면 및 상부 측면에 두께 0.04 mm의 2 층 필름을 적용하였다. 이 필름은 LDPE(SABIC(등록상표) HP2023N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및 LLDPE(SABIC(등록상표) 6135NE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0.8 중량%의 UV 안정제(슐만 컴퍼니(A. Schulman Company) 제의 UVS225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0.2 중량%의 키마솔브(Chimassorb) 944(BASF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및 0.4 중량%의 TiO2(BASF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를 포함하는 하나의 0.02 mm 두께 층 필름, 및 HDPE(SABIC(등록상표) 상품명 FI0750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0.2 중량%의 키마솔브 UV 안정제(BASF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및 0.4 중량%의 TiO2(BASF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를 포함하는 하나의 0.02 mm 두께 층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 샘플은 하부 측면에 LDPE/LLDPE 필름 층이, 상부 측면에 HDPE 필름 층이 있었다. 얻어진 다층 시트의 두께는 0.21 mm이었다. 샘플의 강인성은 8.5 cN/dTex였다.
실시예 2
HDPE를 함유하는 필름 층이 0.04 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유일한 차이점으로 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다층 시트의 두께는 0.29 mm였고 면적 밀도는 288 g/m2이었다.
실시예 3a
면적 밀도가 65g/㎡이고 하나의 두께 0.05mm LDPE 필름 및 하나의 두께 0.015mm 폴리아미드-6 필름(DSM에서 상표명 아쿨론(Akulon) F130으로 시판 중임)으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하여 하나의 다층 시트를 제조한 것을 유일한 차이점으로 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다층 시트는 0.29 mm의 두께 및 298 g/m2의 면적 밀도를 가졌다. 이 샘플의 가요성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실시예 3b
층 시트 A가 4 개의 평직 직조 구조로 형성된 8 개의 단층을 가지며, 각각의 직조 구조가 2 개의 0.90° 교차-배열된 단층을 함유하고, 상기 직조 구조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다는 것을 유일한 차이점으로 하여 실시예 3a를 반복하였다. 이 샘플의 가요성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실시예 3c
층 시트 A가 6 개의 평직 직조 구조로 형성된 12 개의 단층을 가지며, 각각의 직조 구조가 2 개의 0.90° 교차-배열된 단층을 함유하고, 상기 직조 구조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다는 것을 유일한 차이점으로 하여 실시예 3a를 반복하였다. 이 샘플의 가요성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비교예 3a
층 시트 A가 8 개의 평직 직조 구조로 형성된 16 개의 단층을 가지며, 각각의 직조 구조가 2 개의 0.90° 교차-배열된 단층을 함유하고, 상기 직조 구조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다는 것을 유일한 차이점으로 하여 실시예 3a를 반복하였다. 이 샘플의 가요성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비교예 3b
층 시트 A가 12 개의 평직 직조 구조로 형성된 24 개의 단층을 가지며, 각각의 직조 구조가 2 개의 0.90° 교차-배열된 단층을 함유하고, 상기 직조 구조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다는 것을 유일한 차이점으로 하여 실시예 3a를 반복하였다. 이 샘플의 가요성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실시예 4
필름의 면적 밀도가 20 g/m2이고, 시트 층 A의 양면에 위치하는 하나의 0.020 mm 두께 LDPE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유일한 차이점으로 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다층 시트의 두께는 0.21 mm였고 면적 밀도는 208 g/m2이었다.
실시예 5
마무리 필름이 면적 밀도가 60g/㎡이고, 하나의 두께 0.045mm LDPE 필름과 하나의 0.015mm 두께 PET 필름(SABIC에서 BC111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중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유일한 차이점으로 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다층 시트의 두께는 0.29 mm였고 면적 밀도는 288 g/m2이었다.
큰 힘이 가해졌을 때, 실시예 1 내지 5에서 얻은 레이돔 벽은 본래대로 유지됨(예를 들어, 시트가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음)이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 하중 시험에서 직경 11cm의 레이돔에 4500N 힘이 가해졌을 때, 레이돔 벽이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높은 안전 계수(safty factor)를 갖는 레이돔이 얻어짐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의 다층 시트는 그의 고 가요성으로 인해 쉽게 말리고, 구부러지고, 접히고, 어떠한 손상(예컨대, 파손 또는 균열)없이 운송될 수 있는 반면, 비교예 3에 따라 수득된 다층 시트는 큰 크기 레이돔에 사용시에도 경질의 패널형 시트였다. 또한, 상기 다층 시트는, 편평한 형상의 레이돔의 구성 및 큰 크기 레이돔에도 또한 적합한, 단순한 평평한 제품 형태였다. 이러한 평평한 제품 형태로 인해 레이돔 프레임 또는 반사기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에 대한 보다 간단하고 보다 비용-효율적인 부착 방법이 가능해졌다. 상기 다층 시트는 강도가 높고, 환경 친화적이며, 광에 반투명하며(translucent), 이 특성은 레이돔 구성의 우수한 품질 관리와 관련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수득된 레이돔 벽은, 비교예 3에 의해 수득된 레이돔 벽이 낮은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며 사용 중 탈층 및 느슨한 필라멘트를 나타내는 것과 비교하여, 높은 스크래치 내성을 나타내고 사용시에 탈층 및 느슨한 필라멘트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1은, 본 발명의 다층 시트(실시예 3a 내지 3c)가, 0.8 mm보다 큰 두께를 갖는 다층 시트(비교예 3a 및 3b)에 비해 훨씬 더 큰 가요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트는 (가시적인 또는 내부 구조에서) 어떠한 손상도 보이지 않고, 말림, 구부림, 접힘 시 탈층되지 않는 반면, 비교예 3a 및 3b에 따라 얻어진 다층 시트는 가시적인 또는 내부 손상(공극 또는 크랙으로서 존재함) 및 상기 시트의 말림, 구부림, 접힘 시의 시트 탈층이 발생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RF 리턴 손실 측정이 7.1 및 40 GHz 사이의 주파수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i)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트로서, 4 개의 단층 테이프 대신 2 개의 단층의 테이프가 사용되고, 시트의 두께는 0.09 mm인 것; ii)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트; iii) 실시예 1에서 제조된 3 개의 시트 층으로 이루어진 0.5 mm 두께의 시트(각 시트의 층은 4 개의 단층의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3 개의 시트 층은 “UHMWPE를 포함하는 직조된 시트의 제조”에서 상술한 가압 절차를 사용하여 통합되었음). 시트의 두께가 증가할 때, 전자기 복사선의 RL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0.09 및 0.17 mm 두께의 시트에서 각각 19 dB 및 18 dB의 RL을 얻었다. 0.5 mm 두께의 시트에서는 15 dB의 RL을 얻었다. 또한, 0.8 mm보다 큰 두께를 갖는 다층 시트(패널 형상)는 손상(구부림, 접힘 또는 말림 중에 시트에 발생된 가시적인 균열 및 탈층) 없이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말릴 수 있을 만큼 유연하지 못했고, 전자기 파에 대해 더 낮은 투명성을 보였다.
또한 실시예 3의 다층 시트에 대해 7.1 내지 40 GHz에서 RF 반사 손실 측정이 수행되었다. 적절한 반사 손실 값은 하기의 다양한 주파수 밴드를 적용함으로써 수득되었다: 7.1 내지 8.5 GHz = 19 dB; 10 내지 11.7 GHz = 17 dB; 12.7 내지 13.25 GHz = 22 dB; 14.2 내지 15.35 GHz = 21 dB; 17.7 내지 19.7 GHz = 18 dB; 21.2 내지 23.6 GHz = 19 dB; 24.25 내지 26.5 GHz = 19 dB; 27.5 내지 29.5 GHz = 17 dB; 31 내지 33.4 GHz = 17 dB; 37 내지 40 GHz = 17 dB.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은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얻어진 낮은 RF 값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돔 벽이 안테나의 탈튜닝(detuning)을 거의 또는 전혀 일으키지 않고, 레이돔 벽의 송신 효율이 매우 높음을 나타낸다.
샘플 시트 A중의 단층의 개수 P1
[cm]
각도
[o]
다층 시트 두께
[mm]
실시예 3a 4 64.1 48.24 0.29
실시예 3b 8 88.7 79.98 0.47
실시예 3c 12 93.6 85.64 0.64
비교예 3a 16 94.5 86.67 0.83
비교예 3b 24 95.8 88.17 1.15

Claims (13)

  1. 다층 시트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radome wall)으로서,
    상기 다층 시트는
    a) 적어도 2 개의 단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층 A (이때, 상기 단층은 중합체성 섬유를 포함함), 및
    b)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필름 층 B1
    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시트는 0.05 mm 이상 0.8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레이돔 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는 0.1 mm 이상 0.5 mm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0.3 mm 이하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레이돔 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층 A는 최대 14 개의 단층, 바람직하게는 최대 8 개의 단층,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4 개의 단층을 포함하는, 레이돔 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의 단층이 하나의 직조된 직물로 함께 직조된, 레이돔 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섬유는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가장 바람직하게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레이돔 벽.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A 내의 중합체성 섬유가 중합체성 테이프, 바람직하게는 고체 상태 중합체성 테이프인, 레이돔 벽.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층 B1은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 B1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레이돔 벽.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및 작용성(functional) 중합체를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필름 층 B2를 추가로 포함하는 레이돔 벽.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층 B2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스티렌, 폴리아민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레이돔 벽.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레이돔 벽을 포함하는 레이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돔은 비-탄도성 레이돔(non-ballistic radome), 바람직하게는 전기통신에 적합한 비-탄도성 레이돔인, 레이돔.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레이돔 벽의 레이돔 구성에서의 용도.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레이돔 및 안테나 및/또는 레이더(radar)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87016801A 2015-12-18 2016-12-15 다층 중합체 시트를 가진 레이돔 벽 KR20180094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201136.7 2015-12-18
EP15201136 2015-12-18
PCT/EP2016/081293 WO2017103008A1 (en) 2015-12-18 2016-12-15 Radome wall with multilayer polymer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899A true KR20180094899A (ko) 2018-08-24

Family

ID=5485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801A KR20180094899A (ko) 2015-12-18 2016-12-15 다층 중합체 시트를 가진 레이돔 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375203A1 (ko)
EP (1) EP3391463A1 (ko)
JP (1) JP2019506587A (ko)
KR (1) KR20180094899A (ko)
CN (2) CN108370094A (ko)
IL (1) IL259056A (ko)
WO (1) WO2017103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1916B (zh) * 2018-02-13 2020-04-17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微波天线宽频柔性天线罩
WO2020127335A1 (en) * 2018-12-21 2020-06-25 Agc Glass Europe Lidar detection device provided with a releasable protective layer
IL284373B1 (en) * 2018-12-27 2024-01-0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 Broadband radome design
CA3127140A1 (en) * 2019-01-24 2020-07-30 Ruben CALIS Ballistic-resistant article based on films provided with matrix
EP3924179A1 (en) * 2019-02-12 2021-12-22 Teijin Aramid B.V. Ballistic-resistant article based on sheets with discontinuous film splits
CN110808465B (zh) * 2019-09-27 2021-02-02 浙江瑞堂塑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透波率雷达罩及其制备工艺
BR112022008471A2 (pt) * 2019-11-04 2022-07-12 Dsm Ip Assets Bv Fibra de poliolefina preenchida com polímero
US11721888B2 (en) 2019-11-11 2023-08-08 Ticona Llc Antenna cover including a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low dielectric constant and dissipation factor
KR20210077033A (ko) * 2019-12-16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의 전자기파 투과모듈
CN113097736B (zh) * 2021-03-07 2023-03-21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新型频率及波束可重构天线
WO2023240030A1 (en) * 2022-06-06 2023-12-14 Ppg Industries Ohio, Inc. Radar transmissive system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ssemblies thereof, and methods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488B2 (ja) * 1987-11-24 1995-05-31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低誘電性積層体
JP3146735B2 (ja) * 1993-03-26 2001-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ックレーザ
US6107976A (en) * 1999-03-25 2000-08-22 Bradley B. Teel Hybrid core sandwich radome
CA2619172C (en) * 2005-08-17 2013-07-16 Innegrity, Llc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1364669B (zh) * 2008-09-25 2012-08-29 东华大学 超高分子量聚乙烯增强的雷达罩、其制备方法及应用
WO2012080317A1 (en) * 2010-12-14 2012-06-21 Dsm Ip Assets B.V. Material for radom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EP2688732B1 (en) * 2011-03-22 2015-05-06 DSM IP Assets B.V. Radome wall
JP2014531800A (ja) * 2011-09-12 2014-11-27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複合レドーム壁
ES2687986T3 (es) * 2012-10-12 2018-10-30 Dsm Ip Assets B.V. Paredes de radomo antibalístico compuest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098058U (zh) 2018-03-13
US20180375203A1 (en) 2018-12-27
IL259056A (en) 2018-06-28
CN108370094A (zh) 2018-08-03
WO2017103008A1 (en) 2017-06-22
EP3391463A1 (en) 2018-10-24
JP2019506587A (ja)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4899A (ko) 다층 중합체 시트를 가진 레이돔 벽
US9744741B2 (en) Material for radom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EP3268520B1 (en) Spreader element for manufacturing unidirectional fiber-reinforced tapes
US8057887B2 (en)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US7648607B2 (en) Methods of forming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US7892633B2 (en) Low dielectric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US20140327595A1 (en) Composite radome wall
AU2006280176B2 (en)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450697B2 (en) Space frame radome comprising a polymeric sheet
KR20120093945A (ko) 저수축 가요성 시트의 제조 방법
KR20090021310A (ko) 비정질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한 복합체 물질
KR20120014165A (ko) 압축 시트
EP3606982B1 (en) High performance fibers composite sheet
WO2019121675A1 (en) Method to produce a high performance polyethylene fibers composite fabric
WO2018184821A1 (en) High performance fibers composite 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