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173A -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173A
KR20140055173A KR1020120121595A KR20120121595A KR20140055173A KR 20140055173 A KR20140055173 A KR 20140055173A KR 1020120121595 A KR1020120121595 A KR 1020120121595A KR 20120121595 A KR20120121595 A KR 20120121595A KR 20140055173 A KR20140055173 A KR 20140055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rea
display device
virtual
inpu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173A/ko
Priority to CN201310512380.2A priority patent/CN103793074B/zh
Priority to JP2013223869A priority patent/JP6267926B2/ja
Priority to EP13190927.7A priority patent/EP2728448B1/en
Priority to US14/066,854 priority patent/US9195322B2/en
Priority to PCT/KR2013/009748 priority patent/WO2014069901A1/en
Publication of KR2014005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입력 장치는, 통신부, 입력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입력 장치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될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1 입력부 및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과 매핑된 상태에서,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입력 장치가 위치하면,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INPUT APPARATUS AND IN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우수한 IT 기술을 바탕으로 한 유선 마우스, 무선 마우스, 자이로 무선 마우스(GYRO WIRELESS MOUSE)과 같은 입력 장치도 보급되고 있다.
유선 마우스는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된 마우스이며, 무선 마우스는 유선 마우스 대용으로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된 마우스이고, 자이로 무선 마우스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는 마우스를 의미한다.
다만 무선 마우스는, 기존의 유선 마우스를 대체하는데 있어서 단순히 유선을 무선으로 전환한 것에 불과하여, 마우스 사용을 위하여 마우스 패드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자이로 무선 마우스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는바, 마우스 사용을 위하여 마우스 패드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으나. 마우스 포인터를 넓게 이동시키려면 지속적으로 자이로 무선 마우스를 움직여서 마우스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야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입력 장치들은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제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장치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될 가상 입력 영역을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에 매핑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입력을 가상 입력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입력 장치는, 통신부,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입력 장치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될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과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상 입력 영역은, 상기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상기 입력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포인터를 위치시키게 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입력 장치의 제1 위치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상기 입력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입력 장치를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에서, 상기 입력 장치가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재차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매핑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전송된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정보는,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한 상기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한 위치 정보에 매핑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은, 3차원 공간 내의 일 평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입력 장치의 입력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 장치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될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과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 입력 영역은, 상기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상기 입력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포인터를 위치시키게 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장치의 제1 위치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상기 입력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장치를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에서, 상기 입력 장치가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재차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재차 수신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핑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전송된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한 상기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핑은, 상기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한 위치 정보에 매핑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은, 3차원 공간 내의 일 평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가 무선으로 구현됨으로써, 입력 장치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마우스 패드를 제거함으로써, 휴대성 및 사용환경의 제약성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마우스 포인터를 넓게 이동시키려는 경우, 입력 장치를 지속적으로 이동시켜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입력 장치를 가상 입력 영역의 특정 위치에 위치시키면 되는바,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바, 사용 환경에 따라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입력 영역을 이용한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으로의 투영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력 시스템(1000)은 입력 장치(100), 디스플레이장치(200)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100)는 입력 장치(100)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될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은,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에서 입력 장치(100)의 이동하면, 입력 장치(100)의 이동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시킬 수 있는 영역으로 3차원 공간 내의 일 평면일 수 있다.
또한,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 영역과 매핑된 상태에서,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입력 장치(100)가 위치하면, 입력 장치(100)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매핑은,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를 매핑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해상도 정보를 비교하여 입력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마우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는, 바람직하게는, 펜 형상의 펜 마우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디지털 TV(200-1),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200-2), 스마트폰(200-3), 태블릿 PC(200-4)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장치(100)는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마우스 포인터 모드, 레이저 빔을 발광하는 레이저 빔 발광 모드 중에서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는 감지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입력 장치(1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감지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10)는 각가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또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의 각 축에 대한 각가속도를 감지하고, 감지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는 각가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각 축에 대한 각가속도 정보를 이중 적분하여 기준 위치로부터 입력 장치(100)의 각 축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의 각 축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고, 감지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는 가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각 축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이중 적분하여 기준 위치로부터 입력 장치(100)의 각 축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입력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입력부(12)는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1 입력부,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입력부(120)는 페이지 업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페이지 다운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레이저 빔 포인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부,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스크롤 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제어부(140)는 전기 신호가 전달된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마이크로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사용자가 발화(utterance)한 음성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20)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전달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음성 입력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버튼 및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는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20)는 버튼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지점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제어부(140)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버튼이 선택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상술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20)는 입력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는 펜 마우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21), 스크롤 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22),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1 입력부(123),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2 입력부(124), 레이저 빔 포인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25), 페이지 다운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26), 페이지 업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27), 마우스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28)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121)는 펜 촉으로 구현될 수 있고, 입력 장치(100)에 힘을 가하여 누르는 경우, 마우스 왼쪽 버튼 클릭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2)는 스크롤 휠도 구현될 수 있고, 마우스 휠 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3-128)는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고, 버튼이 눌리거나 떼지면 각각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2 입력부(128)는 해상도를 키우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영역(+) 및 해상도를 낮추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입력부(121-128)가 버튼 형태로 구현될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방식, 음성 인식 방식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1-128)의 배치 형태는 도 3에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입력 장치(10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매핑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30)는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수신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입력 영역과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 영역을 매핑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매핑이 완료된 상태에서,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입력 장치(100)가 위치하면, 통신부(130)는 입력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입력 장치(100)가 매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장치(100)는 수신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입력 영역과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 영역을 매핑할 수 있다. 한편, 입력장치(200)에서 매핑이 완료된 상태에서,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입력 장치(100)가 위치하면, 통신부(130)는 입력 장치(100)가 위치한 위치 정보에 매핑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0)는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 시리얼 포트 또는 마우스 포트를 통하여 유선으로 접속되는 형태, 2.4Ghz 디지털 무선 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적외선 통신, Blue 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Zigbee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가 가능하다.
특히, 입력 장치가 무선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 장치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감지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장치(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감지부(110)가 입력 장치(100)에 부착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0)가 펜 마우스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감지부(110)가 부착된 위치가 아니라 펜 마우스의 필기 부분, 즉 펜 팁의 위치에 관심을 갖는다. 따라서 감지부(110)가 펜 마우스의 필기 부분으로부터 z방향으로 +1cm, x방향으로 -0.5cm에 위치된다면, 제어부(140)는 산출된 위치 정보를 처리하여 z방향으로 -1cm, x방향으로 +0.5cm만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 장치의 제1 위치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입력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은 제1 입력부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가 버튼으로 구현된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버튼의 누름 유지하는 입력, 제2 사용자 입력은, 버튼을 떼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부가 터치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터치를 유지하는 입력일 수 있고, 제2 사용자 입력은 터치 상태를 제거하는 릴리즈(RELEASE)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가 마이크로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시작'이라는 단어를 발화하는 입력일 수 있고, 제2 사용자 입력은 '종료'라는 단어를 발화하는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제1 입력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 장치(100)를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에서, 입력 장치가 제1 위치에서,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제2 위치에서 제1 입력부를 통해 재차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입력은 제1 입력부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가 버튼으로 구현된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버튼을 누른 후 떼는 입력일 수 있다. 제1 입력부가 터치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터치 후 릴리즈하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가 마이크로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라는 단어를 발화하는 입력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1 위치에서 산출된 제1 위치 정보 및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제2 위치에서 산출된 제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받을 가상 입력 영역의 제1 위치에 입력 장치(100)를 위치시키면, 제어부(140)는 입력 장치(100)의 제1 위치에서 제1 위치 정보(x1,y1,0)(301)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받을 가상 입력 영역의 제2 위치에 입력 장치(100)를 위치시키면,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제2 위치에서 제2 위치 정보(x2,y2,0)(302)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사각형의 서로 대각하는 꼭지점의 위치 정보가 산출되었는 바, 제어부(140)는 나머지 꼭지점인 제3 위치 정보(x1,y2,0)(307) 및 제4 위치 정보(x2,y1,0)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산출된 제1 위치 정보(x1,y1,0)(301), 제2 위치 정보(x2,y2,0)(302), 제3 위치 정보(x1,y2,0)(307) 및 제4 위치 정보(x2,y1,0)를 꼭지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c)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받을 가상 입력 영역의 제1 위치에 입력 장치(100)를 위치시키면, 제어부(140)는 입력 장치(100)의 제1 위치에서 제1 위치 정보(x1,y1,z1)(301)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d)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받을 가상 입력 영역의 제2 위치에 입력 장치(100)를 위치시키면,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제2 위치에서 제2 위치 정보(x2,y2,z2)(302)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2 위치 정보의 z축의 위치 정보는 유지한 채, x축, y축만을 변경한 제3 위치 정보(x3,y3,z2)(307)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위치 정보의 z축의 위치 정보는 유지한 채, x축, y축만을 변경한 제4 위치 정보(x4,y4,z1)(308)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산출된 제1 위치 정보(x1,y1,0)(301), 제2 위치 정보(x2,y2,0)(302), 제3 위치 정보(x3,y3,z2)(307) 및 제4 위치 정보(x4,y4, z1)를 꼭지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직사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제어부(140)는 산출된 제1 위치 정보 및 산출된 제2 위치 정보만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는 제1 위치, 제2 위치, 제3 위치, 제4 위치를 직접 지정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위치, 제2 위치, 제3 위치, 제4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가상 입력 영역은 3차원 공간 내의 사각형 형상의 일 평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하거나 제2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해상도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해상도는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 내의 위치 정보의 밀도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이 제1 위치 정보(0,0,0), 제2 위치 정보(10,10,0), 제3 위치 정보(0,10,0), 제4 위치 정보(10,0,0)를 꼭지점으로 사각형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해상도가 100*100이란 의미는, 사각형 형상 내에, 제1 위치 정보(0,0,0), 제2 위치 정보(10,10,0), 제3 위치 정보(0,10,0), 제4 위치 정보(10,0,0)를 포함하여 10000개의 위치 정보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가상 입력 영역이 설정되면, 입력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과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 영역의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100)에 의한 매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장치(10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수신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 정보와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가 100*100이고, 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 정보가 1000*1000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 정보와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간의 비율(가로, 세로 1:10)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 내의 위치 정보(x1,y1,z1)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영역내의 위치 정보(x1',y1',z1')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 내의 위치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영역 내의 위치 정보를 1대1 대응시킴으로써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매핑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수신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입력 영역과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 영역을 매핑할 수 있다.
한편,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 영역과 매핑된 상태에서,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입력 장치가 위치하면, 제어부(140)는 입력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장치(100)가 매핑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가상 입력 영역에서 입력 장치(100)가 위치한 위치 정보에 매핑된 디스플레장치의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수신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의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매핑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 장치(100)가 위치한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수신된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에 매핑된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의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입력 영역을 이용한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와 같이,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입력 장치(100)가 위치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 영역은, 입력 장치(100)의 위치와 매핑되는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b)와 같이,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입력 장치(100)가 이동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면 영역은, 입력 장치(100)의 이동된 위치와 매핑되는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입력 영역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을 매핑함으로써, 입력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마우스 패드를 제거하여 휴대성 및 사용환경의 제약성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포인터를 넓게 이동시키려는 경우, 입력 장치를 지속적으로 이동시켜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입력 장치를 가상 입력 영역의 특정 위치에 위치시키면 되는바,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바, 사용 환경에 따라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입력 장치의 미세한 움직임이 불필요하므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낮춤으로써,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메뉴 선택을 쉽게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정밀한 그림을 그리는 경우에는, 입력 장치의 미세한 움직임이 필요하므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높임으로써,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그림을 정확하게 그릴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가 가상 입력 영역 내에 위치한 위치 정보가 아닌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가 가상 입력 영역으로 투영된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투영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의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으로의 투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x1,y1,z1)(304)가 가상 입력 영역(300) 내에 위치한 위치 정보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도 6(a)와 같이, 입력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x1,y1,z1)(304) 중 x 좌표 값은 x1이고, y 좌표 값은 y1을 갖는 가상 입력 영역(300)에서의 z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x1,y1,z1)가 가상 입력 영역(300)으로 투영된 위치 정보(x1,y1,z2)(305)를 산출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x1,y1,z1)(304)가 가상 입력 영역(300) 내에 위치한 위치 정보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도 6(b)와 같이, 입력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x1,y1,z1)(304)가 가상 입력 영역(300)과 수직으로 만나는 가상 입력 영역(300)내의 위치 정보(x2,y2,z2)를 산출할 수 있다.
도 6과 같은 상황은, 가상 입력 영역을 통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흔히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입력 영역이 고정된 받침이 있는 공간(예를 들어 책상 위)에 생긴 경우 이러한 상황은 흔히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가상 입력 영역이 고정된 받침이 없는 공간(예를 들어, 허공에 가상 입력 영역을 생성하는 경우)에 생긴 경우 이러한 상황은 흔히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가상 입력 영역에 입력 장치(100)를 정확히 위치시킨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가 가상 입력 영역으로 투영된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0)는, 도 6에 따라 산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에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CPU,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 입력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작업관련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PU, 롬, 램은 내부 버스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될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701). 여기서 가상 입력 영역은,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입력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포인터를 위치시키게 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은, 3차원 공간 내의 일 평면일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을 매핑한다(S702).
여기서 매핑은, 입력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된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매핑은, 입력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와 비교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의 비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입력 장치가 위치하면,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703).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701)는, 입력 장치의 제1 위치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입력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입력 장치를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에서, 입력 장치가 제1 위치에서,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제2 위치에서 입력부를 통해 재차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위치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이 재차 수신되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 장치의 입력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입력 장치 110 : 감지부
120 : 입력부 130 : 통신부
140 : 제어부 20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입력 장치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될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과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입력 영역은, 상기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상기 입력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포인터를 위치시키게 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입력 장치의 제1 위치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상기 입력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입력 장치를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에서, 상기 입력 장치가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재차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매핑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전송된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한 상기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매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한 위치 정보에 매핑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은,
    3차원 공간 내의 일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1.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입력 장치의 입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될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과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하면,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입력 영역은, 상기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상기 입력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포인터를 위치시키게 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장치의 제1 위치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상기 입력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장치를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입력 영역 설정 모드에서, 상기 입력 장치가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에 대각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재차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재차 수신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의 가상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핑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전송된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한 상기 매핑된 가상 입력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핑은, 상기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입력 장치가 위치한 위치 정보에 매핑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영역에서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은,
    3차원 공간 내의 일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가상 입력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 방법.
KR1020120121595A 2012-10-30 2012-10-30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KR20140055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595A KR20140055173A (ko) 2012-10-30 2012-10-30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CN201310512380.2A CN103793074B (zh) 2012-10-30 2013-10-25 输入设备及其输入控制方法
JP2013223869A JP6267926B2 (ja) 2012-10-30 2013-10-29 入力装置およびその入力制御方法
EP13190927.7A EP2728448B1 (en) 2012-10-30 2013-10-30 Input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and in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4/066,854 US9195322B2 (en) 2012-10-30 2013-10-30 Input apparatus and in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3/009748 WO2014069901A1 (en) 2012-10-30 2013-10-30 Input apparatus and in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595A KR20140055173A (ko) 2012-10-30 2012-10-30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173A true KR20140055173A (ko) 2014-05-09

Family

ID=4951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595A KR20140055173A (ko) 2012-10-30 2012-10-30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5322B2 (ko)
EP (1) EP2728448B1 (ko)
JP (1) JP6267926B2 (ko)
KR (1) KR20140055173A (ko)
CN (1) CN103793074B (ko)
WO (1) WO20140699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018A (ko) * 2019-01-10 2020-07-20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135250A (ko) * 2019-01-10 2020-12-02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포인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7727B (zh) 2013-05-14 2016-03-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手写输入方法及装置
EP2946266B1 (en) 2014-03-21 2023-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a virtual input interface
CN107960124B (zh) * 2016-05-16 2021-02-26 深圳维盛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dpi自动调节的鼠标及方法
CN105975103B (zh) * 2016-05-22 2018-11-06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带激光教鞭的多功能指环式无线鼠标
JP7409770B2 (ja) 2018-12-28 2024-01-09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7624A (en) 1987-03-05 1994-09-13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control
US5981883A (en) * 1992-07-08 1999-11-09 Lci Technology Group, N.V. Systems for imaging written information
US6614422B1 (en) 1999-11-04 2003-09-02 Canes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data using a virtual input device
AU765063B2 (en) * 1999-09-17 2003-09-0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instruction of a computer
US6906703B2 (en) * 2001-03-28 2005-06-14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module for sensing pen motion
EP1315120A1 (de) * 2001-11-26 2003-05-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ifteingabesystem
AU2003291304A1 (en) * 2002-11-06 2004-06-03 Julius Lin Virtual workstation
US7557774B2 (en) * 2004-08-13 2009-07-0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visually correct pointer movements on a multi-monitor display system
US9317108B2 (en) * 2004-11-02 2016-04-19 Pierre A. Touma Hand-held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accelerometer for interacting with a display
JP2006164049A (ja) * 2004-12-09 2006-06-22 Hitachi Ltd Guiプログラ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オブジェクトの操作方法
JP2007194958A (ja) * 2006-01-19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080018591A1 (en) * 2006-07-20 2008-01-24 Arkady Pittel User Interfacing
US7889178B2 (en) * 2006-09-08 2011-02-15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rogrammable resolution for optical pointing device
US8531399B2 (en) 2007-12-07 2013-09-10 Sony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input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handheld apparatus
TW200928905A (en) * 2007-12-26 2009-07-01 E Lead Electronic Co Ltd A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pad cursor
US20090167702A1 (en) * 2008-01-02 2009-07-02 Nokia Corporation Pointing device detection
US8231465B2 (en) 2008-02-21 2012-07-3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Location-aware mixed-reality gaming platform
US9399167B2 (en) * 2008-10-14 2016-07-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space mapping of a variable activity region
KR101585460B1 (ko) 2009-03-12 2016-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입력 방법
EP2228711A3 (en) * 2009-03-12 2014-06-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TWI402506B (zh) * 2009-09-03 2013-07-21 Ind Tech Res Inst 運動追蹤方法與系統
US8817017B2 (en) * 2010-06-01 2014-08-26 Vladimir Vaganov 3D digital painting
US10133411B2 (en) * 2010-06-11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Auto-correction for mobile receiver with pointing technology
JP2012093951A (ja) * 2010-10-27 2012-05-17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07931B2 (en) * 2011-06-20 2014-12-09 Sony Corporation Electronic terminal, input correction method, and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018A (ko) * 2019-01-10 2020-07-20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포인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135250A (ko) * 2019-01-10 2020-12-02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포인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93074A (zh) 2014-05-14
WO2014069901A1 (en) 2014-05-08
EP2728448A3 (en) 2015-11-11
EP2728448B1 (en) 2017-07-26
JP2014089713A (ja) 2014-05-15
JP6267926B2 (ja) 2018-01-24
US9195322B2 (en) 2015-11-24
US20140118253A1 (en) 2014-05-01
EP2728448A2 (en) 2014-05-07
CN103793074B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7577B2 (en) Multi-function stylus with sensor controller
KR20140055173A (ko) 입력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KR101999119B1 (ko)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US20150062033A1 (en) Input device, input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KR20140112825A (ko) 전자 장치의 전자 결제 방법 및 장치
EP3010001B1 (en)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160731A1 (en) Method of recognizing gesture through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00076449A (ko)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50092962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114496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110522A (ja) 電子黒板、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50001130A (ko)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장치
EP3037936A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system employing interactive input-output capability
JP202111101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入力制御方法
KR102123406B1 (ko)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50009136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input operation processing method
JP6081324B2 (ja) 操作入力装置、携帯型情報端末、操作入力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736005B2 (ja) 入力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入力処理方法、情報処理方法、入力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5137014A1 (ja) 情報入出力装置及び情報入出力方法
CN114546151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CN103838490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一种电子设备
TWI592836B (zh) 光標產生系統、方法及電腦程式產品
KR20210016875A (ko)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55988B1 (ko) 휴대 단말 장치의 시각 효과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