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282A -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용 전극 물질 - Google Patents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용 전극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282A
KR20140054282A KR1020147007099A KR20147007099A KR20140054282A KR 20140054282 A KR20140054282 A KR 20140054282A KR 1020147007099 A KR1020147007099 A KR 1020147007099A KR 20147007099 A KR20147007099 A KR 20147007099A KR 20140054282 A KR20140054282 A KR 2014005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sulfur
carbon fibers
present
electrod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른트 가르스흐
알렉산더 판첸코
도론 아우르바흐
란 엘라자리
그레고리 샐리트라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4005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926Coated or impregnated inorganic fiber fabric
    • Y10T442/2984Coated or impregnated carbon or carbonaceous fiber fabr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분 (B)인 원소 황으로 함침된 성분 (A)인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물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전극 물질로부터의 또는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 및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용 전극 물질{ELECTR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ELECTRICAL CELLS COMPRISING ACTIVATED CARBON FIBERS}
본 발명은 성분 (B)로서의 원소 황으로 함침된 성분 (A)로서의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물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전극 물질로부터 또는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 및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secondary batteries), 축전지(accumulators) 또는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ies)는 전기적 에너지가 발생 후 저장될 수 있거나 필요할 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일부 실시양태이다. 상당히 우수한 출력 밀도 덕분에, 최근에는 수성(water-based) 이차전지 개발에서 전지 내 전하 전달이 리튬 이온에 의해 수행되는 전지의 개발로 옮겨가고 있다.
그러나, 탄소 애노드 및 금속 산화물계의 캐쏘드를 갖는 종래의 리튬 이온 축전지의 에너지 밀도에 한계가 있다. 에너지 밀도에 관한 새로운 지평은 리튬-황 전지에 의해 열렸다. 리튬-황 전지에서, 황 캐쏘드의 황은 폴리설파이드 이온을 통해 S2 -로 환원되고, 이는 전지가 충전될 때 재산화된다. 원소 황이 모든 공지된 캐쏘드의 이론상 최고 정전 용량 및 이론상 최고 에너지 밀도(각각 1672 mAh g-1 및 2600 Wh kg-1)를 갖기 때문에, 리튬/황 배터리는 매우 매력적인 시스템이다. 높은 정전 용량 뿐만 아니라, 황을 캐쏘드 물질로 사용하는 것은 자연 존재비, 저비용, 및 환경 친화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용매에 가용성이고 애노드로 이동될 수 있는 폴리설파이드, 예를 들어 Li2S4 및 Li2S6의 용해도가 문제이다. 그 결과 정전 용량의 손실 및 전기적 절연 물질의 전극의 황 입자상 증착이 발생한다. 궁극적으로 캐쏘드에서 애노드로의 이동은 영향받은 전지를 방전시키고, 배터리 내에서의 전지의 수명을 다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설파이드 이온의 원치 않는 이동은 또한 셔틀링(shuttling)이라고도 지칭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셔틀링을 억제하기 위한 수많은 시도가 있다(예를 들어, 왕(J. Wang) 등은 황 및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의 반응 생성물을 캐쏘드로 첨가하는 것을 제안하였다(문헌[Adv. Funct. Mater. 2003, 13, 487 ff]참조). 이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로부터 수소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황화수소를 형성함으로써 발생되는 생성물을 형성한다.
문헌[X. Ji and L. F. Nazar, J. Mater. Chem., 20, (2010) p. 9821]은, 메조기공성 탄소, 활성 탄소 및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높은 표면적 및 다양한 기공 부피를 갖는 많은 다공성 전도성 탄소 물질이 Li/S 시스템에 가능한 복합 전극으로서 황을 호스팅하기 위해 개발되었음을 기술한다. 황을 캡슐화하는 것이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 용액으로 확산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더 효율적인 전기 전도성을 구축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하기 간단하고 당업계 기술로부터 공지된 단점을 피하는 전극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상응하는 전극 물질이 제조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B) 원소 황으로 함침된 (A)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물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활성 탄소 섬유는 또한, 활성 탄소 섬유 (A)로 지칭된다. 활성 탄소 섬유 (A)는 공지되어 있고, 얀(yarn), 직물(섬유 천), 펠트, 부직물, 종이 또는 매트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상업적으로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을 시험하기 위한 분해된 화학 전지의 대략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1' : 다이(die)
2, 2' : 너트(nut)
3, 3' : 밀봉 고리(sealing ring)(각각의 경우에 두 개이며, 각각 경우 다소 더 작은 제2 밀봉 고리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4 :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
5 : 니켈로 제조된 출력 도체
6 : 하우징(housing)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활성 탄소 섬유 (A)는,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직물, 펠트, 부직물, 종이 또는 매트, 특히 직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활성 탄소 섬유의 조직은 바인더 없이 뭉쳐있기 때문에, 바인더가 없는 전극 물질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보통, 종종 복합 물질인 전극 물질의 성분 중 하나가 바인더이고, 이는 주로 복합 물질의 기계적 안정화에 기여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바인더는 종종 유기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은 바인더가 없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용어 "바인더가 없다"는 것이 전극 물질에서 (공)중합체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전극 물질이 임의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공)중합체는 주로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주된 기능을 갖는다.
기공 부피, 비표면적, 인장 강도 또는 연신률을 비롯한 활성 탄소 섬유의 물질 특성은, 활성 탄소 섬유의 기원, 예를 들어 탄화되는 출발 물질 및 활성 탄소 섬유의 제조 조건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은,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500 내지 4000 m2/g의 비표면적,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 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비표면적은 BET 방법(ISO 9277; Pure Appl. Chem. 57 (1985) 4, 603-619; Gregg, S.J., Sing, K.S.W.: Adsorption, Surface Area and Porosity. 2nd ed., Academic Press, London, 1982, Chapter 4)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은,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0.2 내지 1.5 cm3/g의 기공 부피,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1 cm3/g의 기공 부피, 특히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0 cm3/g의 기공 부피를 갖는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기공 부피는 77 K에서 측정된 N2 흡수/방출 등온선으로부터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은,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5 내지 50 kg/mm2의 인장 강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kg/mm2의 인장 강도를 갖는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 탄소 섬유는 보통, 상기 중합체 섬유를 열처리함으로써 중합체 섬유로부터 제조된다. 탄소 외에 하나 이상의 수소를 보통 포함하고, 궁극적으로는 또한 질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적절한 중합체 섬유는, 예를 들어 500 내지 3000℃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탄화된다. 섬유 및 직물 또는 의류로 전환된 후 탄화될 수 있는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노볼락 수지 또는 레이온, 셀룰로오스 계 반합성(semi-sythetic) 중합체가 존재한다. 원래의 중합체는 탄화 공정 중에 수소, 질소 및/또는 산소를 잃어 수득된 생성물의 탄소 농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은,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중량%의 범위의 탄소 함량을 갖는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은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고, 이때 황으로 함침되기 전의 활성 탄소 섬유는 교차결합된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로 이루어진 섬유의 열처리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열 처리는 700 내지 25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원소 황 (B)는 공지되어있고,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간략하게 황으로서 언급된다.
활성 탄소 섬유가 일반적으로 임의의 활성 탄소와 같이 높은 표면적 및 높은 기공 부피를 갖기 때문에, 활성 탄소 섬유를 황으로 함침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활성 탄소 섬유를 함침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활성 탄소 섬유를, 특별히 직물과 같은 섬유 천의 형태로, 이황화탄소 또는 톨루엔 중의 황과 같은 황 용액, 용융된 황 또는 황 증기와 접촉시킬 수 있다. 함침 공정중에 황 자체 또는 황 용액은 활성 탄소에 의해 흡수되고, 활성 탄소 섬유 내의 기공을 차지한다. 황 용액으로 활성 탄소 섬유를 함침하는 것은 상응하는 용매의 끓는점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나중에 또한 상기 용매의 끓는점 미만의 온도에서 제거될 수 있음), 탄소 섬유 액체 황 또는 황 증기로 활성 탄소 섬유를 함침하는 것은 황의 녹는점과 근접하거나 그보다 높은 온도, 예를 들어 100 내지 3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탄소 섬유를 액체 황 또는 황 증기로 함침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된 시스템에서, 진공 또는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A) 활성 탄소 섬유 및 (B) 원소 황을 밀폐된 용기 내에서 100 내지 3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함께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전지용 전극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활성 탄소 섬유 및 황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다. 특히, 활성 탄소 섬유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황과 함께 가열되는 활성 탄소 섬유 (A)는 직물, 펠트, 부직물, 종이 또는 매트, 특히 직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활성 탄소 섬유 및 황의 중량비는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활성 탄소 섬유의 기공에 더 이상 흡수될 수 없는 과잉의 황을 제거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활성 탄소 섬유 및 황의 중량비는 활성 탄소 섬유의 기공 부피를 고려하여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의 황/탄소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의 범위, 특히 0.1 내지 0.6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사용된 밀폐된 용기는 당업계 숙련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밀폐된 용기, 바람직하게는 적용된 온도, 생성된 압력 및 황을 견디는 용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공정은 기밀 밀봉된 스테인레스 강 용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함침 시간은 중요하지 않다. 황과 활성 탄소 섬유는 예를 들어 0.1 h 내지 72 h의 시간, 바람직하게는 1 h 내지 48 h의 시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2 h 내지 24 h의 시간 동안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의 제조는 단일 공정 단계 또는 몇 개의 공정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은 상이한 온도에서 상이한 시간 동안 상이한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은 특히 전극의 제조, 특히 리튬 함유 배터리, 특히 충전식 배터리의 전극으로서 적합하거나 그의 제조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을 충전식 전지를 위한 전극으로서 또는 그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전극 물질로부터 또는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문제의 전극은, 황 캐쏘드 또는 S 캐쏘드로 또한 언급될 수 있는 캐쏘드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캐쏘드로 언급된 전극은 방전(작동) 중에 환원 작용이 일어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전극 물질은 공정처리되어 예를 들어 배터리 제조자에 의해 처리되는 연속 벨트의 형태로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극 물질로부터 제조된 전극은, 예를 들어, 20 내지 3000 μ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0 μm의 두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막대형 구조를 갖거나, 둥근형, 타원형 또는 정사각형 컬럼의 형태 또는 입방형, 또는 납작한 전극으로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충전식 전지는, 본 발명의 전극 물질 뿐만 아니라, 아연 금속, 나트륨 금속 또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 예를 들어 리튬과 주석, 실리콘 및/또는 알루미늄의 합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한다. 아연 금속, 나트륨 금속 또는 리튬 금속을 포함하는 전극은 애노드로서 언급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충전식 전지는 리튬 금속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충전식 화학 전지는 애노드 및 캐쏘드 뿐만 아니라, 추가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전도성 염, 비수성 용매, 분리막,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조된 출력 도체, 및 또한 연결 케이블 및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충전식 전지는 리튬 함유 전도성 염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충전식 전지는, 본 발명의 전극 물질 및 추가의 전극, 특히 리튬을 포함하는 전극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비수성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비수성 용매는 실온에서 액체 또는 고체,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액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환형 또는 비환형 에터, 환형 또는 비환형 아세탈, 환형 또는 비환형 유기 카보네이트 및 이온 액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충전식 전지는 중합체, 환형 또는 비환형 에터, 환형 또는 비환형 아세탈 및 환형 또는 비환형 유기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수성 용매를 포함한다.
적합한 중합체의 예는 특히 폴리알킬렌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폴리-C1-C4-알킬렌 글리콜 및 특히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공중합된 형태의 하나 이상의 C1-C4-알킬렌 글리콜을 20 mol%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로 이중캡핑된(double-capped) 폴리알킬렌 글리콜이다.
적합한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특히 적합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자량 Mw은 400 g/mol 이상일 수 있다.
적합한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특히 적합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자량 Mw은 5 000 000g/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2 000 000g/mol 이하이다.
적합한 비환형 에터의 예는, 예를 들어, 다이이소프로필 에터, 다이-n-부틸 에터, 1,2-다이메톡시에탄, 1,2-다이에톡시에탄이고, 바람직하게는 1,2-다이메톡시에탄이다.
적합한 환형 에터의 예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1,4-다이옥산이다.
적합한 비환형 아세탈의 예는, 예를 들어, 다이메톡시메탄, 다이에톡시메탄, 1,1-다이메톡시에탄 및 1,1-다이에톡시에탄이다.
적합한 환형 아세탈의 예는 1,3-다이옥산 및 특히 1,3-다이옥솔란이다.
적합한 비환형 유기 카보네이트의 예는 다이메틸 카보네이트,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및 다이에틸 카보네이트이다.
적합한 환형 유기 카보네이트의 예는 일반식 (I) 및 (II)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1
(I)
Figure pct00002
(II)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수소 및 C1-C4-알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아이소프로필, n-부틸, 아이소부틸, 2급-부틸 및 3급-부틸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R2 및 R3는 바람직하게는 둘다 3급-부틸은 아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은 메틸이고 R2 및 R3는 각각 수소이거나, 또는 R1, R2 및 R3는 각각 수소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환형 유기 카보네이트는 비닐렌 카보네이트, 화학식 (III)이다.
Figure pct00003
(III)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무수 상태로 공지된 것, 즉, 예를 들어, 칼 피셔(Karl Fischer) 적정으로 결정시 1 ppm 내지 0.1중량%의 범위의 물 함량을 갖는 것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학 전지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염, 바람직하게는 리튬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리튬 염의 예로 LiPF6, LiBF4, LiClO4, LiAsF6, LiCF3SO3, LiC(CnF2n +1SO2)3, 리튬 이미드, 예를 들어 LiN(CnF2n+1SO2)2(이때 n은 1 내지 20의 정수임), LiN(SO2F)2, Li2SiF6, LiSbF6, LiAlCl4, 및 일반식 (CnF2n +1SO2)mXLi의 염[이때, m은,
m = 1 (X가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m = 2 (X가 질소 및 인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및
m = 3 (X가 탄소 및 규소로부터 선택되는 경우)]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전도성 염은 LiC(CF3SO2)3, LiN(CF3SO2)2, LiPF6, LiBF4, LiClO4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LiPF6 및 LiN(CF3SO2)2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충전식 전지는 상기 전극들을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분리막을 포함한다. 적합한 분리막은 중합체 필름, 특히 리튬 금속에 대해 비반응성이고 리튬 설파이드 및 리튬 폴리설파이드에 대해 비 반응성인 다공성 중합체 필름이다. 분리막에 특히 적합한 물질은 폴리올레핀, 특히 필름 형태의 다공성 폴리에틸렌 및 필름 형태의 다공성 폴리프로필렌이다.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 분리막은, 35 내지 45%의 범위의 공극률(porosity)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기공 직경은, 예를 들어, 30 내지 500 n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선택된 분리막은 무기 입자로 채워진 PET 부직물로부터 제조된 분리막일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은 40 내지 55% 범위의 공극률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기공 직경은, 예를 들어, 80 내지 750 n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충전식 전지는 특히 높은 정전 용량, 개선된 기계적 안정성, 반복된 충전 이후의 고성능, 개선된 충전 및 방전 속도, 및/또는 상당히 연장된 전지의 수명을 특징으로 한다. 셔틀링이 매우 효율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는 자동차, 전기 자전거, 항공기, 선박 또는 고정식 에너지 저장소 용으로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용도는 본 발명의 주제의 추가의 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충전식 전지를 사용하여 자동차, 전기 자전거, 항공기, 선박 또는 고정식 에너지 저장소를 운전하는 공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 단위의 수치는 달리 특정하게 기술하지 않는 한 중량%에 관한 것이다.
I. 본 발명의 전극의 제조
I.1 전극 1의 제조
활성 탄소 섬유(ACF) 천 샘플 (키놀((Kynol) 2000, 미국 소재의 아메리칸 키놀 인코포레이티드(American Kynol Inc.))을 직경 14 mm의 디스크 모양으로 절단하였다(0.6 mm의 두께). 원소 황(99.98% 알드리치(Aldrich))을, 전극 상응 파라미터와 동일한 직경 및 깊이의 원형 스테인레스 강 주형(template)의 바닥부위에 펴발랐다. 황으로 예비 함침하기 위해 상기 탄소 디스크를 그 위에 올려놓고, 약간의 감압 하에서 140℃로 가열시켰다. 이어서, 상기 디스크를 스테인레스 강 용기(SS 316)에 밀봉시키고, 추가로 10 내지 15 시간 동안 155℃에서 가열시켰다. ACF 천의 중량은 단지 약 21 mg이었고, 황 담지량은 약 10 mg이었다. 이는 33중량%의 황 담지량에 상응한다.
이는 본 발명의 전극 1을 제공하였다.
II. 본 발명의 화학 전지의 제조 및 시험
본 발명의 전극 1의 전기 화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 도 1에 따라 화학전지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전극 뿐만아니라, 하기를 사용하였다:
애노드: Li 포일, 두께 1 mm
분리막: 프로필렌 필름, 두께 15 μm, 다공성
실시예 I.1에 따른 캐쏘드
전해질: 10중량%의 LiN(SO2CF3)2, 2 중량%의 LiNO3, 44 중량%의 1,3-다이옥솔란 및 44 중량%의 1,2-다이메톡시에탄.
상기 전극을, 표준 코인형 전지(2325, NRC, 캐나다)를 가진 두-전극 구조로 조립하였다. 캐쏘드는 진공 하에서 전해질로 함침되었고, 60 μL의 전해질이 추가로 첨가되었다.
본 발명의 화학 전지 EZ.1(본 발명의 전극 1 기반)이 수득되었다.
650 μAcm-2(또는 100 mA g-1 황)의 전류 밀도에서 방전되는 동안, 전지 전위는 2.3 V 내지 2.4 V로 떨어진 후(제1 정체기(plateau)), 2.0 V 내지 2.1 V로 떨어졌다(제2 정체기). 전지는 1.7 V까지 방전된 후, 충전되었다. 충전하는 동안, 전지 전위는 2.2 V로 상승하고, 전지는 2.48 V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되었다. 이후 방전 조작을 다시 시작하였다. 처음 5번의 초기 사이클에 대한 전류는 1 mA(650 μAcm-2의 전류 밀도 또는 100 mAg-1 황)였고, 나중에 1.5 mA(975 μAcm-2의 전류 밀도 또는 150 mAg-1 황)로 증가하였다.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학전지는 정전 용량이 단지 매우 적게 손실되면서 40 주기(cycle)가 넘게 달성되었다.
코인 전지를 30℃에서의 다양한 전류에서 정전류(galvanostatic) 모드에서 시험하였다.

Claims (14)

  1. (B) 원소 황으로 함침된 (A)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상기 활성 탄소 섬유가 직물, 펠트(felt), 부직물, 종이 또는 매트(mat)의 형태로 존재하는, 전극 물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인더가 없는 전극 물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상기 활성 탄소 섬유가 500 내지 4000 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전극 물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상기 활성 탄소 섬유가 0.2 내지 1.5 cm3/g의 기공 부피를 갖는, 전극 물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상기 활성 탄소 섬유가 5 내지 50 kg/mm2의 인장 강도를 갖는, 전극 물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으로 함침되기 전에 상기 활성 탄소 섬유가 95 내지 100 %의 탄소 함량을 갖는, 전극 물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탄소 섬유가 교차결합된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로 구성된 섬유의 열처리에 의해 제조된 것이며, 상기 열처리가 700 내지 2500℃의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 전극 물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물질로부터 또는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리튬 금속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리튬-함유 전도체성 염을 함유하는 액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환형 또는 비환형 에터, 비환형 또는 환형 아세탈, 및 환형 또는 비환형 유기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
  13. (A) 활성 탄소 섬유 및 (B) 원소 황을 밀폐된 용기 내에서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함께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용 전극 물질의 제조 방법.
  14. 자동차, 전기 자전거, 항공기, 선박 또는 고정식 에너지 저장소에서의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식 전지의 용도.





KR1020147007099A 2011-08-19 2012-08-14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용 전극 물질 KR20140054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78132 2011-08-19
EP11178132.4 2011-08-19
PCT/IB2012/054144 WO2013027155A1 (en) 2011-08-19 2012-08-14 Electr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electrical cells comprising activated carbon fib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282A true KR20140054282A (ko) 2014-05-08

Family

ID=4774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099A KR20140054282A (ko) 2011-08-19 2012-08-14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용 전극 물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12771A1 (ko)
EP (1) EP2745340A4 (ko)
JP (1) JP2014529853A (ko)
KR (1) KR20140054282A (ko)
CN (1) CN103748708A (ko)
WO (1) WO20130271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1898B2 (en) 2015-12-08 2023-04-18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301A (ko) * 2014-04-28 2015-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황 배터리 양극 구조
KR101583948B1 (ko) * 2014-06-24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EP3208871A1 (en) 2016-02-16 2017-08-23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carbon sulfur composite materials
WO2019093443A1 (ja) 2017-11-10 2019-05-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エネルギーデバイス
KR102203637B1 (ko) * 2019-05-14 2021-01-18 세방전지(주) 저 전도성 직물시트를 이용한 전극용 활성탄 시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0869A (en) * 1976-12-20 1979-02-14 Chloride Silent Power Ltd Electrode structures
EP0014282B1 (en) * 1979-02-13 1982-11-24 Chloride Silent Power Limited Annular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H117959A (ja) * 1997-06-13 1999-01-12 Yazaki Corp 電極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
JP2000133303A (ja) * 1998-10-28 2000-05-12 Hitachi Ltd ナトリウム硫黄電池
KR20070057175A (ko) * 2004-09-22 2007-06-04 아오이 전자 주식회사 황 및/또는 s-s 결합을 가지는 황 화합물을 포함하는전지 양극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70738A (ja) * 2005-09-05 2007-03-22 Gun Ei Chem Ind Co Ltd 極細フェノール樹脂繊維及びその集合体と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8169511A (ja) * 2007-01-11 2008-07-24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Ltd 芯鞘型溶融紡糸法により極細炭素繊維を製造する方法
CN100560824C (zh) * 2007-06-27 2009-11-18 东华大学 一种制备酚醛树脂(pf)基纳米碳纤维的方法
JP5482133B2 (ja) * 2009-11-17 2014-04-23 東洋紡株式会社 活性炭素繊維
US9099223B2 (en) * 2011-05-27 2015-08-04 Basf Se Composite materials,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in electrical ce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1898B2 (en) 2015-12-08 2023-04-18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5340A4 (en) 2015-03-18
US20140212771A1 (en) 2014-07-31
WO2013027155A1 (en) 2013-02-28
EP2745340A1 (en) 2014-06-25
JP2014529853A (ja) 2014-11-13
CN103748708A (zh)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8923B1 (en) Three-dimensional carbon foam-supported electrode for metal-air batteries
US9515321B2 (en) Binder solution for anode, active material slurry for anode comprising the binder solution, anode using the slurry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anode
JP6692492B2 (ja) レーザー誘導グラフェン炭化層を含む分離膜及び前記分離膜を含むリチウム−硫黄電池
KR20140064925A (ko) 리튬-황 (Li-S) 유형의 전기화학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69329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14523083A (ja) リチウム/硫黄蓄電池
KR20140054282A (ko)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충전식 전지용 전극 물질
KR20140063591A (ko) 금속 황화물을 포함하는 전극 물질
US11450894B2 (en)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afet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86980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1992668B1 (ko)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용 혼합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용 혼합 음극 재료
KR20140139135A (ko) 전기화학 전지용 층 시스템
WO2004023589A1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75461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5165762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monolithic body of a porous carbon material, monolithic bodies of special porous carbon materials and their use
KR102147925B1 (ko) 리튬이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
KR102147933B1 (ko) 리튬이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
JP2004158441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2216812B (zh) 锂离子电池重复单元、锂离子电池及其使用方法、电池模组和汽车
JP2003203675A (ja) 非水電解質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10529982B2 (en) Preparation method for a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sulphur electrochemical battery
JP4585229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220181624A1 (en) Low porosity electrodes and related methods
TW201315003A (zh) 用於可再充電式電池之含活性碳纖維的電極材料
JP200526793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