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671A -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 Google Patents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671A
KR20140052671A KR1020120119056A KR20120119056A KR20140052671A KR 20140052671 A KR20140052671 A KR 20140052671A KR 1020120119056 A KR1020120119056 A KR 1020120119056A KR 20120119056 A KR20120119056 A KR 20120119056A KR 20140052671 A KR20140052671 A KR 2014005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processing chamber
wood
sandblaster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6943B1 (ko
Inventor
허승량
이경선
조진표
김내현
전성택
홍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무공작소
이경선
조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무공작소, 이경선, 조진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무공작소
Priority to KR1020120119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9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4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station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목재의 표면에 모래를 충돌시켜 무늬 또는 글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샌드 건에 모래를 공급할 때 모래가 균일하게 공급함으로써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는 내부에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거치대가 구비된 가공챔버와;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공챔버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된 작업용 장갑과;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용 장갑으로 움직이도록 하며 공기와 모래를 상기 피가공물에 분사하여 각종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는 샌드 건과; 상기 가공챔버에 설치되며 부압을 이용하여 목재 분말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 후 목재 분말만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부와; 상기 샌드 건에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 를 포함하는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에 있어서, 상기 모래 공급부는, 모래가 담겨 있는 모래 박스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타공되며 상기 모래 박스의 상면을 막아주는 타공판과; 상기 샌드 건에 모래 공급 호스로 연결되며 상기 타공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모래 흡입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Sand Blaster for Wood Uniform Supplying of Sand}
본 발명은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의 표면에 모래를 충돌시켜 무늬 또는 글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목재를 공급함에 있어서 타공부인 샌드 건에 모래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 블래스터는 천연 실리카 샌드, 알루미나 또는 탄화규소의 분말, 글래스 비드(Glass Beads), 미소 강구 등으로 된 샌드 파우더를 공기 등의 유체와 함께 고속으로 분사하여 피가공물을 매끄럽게 가공하거나, 철골 구조물의 도장 처리전에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석조물 또는 건축물의 실내외 장식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리의 표면을 미세하게 가공하여 무늬를 인각하거나, 선박 교량 등의 페인트 녹을 제거하는 작업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목재용 사인물과 같이 샌드 파우더(Sand Powder), 특히 모래로 목재 패널과 같은 피가공물의 표면을 가공하여 글자 또는 각종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가 개발되어 '우드 사인(Wood Sign)' 이라 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피가공물(20)이 안착되는 거치대(11)가 구비되고 하부에 모래 및 목재 분말이 담기는 수집부(12)가 구비된 가공챔버(10)와, 상기 가공챔버(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공챔버(10)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13)에 설치되는 작업용 장갑(14)과, 상기 가공챔버(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용 장갑(14)으로 움직이도록 하며 공기와 모래를 상기 피가공물(20)에 분사하여 각종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는 샌드 건(1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는 샌드 건을 통해 분사되는 모래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인 목재의 표면에 각종 무늬를 형성하거나 글자가 새겨지도록 하고 있다.
가공챔버(10)의 내부에 위치된 거치대(11)에 피가공물(20)을 안착시킨 후, 작업자가 가공챔버(10)의 외측에서 구멍(13)을 통해 가공챔버(10) 내부의 작업용 장갑(14)을 착용한 상태에서 샌드 건(15)을 잡아 원하는 방향으로 샌드 건(15)을 움직이면서 피가공물(20)의 표면에 원하는 무늬를 형성하거나 글자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가공물(20)의 상측을 지나는 샌드 건(15)의 이동 회수 또는 이동 속도 등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20)에 형성되는 무늬 또는 글자의 두께가 달라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는 샌드 건으로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어 샌드 건으로의 모래 공급이 불균일한 문제점이 있다.
즉, 모래 공급부에서 모래를 흡입할 때 모래 공급부에 균일한 부압이 공급되지 않아 샌드 건으로 공기만 공급되거나 모래가 뭉텅이 째로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샌드 건을 이용한 목재 가공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102060호에서는 목재 가공용의 샌드 블래스터를 개시하고 있으나, 모래의 균일 공급과 관련한 사항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KR 10-1102060 B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샌드 건으로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 전면에 압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타공부인 샌드 건에 모래가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고 원활한 모래 공급을 통하여 목재에 대한 균일한 샌딩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재 분말의 분리가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는, 내부에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거치대가 구비된 가공챔버와;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공챔버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된 작업용 장갑과;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용 장갑으로 움직이도록 하며 공기와 모래를 상기 피가공물에 분사하여 각종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는 샌드 건과; 상기 가공챔버에 설치되며 부압을 이용하여 목재 분말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 후 목재 분말만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부와; 상기 샌드 건에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 를 포함하는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에 있어서,
상기 모래 공급부는, 모래가 담겨 있는 모래 박스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타공되며, 상기 모래 박스의 상면을 막아주는 타공판과, 상기 샌드 건에 모래 공급 호스로 연결되며 상기 타공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모래 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공판에 형성되는 구멍은 XY 직교 좌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공판에 형성되는 구멍은 X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공판에 형성되는 구멍은 상기 모래 흡입관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또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래 공급부는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타공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에 의해 모래 공급부의 모래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모래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모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샌드 건을 통해 분사되는 모래의 양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작업이 원활해지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집진부에 의해 목재 분말과 분리된 모래를 타공판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모래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의 모래 공급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분말의 분리가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의 타공판에 타공되는 구멍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분말의 분리가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의 타공판에 타공되는 구멍의 다른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거치대가 구비된 가공챔버와;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공챔버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된 작업용 장갑과;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용 장갑으로 움직이도록 하며 공기와 모래를 상기 피가공물에 분사하여 각종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는 샌드 건과; 상기 가공챔버에 설치되며 부압을 이용하여 목재 분말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 후 목재 분말만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부와; 상기 샌드 건에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 를 포함하는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에 있어서, 상기 모래 공급부는, 모래가 담겨 있는 모래 박스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타공되며 상기 모래 박스의 상면을 막아주는 타공판과; 상기 샌드 건에 모래 공급 호스로 연결되며 상기 타공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모래 흡입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는, 내부에 피가공물(200)이 안착되는 거치대가 구비된 가공챔버(110)와; 상기 가공챔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공챔버(110)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113')에 연결된 작업용 장갑(113)과; 상기 가공챔버(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용 장갑(113)으로 움직이도록 하며 공기와 모래를 상기 피가공물(200)에 분사하여 각종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는 샌드 건(115)과; 상기 가공챔버(110)에 설치되며 부압을 이용하여 목재 분말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 후 목재 분말만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부(120)와; 상기 샌드 건(115)에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래 공급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가 담겨 있는 모래 박스(131)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133)이 타공되며 상기 모래 박스(131)의 상면을 막아주는 타공판(132)과; 상기 샌드 건(115)에 모래 공급 호스(136)로 연결되며 상기 타공판(132)의 중앙에 설치되는 모래 흡입관(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타공판(132)에 형성되는 구멍(133)은 도 4의 (a)와 같이, XY 직교 좌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거나, 도 4의 (b)와 같이 X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공판(132)에 형성되는 구멍(1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래 흡입관(135)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또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래 공급부(130)는 상기 가공챔버(1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집진부에 의해 분리되어 낙하되는 모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는 모래 공급부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샌드 건에 모래가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가공챔버(110) 내의 거치대(111)에 피가공물(200)을 고정한 후, 작업자가 구멍(113')에 손을 넣어 작업용 장갑(113)을 착용한 상태에서 가공챔버(110) 내부의 샌드 건(115)을 조작하여 상기 피가공물(200)의 표면에 모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피가공물(200)에 각종 무늬나 문자를 형성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가공챔버(110)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창(114)을 통해 상기 피가공물(200)을 관찰하면서 상기 피가공물(200)을 가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피가공물(200)로부터 분리된 목재 분말을 모래와 함께 상기 가공챔버(110) 내에 비산되며, 상기 가공챔버(110)의 후방에 설치된 집진부(120)에서는 부압을 이용하여 목재 분말만을 흡입함으로써 목재 분말과 모래를 분리한다.
분리된 모래는 상기 가공챔버(110)의 하부에 위치된 모래 공급부(130)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모래 공급부(130)의 타공판(132)에 형성된 구멍(133)을 통해 모래 박스(13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샌드 건(115)에 모래 공급 호스(136)로 연결된 모래 흡입관(135)에서는 부압을 이용하여 모래를 흡입하여 상기 샌드 건(115)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래 박스(131)의 상면에 위치하는 타공판(132)에 다수의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래 박스(131) 내의 모래에는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타공판(132)으로 낙하한 모래는 상기 타공판(132)의 구멍(133)을 통해 빠르게 상기 모래 박스(131)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모래 박스(131) 내의 모래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모래 흡입관(135)에서 모래를 흡입할 때 대략 균일한 양의 모래가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상기 샌드 건(115)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샌드 건(115)에 균일한 양의 모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샌드 건(115)을 이용하여 피가공물(200)을 가공할 때 균일한 양의 모래가 공기와 함께 분사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가공챔버 111: 거치대
113: 작업용 장갑 114: 투명창
115: 샌드 건 120: 집진부
130: 모래 공급부 131: 모래 박스
132: 타공판 133: 구멍
135: 모래 흡입관 135: 모래 공급 호스

Claims (5)

  1. 내부에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거치대가 구비된 가공챔버와;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공챔버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된 작업용 장갑과;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용 장갑으로 움직이도록 하며 공기와 모래를 상기 피가공물에 분사하여 각종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는 샌드 건과;
    상기 가공챔버에 설치되며 부압을 이용하여 목재 분말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 후 목재 분말만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부와;
    상기 샌드 건에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 를 포함하는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에 있어서,
    상기 모래 공급부는, 모래가 담겨 있는 모래 박스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타공되며 상기 모래 박스의 상면을 막아주는 타공판과; 상기 샌드 건에 모래 공급 호스로 연결되며 상기 타공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모래 흡입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에 형성되는 구멍은,
    좌우 방향 및 이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에 형성되는 구멍은,
    X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에 형성되는 구멍은,
    상기 모래 흡입관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또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공급부는,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KR1020120119056A 2012-10-25 2012-10-25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KR10141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056A KR101416943B1 (ko) 2012-10-25 2012-10-25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056A KR101416943B1 (ko) 2012-10-25 2012-10-25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671A true KR20140052671A (ko) 2014-05-07
KR101416943B1 KR101416943B1 (ko) 2014-07-08

Family

ID=5088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056A KR101416943B1 (ko) 2012-10-25 2012-10-25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9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209B1 (ko) 2015-04-16 2016-09-08 (주)화성금속 샌드 블라스트머신용 스터드 볼트 표면처리를 위한 자동 이송장치
CN107520761A (zh) * 2017-09-13 2017-12-29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吸风回收式汽车部件三喷头喷砂机
CN108818326A (zh) * 2018-07-10 2018-11-16 马鞍山纽泽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工件喷砂装置及方法
CN108972263A (zh) * 2017-06-02 2018-12-11 美克国际家私加工(天津)有限公司 一种多功能砂光工作站
CN113146273A (zh) * 2021-04-27 2021-07-23 福州榕城成功义齿制作有限公司 一种种植牙加工装置及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3668B2 (ja) * 1994-04-06 1999-05-24 株式会社アルプスエンジニアリング ブラスト加工装置
KR200202566Y1 (ko) * 2000-06-16 2000-11-15 주식회사나이테산기개발 샌드블라스트기의 작업대
KR200246119Y1 (ko) * 2001-05-26 2001-10-15 (주)나이테산기개발 직압식 샌드블라스트기
JP3513510B1 (ja) * 2003-08-21 2004-03-31 株式会社十條 ドライブラスト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209B1 (ko) 2015-04-16 2016-09-08 (주)화성금속 샌드 블라스트머신용 스터드 볼트 표면처리를 위한 자동 이송장치
CN108972263A (zh) * 2017-06-02 2018-12-11 美克国际家私加工(天津)有限公司 一种多功能砂光工作站
CN107520761A (zh) * 2017-09-13 2017-12-29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吸风回收式汽车部件三喷头喷砂机
CN107520761B (zh) * 2017-09-13 2019-04-23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吸风回收式汽车部件三喷头喷砂机
CN108818326A (zh) * 2018-07-10 2018-11-16 马鞍山纽泽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工件喷砂装置及方法
CN113146273A (zh) * 2021-04-27 2021-07-23 福州榕城成功义齿制作有限公司 一种种植牙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13146273B (zh) * 2021-04-27 2022-05-06 福州众升成功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种植牙加工装置及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943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943B1 (ko) 균일한 모래 공급이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CN201275726Y (zh) 适用于处理管材外表面的自动喷砂机
CN204976377U (zh) 气缸端盖喷砂辅助上下料装置
JP5292068B2 (ja) ブラスト加工方法及びブラスト加工装置における研磨材噴射回収部構造
CN205097044U (zh) 一种新型平面磨床
KR101939685B1 (ko) 경질 취성 기판의 절취 방법 및 절취 장치
CN101543938B (zh) 激光加工装置
CN102962772A (zh) 板端加工方法和喷砂装置
JP5250333B2 (ja) ブラスト加工方法及びブラスト加工装置における研磨材噴射回収部構造
KR20100019341A (ko) 연마재 회수 시스템을 갖는 블라스트 가공 방법 및 장치, 박막 태양전지 패널의 가공 방법 및 이에 의해 가공된 박막 태양전지 패널
JP2007075946A (ja) スポンジブラスト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416941B1 (ko) 목재 분말의 분리가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CN104191377A (zh) 一种多功能喷砂打磨机
CN106181784A (zh) 一种轮胎模具专用自动喷砂装置
JP2013536092A (ja) 取り除き可能な接着性材料からなるスクリーンを用いたマスキングにより表面のパターンが予め定められている金属基板をショットピー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
CN211164696U (zh) 一种使用真空同步带的平板材料打孔、磨边、水切割加工设备
CN215092995U (zh) 一种分体式喷砂机
CN209938048U (zh) 一种能全自动吸灰的镭射打印设备
KR101599335B1 (ko) 메탈라이징 시공방법
CN211439586U (zh) 一种板材喷砂机
JP2011212821A (ja) 研磨材吹付加工装置
CN210588830U (zh) 一种自动喷砂设备
CN205465756U (zh) 一种环保旋风式抛光箱
CN210650240U (zh) 一种喷砂机
RU2000126732A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изноше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цилиндров двс, компрессоров, труб с помощью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