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040A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040A
KR20140052040A KR1020147007124A KR20147007124A KR20140052040A KR 20140052040 A KR20140052040 A KR 20140052040A KR 1020147007124 A KR1020147007124 A KR 1020147007124A KR 20147007124 A KR20147007124 A KR 20147007124A KR 20140052040 A KR20140052040 A KR 2014005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lay surface
display device
display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399B1 (ko
Inventor
루이지 트라부코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5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3Illumination of matrix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26)용 디스플레이 장치(9-12)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9-12)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27)과 디스플레이 표면(27)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표면(27)을 선택적으로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도록 형성된 구동 유닛(23)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9-12)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구동 유닛(23)에 연결되고, 차량(26)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디스플레이 표면(27)을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검출된 작동 상태에 의존해서 구동 유닛(23)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방법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 운전자를 위해 차량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차량의 대시보드에 제공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예컨대 승용차 또는 화물차의 경우에 계기판 내의 전형적인 원형 계기장치들, 예컨대 회전계 또는 속도계는 점점 소위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계기판으로 대체되고, 상기 계기판은 예를 들어 플라즈마- 또는 LCD-기술의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로써 전형적인 원형 계기장치들의 디스플레이 외에 임의의 다른 그래픽 정보, 예를 들어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차간 거리 경고 시스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계기판의 경우, 전형적인 원형 계기장치들을 포함하는 계기판에서 예를 들어 원형 계기장치들 내에 배치되었던 전형적인 표시등, 예를 들어 핸드브레이크등, 냉각수 경고등, 브레이크패드 마모등 또는 점멸등을 위해 공간이 제공되지 않는다.
선행기술에 차량의 디스플레이- 및 조작 유닛을 위한 다수의 개선예들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DE 10 2008 064 265 A1호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 유닛의 작동을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가장자리의 배경 조명 및/또는 조명의 색은 검출된 입력 신호에 의존해서,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정보, 텔레메틱스 시스템의 정보, 기상 상태 또는 차량 전기 계통에 접속된 외부 부품들에서 검출된 정보에 의존해서 변경된다. 가장자리의 조명은 "주변 조명(Ambint light)"이라고도 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의 에지 영역에 또는 가장자리에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DE 10 2008 049 040 A1호에는 차량용 내장 부품의 백라이팅(backlighting)을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 및 발광 수단과 함께 작용하는 광 가이드 부재로 이루어진 공기 조화 조작 장치의 패널은 간접 조명되고, 광 가이드 부재는 조작자에게 보이지 않게 장착된다. 실시예에서 광 가이드 부재는 2개의 패널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고, 이 경우 제 1 패널 부분과 제 2 패널 부분 사이에 갭이 제공되고, 상기 갭이 광 가이드 부재에 의해 조명된다.
KR 2010 0050739 A호에는 예를 들어 회전계와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식별 가능성을 추가 광원을 이용하지 않고 개선하기 위해, 차량 대시보드를 위한 조명, 소위 무드 조명이 공개되어 있다. 스케일 블록(scale block)은 차량의 주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한다. 조명 유닛은 스케일 블록의 후면에 배치된다. 윈도우 플레이트는 스케일 블록과 조명 유닛을 통합하고, 스케일 블록의 하측면을 커버하는 패널 부분을 형성한다. 무드 조명 전달 구조는, 패널 부분의 내측면이 윈도우 플레이트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차량 운전자의 직접적인 가시 범위, 즉 계기판 영역에서 정보의 개선된 명료한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방법,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청구항 제 7 항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방법, 청구항 제 8 항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청구항 제 9 항에 따른 차량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규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을 포함한다. 방법에서 차량의 작동 상태가 검출되고, 디스플레이 표면은 차량의 검출된 작동 상태에 의존해서 자동으로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디스플레이 표면에 예를 들어 전형적인 표시등의 심볼들, 예를 들어 핸드브레이크 표시등, 냉각수 표시등, ABS-표시등, ESP-표시등 또는 오일 압력 표시등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표면 위의 심볼들은 각각 해당하는 발광 수단, 예를 들어 전구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에 의해 백라이팅될 수 있다. 발광 수단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면과 함께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므로, 위에 배치된 광투과 심볼을 가진 디스플레이 표면만이 이동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표면은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LC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계기판, 특히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계기판의 에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의 우측 또는 좌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표면이 자동으로 이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로 운전자의 주의를 돌리고, 이로써 운전자는 거기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해 더욱 주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작동 상태는 차량의 록킹 상태, 차량의 점화 회로의 상태, 차량의 시트 점유 상태 또는 차량의 주행 프로그램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 시 차량 운전자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차량의 록킹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표면은 예를 들어 제 1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차량의 록킹 해제 시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예를 들어 계기판의 배경 조명이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천천히 증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면이 이동함으로써 차량의 "어웨이크닝(awakening)"이 표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디스플레이 표면은 예를 들어 차량의 점화 회로의 상태에 의존해서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점화 장치의 비활성화 시 디스플레이 표면은 예를 들어 제 1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점화 장치의 활성화 시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어웨이크닝"이 다시 표시될 수 있고, 또한 운전자의 "웰커밍(welcoming)"이 표시될 수 있다. 점화 회로 대신에 이러한 웰커밍은 차량의 시트 점유에 의존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표면은 차량의 주행 프로그램의 변경에 의존해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정상- 또는 절약 주행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 1 위치에 있고, 운전자가 스포츠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면이 제 2 위치로 운전자를 향해 이동됨으로써, 계기판의 스포티한 특성이 강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운전자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 시 운전자를 향해 이동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한 운전자의 주의력이 높아질 수 있고, 운전자의 웰커밍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 1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가장자리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정렬될 수 있고, 제 2 위치에서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30°의 범위 내에서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표면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특히 전형적인 경고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추가 공간을 제공하므로, 상기 정보는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계기판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계기판에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그래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 2 위치에서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므로, 제 2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표면의 측면 에지는 디스플레이 표면과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장된다. 측면 에지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방법에 따라 측면 에지에 있는 발광 수단은 차량의 작동 상태에 의존해서 작동된다. 차량이 록킹 해제되거나 또는 차량의 점화 회로가 폐쇄되는 즉시, 예를 들어 측면 에지에 있는 발광 수단은 차량의 소위 주변 조명으로서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에지에 있는 발광 수단은 차량의 주행 방향 지시기 또는 점멸등의 작동에 의존해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제공되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의 좌측에 배치되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의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측면 에지에 있는 발광 수단은 주행 방향 지시기의 작동 시 또는 차량의 비상 점멸등의 작동 시 점멸등의 주기에 맞춰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방향 지시기가 좌측으로 작동 시 계기판의 좌측면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수단이 작동될 수 있고, 주행 방향 지시기가 우측으로 작동 시 계기판의 우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수단이 작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계기판 내의 전형적인 점멸 표시등은 생략될 수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수단에 의한 점멸등 표시는 전형적인 점멸등 심볼보다 더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수단들은 더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우측 및 좌측 점멸의 구별이 더욱 명확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표면, 구동 유닛 및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표면을 선택적으로 제 1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제어장치는 구동 유닛에 연결되고, 차량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디스플레이 표면을 제 1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차량의 검출된 작동 상태에 의존해서 구동 유닛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방법의 실시 또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적합하고, 따라서 전술한 장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표면과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디스플레이 표면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므로, 디스플레이 표면의 측면 에지는 디스플레이 표면과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장된다. 측면 에지는 발광 수단을 포함한다. 방법에서 측면 에지에 있는 발광 수단은 차량의 점멸등 또는 주행 방향 지시기 또는 비상 점멸등의 작동에 의존해서 작동된다. 이러한 방법과 전술한 방법의 차이점은, 디스플레이 표면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돌출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에지에 있는 발광 수단이 점멸 표시등으로 이용됨으로써 점멸등은 다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더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에지에 있는 발광 수단은 주변 조명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표면, 가장자리 및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인다. 디스플레이 표면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고, 디스플레이 표면의 측면 에지는 디스플레이 표면과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장된다. 측면 에지는 발광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장치는 발광 수단에 연결되고, 차량 점멸등의 작동에 의존해서 발광 수단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전술한 방법과 관련해서 설명된 장점들이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계기판과 전술한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차량은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이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의 우측 측면에 배치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의 좌측 측면에 배치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에지에 있는 발광 수단은 바람직하게 점멸 표시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차량의 대시보드 내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위치에서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위치에서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계기판(2)를 포함하는 차량의 대시보드(1)의 부분을 도시한다. 계기판(2)은 예를 들어 소위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계기판이고, 상기 계기판에 임의의 그래픽 및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계기판(2)은 원형 계기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계기판일 수도 있다. 또한, 계기판(2)은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영역과 원형 계기장치의 조합일 수도 있다. 계기판(2)에 도 1에서 예를 들어 원형 스케일을 가진 회전계(3) 또는 속도계(4)가 디스플레이된다. 회전계(3)와 속도계(4) 사이에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출력 영역(5)이 배치된다. 회전계(3) 내에 CO2-방출 디스플레이(6)가 배치되고, 속도계(4) 내에 차간 거리 경고 디스플레이(7)가 배치된다. 텍스트 필드(8)에 예를 들어 외부 온도와 다른 실시간 정보들, 예를 들어 ESP의 스위치 오프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자유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계기판(2)에서, 표시되는 구성 요소들(3-8)의 배치와 표시되는 구성 요소들의 선택은 사용자 선택에 의존해서 또는 차량의 작동 상태에 의존해서 변경될 수 있다.
계기판(2)의 좌측 및 우측 옆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9-12)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9)에 다수의 심볼(13, 14)이 제공되고, 상기 심볼들은 예를 들어 그 뒤에 배치된 LED에 의해 백라이팅될 수 있다. 심볼(14)은 예를 들어 핸드 브레이크 표시등을 나타내고, 상기 핸드 브레이크 표시등은 차량의 핸드 브레이크가 당겨진 경우에 백라이팅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2)에도 백라이팅될 수 있는 심볼들이 배치되고, 예를 들어 심볼(15)은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활성화되는 것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백라이팅될 수 있는 다수의 바들이 배치되고, 상기 바들은 차량의 냉각수 온도에 의존해서 백라이팅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1)에 백라이팅될 수 있는 다수의 바들이 배치되고, 상기 바들은 차량의 연료 탱크의 충전 점유율에 의존해서 백라이팅된다.
디스플레이 장치(9-11)는 실질적으로 심볼 또는 바들(13-17)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차량 운전자를 향해 이동되거나 또는 차량 운전자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하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이 운전자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된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위치는 제 1 위치라고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이 운전자를 향해 이동되는 위치는 제 2 위치라고 한다.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이동 행정은 수 밀리미터, 예를 들어 2 내지 3 밀리미터일 수 있다.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의 이동은 예를 들어 전기 구동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9, 10)의 디스플레이 표면들은 서로 오프셋된다. 디스플레이 장치(9)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표면보다 운전자를 향해 약간 더 돌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1, 12)의 디스플레이 표면들은 서로 오프셋된다. 디스플레이 장치(9, 10)의 디스플레이 표면들은 함께 또는 서로 별도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1, 12)의 디스플레이 표면들은 함께 또는 별도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디스플레이 표면들은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들의 이동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작동 상태에 의존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들의 이동과 동시에 계기판(2)에 다른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들은 차량의 작동 중단 및 록킹 상태에서 제 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개방 시 또는 차량의 점화 장치의 활성화 시 또는 차량의 차량 시트의 시트 점유 검출 시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들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예를 들어 회전계(3)와 속도계(4)가 계기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들이 튀어 나옴으로써 그리고 계기판(2) 상의 디스플레이들이 단계적으로 활성화됨으로써 차량의 "활성화" 또는 "어웨이크닝"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9-12)는 그 위에 배치된 심볼의 정보 디스플레이 외에 동시에 계기판(2)의 측면 가장자리로서 이용되고, 전체적으로 계기판(2)에 대해 운전자의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계기판(2)의 전면 패널로서 이용된다.
도 2는 도 1의 계기판(2)과 디스플레이 장치(9-12)를 개략적인 측면 사시도에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9-12)는 제 2 위치에 있고, 즉 디스플레이 장치(9-12)는 차량의 내부 공간의 방향으로 또는 차량의 운전자의 방향으로 튀어 나온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9)를 측면으로 둘러싸는 가장자리(19)와 디스플레이 표면(27) 사이에 외부 에지(18)가 형성된다. 에지(18)는 가장자리(19)와 디스플레이 장치(9)의 디스플레이 표면(27) 사이에서 연장된다. 에지(18)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9)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행정, 즉 예를 들어 수 밀리미터에 해당한다. 에지(18)에 발광 수단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발광 수단은 광을 측면으로 발산한다. 계기판(2)의 우측면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2)도 마찬가지로 해당 발광 수단이 배치된 상응하는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9-12)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장치들(9-12)의 에지(18)에 있는 발광 수단은 한편으로는 소위 주변 조명으로서 이용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의 주행 방향 지시기 또는 비상 점멸등을 위한 표시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차량의 주행 방향 지시기가 좌측으로 작동 시 에지(18)에 있는 발광 수단은, 차량의 좌측 점멸등의 주기에 맞춰 점멸되고, 차량 운전자에게 점멸등이 좌측으로 설정되었음을 알려주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에지에 있는 발광 수단은 우측으로 설정된 주행 방향 지시기를 위한 표시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9)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9)의 디스플레이 표면(27)에 백라이팅될 수 있는 심볼들(13, 14)이 도시된다. 가장자리(19)는 디스플레이 장치(9)를 둘러싼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9)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시 디스플레이 장치(9)는 실질적으로 도 3의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디스플레이 장치(9)가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에, 발광 수단이 배치된 에지(18)는 가장자리(19) 위로 돌출하므로, 도 3의 화살표(2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18)의 발광 수단의 광은 측면으로 발산될 수 있다. 화살표(24)에서 본, 도 3에 파선으로 도시된 단면을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9)의 단면도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다.
도 4에서 디스플레이 장치(9)는 제 1 위치에 있고, 즉 백라이팅될 수 있는 심볼들(13, 14)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표면(27)은 실질적으로 가장자리(19)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에지(18)에 있는 발광 수단은 가장자리(19) 내로 하강하여 배치된다. 또한, 도 4에 조명등(20, 21)이 도시되고, 상기 조명등은 심볼들(13, 14)의 백라이팅을 위해 이용된다. 조명등(22)은 에지(18)의 조명을 위해 이용된다. 또한, 구동장치(23)가 상징적으로 도시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9)의 디스플레이 표면(27)을 도 4에 도시된 제 1 위치와 도 5에 도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9)는 구동장치(23)에 의해 제 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에지(18)는 가장자리(19)를 지나 돌출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22)의 광은 예를 들어 에지(18) 내의 광 가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9)의 에지(18)로부터 측면으로 발산될 수 있다.
도 6은 대시보드(1)를 포함하는 차량(26)을 도시하고, 상기 대시보드에 회전계(3)와 속도계(4)를 포함하는 계기판(2)이 배치된다. 계기판(2)의 좌측 측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들(9, 10)이 배치되고, 계기판(2)의 우측 측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들(11, 12)이 배치된다.
1 대시보드
2 계기판
3 회전계
4 속도계
5 출력 영역
6 CO2-방출 디스플레이
7 차간 거리 경고 디스플레이
8 텍스트 필드
9 - 12 디스플레이 장치
13 -15 심볼
18 에지
19 가장자리
20 - 22 조명등
23 구동 유닛
26 차량
27 디스플레이 표면

Claims (10)

  1.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9-12)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27)을 갖고, 이 경우 상기 방법은,
    - 차량(26)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을 상기 차량(26)의 검출된 작동 상태에 의존해서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는,
    - 상기 차량(26)의 록킹 상태,
    - 상기 차량(26)의 점화 회로의 상태,
    - 상기 차량(26)의 시트 점유 상태 및/또는
    - 상기 차량(26)의 주행 프로그램 상태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9-12)는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가장자리(19)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은 제 2 위치에서 상기 가장자리(19)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의 측면 에지(18)는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과 상기 가장자리(19)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 에지(18)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방법은,
    - 상기 발광 수단을 상기 차량(26)의 작동 상태에 의존해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차량(26)의 점멸등의 작동에 의존해서 작동되는 방법.
  5.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27),
    -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구동 유닛(23) 및,
    - 상기 구동 유닛(23)에 연결되고, 차량(26)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을 상기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26)의 검출된 작동 상태에 의존해서 상기 구동 유닛(23)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9-12)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9-12)는 디스플레이 표면(27)과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가장자리(19)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은 상기 가장자리(19)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의 측면 에지(18)는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과 상기 가장자리(19)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 에지(18)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방법은,
    - 상기 차량(26)의 점멸등의 작동에 의존해서 상기 발광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 디스플레이 표면(27)을 포함하고,
    -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가장자리(19)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의 측면 에지(18)는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27)과 상기 가장자리(19)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 에지(18)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발광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발광 수단을 차량(26)의 점멸등의 작동에 의존해서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차량으로서,
    - 계기판(2)과
    - 상기 계기판(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9-12)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9-12)의 디스플레이 표면(27)은 상기 계기판(2)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차량.
KR1020147007124A 2011-08-20 2012-08-16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61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11578.5 2011-08-20
DE102011111578A DE102011111578A1 (de) 2011-08-20 2011-08-20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PCT/EP2012/003487 WO2013026550A1 (de) 2011-08-20 2012-08-16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040A true KR20140052040A (ko) 2014-05-02
KR101561399B1 KR101561399B1 (ko) 2015-10-16

Family

ID=4684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124A KR101561399B1 (ko) 2011-08-20 2012-08-16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44680B1 (ko)
KR (1) KR101561399B1 (ko)
DE (1) DE102011111578A1 (ko)
WO (1) WO20130265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4670A (ko) * 2015-07-09 2017-12-0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2635B4 (de) * 2013-07-26 2019-02-07 Audi Ag Anzeige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DE102016218694A1 (de) 2016-09-28 2018-03-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Fortbewegungsmittel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Anwenders eines Fortbewegungsmittels
DE102019203440B3 (de) * 2019-03-13 2020-04-02 Audi Ag Anzeigeinstrument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mit einem entsprechenden Anzeigeinstrumen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 Anzeige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0983B2 (en) * 2000-03-02 2008-05-13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JP2004082781A (ja) * 2002-08-23 2004-03-18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
DE102004024596A1 (de) * 2003-09-09 2005-03-31 Volkswagen Ag Displayanordnung für ein Fahrzeug
JP4568087B2 (ja) * 2004-01-28 2010-10-2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DE102005017556A1 (de) * 2005-04-16 2006-10-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 mit einer elektronischen Anzeigeeinrichtung
JP2008201296A (ja) 2007-02-21 2008-09-04 Denso Corp 車載用電子機器操作装置
DE102007015878A1 (de) * 2007-04-02 2008-10-09 Robert Bosch Gmbh Bedieneinheit und Bedienverfahren
JP5076685B2 (ja) 2007-07-03 2012-11-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08049040A1 (de) 2008-02-29 2009-09-10 Preh Gmbh Einrichtung zur Hinterleuchtung eines Interieurteils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37977B4 (de) * 2008-08-08 2021-07-08 Volkswagen Ag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Anzeigen von Information im Innenraum eines Fahrzeugs
KR20100050739A (ko) 2008-11-06 2010-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계기판용 무드조명장치
DE102008064265A1 (de) 2008-12-20 2009-09-17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steuern einer Anzeigeeinheit in einem 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4670A (ko) * 2015-07-09 2017-12-0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4680A1 (de) 2014-06-25
DE102011111578A1 (de) 2013-02-21
EP2744680B1 (de) 2018-11-07
KR101561399B1 (ko) 2015-10-16
WO2013026550A1 (de)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4719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090219730A1 (en) Illuminated trim element for an instrument cluster
CN103460092A (zh) 具有3d效果的照明装置
EP2703207A2 (en) Reconfigurable instrument cluster
KR101561399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EP2570286A1 (en) Meter device
US9620016B2 (en) Motor vehicle with an optical display device for a distance sensor
US20080218326A1 (en) Multiple color pointer for a gauge or instrument
KR20080010728A (ko) 자동차용 방향지시 및 속도신호 표시장치
EP2842788B1 (en) Instrument panel pointer with transparent section
JP2009151251A (ja) 表示装置
JP2016130104A (ja) 車両用計器
JP5557095B2 (ja) 車両用計器
JP2012066750A (ja) 車両用表示装置
JP5910848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0432837Y1 (ko) 자동차용 방향지시 및 속도신호 표시장치
CN111583874B (zh) 仪表组的显示布置
JP4322872B2 (ja) 車両のメータシステム
KR2014014495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JP2015085752A (ja) 車両用計器
JP2002067735A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6644349B2 (ja) 表示装置
JP2016203841A (ja) 車両
CN2726942Y (zh) 新型汽车组合仪表
KR2014014492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