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549A -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549A
KR20140051549A KR1020120117675A KR20120117675A KR20140051549A KR 20140051549 A KR20140051549 A KR 20140051549A KR 1020120117675 A KR1020120117675 A KR 1020120117675A KR 20120117675 A KR20120117675 A KR 20120117675A KR 20140051549 A KR20140051549 A KR 20140051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bearing
stock
holde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광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1549A/ko
Publication of KR20140051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러더스톡의 하부에서 스톡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탑재하는 회전홀더; 상기 회전홀더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홀더를 자동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홀더와 회전구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시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베어링결합부; 상기 회전구동부의 하부에서 회전구동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거나 크레인을 고리에 걸어 이동되도록 하는 거치브라켓; 및 상기 거치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홀더, 회전구동부, 베어링결합부를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는 리프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NUT ASSEMBLING APPARATUS OF RUDDER STOCK}
본 발명은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러더스톡의 하부에서 스톡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탑재하며,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스톡너트이 동시에 승강 작동되도록 하는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더 캐리어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박의 후미에는 운항중 선체의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러더(Rudder)를 구비한다.
이때, 러더라 함은 프로펠러 후류와 접하는 하부에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러더 블레이드(Rudder Blade; 16), 러더 블레이드(16)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도록 러더 블레이드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회전축인 러더 스톡(Rudder stock; 14), 러더 스톡(14)의 상부에 조립되어 조타시 러더 스톡(14)에 대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에 해당하는 틸러(Tiller;14a), 러더 블레이드(16)의 하단부를 선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러더 혼(2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러더 스톡(14)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하부의 러더 블레이드(16) 및 상부 선체와의 이음부분에 해수가 침수되는 것을 막으면서 러더 블레이드(16)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러더 스톡(14)을 감싸는 중공의 러더 트렁크(Rudder Trunk; 12)가 설치되고, 선체에 대해 러더 스톡(14)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러더 캐리어 하우징(18)이 설치되며, 러더 캐리어 하우징(18) 내에는 러더 스톡(14)에 대한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부시 베어링(30)이 내장되고, 러더 캐리어 하우징의 상단에는 러더 스톡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디스크 베어링(28)이 설치되는 한편, 디스크 베어링(28)의 상단에는 러더 스톡(14)과 결합되는 베어링 링(24)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러더 스톡(14)이 축 결합되는 러더 블레이드(16)의 내측에서 스톡너트(17)를 체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톡너트(17)는 작업자가 운반할 수 없는 대형구조물로서, 크레인을 이용해 스톡너트(17)를 러더스톡(14) 결합위치로 이동시킨 후 수작업에 의해 스톡너트(17)를 러더스톡(14)의 축상에 나선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톡너트(17)는 체인블록 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러더스톡(14)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스톡너트(17)의 외경에 감긴 체인을 작업자가 끌어당겨서 스톡너트(17)를 회전시켜 나선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종래기술은 스톡너트(17)와 러더스톡(14)의 축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이 어려워 나선 결합과정에서 나사산에 상당한 과부하를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톡너트(17)의 회전과 함께 체인블록(미도시)를 승강시켜 주어야 하는데, 크레인을 통한 승강력의 조절이 사실상 불가능 하여 과도한 힘으로 체인블록 및 스톡너트(17)를 승강시켜 러더스톡(14)의 나사산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체결작업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나사산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톡너트(17)의 외경에 감겨진 체인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끌어당기는 것으로서, 복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러더스톡에 스톡너트를 자동 결합할 수 있는 러더스톡의 너트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러더스톡의 하부에서 스톡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탑재하며,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스톡너트이 동시에 승강 작동되도록 하는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러더스톡의 하부에서 스톡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탑재하는 회전홀더; 상기 회전홀더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홀더를 자동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홀더와 회전구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시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베어링결합부; 상기 회전구동부의 하부에서 회전구동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거나 크레인을 고리에 걸어 이동되도록 하는 거치브라켓; 및 상기 거치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홀더, 회전구동부, 베어링결합부를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는 리프팅장치;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는 스톡너트의 하부에서 상기 스톡너트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축선상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외주연 둘레에 방사상으로 분산 설치되어 스톡너트의 외면을 가압시켜 고정하는 홀더고정척; 및 상기 홀더고정척을 회전중심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척조절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회전플레이트 하부에서 대향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원주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선단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기어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홀더측에 전달하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결합부는 회전구동부의 회전플레이트측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제1베어링; 상기 제1베어링의 하부에서 회전구동부의 베이스플레이트측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제2베어링; 및 회전구동부의 베이스플레이트의 회전중심을 하부로부터 축결하고, 제2베어링 및 제1베어링을 순차적으로 축 결합시켜 축 정렬되도록 하는 축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장치는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러더스톡에 스톡너트를 자동 결합할 수 있는 러더스톡의 너트조립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조립시간을 단축하는 효과 및 작업자의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러더스톡의 하부에서 스톡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탑재하며,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스톡너트가 동시에 승강 작동되도록 하는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회전동력원의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더 캐리어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러더스톡(101)의 하부에서 스톡너트(103)를 회전 가능하게 탑재하는 회전홀더(110)가 개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홀더(110)의 하부에는 회전구동부(120)가 설치되어 회전홀더(110)를 자동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홀더(110)와 회전구동부(120) 사이에는 베어링결합부(130)가 설치되어 회전시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120)의 하부에 거치브라켓(140)이 설치되어 회전구동부(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거나 크레인을 고리에 걸어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브라켓(140)의 하부에 리프팅장치(150)가 설치되어 회전홀더(110), 회전구동부(120), 베어링결합부(130)를 승하강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홀더(110), 회전구동부(120), 베어링결합부(130), 거치브라켓(140), 리프팅장치(15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구동부(120)에 대해 설명하면, 스톡너트(103)의 하부에서 상기 스톡너트(103)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축선상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111)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11)의 외주연 둘레에 방사상으로 분산 설치되어 스톡너트(103)의 외면을 가압시켜 고정하는 홀더고정척(113) 및 상기 홀더고정척(113)을 회전중심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척조절노브(11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111)는 회전축 중심에 축관통홀(111a)를 형성하며, 원판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무게를 경량화시키기 위해 홀더고정척(113)이 설치되는 이외의 영역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3에서는 회전플레이트(111)의 원주방향에 다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외주연의 일부영역을 제거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고정척(113)은 일정높이 위치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단턱부에 스톡너트(103)가 얹혀져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스톡너트(103)와 회전플레이트(111)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것은 러더스톡(101)이 스톡너트(103)를 관통하여 하강하는 것을 고려하여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척조절노브(115)는 수직방향에 한 쌍이 배치되도록 하여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톡너트(103)의 외주연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나선결합되는 복수개의 견인볼트(104)를 방사상으로 나선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견인볼트(104)는 스톡너트(103) 크레인에 매달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회전홀더(110)의 홀더고정척(113)이 회전시 걸려서 회전력을 스톡너트() 측으로 전달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 상기 회전구동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구동부(120)는 회전플레이트(111) 하부에서 대향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원주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123)와, 상기 유압모터(123)의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회전축(124)과, 상기 회전축(124) 선단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25) 및 상기 구동기어(125)와 기어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홀더(110)측에 전달하는 링기어(12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외주연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고정날개(122)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122)는 베이스플레이트(121)를 거치브라켓(140) 상에 거치시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유압모터(123)는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저면에 착탈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유압모터(123)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1) 상면에는 유압모터(123)의 회전동력을 받아 구동되는 회전축(12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24)은 유압모터(123)의 회전을 변속하는 변속기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기어(126)는 기어이빨이 링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전홀더(110)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다음, 상기 베어링결합부(13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어링결합부(130)는 회전구동부(120)의 회전플레이트(111)측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제1베어링(131)와, 상기 제1베어링(131)의 하부에서 회전구동부(120)의 베이스플레이트(121)측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제2베어링(132) 및 회전구동부(120)의 베이스플레이트(121)의 회전중심을 하부로부터 축결하고, 제2베어링(132) 및 제1베어링(131)을 순차적으로 축 결합시켜 축 정렬되도록 하는 축베어링(13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131), 제2베어링(132), 축베어링(133)은 상호 접촉부위에서 미끄럼 운동이 이루어지는 메탈베어링일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131), 제2베어링(132)은 축베어링(133)이 축 결합되기 위한 축관통홀(131a)(132a)을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기 축베어링(133)은 다단형태의 축으로서, 최상부의 축직경이 가장 작고, 하부로 갈수록 축직경이 커지게 된다.
즉, 제1베어링(131)의 축관통홀(131a)의 내경이 가장 작고, 제2베어링(132),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축관통홀(132a)(121a) 순서로 내경이 커지게 된다.
다음, 상기 리프팅장치(15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리프팅장치(150)는 유압펌프로부터 압유를 제공받는 실린더(151) 및 상기 실린더(151)에 왕복 구동되도록 결합되는 피스톤로드(153)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러더스톡의 하부에서 회전홀더(110)에 탑재되는 스톡너트(103)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동력을 유압모터(123)를 통해 제공하는 동시에 스톡너트(103)가 러더스톡(101)에 나선 결합되는 속도에 맞춰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력을 유압실린더를 통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동력원인 유압모터(123)의 부하를 줄일 수 있어, 용량이 적은 유압모터(123)를 이용해 작동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러더스톡에 스톡너트를 자동 결합할 수 있는 러더스톡의 너트조립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1: 러더스톡 103: 스톡너트
104: 견인볼트 100: 조립장치
110: 회전홀더 111: 회전플레이트
111a: 축관통홀 113: 홀더고정척
115: 척조절노브 120: 회전구동부
121: 베이스플레이트 122: 고정날개
123: 유압모터 124: 회전축
125: 구동기어 126: 링기어
130: 베어링결합부 131: 제1베어링
131a: 축관통홀 132: 제2베어링
132a: 축관통홀 133: 축베어링
140: 거치브라켓 150: 리프팅장치
151: 실린더 153: 피스톤로드
160: 유압펌프

Claims (5)

  1. 러더스톡(101)의 하부에서 스톡너트(103)를 회전 가능하게 탑재하는 회전홀더(110);
    상기 회전홀더(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홀더(110)를 자동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120);
    상기 회전홀더(110)와 회전구동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시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베어링결합부(130);
    상기 회전구동부(120)의 하부에서 회전구동부(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거나 크레인을 고리에 걸어 이동되도록 하는 거치브라켓(140); 및
    상기 거치브라켓(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홀더(110), 회전구동부(120), 베어링결합부(130)를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는 리프팅장치(15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120)는 스톡너트(103)의 하부에서 상기 스톡너트(103)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축선상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111);
    상기 회전플레이트(111)의 외주연 둘레에 방사상으로 분산 설치되어 스톡너트(103)의 외면을 가압시켜 고정하는 홀더고정척(113); 및
    상기 홀더고정척(113)을 회전중심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척조절노브(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120)는 회전플레이트(111) 하부에서 대향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원주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123);
    상기 유압모터(123)의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회전축(124);
    상기 회전축(124) 선단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25); 및
    상기 구동기어(125)와 기어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홀더(110)측에 전달하는 링기어(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결합부(130)는
    회전구동부(120)의 회전플레이트(111)측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제1베어링(131);
    상기 제1베어링(131)의 하부에서 회전구동부(120)의 베이스플레이트(121)측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제2베어링(132); 및
    회전구동부(120)의 베이스플레이트(121)의 회전중심을 하부로부터 축결하고, 제2베어링(132) 및 제1베어링(131)을 순차적으로 축 결합시켜 축 정렬되도록 하는 축베어링(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장치(150)는 실린더(151) 및 피스톤로드(1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KR1020120117675A 2012-10-23 2012-10-23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KR20140051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75A KR20140051549A (ko) 2012-10-23 2012-10-23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75A KR20140051549A (ko) 2012-10-23 2012-10-23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49A true KR20140051549A (ko) 2014-05-02

Family

ID=5088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675A KR20140051549A (ko) 2012-10-23 2012-10-23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154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895B1 (ko) * 2014-12-15 2015-07-22 훌루테크 주식회사 치차 결합 방식의 조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타 방법
KR20150145813A (ko) * 2014-06-19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너트 체결 장치
KR20150145969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너트 체결 장치
CN108945378A (zh) * 2018-07-27 2018-12-0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下水舵叶保护方法
CN108972447A (zh) * 2018-09-07 2018-12-11 广州中船文冲船坞有限公司 一种联轴节的拆卸工装及联轴节的拆卸方法
CN110202367A (zh) * 2019-05-29 2019-09-06 山海关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舵杆液压螺母安装装置
CN110481702A (zh) * 2019-08-21 2019-11-22 中国葛洲坝集团机械船舶有限公司 船舶舵系安装方法
CN110877674A (zh) * 2019-10-22 2020-03-1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双挂舵臂在分段上的定位工艺
CN110920826A (zh) * 2019-10-29 2020-03-2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能够调整偏心的舵杆机构
CN112267580A (zh) * 2020-10-26 2021-01-26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用连接部件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813A (ko) * 2014-06-19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너트 체결 장치
KR20150145969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너트 체결 장치
WO2016099023A1 (ko) * 2014-12-15 2016-06-23 훌루테크 주식회사 치차 결합 방식의 조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타 방법
CN107074335A (zh) * 2014-12-15 2017-08-18 好乐泰克有限公司 齿轮结合方式的操舵装置及利用其的操舵方法
JP2017537834A (ja) * 2014-12-15 2017-12-21 フルイド パワー テクノロジー コリア 歯車結合方式の操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操舵方法
KR101538895B1 (ko) * 2014-12-15 2015-07-22 훌루테크 주식회사 치차 결합 방식의 조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타 방법
CN108945378A (zh) * 2018-07-27 2018-12-0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下水舵叶保护方法
CN108972447B (zh) * 2018-09-07 2024-03-26 广州文冲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联轴节的拆卸工装及联轴节的拆卸方法
CN108972447A (zh) * 2018-09-07 2018-12-11 广州中船文冲船坞有限公司 一种联轴节的拆卸工装及联轴节的拆卸方法
CN110202367A (zh) * 2019-05-29 2019-09-06 山海关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舵杆液压螺母安装装置
CN110202367B (zh) * 2019-05-29 2024-05-10 山海关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舵杆液压螺母安装装置
CN110481702A (zh) * 2019-08-21 2019-11-22 中国葛洲坝集团机械船舶有限公司 船舶舵系安装方法
CN110877674A (zh) * 2019-10-22 2020-03-1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双挂舵臂在分段上的定位工艺
CN110877674B (zh) * 2019-10-22 2021-06-0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双挂舵臂在分段上的定位工艺
CN110920826A (zh) * 2019-10-29 2020-03-2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能够调整偏心的舵杆机构
CN112267580A (zh) * 2020-10-26 2021-01-26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用连接部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1549A (ko) 러더스톡의 너트 조립장치
US4005895A (en) Rotational grapple
US9057360B2 (en) Wind power generator and yaw bearing replacement method for a wind power generator
KR200484013Y1 (ko) 어선용 양망기
CN109955221B (zh) 机器人
CN108843519B (zh) 叶片运输支架
CN208292539U (zh) 一种用于船舶类的起重装置
JP2015151989A (ja) 風力発電機用のメンテナンス装置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
KR102271893B1 (ko) 송전 철탑 작업용 이동식 윈치 장치
CN218904384U (zh) 一种阀门法兰盘自动加工定位装置
CN108673417B (zh) 一种屏蔽主泵主螺栓拆装工具及拆装方法
US4121471A (en) Rotating horsehead for oilfield pumping unit
CN211366730U (zh) 大型物件挂装工具
CN108609493A (zh) 一种大型螺旋桨自动翻转机装置
CN103975700A (zh) 利用皮带驱动并且能够升降的草料翻晒装置
CN216737284U (zh) 一种吊装设备
CN111960256A (zh) 叶片吊装工装
CN107235135A (zh) 一种全回转推进器的转舵装置
CN217947514U (zh) 一种直线绞车旋转定位组件
CN210736034U (zh) 一种简易起重器
CN216138952U (zh) 一种齿轮加工抓取夹具
CN109437027A (zh) 一种盾构机刀具吊装装置
CN218746078U (zh) 一种全悬挂型舵杆螺母自动化安装装置
CN213702030U (zh) 一种锯床的旋转机构及锯床
CN220302644U (zh) 一种嵌入式行星减速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