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133A - 비상 부력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 부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133A
KR20140050133A KR1020120115341A KR20120115341A KR20140050133A KR 20140050133 A KR20140050133 A KR 20140050133A KR 1020120115341 A KR1020120115341 A KR 1020120115341A KR 20120115341 A KR20120115341 A KR 20120115341A KR 20140050133 A KR20140050133 A KR 2014005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watertight
finishing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4851B1 (ko
Inventor
윤지홍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8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비상 부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키는 구동부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감판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는 수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판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공간에 기체가 충전됨으로써 부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 부력 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emergency buoyancy}
본 발명은 비상 부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가의 인상에 따라, 육상의 원유 시추에 이어 해상의 원유 시추를 위하여 드릴쉽을 선두로 한 다양한 형태의 해양 구조물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LP(Tension Leg Platform),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Semi-submersible Platform) 등 여러 가지 방식(부유식/고정식/반잠수식)의 원유 시추, 생산 및 저장을 위한 해양 구조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 플랫폼의 설치 및 운영 과정에서 구조물 전체가 전복(顚覆)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복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구조물이 파손되는 경우는 물론이고, 구조물이 파손되지 않더라도 해양 플랫폼 상에 설치된 각종 설비에 침수가 발생함으로써 설비 자체를 가동시키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는 등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해양 플랫폼의 전복 사고에 대한 대책은,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하는 수준에서 나아가 구조물 상에 설치된 각종 설비에 대한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차원에서 강구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8012호에는 선체로의 해수의 유입을 감시하기 위한 다수의 레벨 센서, 해수의 유입을 감시하여 알람 및 벨브를 작동하게끔 하는 신호를 보내주는 알람 및 모니터링 시스템, 고압력의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 컴프레서,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를 보관하고 있는 에어 탱크로서 압력 저장소, 알람 및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로 자동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작동되는 공압 밸브, 압력 저장소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부력을 유지하는 에어 튜브, 에어 튜브가 선체에 매설되는 매설 케이스, 및 비상상황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비상 해제 버튼을 포함하는 선박의 자동 부력 공급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83056호에는 차량의 침몰상태를 검출하는 수개의 침몰 감지센서와, 어느 하나에서라도 차량침몰 감지신호가 검출되면 에어백 구동부에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에어백들을 작동시켜 주는 에어백 구동부와, 차량의 침몰시 상기 에어백 구동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어 차량이 수면으로 부양토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수개의 에어백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수면 부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8012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83056호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의 전복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비상 부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키는 구동부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감판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는 수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판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공간에 기체가 충전됨으로써 부력을 생성하는 비상 부력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는 해양 구조물(offshore platform)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의 전복 상황에 상응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마감판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가 신축되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밀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에 복수로 적층되는 수밀판과; 상기 복수의 수밀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수밀판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판이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경우, 상기 복수의 수밀판은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부위에 주름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가 되며, 상기 마감판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펴지면서 상기 복수의 수밀판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압축 가스를 보관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에 전복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에 상응하여 작동되어 부력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해양 구조물이 전복되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해양 구조물 상에 설치된 각종 설비에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전복 사고가 발생할 경우 비상 부력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비상 부력 장치(100), 베이스(110), 마감판(120), 구동부(130), 구동기(132), 동력원(134), 수밀부(140), 수밀판(142), 연결부재(144), 가스 공급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충돌 사고시 승객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자동차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마찬가지의 개념으로, 해양 구조물의 전복 사고시 구조물의 파손뿐만 아니라 구조물에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비상용 부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에어백 보다 더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에어백을 제작하여 비상시 부풀어오를 수 있도록 하면, 해양 플랫폼의 전복 사고시 비상 부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비상 부력 장치는 항상 해양 구조물 전체를 지탱하기 위한 부력을 담보할 수는 없을지라도, 전복 사고시 또는 부력 장치의 일부에서 부력이 손실될 경우 등의 비상시에 해양 구조물이 전복되지 않도록 지탱을 보조할 정도의 부력을 담보하도록 제작될 수는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100)를 사용함으로써, 해상에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전복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복 사고시 해양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각종 설비가 일부 바다에 잠겨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 또한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100)는, 베이스(110), 마감판(120), 구동부(130), 및 수밀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비상 부력 장치(100)의 기초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비상 부력 장치(100)가 해양 구조물에 설치될 경우 해양 구조물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0)를 해양 구조물의 소정의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해양 구조물에 탈부착 가능한 비상 부력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동력원(134)이나 가스 공급부(15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마감판(120)은 베이스(110)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판재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베이스(110)와 마감판(120)의 이격 정도에 따라, 즉 마감판(120)이 베이스(110)에 밀착되어 있는지 베이스(110)로부터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부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마감판(120)이 베이스(110)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최대한의 부력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마감판(120)은 베이스(110)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구성요소로서, 마감판(120)의 모양을 베이스(110)의 모양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비상 부력 장치(10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10)의 모양이 원판형일 경우 마감판(120)도 원판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마감판(120)과 베이스(110) 간의 공간이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수밀부(140)를 간단한 구조 및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마감판(120)이 베이스(110)로부터 떨어지도록 마감판(120)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110)와 마감판(120) 사이에 유압으로 작동되는 구동기(132)를 개재하고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제공하여 구동기(132)가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마감판(120)이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구동력을 제공하여 구동기(132)가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마감판(120)이 베이스(110)에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30)는 베이스(110)와 마감판(120) 사이에 개재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구동기(132)와, 구동기(132)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동력원(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밀부(140)는 베이스(110)와 마감판(12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수밀부(140)에 의해 밀폐된 베이스(110)와 마감판(120)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불어넣음으로써 부력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밀부(140)에 의해 베이스(110)와 마감판(120) 사이에 소정의 폐쇄된 공간이 만들어져, 결과적으로 '베이스(110)-수밀부(140)-마감판(120)'으로 구획되는 부유체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유체는 수중에서 수압을 받아 수면 위로 떠오르려는 힘, 즉 부력을 받게 된다.
즉, 수밀부(140)에는 고압의 수압이 작용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밀부(140)는 높은 압력이 가해져도 변형되거나 찌그러지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예를 들면, 철판)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밀부(140)의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즉, 복수의 수밀 철판의 조각으로 수밀부(140)의 옆면을 구성하고, 각 철판은 수밀이 가능한 연결부재(144)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밀부(14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밀부(140)는, 베이스(110)와 마감판(120) 사이에 복수로 적층되는 수밀판(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수밀판(142)은 연결부재(144)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수밀판(142)의 재질은 전술한 것처럼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부재(144)는 침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 수밀판(142) 사이의 틈을 수밀(水密)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수밀판(142)이 적층되는 구조로 수밀부(140)를 구성함으로써, 구동부(130)에 의해 마감판(120)이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거나 근접함에 따라, 수밀부(140)는 베이스(110)와 마감판(120) 사이의 공간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마치 주름관이나 이른바 '자바라 물통' 처럼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될 수 있다.
즉, 구동부(130)가 수축하여 마감판(120)이 베이스(110)에 근접하면, 복수의 수밀판(142)은 연결부재(144)가 결합된 부위에 주름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가 되며(도 1 참조), 구동부(130)가 신장되어 마감판(120)이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면, 접혀졌던 주름이 펴지면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수밀판(142)에 의해 구획된 밀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30)가 작동하여 마감판(120)이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면 전술한 것처럼 수밀부(140)에 의해 소정의 밀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밀폐 공간, 즉 '베이스(110)-수밀부(140)-마감판(120)'으로 구획되는 공간에 기체를 충전시켜 부력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마감판(120)이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면 그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공간 내로 들어가게 되고, 반대로 마감판(120)이 베이스(110)에 근접하면 그에 따라 공간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압축 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공급부(150)를 베이스(110)에 결합하고, 마감판(120)이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도록 작동되면 베이스(110)와 마감판(120) 사이의 공간에 압축된 가스를 불어 넣어 공간 내에 기체가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부(150)는 전술한 것처럼 베이스(110)에 결합할 수 있으며, 가스 공급부(150)에 보관되는 압축 가스로는 불연성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밀폐 공간 내에 가스가 채워지는 과정에서의 화재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에 전복 사고가 발생할 경우 비상 부력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상 부력 장치(100), 해양 구조물(2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100)는 유압 등의 동력원(134)을 사용하여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마감판(120)이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가 늘어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미리 정해진 공간 내에 단순히 기체를 채워 넣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예를 들면, 비상시) 공간의 크기가 커지도록 하고 커진 공간 내에 기체를 채워 넣음으로써 부력 장치가 보다 큰 부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100)는 해양 구조물(offshore platform)(200)의 필요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비상시에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부력 장치(100)의 베이스(110)를 해양 구조물(200)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비상 부력 장치(100)를 설치하되, 해양 구조물(200)이 전복 사고를 일으킬 경우 부력을 받을 필요가 있는 위치마다 각각 비상 부력 장치(100)를 설치하고, 해양 구조물(200)이 전복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에 상응하여 구동부(13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즉, 비상 부력 장치(100)의 부피가 커지고 내부에 기체가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해양 구조물(200)이 부력을 받아 전복되지 않고 부상(浮上)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비상 부력 장치 110 : 베이스
120 : 마감판 130 : 구동부
132 : 구동기 134 : 동력원
140 : 수밀부 142 : 수밀판
144 : 연결부재 150 : 가스 공급부
200 : 해양 구조물

Claims (5)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을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키는 구동부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감판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는 수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판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공간에 기체가 충전됨으로써 부력을 생성하는 비상 부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해양 구조물(offshore platform)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의 전복 상황에 상응하여 작동되는 비상 부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마감판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가 신축되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비상 부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에 복수로 적층되는 수밀판과;
    상기 복수의 수밀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수밀판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판이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경우, 상기 복수의 수밀판은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부위에 주름이 형성되어 접혀진 상태가 되며,
    상기 마감판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펴지면서 상기 복수의 수밀판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비상 부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를 보관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마감판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 부력 장치.
KR1020120115341A 2012-10-17 2012-10-17 비상 부력 장치 KR101444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341A KR101444851B1 (ko) 2012-10-17 2012-10-17 비상 부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341A KR101444851B1 (ko) 2012-10-17 2012-10-17 비상 부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133A true KR20140050133A (ko) 2014-04-29
KR101444851B1 KR101444851B1 (ko) 2014-09-30

Family

ID=5065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341A KR101444851B1 (ko) 2012-10-17 2012-10-17 비상 부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8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657A (ko) * 2015-06-05 2018-02-13 노비니움, 인크. 맨홀 볼트용 환기 시스템
US11346566B2 (en) 2016-03-31 2022-05-31 Novinium, Inc. Smart system for manhole event suppression system
CN114771758A (zh) * 2022-04-27 2022-07-22 深圳大学 可上浮下潜的混凝土浮筒装备及上浮下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53U (ko) * 1989-06-30 1991-02-19
JP5651871B2 (ja) * 2010-07-29 2015-01-14 株式会社エム光・エネルギー開発研究所 水中重量物の降下および浮上方法
KR101293480B1 (ko) * 2010-10-06 2013-08-07 이강현 선박 침몰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657A (ko) * 2015-06-05 2018-02-13 노비니움, 인크. 맨홀 볼트용 환기 시스템
US11561023B2 (en) 2015-06-05 2023-01-24 Novinium, Llc Ventilation system for manhole vault
US11346566B2 (en) 2016-03-31 2022-05-31 Novinium, Inc. Smart system for manhole event suppression system
CN114771758A (zh) * 2022-04-27 2022-07-22 深圳大学 可上浮下潜的混凝土浮筒装备及上浮下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851B1 (ko)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5788B2 (ja) 制御可能な浮力システム
US89610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subsea pipeline from excessive stress or fatigue loading
JP2012519114A (ja) 制御可能な浮力システム
KR101444851B1 (ko) 비상 부력 장치
CN202098540U (zh) 一种轮船上的安全气囊保护装置
US6612256B1 (en) Combination boat and distressed boat flotatio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100791547B1 (ko)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KR20080022642A (ko) 선체인양용 부력발생방법
US20140216320A1 (en) Ship with sinking prevention t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19084A (ko) 선박의 침몰 방지 시스템
CN106314707A (zh) 一种气囊式抗沉防倾覆装置
CN105711772A (zh) 船舶防侧翻装置
KR101661626B1 (ko) 선박의 자동 부력 공급 장치
KR101891552B1 (ko) 수상 구조물용 부력자동보상 기능을 가진 지능형 부력관
KR102202064B1 (ko) 부양 장치
KR101189594B1 (ko)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US20150060137A1 (en) Tender Barge for Drillship Operating in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KR102131246B1 (ko)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102086037B1 (ko)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KR200299797Y1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CN110104137A (zh) 充气增浮绳
JP2006316511A (ja) 空気式防舷材
KR20160139717A (ko) 선박의 자동 부력 제공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2027520B1 (ko) 착저형 부유식 구조물
JP2009161065A (ja) 小型船舶沈没防止用浮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