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431A -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431A
KR20140049431A KR1020120123535A KR20120123535A KR20140049431A KR 20140049431 A KR20140049431 A KR 20140049431A KR 1020120123535 A KR1020120123535 A KR 1020120123535A KR 20120123535 A KR20120123535 A KR 20120123535A KR 20140049431 A KR20140049431 A KR 20140049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conveyor
unit
ampu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297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CN201320642586.2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3624329U/zh
Priority to CN201310488013.3A priority patent/CN103771066A/zh
Priority to EP13189022.0A priority patent/EP2722828B1/en
Priority to ES13189022T priority patent/ES2775225T3/es
Priority to US14/056,647 priority patent/US10414576B2/en
Publication of KR2014004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4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박스는 앰플이 보관되는 복수의 단위셀을 구획하는 구획 격벽을 구비하는 구획부재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저장부; 상기 구획부재의 층 수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구획부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 단위셀의 하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셔터; 상기 셔터들이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낙하하는 앰플이 안착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착된 앰플을 배출구로 운반하여 불출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보충여부 판단수단; 및 상기 앰플보충 판단수단에 의하여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을 낙하시키는 앰플 보충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감지부를 통하여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센싱함으로써 앰플이 상호 충돌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있다.

Description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및 그 제어방법{Dispensing box for ampoule-shaped drug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앰플형 약제의 불출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을 선택하여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하는 확인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 씩 약제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약화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방안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적절한 시기에 앰플이 불출을 위하여 보충될 수 있도록 감지하고 제어하는 앰플형 약제의 불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앰플형 약제가 순차적으로 불출이 가능한 불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출을 위하여 낙하하는 앰플형 약제를 순차적이고 안정적으로 불출이 가능한 컨베이어 구조를 갖는 불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앰플형 약제들을 불출을 위한 낙하를 목적으로 하는 셔터 작동 타이밍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박스는 앰플이 보관되는 복수의 단위셀을 구획하는 구획 격벽을 구비하는 구획부재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저장부; 상기 구획부재의 층 수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구획부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 단위셀의 하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셔터; 상기 셔터들이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낙하하는 앰플이 안착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착된 앰플을 배출구로 운반하여 불출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보충여부 판단수단; 및 상기 앰플보충 판단수단에 의하여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을 낙하시키는 앰플 보충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앰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의 불출방향 말단에 앰플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충여부 판단수단은 상기 불출되는 앰플의 수를 산출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불출되는 앰플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충여부 판단수단은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불출된 앰플의 수를 합산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가 하나의 앰플을 배출하는 작동 범위를 하나의 스텝이라 가정할 때 상기 컨베이어의 스텝 수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충여부 판단수단은 상기 제3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스텝수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은 앰플 보충 시에 상기 저장부의 최하층을 기준으로 제1층을 개방시켜 상기 제1층에 보관된 앰플들을 낙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은 앰플 보충 후 상기 저장부의 최하층을 기준으로 제2층과 상기 제2층의 상부층들이 순차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들이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4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제어방법은 외부로부터 컨베이어에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전달 단계; 상기 외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앰플을 불출하는 앰플 불출 단계;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보충여부 판단단계;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 경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을 낙하시키도록 제어하는 앰플 보충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된 경우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상기 저장부를 앰플 보충 대기상태로 세팅하는 보충대기 세팅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충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앰플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충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불출된 앰플의 수의 합산치가 상기 컨베이어에 보충되는 앰플들의 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불출 앰플 수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앰플 보충 단계 이후에 상기 불출된 앰플의 수의 합산치를 초기화하는 불출수 초기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앰플 보충 단계에서는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상기 셔터 중 최하층의 셔터가 개방상태로 작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충대기 세팅 단계는,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최저층을 기준으로 제2층에 보관된 앰플들이 아래의 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제2층에 대응하는 셔터가 개방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보충대기 세팅 제1단계;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상기 제2층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보충대기 세팅 제2단계; 및 상기 제2층의 상부층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보충대기 세팅 제1단계 및 제2단계를 반복하는 보충대기 세팅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감지부를 통하여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센싱함으로써 앰플이 상호 충돌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보관된 앰플들을 불출 대기 상태에 위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효과적인 약제의 불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된 앰플형 약제가 셔터 드랍 방식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컨베이어에 낙하하고, 낙하한 앰플형 약제는 컨베이어의 작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불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앰플형 약제가 낙하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순차적으로 불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되어 있는 앰플형 약제들을 다양한 타이밍, 방식 및 형태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앰플형 약제들끼리의 충돌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약제의 불출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이 개방된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 및 셔터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 및 피감지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각각의 단위셀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 내지 도 21은 앰플형 약제가 불출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2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의 작동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는 앰플(ampoule)이나 비알(vial) 등과 같이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앰플형 약제(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玟?이라 함)를 불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장치는 저장부, 셔터, 구동부, 컨베이어, 배출구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는 다수의 앰플들이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다층 다열로 구획된 구성부이고, 셔터는 수직방향으로 각 저장칸들이 개폐될 수 있도록 작동시키는 구성부이며, 구동부는 셔터가 작동시키는 구성부이다. 컨베이어는 저장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낙하하는 앰플이 안착되고, 안착된 구성부들을 이송하는 구성부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각 구성부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하우징 및 잠금장치 관련 구성부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이 개방된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1)는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10)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0)은 하우징 본체(110), 전면부(120), 앰플 투입 게이트(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부(120)에는 앰플이 배출되는 배출구(121)가 구비되며, 후술할 컨베이어 등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기어(14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배출구(121)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배출구(121)의 단차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 하여 내측으로부터 불출되는 유리 재질의 앰플(ampoule) 또는 비알(vial)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일 측면에는 앰플을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앰플 투입 게이트(1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앰플 투입 게이트(130)는 일측이 힌지 등으로 고정된 상태로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플 투입 게이트(130)의 내측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이부(132)가 형성된다. 걸이부(132)는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는 걸림부(633)에 대응하는 구성부이다. 걸림부(633)에 관하여는 도 3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우징(10)의 내측에는 다수의 앰플(2)들이 수용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사전적 의미의 앰플 뿐 아니라 비알(vial)과 같이 유리 혹은 대체가능한 재질로 앰플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모든 약제가 수용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내측에는 상술한 걸이부(132)에 대응하는 잠금장치(60)가 구비된다. 잠금장치(60)는 걸이부(132)를 고정시키거나 릴리즈 시킴으로써 앰플 투입 게이트(130)가 잠기거나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잠금장치(60)는 잠금부(61), 제1 회동부(62) 및 제2 회동부(63)를 포함한다. 잠금부(61)는 하우징의 후면 내측에 구비된다. 잠금부(61)는 유효한 키(key) 등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잠금부(61)의 외주면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장반경 및 단반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제1 회동부(62)는 하우징의 후면 내측에 구비된다. 제1 회동부(62)는 제1 회전축(622)을 중심으로 제1 단부(621)와 제2 단부(623)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제1 회동부(62)의 제1 단부(621)는 잠금부(6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잠김 상태에서 제1 회동부(62)의 제1 단부(6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61)의 단반경 부분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제2 회동부(63)는 하우징의 측면 내측에 구비되며, 제2 회동부(63)의 제1 단부(631)는 상술한 제1 회동부(62)의 제2 단부(623)의 상부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제2 회동부(63)의 제1 단부(631) 및 제2 단부(633) 또한 제2 회전축(632)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잠김 상태에서는 상술한 앰플 투입 게이트(130)가 닫힌 상태에서 걸이부(132)가 제2 회동부(63)의 제2 단부(633)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제1 회동부(62)와 제2 회동부(63)를 통칭하여 회동력 전달부라 정의하고, 제2 회동부(63)의 제2 단부(633)를 특히 걸림부라 정의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열림 상태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잠금부(61)가 회동함에 따라 잠금부(61)의 장반경 부분이 제1 회동부(62)의 제1 단부(621)와 접하게 되고, 제1 단부(621)가 일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제1 회동부(62)의 제1 단부(621)가 잠금부(61)의 장반경 부분에 의하여 밀려나면서 제1 회전축(622)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제1 회동부(62)의 제2 단부(623) 또한 동일한 방향, 즉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2 회동부(63)의 제1 단부(631)가 제1 회동부(62)의 제2 단부(623)에 의하여 상부로 들어올려지면, 걸림부(633)는 제2 회전축(63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경우 걸림부(633)가 회동하여 아래로 내려감으로써 상술한 걸이부(132)가 잠김상태로부터 열릴 수 있도록 릴리즈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동부를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동부(20)는 후술할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구동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의 일 단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캠부(230)는 캠축(231), 제1 캠(232), 제2 캠(233) 및 제3 캠(234)를 구비한다. 제1 캠(232), 제2 캠(233) 및 제3 캠(234)은 각각 캠축(231)을 중심으로 장반경 부분과 단반경 부분을 갖도록 구비되며, 캠축(231)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한다. 모터(210)는 전력을 이용하여 물리적 회전력을 생성하며, 기어들(220)은 모터(210)로부터 생성된 회전력을 상술한 캠부(230)에 전달한다. 제1 캠(232), 제2 캠(233) 및 제3 캠(234)의 외주면은 각각 후술할 셔터들의 일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캠(232, 233, 234)들은 회전 시 순차적으로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이르는 셔터들을 순차적으로 밀어내도록 작동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저장부, 셔터 및 관련 구성부들을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 및 셔터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 및 피감지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0)는 다수의 구획부재(31)를 포함한다. 구획부재(31)는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복수개 구비되며, 각 구획부재들(31a, 31b, 31c)은 앰플이 보관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간부(313)를 구획한다. 이 때 각 공간부(313)를 구획하는 공간부(313) 사이의 부재를 구획 격벽(311)이라 한다. 또한 구획 격벽(311)들의 일측 하단부에는 하단으로 돌출되며 각 구획 부재(311)들을 연결하는 구획부재 지지부(314)가 형성된다. 구획 격벽(311)의 타측면에는 구획 격벽(311)을 연결하는 구획부재 측벽(312)을 구비한다. 구획부재 측벽(312)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구획부재(31)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획 부재(31)의 일 단부에는 수용홈(315)이 형성된다. 수용홈(315)은 후술할 탄성부재의 일 단부가 수용 및/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각 구획 부재들(31a, 31b, 31c)이 적층되는 경우 구획부재 지지부(314)에 의하여 각 구획 부재들(31a, 31b, 31c)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구획부재 지지부(314)와 각 구획 부재들(31a, 31b, 31c)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하여 후술할 셔터가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공간부를 셔터 수용부라 한다.
셔터(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하 방향의 관통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셔터(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앰플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된 게이트(43)들이 형성된다. 게이트(43)들의 단변은 앰플의 폭 보다 크고 상술한 구획부재의 공간부(313)의 폭 보다 같거나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각 게이트(43)들을 구획하는 부재를 앰플 지지부(41)라고 한다. 앰플 지지부(41)는 셔터(40)의 측면 부재간을 연결하며, 게이트(43)를 구획한다. 셔터(40)의 일 단부에는 돌출부(43)가 형성된다. 돌출부(43)의 내측에는 후술할 탄성부재가 수용 및/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홈(431)이 형성된다. 돌출부(43)의 타측면은 상술한 캠부(230)의 캠들(232, 233, 234)의 외주면에 접하게 된다. 즉, 캠들(232, 233, 234)의 회전 시에 캠들(232, 233, 234)의 장반경 부분에 의하여 돌출부(43)가 밀려서 셔터(40) 전체가 밀려 이동하게 된다.
한편, 셔터(40)의 일 단부에는 피감지부(44)가 형성된다. 피감지부(44)는 셔터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피감지부(44)는 후술할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됨으로써 셔터(40)가 이동했는지의 여부 또는 셔터(40)의 현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복수의 구획부재(31)가 적층된다. 각 구획부재들(31a, 31b, 31c)간의 간격과 구획부재 지지부(314)들로 정의되는 셔터 수용부 사이로 각각 셔터들(40a, 40b, 40c)이 삽입된다. 이 때 구획부재(31)의 인접하는 구획 격벽(311)들과 인접하는 셔터(40)의 앰플 지지부(41)는 단일 앰플이 저장될 수 있는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공간부를 단위셀(cell)이라 한다.
단위 셀(cell)의 단변의 길이는 상술한 셔터(40)의 단변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의 내측 일 측면에는 측벽 삽입홈(113)이 형성된다. 측벽 삽입홈(113)에는 상술한 구획부재 측벽(312; 도 7 참조)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측벽 삽입홈(113)은 하우징의 내측면에 일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주위에 단차부(112)를 형성함으로써 단차부(112) 내측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측벽 삽입홈(1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 삽입홈(113) 사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14)은 셔터(40)의 측면을 수용한 상태로 셔터(4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한편,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감지부(60)를 구비한다. 감지부(60)는 앞서 설명한 셔터(40)의 피감지부(44)의 이동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60)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제1 감지부(61)는 셔터(40)가 감지부(60)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하였을 때 피감지부(44)를 감지하고, 제2 감지부(62)는 셔터(40)가 감지부(60)측에 위치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는 경우에도 피감지부(44)를 감지함으로써 셔터(40)가 정상적으로 구비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60)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컨베이어를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컨베이어(50)는 낙하하는 앰플이 안착되고, 안착된 앰플을 장치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송하는 구성부이다. 컨베어어(50)는 컨베이어 벨트(52), 궤도축(512)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달 기어(511)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52)는 다시 벨트 본체(521)와 벨트 격벽(522)을 포함한다. 벨트 본체(521)는 궤도축(512)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무한 궤도 상을 회전한다. 벨트 격벽(522)은 벨트 본체(521) 상에 구비되어 앰플이 각각 안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획 및 형성한다. 벨트 격벽(522)들 간의 간격은 앞서 설명한 구획 부재의 구획 격벽(311ㅣ 도 7 참조)들 간의 간격 및 셔터의 앰플 지지부(41; 도 8 참조)들 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궤도축(512)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컨베이어(50)의 무한궤도 상의 두 회전축을 담당한다. 전달 기어(511)는 하우징의 전면에 도출되도록 구비되는 구동 기어(1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궤도축(512)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저장부의 각 단위셀들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작동방법 및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3은 각각의 단위셀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캠부(23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셔터(40)들의 앰플 지지부들(41a, 41b, 41c)이 상하로 인접하는 각 단위셀(cell)들 간을 가로막고 있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각 단위셀들 또는 각층이 폐쇄 또는 클로즈된 상태라고 정의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로부터 제2층의 셔터(40b)가 캠(233)에 의하여 밀려난 상태가 되고, 제2층의 셔터(40b)의 앰플 지지부(41b)들은 제2층 및 제3층의 구획 격벽(311b, 311c)들 사이로 밀려 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이 때의 제2층을 개방 또는 오픈된 상태라고 정의한다. 제1층 및 제3층은 여전히 폐쇄된 상태이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0)의 돌출부(43)와 인접하는 구획부재(31)의 일 단부 사이에는 탄성부재(45)가 구비된다. 탄성부재(45)는 양단이 돌출부(43)의 수용홈(431)과 구획 부재(31)의 수용홈(315)에 수용 및/또는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셔터(40)는 상술한 캠에 의하여 일측으로 밀려난 상태에서 탄성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45)는 셔터(40)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전기적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를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50)에 앰플이 추가적으로 보충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부와 앰플의 보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3 감지부(610)는 적외선 센서, 근접센서 등을 이용하여 컨베이어(50) 상에 앰플이 잔존하는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센싱한다. 이 때 제3 감지부(610)는 컨베이어(50) 중 불출 방향의 최말단 위치에서 앰플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출 방향의 최말단 위치에 앰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베이어(50) 상에 더 이상 앰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감지부(610)는 더 이상 앰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앰플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의미의 신호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제4 감지부(620)는 상술한 배출구(121)를 통하여 불출되는 앰플을 직접적으로 센싱한다. 제4 감지부(620)가 불출되는 앰플을 센싱하여 앰플이 불출될 때마다 제어부(70)로 앰플이 불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제5 감지부(630)는 동력 전달부(511), 즉 동력 전달을 위한 기어들이나 궤도축의 회전수를 센싱한다. 앰플 하나를 불출하기 위하여 기어나 궤도축은 일정한 회전수만큼을 회전하여야 한다. 이러한 앰플 하나의 불출을 위하여 필요한 회전수를 한 스텝이라 정의한다. 제5 감지부(630)는 스텝수를 센싱하여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제3 내지 제5 감지부들(610, 620, 630)은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구비하여 컨베이어(50) 상의 앰플 보충의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정확성을 위하여 둘 이상의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70)는 보충여부 판단수단(710)과 앰플 보충 제어수단(720)을 포함한다. 보충여부 판단수단(710)은 제3 감지부(610)로부터 컨베이어(50) 상에 더 이상 앰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받는 경우 앰플의 보충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충여부 판단수단(710)은 제4 감지부(6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총 불출된 앰플의 수를 산출하고, 불출된 앰플의 수가 보충되는 앰플의 총 수에 도달하였을 때 앰플의 추가적이 보충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충여부 판단수단(710)은 제5 감지부(630)로부터 스텝이 진행될 때마다 또는 스텝 수를 전달받아 불출된 앰플의 수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앰플의 보충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앰플 보충 제어수단(720)은 앰플보충 판단수단(710)에 의하여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저장부(30)로부터 컨베이어(50) 상에 앰플을 낙하시키도록 구동부(2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앰플보충 제어수단(720)을 중심으로 앰플형 약제 불출박스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앰플형 약제 불출박스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1은 앰플형 약제가 불출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2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의 작동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앰플(2)들이 수용된 초기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컨베이어(50) 상에도 앰플(2)들이 투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50)는 외부의 동력을 이용하여 작동한다. 컨베이어(50)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불출되기 시작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출 방향의 최말단의 앰플부터 외부로 불출되기 시작한다. 컨베이어(50) 상에 위치한 앰플들이 모두 배출되고 난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가 앰플의 보충이 필요함을 판단하고 앰플 보충을 위한 제어를 시작한다.
앰플의 보충이 시작되면, 제어부는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저장부(30)의 제1층이 오픈되도록 제어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캠(234)가 일 방향(D1)으로 회전하여 제3 셔터(43c)가 불출방향(D2)으로 밀리게 되면, 저장부(30)의 제1층(30c)이 오픈된다. 저장부(30)의 제1층(30c)이 오픈되면 제1층(30c)에 저장되어 있던 앰플들이 컨베이어(50) 상으로 낙하하여 앰플의 보충이 완료된다. 앰플의 보충이 완료되면, 앰플의 보충 여부를 위하여 합산했던 스텝수나 앰플의 불출수를 초기화 한다.
이후 제어부는 저장부(30)를 보충 대기 상태로 세팅할 수 있다. 보충 대기 상태는 재차 컨베이어(50) 상으로 앰플이 보충될 수 있도록 각 층의 앰플 들을 최 하층으로부터 차례로 채우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230)를 상술한 일 방향(D1)으로 더 회전시켜 저장부(30)의 제2층(43b)이 불출방향(D2)으로 밀려나 오픈되도록 제어한다. 제2층(43b)이 오픈되면 제2층(43b)에 보관되어 있던 앰플들이 낙하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230)를 상술한 일 방향(D1)으로 더 회전시켜 저장부(30)의 제3층(43a)이 불출방향(D2)으로 밀려나 오픈되도록 제어한다. 제3층(43a)이 오픈되면 제3층(43a)에 보관되어 있던 앰플들이 아래로 낙하한다.
한편, 제1층에 수용되어 있는 앰플들은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낙하하여야 한다. 반면, 제2층 이상의 앰플들은 다양한 타이밍에 낙하할 수 있다. 컨베이어의 작동여부와는 상관없이 캠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 순차적으로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을 오픈 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2층 이상의 앰플들이 순차적으로 낙하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리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출 박스 내에 앰플이 보충(S10) 상태에서 외부 동력이 전달되면(S20)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있는 앰플들의 불출이 진행된다(S30). 각 앰플들이 불출될 때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상에 앰플을 보충해야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S40), 컨베이어 상에 앰플을 보충해야하는 경우에는 저장부를 최하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개방 및 폐쇄함(S50)으로써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도록 하고, 저장부의 하층으로 앰플들이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불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10: 하우징 20: 구동부
30: 저장부 40: 셔터
50: 컨베이어

Claims (15)

  1. 앰플이 보관되는 복수의 단위셀을 구획하는 구획 격벽을 구비하는 구획부재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저장부;
    상기 구획부재의 층 수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구획부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 단위셀의 하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셔터;
    상기 셔터들이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낙하하는 앰플이 안착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착된 앰플을 배출구로 운반하여 불출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보충여부 판단수단; 및
    상기 앰플보충 판단수단에 의하여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을 낙하시키는 앰플 보충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앰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의 불출방향 말단에 앰플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여부 판단수단은 상기 불출되는 앰플의 수를 산출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불출되는 앰플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충여부 판단수단은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불출된 앰플의 수를 합산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가 하나의 앰플을 배출하는 작동 범위를 하나의 스텝이라 가정할 때, 상기 컨베이어의 스텝 수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충여부 판단수단은 상기 제3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스텝수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은 앰플 보충 시에 상기 저장부의 최하층을 기준으로 제1층을 개방시켜 상기 제1층에 보관된 앰플들을 낙하시키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은 앰플 보충 후 상기 저장부의 최하층을 기준으로 제2층과 상기 제2층의 상부층들이 순차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들이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4 감지부를 포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10. 외부로부터 컨베이어에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전달 단계;
    상기 외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앰플을 불출하는 앰플 불출 단계;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보충여부 판단단계;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되어야 하는 경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을 낙하시키도록 제어하는 앰플 보충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보충된 경우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상기 저장부를 앰플 보충 대기상태로 세팅하는 보충대기 세팅 단계;를 포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앰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앰플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불출된 앰플의 수의 합산치가 상기 컨베이어에 보충되는 앰플들의 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불출 앰플 수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보충 단계 이후에 상기 불출된 앰플의 수의 합산치를 초기화하는 불출수 초기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보충 단계에서는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상기 셔터 중 최하층의 셔터가 개방상태로 작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대기 세팅 단계는,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최저층을 기준으로 제2층에 보관된 앰플들이 아래의 층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제2층에 대응하는 셔터가 개방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보충대기 세팅 제1단계;
    상기 앰플 보충 제어수단이 상기 제2층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보충대기 세팅 제2단계; 및
    상기 제2층의 상부층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보충대기 세팅 제1단계 및 제2단계를 반복하는 보충대기 세팅 제3단계를 포함하는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제어방법.
KR1020120123535A 2012-10-17 2012-11-02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00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20642586.2U CN203624329U (zh) 2012-10-17 2013-10-17 安瓿型药剂发放箱
CN201310488013.3A CN103771066A (zh) 2012-10-17 2013-10-17 安瓿形药剂发放箱
EP13189022.0A EP2722828B1 (en) 2012-10-17 2013-10-17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ES13189022T ES2775225T3 (es) 2012-10-17 2013-10-17 Caja dispensadora para ampolla contenedora de medicamento
US14/056,647 US10414576B2 (en) 2012-10-17 2013-10-17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448 2012-10-17
KR20120115448 2012-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431A true KR20140049431A (ko) 2014-04-25
KR102000297B1 KR102000297B1 (ko) 2019-10-01

Family

ID=506550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534A KR102000296B1 (ko) 2012-10-17 2012-11-02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KR1020120123535A KR102000297B1 (ko) 2012-10-17 2012-11-02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534A KR102000296B1 (ko) 2012-10-17 2012-11-02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00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3154A (zh) * 2021-05-15 2023-03-21 新乡医学院第三附属医院 一种可打包粘标的自动发药机
CN117800001A (zh) * 2024-02-20 2024-04-02 沧州慧储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药柜自动取药机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975A (ja) * 1994-11-10 1996-05-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穀物用貯蔵乾燥タンクにおける穀物の自動排出装置
JP2006131323A (ja) * 2004-11-04 2006-05-25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バイアル瓶の供給装置
KR20070017528A (ko) * 2004-05-19 2007-02-1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 불출 장치
WO2009023632A1 (en) * 2007-08-13 2009-02-19 Mts Medication Technologies, Inc. High speed automated filling of solid pharmaceutical product packaging via a conveyor system
KR20090028055A (ko) * 2007-09-13 2009-03-18 최병훈 과일이송장치
KR20120105337A (ko) * 2011-03-15 2012-09-25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064B1 (ko) * 2004-04-13 2006-01-10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용 정제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975A (ja) * 1994-11-10 1996-05-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穀物用貯蔵乾燥タンクにおける穀物の自動排出装置
KR20070017528A (ko) * 2004-05-19 2007-02-1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 불출 장치
JP2006131323A (ja) * 2004-11-04 2006-05-25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バイアル瓶の供給装置
WO2009023632A1 (en) * 2007-08-13 2009-02-19 Mts Medication Technologies, Inc. High speed automated filling of solid pharmaceutical product packaging via a conveyor system
KR20090028055A (ko) * 2007-09-13 2009-03-18 최병훈 과일이송장치
KR20120105337A (ko) * 2011-03-15 2012-09-25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296B1 (ko) 2019-07-15
KR102000297B1 (ko) 2019-10-01
KR20140049430A (ko) 201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2828B1 (en)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CA2533265C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and tablet case
US7344049B2 (en) Device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JP5027926B2 (ja) 自由形状錠剤の自動排出器の数量調節モジュール及び錠剤供給方法
EP1852351A1 (en) Tablet filling device
RU2700922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дач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в автоматическом устройстве дозирова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JP2011116564A (ja) 注射薬供給装置
JP2007007443A (ja) 薬剤払出し装置
KR102000296B1 (ko)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JP2010035683A (ja)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KR20150044127A (ko) 앰플형 약제 불출 박스
ES2775225T3 (es) Caja dispensadora para ampolla contenedora de medicamento
KR101994626B1 (ko) 약제 포장장치
JP4546710B2 (ja) 薬剤払出し装置
JP3880823B2 (ja) 薬剤供給ユニット
KR20160083480A (ko) 약제 불출 박스
JP4968314B2 (ja) 薬剤払出し装置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20150145859A (ko) 약제 불출 장치
KR102458356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KR20140049433A (ko) 블리스터 포장 약제 불출 박스
JPH08198434A (ja) 薬剤の払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70049785A (ko) 의약품 불출 장치
JP2006223538A (ja) 薬剤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