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937A - 안전밸브의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밸브의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937A
KR20140048937A KR1020147001350A KR20147001350A KR20140048937A KR 20140048937 A KR20140048937 A KR 20140048937A KR 1020147001350 A KR1020147001350 A KR 1020147001350A KR 20147001350 A KR20147001350 A KR 20147001350A KR 20140048937 A KR20140048937 A KR 2014004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time
pressure switch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217B1 (ko
Inventor
알로이스 쿼트맨
울릭 엥글말
올리버 볼그맨
Original Assignee
엘스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스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스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4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7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밸브의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가능한 2개 밸브(V1, V2)의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밸브들은 시험체적의 반대편 말단 부(opposite ends of a test volume)(10)에 위치한다. 밸브 V1 앞의 유입구 압력 pe 는 시험체적 상류의 현재 압력이고, 밸브 V2 뒤의 배출구 압력 pa 는 시험체적 하류의 현재 압력이다. 제어장치는 밸브의 개폐를 트리거링 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압력 모니터링(pressure monitoring)을 위하여 시험체적에 따라 작동되는 적어도 2개의 압력 스위치(26, 27)에 연결되는데, 제1 압력 스위치를 제1트리거링 드레숄드 즉, d1=pe/x(단, x≥3)에 설정하고, 그리고 제2압력 스위치를 제2트리거링 드레숄드 즉, d2=pe(1-1/x)에 설정한다. 밸브는 시간 tL1 동안 이후의 절차를 개방하고 개방 후에 닫도록 제어된다. 측정 시간 tM1이 경과하고 제1압력 스위치가 체크된다. 이후 두 번째 밸브가 다시 한번 개폐되고, 제2압력 스위치가 체크된다.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밸브의 기능적 작동이 확인된다.

Description

안전밸브의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방법{A method for checking the leakproofness of safety valves}
본 발명은 가스 라인에서 제어 가능한 밸브의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스 밸브에서의 누출을 알아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스 밸브는 여분의 안전밸브(as redundant safety valves)로서 가스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가스 밸브를 말한다.
산업용 열공정 플랜트를 위해 사용되는 가스라인에서의 안전장치에 관한 설계 및 구성과 관련하여 많은 안전규칙과 기준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규정들의 예로서, DIN EN 746-2에 따라 가스로 가열되는(gas-heated) 산업용 열공정 플랜트의 용광로(furnace) 및 연료취급 시스템 상에 적용되는 안전관련 규정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규정에 의하면, 버너의 (재)가동 전에 일반적으로 연소 챔버(combustion chamber)를 가스포화 전처리(pre-aeration)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외가 허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만일 버너가 동시에 폐쇄되는 2개의 밸브 및 하나의 누출방지 확인장치(밸브 모니터링 시스템)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셧-다운(shut down) 후에 재가동을 위한 가스포화 전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누출여부의 확인은, 밸브 중 어느 하나의 누수가 작동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체크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차단밸브(shut-off valves)를 구비한 라인부의 자동화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작동한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다양한 방법의 누출방지 테스트가 알려져 있다. 밸브 모니터링 시스템의 밸브는 가스라인을 따라 서로 다른 2개의 위치, 즉 시험체적의 상류 및 하류에 배치된다. 가스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양쪽 2개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누출방지의 체크를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 압력 스위치(pressure switch)는 주로 밸브 사이에 있는 가스라인에 설치되는데, 상기 압력 스위치는 현재 상류의 유입구 압력(inlet pressyre)과 현재 하류의 배출구 압력(outlet pressure) 사이의 압력 범위 내에서 트리거링 포인트(triggering point)를 갖는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상이한 트리거링 압력(triggering pressures)을 가진 2개의 압력 스위치가, 밸브 사이의 가스라인에 설치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밸브가 시험체적의 반대 끝 부분에 위치한 것으로, 2개의 제어가능한 밸브에서 누출방지를 테스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시험체적의 상류에 해당하는 유입구 측면 즉, 밸브 V1의 앞에 유입구 압력 pe 가 존재한다. 시험체적의 하류에 해당하는 배출구 측면 즉, 밸브 V2의 뒤에 배출구 압력 pa 가 존재한다. 연소시설의 경우, 시험 체적에서의 압력은 pz이고, pe>pa로서 유입압력이 배출압력보다 크다. 이때, 각 압력의 크기 비(size ratio)는 pe ≥ pz ≥ pa 이다.
제어장치(control device)는 개폐를 트리거링 하기 위하여 밸브와 결합되며, 또한 압력 모니터링을 위하여 시험체적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압력스위치에 연결된다.
공개특허 DE19831067는, 스타트-업(start-up)하는 동안 적어도 제2가스밸브가 누출방지에 관하여 체크되고 그리고 버너가 셧-다운하는 동안(shut-down) 적어도 제1가스밸브가 체크되는 가스밸브의 누출방지 확인 방법을 개시한다.
공개특허US6057771A는 밸브에서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 스위치를 구비한 2개 밸브 사이의 라인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밸브 폐쇄시, 주변 열에 의한 가열이 존재할 경우 라인에 갇혀있는 유체는 압력 증가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증가가 탐지되지 않는다면, 밸브 블로킹의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결함 원인은 기술장비를 고려한 테스트 횟수에 있다. 특히, 체적 및 플랜트 규모가 큰 경우에, 한편으로는 밸브 사이에서 체적으로의 유입구 압력을 적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험체적 하류에서 압력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의 테스트 기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차는 밸브의 적절한 블로킹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라 압력 스위치가 사용되는 방법 및 셋-업(set-up)을 나타낸다.
제2도는 제1도의 방법에 관한 플로우 차트(flow chart)를 나타낸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누출방지 체크 시스템의 셋업을 나타낸다.
제4도는 제3도의 방법에 관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개선된 누출방지의 체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며, 이러한 방법은 누출여부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으면서도 테스트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1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본 발명의 한 구체예는 최적화된 누출방지 체크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제1 압력 스위치(first pressure switch)에, d1=pe/x, x>2 인 제1 트리거링 드레숄드(first triggering threshold) d1이 설정된다. 파라미터 x는 유입구 압력의 분압(fraction of the inlet pressure)을 의미하며 반드시 정수(integer value)가 아니어도 되며, 임의의 값(arbitrarily value)을 가질 수 있다.
제2 압력 스위치(second pressure switch)에는, d2=pe(1-1/x)인, 제2 트리거링 드레숄드(second triggering threshold) d2가 설정된다. 상기 트리거링 드레숄드들은 기본으로 유입구 압력의 절반 부근에서 대칭되는 값을 갖는데 즉, 어느 하나가 유입구 압력의 절반값에 비하여 감소되면 다른 하나는 유입구 압력의 절반에 대하여 그 값만큼 증가된다. 실제로 이러한 대칭 배열은 수학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트리거링 드레숄드에 적합한 값은 일반적인 허용 한도 내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설정은 시스템 셋업(set up)시 한번 실행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방법이 실행될 때마다 재실행될 필요가 없다.
2개의 밸브는 누출방지 여부를 체크하는 시작점에서 셧-오프 위치(shut-off position)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에 설명되는 스텝들의 2개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될 수 있는데(alternatively executed), 상기 스텝의 시퀀스들(step sequences)은 동일한 스텝들을 포함하지만, 후자는 다른 순서로서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스텝 시퀀스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하지만, 선택되는 스텝 시퀀스에 의존하여, 처음의 선택 (initial selection)이 추가적인 시간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제1스텝 시퀀스에 의할 때, 시간 tL1 동안 이후의 절차를 개방하고 개방 후에 닫기 위하여 밸브 V1이 처음으로 트리거링된다. 측정 시간 tM1이 경과된 후 제2 압력 스위치가 체크된다. 만일 pz<d2 라면, 허용할 수 없는 압력강하(inadmissible pressure drop)가 밸브 V1 및 V2에서 발생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스는 밸브 V2의 누출을 인지하는데 실패한 것이다.
만약 평가 결과가 pz≥d2인 경우, 즉 테스트 구간의 압력이 제1 센서의 트리거링 드레숄드를 상회하는 경우, 밸브 V2가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밸브 V2의 트리거링은 시간 tL2 동안 이후의 절차를 개방하고 개방 후에 닫기 위하여 발생한다. 측정 시간 tM2 이 또 경과된 후, 제1압력 스위치가 체크된다. 만일 pz>d1 라면, 상기 프로세스는 밸브 V1의 누출을 인지하는데 실패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밸브 V2를 통한 이전의 압력 제거(previous pressure release)에도 불구하고 허용치를 초과하는 압력 증가(pressure increase above an inadmissible value)가 발생한 것이다.
그러나, 만일 pz≤d1 라면, 상기 누출방지 확인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2 스텝 시퀀스에 의할 때, 프로세스는 다른 순서로 실행된다.
처음으로, 시간 tL2동안 이후의 절차를 개방하고 개방 후에 이를 닫기 위하여 밸브 V2가 트리거링 된다. 측정시간 tM2가 경과된 후, 제1압력 스위치가 체크되고, 그리고 pz>d1 이라면 프로세스는 밸브 V1의 누출을 인지하는데 실패한 것이다.
반면에, 만일 pz≤d1라면, 밸브 V1 은 tL1 시간 동안 이후의 절차를 개방하고 그리고 나서 이를 닫기 위해 트리거링 된다. 다시 한 번, 측정시간 tM1 이 경과된다. 이후 제2압력 스위치가 체크되고, 그리고 pz<d2 라면 프로세스는 밸브 V2의 누출을 인지하는데 실패한 것이다.
프로세스 실패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밸브가 올바르게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측정 시간 tM1 및 tM2이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것과 비교하여 상당히 짧아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센서의 트링거리 수치가 유입구 압력의 절반값 부근에서 대칭적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기의 측정 시간들은 tM1=tM2=tM일 것이다. 2개의 압력 스위치가 안전밸브 사이의 시험체적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과, 그리고 제2 스위치는 서로 다르면서도 기본적으로 유입구 압력의 절반에 관해 대칭적인 스위칭 포인트를 갖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보다 빠른 누출방지 테스트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때, 예를 들어 제1압력 스위치가 유입구 압력의 1/4 되는 만큼의 트리거링 드레숄드를 갖는다면, 제2압력 스위치는 대략 유입구 압력의 3/4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유입구 압력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배출구 압력에 대한 상기와 같은 트리거링 드레숄드의 접근법이 압력 스위치를 이용한 누출 감지의 감도를 더 높일 수 있게 함을 즉시 알 수 있다.
시스템 내에 누출이 존재하는 한, 단일의 압력 스위치 또는 복수로서 여분의 압력 스위치를 갖고 있는 경우보다 상기 언급된 드레숄드가 더욱 빠르게 초과되거나 떨어진다. 따라서, 측정 시간 tM 이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스텝들의 시퀀스는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각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의 상태 함수로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출방지 체크는, 그 체크가 시작될 때에, 제1트리거링 드레숄드가 초과되었음을 즉, pz>d1임을 제1압력 스위치가 나타 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이러한 경우, 제1스텝 시퀀스가 실행된다.
만일, 누출방지 체크의 시작에 있어서, 제1압력 스위치가 제1트리거링 드레숄드가 초과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 즉, pz ≤ d1임을 나타내는 경우, 제2스텝 시퀀스가 실행된다.
또한, 프로세스 시작에 있어서 밸브 체크의 시퀀스는 시스템의 상태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신뢰도에 대한 악영향 없이 시간 절약이 확보된다. 밸브 사이의 압력 비에 의존하기 때문에, 밸브 V1의 누출방지 또는 밸브 V2의 누출방지가 처음으로 체크된다. 또한, 시험체적이 배출구 압력의 압력 레벨에서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압력 스위치들 중 하나에 의해 체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상류에 위치하고 입구 압력이 작용하는 밸브 V1이 우선적으로 체크된다. 그러나, 시험체적 내의 압력이 이미 배출구 압력에 비하여 상당히 증가하였다면, 하류에 위치하고 배출구 압력에 대해 차단하는 밸브 V2의 누출방지가 먼저 체크된다.
트리거링 드레숄드의 선택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측정 시간의 상당한 감축이 달성될 수 있으며, 압력 스위치의 트리거링 드레숄드가 반대편 밸브상의 압력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오인식의 위험(risk of misrecognitions) 또한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드레숄드에 있어, 이와 관련된 파라미터 x의 값을 x < 10으로 분명히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팩터(factor) 및 이와 관련된 측정 시간 tM은 시스템 및 플랜트의 설계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팩터 x가 더 큰 값으로 선택될수록, 측정 시간은 더욱 짧아진다.
가스이송 시스템(gas-conveying system) 내의 누출과 관련된 기술표준 및 조건사항은 특정의 제한 밸브(specific limiting valve)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다. 측정시간 tM 은 압력 스위치의 스위칭 정밀도(switching precision of the pressure switches), 안전밸브 사이의 시험체적,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압력차 및 가스라인의 단면뿐 아니라, 시스템의 그 외 설계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유입구 및 배출구 사이의 압력 값에 대해 대략 절반 값으로 함수가 설정된 압력 스위치의 경우보다, 상기 압력 스위치의 트리거링 드레숄드에 관한 대칭적 선택이 보다 빠르게 시험체적 내의 과도한 압력 증가 또는 감소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훨씬 빠른 누출방지 체크를 위한 프로세스가 제공되는 것이다.
청구항 1로부터, 스위치 된 밸브에 따라 측정 시간 및 밸브의 개방시간이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양쪽 밸브 모두에 대해 동일한 측정 시간과 개방 시간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몇 개의 파라미터만 설정하면 되므로 시스템의 설계는 매우 간단하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도는 2개의 차단 밸브 V1 및 V2를 구비한 누출방지 체크 장치를 나타낸다. 시험구간(test section, 10)은 차단 밸브 V1 및 V2 사이에 형성된다. 공급라인(15)이 장치의 유입구 측에 위치하여, 밸브 V1은 시험구간(10)과 공급라인(15)사이에 놓인다. 밸브 V2는 시험구간(10)과 배출라인(20) 사이에 위치하며 버너장치와 같은 가스 소비처로 향한다.
공급라인(15)내의 현재 유입구 압력은 pe이다.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25)가 시험구간(10)의 체적과 연결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장치에 있어, 압력 센서의 스위칭 포인트(switching point)는 유입구 압력의 절반 즉, pe/2로 설정된다. 시험구간(10)의 현재 압력은 pz 로 나타낸다.
제2도는 장치 1에 따른 테스트 프로그램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러한 테스트의 절차는 3개 구간 즉, 최초 대기시간, 밸브 개방시간 및 테스트 시간을 통해 이뤄진다.
상기 프로그램이 시작된 후에, 스텝(50)에서 대기시간 tw 가 처음으로 경과된다. 이후 압력 스위치(25)의 상태가 체크되고, 그리고 만일, 시험구간(10) 내의 압력 pz가 유입구 압력 pe 의 절반보다 큰 경우, 프로그램 시퀀스 A가 이어지고, 다른 한편으로 유입구 압력 pe 의 절반보다 크지 않은 경우라면, 스위치는 프로그램 B를 실행되게 한다.
지금까지, 대기시간 경과 후 시험구간에서의 압력이 유입구 압력의 절반보다 큰 경우, 시험구간 하류에 위치한 압력 밸브 V2의 오작동 여부가 스텝(60a)에서 확인된다. 스텝(65a)에서 상기 밸브 V2는 트리거링 되어 개방위치(opening position)에 자리하고, 몇 초간, 대략 2초간의 개방시간 tL 이 경과되고, 스텝 (75a)에서 상기 밸브가 다시 트리거링 되어 폐쇄위치(closed position)에 자리한다. 스텝 (80a)에서 측정시간 tM 이 경과되고, 스텝(85a)에서 시험구간에서의 압력이 유입구 압력의 절반보다 큰가를 체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밸브를 통해 시험구간의 압력증가가 체크되기 때문에, 스텝(90a) 에서 밸브 V1의 흠결여부가 확인된다. 시험구간의 압력이 유입구 압력의 절반보다 계속 작은 경우, 스텝(95a)에서 밸브 V1의 기능 또한 확인된다.
시험구간에서의 압력이 유입구 압력의 절반을 처음 초과하는 때에 선택되는 프로그램 B가 유사하게 작동하는데, 그러나 스텝(60b)에서는 처음으로 밸브 V1이 적절히 기능하는지가 추정된다. 스텝(65b, 70b 및 75b)에서 밸브 V1의 개폐가 이루어진 후에, 스텝(80b)에서 측정시간이 경과되고, 그리고 나서 밸브 V2가 누출방지 요건을 만족하는지가 체크되고 시험구간 내의 압력이 유지된다.
상기 누출방지의 체크는, 특히 큰 체적을 테스트하는 경우, 유입구 압력의 절반에 대해 하나의 압력 스위치 세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유입구 압력의 절반 부근에서 대칭적인 스위칭 포인트를 구비한 2개의 압력 센서가 적용된 제3도의 설계가 제안되었다. 해당 실시예에서, 하나의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26)는 pe/4인 스위칭 포인트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의 압력 센서(27)는 3/4pe 인 스위칭 포인트로 설정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해당 발명을 실시하면, 스텝(150)에서 압력 센서(26)가 시험체적 Vp 내의 압력 pz 가 유입구 압력 pe 의 1/4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이 경우,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의 좌측 브랜치(left-hand branch)에서 계속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밸브 V1은 스텝(160a)에서 개방되고, 스텝(165a)에서 개방시간 tL1동안(예를 들어 몇 초간) 개방상태를 유지한 뒤에, 스텝(170a)에서 다시 폐쇄된다. 이후, 측정시간 tM1이 스텝(175a)에서 경과된다. 상기 측정시간은 장치 설계 및 관련 규정에 의존적이다. 가스공급 라인을 통한 최대 체적유량에 따라, 유입구 압력 및 다른 파라미터 상에서, 단위시간당 압력 강하가 법 규정에 맞추어 측정시간과 함께 선택된다. 이러한 시간과 관련된 선택은 유입구 압력의 절반 부근에서 대칭적으로 설치된 장치의 스위칭 포인트로 변환된다. 계산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다. 더 작은 절대압력 변화(absolute pressure change)만이 모니터링 되기 때문에, 따라서 스텝(175a)에서 측정시간은 도 2의 스텝(80a 및 80b) 측정시간보다 훨씬 짧다. 스텝(180a)에서 시험체적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pz 가 유입구 압력의 3/4 보다 큰 값을 계속 갖는지가 확인되면, 밸브 V2의 결함없는 기능이 스텝(185a)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결함있는 밸브 V2의 경우 압력 pz 및 pa 의 압력차 측정시간 tM에서 누설을 보이고 이는 압력 pz 가 3/4 pe의 값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텝(180a)에서 상기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V2의 오류가 스텝 (190a)에서 확인되고 에러 메시지와 함께 상기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스텝(185a) 이후에, 스텝(195a)에서 밸브 V2 가 트리거링 되어 개방되고 그리고 스텝(200a)에서 개방시간 tL2동안(예를 들어 2초 동안) 개방상태가 유지되고, 체적 Vp와 배출구측 사이의 압력균등 (pressure equalization)을 가능하게 한다. 스텝(205a)에서, 밸브 V2는 다시 폐쇄되고 그리고 스텝(210a)에서 측정시간 tM2 이 경과한다. 이제 센서(26)에 의해 시험체적의 현재 압력이 유입구 압력의 1/4보다 큰 지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밸브 V1의 결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 압력의 절반이 아닌 1/4의 압력 증가가 탐지되기 때문에, 스텝(210a)에서의 측정 시간 tM2은 다시 제1도 및 제2도에서 요구된 측정 시간 tM 보다 훨씬 작은 시간을 갖게 되는 것이다.
신뢰도의 변화 없이 측정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오로지 유입구 압력의 절반 부근로서 대칭적으로 분포된 스위칭 포인트를 갖는 복수인 압력센서의 배치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4도에서 프로세스의 우측 브랜치(right-hand branch)는 시험체적 내 낮은 압력의 존재가 처음으로 확인되는 때에 행해진다. 이후 밸브 V1의 체크가 시작되고 그리고 밸브 V2의 기능이 순차적으로 체크된다. 스텝(195a)에서 스텝(210a)은 스텝(160b)에서 스텝(175b)에 대응한다. 반대로, 스텝(195b)에서 스텝(215b)은 스텝(160a)에서 스텝(180a)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근 방법은, 안전규정을 어기거나 이를 손상하지 않으면서 누출방지 여부의 체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오히려, 시스템 전체로서 더욱 민감하고 더욱 신뢰할 수 있도록 누출에 반응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의할 때, 압력의 증가, 예를 들어 꽉 잠겨있지 않은(non-tight) 밸브 V1의 존재 하에서, 유입구 압력의 1/4 로 체적 Vp 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이 유입구 압력의 1/4로부터 1/2까지로 압력 증가보다 빨리 발생한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압력균등에 소요되는 시간은 분명히 균등화되는 압력의 차이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소개된 방법은 시스템의 개별 기능에 초점이 맞춰진 극도로 민감하며 신뢰할 수 있는 누출방지의 체크를 보장한다.

Claims (5)

  1. 제어가능한 2개 밸브의 누출방지 체크방법으로서, 상기 밸브는 시험체적의 반대편 말단 부(opposite ends of a test volume)에 위치하고, 밸브 V1 앞의 유입구 압력 pe 는 시험체적 상류의 현재 압력이고, 밸브 V2 뒤의 배출구 압력 pa 는 시험체적 하류의 현재 압력으로 pe>pa이며, 시험체적 내의 압력은 pz 이고,

    제어장치는 밸브의 개폐를 트리거링 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압력 모니터링(pressure monitoring)을 위하여 시험체적에 따라 작동되는 적어도 2개의 압력 스위치에 연결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압력 스위치를 제1트리거링 드레숄드 즉, d1=pe/x(단, x≥3)에 설정하고; 그리고
    제2압력 스위치를 제2트리거링 드레숄드 즉, d2=pe(1-1/x)에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각 밸브의 누출방지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 하기 2개의 단계 시퀀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실행되며, 그 결과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밸브의 기능적 작동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가능한 2개 밸브의 누출방지 체크방법:

    제1단계 시퀀스(first step sequence):
    - 시간 tL1 동안 이후의 절차를 개방하고 개방 후에 닫기 위하여 밸브 V1을 트리거링 하고,
    - 측정 시간 tM1동안 대기하고,
    - pz<d2인 경우 밸브 V2의 누출을 인지하여 프로세스의 오작동과 제2압력 스위치를 체크하고,
    - 시간 tL2 동안 이후의 절차를 개방하고 개방 후에 닫기 위하여 밸브 V2를 트리거링 하고,
    - 측정 시간 tM2동안 대기하고, 그리고
    - pz>d1인 경우 밸브 V1의 누출을 인지하여 프로세스의 오작동과 제1압력 스위치를 체크하는 단계;

    제2단계 시퀀스(second step sequence):
    - 시간 tL2 동안 이후의 절차를 개방하고 개방 후에 닫기 위하여 밸브 V2를 트리거링 하고,
    - 측정 시간 tM2동안 대기하고,
    - pz>d1인 경우 밸브 V1의 누출을 인지하여 프로세스의 오작동과 제1압력 스위치를 체크하고,
    - 시간 tL1 동안 이후의 절차를 개방하고 개방 후에 닫기 위하여 밸브 V1을 트리거링 하고,
    - 측정 시간 tM1동안 대기하고,그리고
    - pz<d2인 경우 밸브 V2의 누출을 인지하여 프로세스의 오작동과 제2압력 스위치를 체크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 시퀀스는 누출 방지를 체크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1압력 스위치가 Pz>d1 즉, 제1 트리거링 드레숄드가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실행되고,
    제2단계 시퀀스는 누출 방지를 체크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1압력 스위치가 Pz≤d1 즉, 제1 트리거링 드레숄드가 초과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가능한 2개 밸브의 누출방지 체크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X는 x<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가능한 2개 밸브의 누출방지 체크방법.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 시간 tM1=tM2 이고, 개방시간 tL1=tL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가능한 2개 밸브의 누출방지 체크방법.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후에, 다른 압력 스위치가 동일한 파라미터 X에 대해 자연히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가능한 2개 밸브의 누출방지 체크방법.

KR1020147001350A 2011-06-27 2012-06-26 안전밸브의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방법 KR101963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71567.8 2011-06-27
EP11171567.8A EP2541224B1 (de) 2011-06-27 2011-06-27 Verfahren zur Dichtheitskontrolle von Sicherheitsventilen
PCT/EP2012/062378 WO2013000921A1 (de) 2011-06-27 2012-06-26 Verfahren zur dichtheitskontrolle von sicherheitsvent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937A true KR20140048937A (ko) 2014-04-24
KR101963217B1 KR101963217B1 (ko) 2019-03-28

Family

ID=4487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350A KR101963217B1 (ko) 2011-06-27 2012-06-26 안전밸브의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80923B2 (ko)
EP (2) EP2541224B1 (ko)
JP (1) JP5925305B2 (ko)
KR (1) KR101963217B1 (ko)
CN (1) CN103782148B (ko)
ES (1) ES2462005T3 (ko)
WO (1) WO2013000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4405A1 (en) * 2014-09-24 2016-03-24 George Paul Baker, Jr. Online full stroke testing overpressurization safety relief valve
CN104225701A (zh) * 2014-09-26 2014-12-24 昆山韦睿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阀状态的检测方法、检测系统及腹膜透析设备
CN104913886B (zh) * 2015-04-17 2017-05-17 温州市特种设备检测研究院 氟利昂阀门检漏方法
CN105021361A (zh) * 2015-07-23 2015-11-04 蚌埠市特种设备监督检验中心 一种安全阀密封试验方法
CN105115673A (zh) * 2015-07-23 2015-12-02 北京中科宇盛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型安全阀密封试验系统
CN108051153B (zh) * 2017-11-09 2019-09-20 新海阀门有限公司 两位三通转阀密封性测试辅助工作中心
CN108956054A (zh) * 2018-07-17 2018-12-07 江苏安泰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自检功能的安全阀装置及工作方法
CN108956057A (zh) * 2018-09-20 2018-12-0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Dbb阀泄漏检测装置
AT521899B1 (de) 2018-12-12 2020-11-15 Avl List Gmbh Messsystem und Verfahren zur Messung eines Massendurchflusses, einer Dichte, einer Temperatur oder einer Strömungsgeschwindigkeit
JP7437980B2 (ja) * 2019-03-12 2024-02-26 株式会社堀場エステック 流体制御装置、流体制御システム、診断方法、及び、流体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CN111720752B (zh) * 2019-03-20 2022-05-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水路的异常检测方法与装置
CN111720751B (zh) * 2019-03-20 2022-05-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水路的异常检测方法与装置
CN110108420B (zh) * 2019-06-02 2021-02-05 重庆科荣达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元件质量检测设备
CN111911693A (zh) * 2020-07-15 2020-11-10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适用于强电离辐射环境下的智慧化阀门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102A (ko) * 1998-08-17 2000-03-06 한갑수 흡입식 가스누출경보기의 신뢰성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8471A1 (de) * 1987-03-16 1988-09-29 Kromschroeder Ag 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chtheitskontrolle von zwei hintereinander in einer fluidleitung angeordneten ventilen
JPH08327488A (ja) * 1995-05-30 1996-12-13 Babcock Hitachi Kk ガス漏洩検査装置
GB9713194D0 (en) * 1997-06-24 1997-08-27 Planer Prod Ltd Flow detector system
DE19831067C2 (de) * 1998-07-10 2000-05-31 Honeywell Bv Verfahren zur Dichtheitsprüfung von Gasventilen
CN1499184A (zh) * 2002-11-05 2004-05-26 上海嘉地仪器有限公司 双传感器定相油田集输管漏失监测的方法
EP1760303B1 (de) * 2005-08-31 2008-05-07 Audi Ag Verfahren zur Überprüfung der Gasdichtheit einer Kraftfahrzeug- Tankentlüftungsanlage
JP4715828B2 (ja) * 2007-10-15 2011-07-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流体の漏れの検出装置
CN201318981Y (zh) * 2008-12-11 2009-09-30 北京谊安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管路气密性检测装置
US8535836B2 (en) * 2009-07-08 2013-09-17 Bloom Energy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with bypass ports in a fuel processing assembly
CN201583417U (zh) * 2009-12-15 2010-09-15 浙江工业大学 安全阀在线检测实验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102A (ko) * 1998-08-17 2000-03-06 한갑수 흡입식 가스누출경보기의 신뢰성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62005T3 (es) 2014-05-22
EP2724137A1 (de) 2014-04-30
JP2014522967A (ja) 2014-09-08
KR101963217B1 (ko) 2019-03-28
WO2013000921A1 (de) 2013-01-03
US9080923B2 (en) 2015-07-14
EP2541224B1 (de) 2014-03-26
EP2541224A1 (de) 2013-01-02
CN103782148B (zh) 2016-08-17
US20140174158A1 (en) 2014-06-26
JP5925305B2 (ja) 2016-05-25
CN103782148A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217B1 (ko) 안전밸브의 누출방지를 체크하는 방법
CN105403267A (zh) 阀操作和诊断
JPH0823516B2 (ja) 流体管路に配置された二つの弁の気密試験を実施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5181609A1 (en) Means and methods for detecting leakage in ball valves
EP3420265B1 (en) Subsea high integrity pipeline protection system with bypass
US9360213B2 (en) Valve leak detecting method and combustion equipment
JP4811604B2 (ja) ガス充填システム
TW201719065A (zh) 檢查氣體供給系統之方法
US9453778B2 (en) Valve leak detecting method and combustion equipment
JP2018123919A (ja) ガス配管システム
JPH0719465A (ja) ガス燃焼設備に於ける遮断弁機構
KR101275890B1 (ko) 가스분배 공급장치
JPS6066128A (ja) 緊急遮断弁の漏洩検査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H01147215A (ja) ガス燃焼機器に於ける二重遮断弁の漏洩検出方法
KR20180066016A (ko) 3방밸브의 누출감지 시스템
JPH06348343A (ja) ガス安全装置
JP6520274B2 (ja) ボイラ装置
JPH09229524A (ja) 冷却装置
JP2002013418A (ja) ガスタービン燃料供給装置の異常検知方法
JP2013088035A (ja) 燃料遮断弁漏れ検出機能を有する燃焼装置
JP6120554B2 (ja) バルブの漏れ検知方法および燃焼設備
CN111411183A (zh) 一种热风炉煤气系统关键阀位监控方法
JP6885559B2 (ja) リレーのセルフチェックを行う制御装置
EP4341592A1 (en) Detection of safe activation of shutdown valves and blowdown valves
CN117178345A (zh) 气体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