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709A - 차량용 응축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709A
KR20140048709A KR1020120114980A KR20120114980A KR20140048709A KR 20140048709 A KR20140048709 A KR 20140048709A KR 1020120114980 A KR1020120114980 A KR 1020120114980A KR 20120114980 A KR20120114980 A KR 20120114980A KR 20140048709 A KR20140048709 A KR 20140048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unit
heat
condenser
receiver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872B1 (ko
Inventor
김재연
조완제
이순종
김윤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872B1/ko
Priority to US13/717,414 priority patent/US20140102682A1/en
Priority to CN201210562848.4A priority patent/CN103727709B/zh
Priority to JP2012282418A priority patent/JP6165437B2/ja
Priority to DE102012113120.1A priority patent/DE102012113120A1/de
Publication of KR2014004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4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응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제1, 제2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어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는 냉각수와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각각 유동되면서 상호 열교환되는 메인 방열부; 상기 메인 방열부가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상호 연결되며,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제3, 제4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방열부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시켜 과냉시키는 과냉 방열부; 상기 메인 방열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과냉 방열부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방열부로부터 상기 과냉 방열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기액분리와 수분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액체상태의 냉매만 상기 과냉 방열부로 유입시키는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 상기 메인 방열부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방열부에 대응하는 일측과 타측에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냉각수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구 측에 냉매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냉매 유입구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과냉 방열부와 연결되는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 배출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냉매 배출구 측으로 형성되는 기체냉매 유입구와, 반대측에 형성되는 기체냉매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에 대응하여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과냉 방열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응축기{CONDENS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유체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하는 수랭식이 적용된 차량용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컨 시스템은 외부의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유지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컨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급속히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등을 주요한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는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통해 냉각시켜 중온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응축기는 보통 기액분리를 통한 응축효율 향상과 냉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와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차량용 응축기는 외부 공기로 방열되는 공랭식이 적용된 핀-튜브 타입 구조로 냉각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크기를 증대시켜야 하는 바, 협소한 엔진룸 내부에서 레이아웃에 제약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냉각수를 냉각유체로 이용하는 수랭식이 적용된 응축기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랭식이 적용된 차량용 응축기는 공랭식과 비교하여 응축온도가 약 5 ~ 15℃ 낮아 외부기온과의 온도 차이 축소에 따른 서브 쿨 효과 부족으로 응축효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랭식이 적용된 차량용 응축기는 응축효율을 증대시키거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라디에이터의 사이즈를 증대시키거나, 냉각팬 용량을 증대시켜야 함에 따라 원가 및 중량이 증대되고, 별도로 구성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와의 연결배관 레이아웃이 복잡해지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냉각유체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응축하는 수랭식으로 구성하고,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를 통해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킴으로써, 구성요소와 연결배관의 레이아웃을 간소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줄이고, 사체적 축소를 통해 방열면적을 증대시켜 에어컨 시스템의 전체적인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제1, 제2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어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는 냉각수와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각각 유동되면서 상호 열교환되는 메인 방열부; 상기 메인 방열부가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상호 연결되며,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제3, 제4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방열부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키는 과냉 방열부; 상기 메인 방열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과냉 방열부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방열부로부터 상기 과냉 방열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기액분리와 수분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액체상태의 냉매만 상기 과냉 방열부로 유입시키는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 상기 메인 방열부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방열부에 대응하는 일측과 타측에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냉각수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구 측에 냉매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냉매 유입구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과냉 방열부와 연결되는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 배출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냉매 배출구 측으로 형성되는 기체냉매 유입구와, 반대측에 형성되는 기체냉매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에 대응하여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과냉 방열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은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 구성되며, 내부에 냉매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냉매저장부;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홀로 삽입되며, 상기 과냉 방열부를 통과하여 상단부가 상기 냉매 저장공간에 위치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며, 상부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삽입부재의 내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의 상부에서 상기 냉매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에 대응하는 일측 내부에 상기 장착홀과 상기 냉매 저장공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고정캡의 필터부와 상기 과냉 방열부에 대응하는 일측 상부에 상기 고정캡의 필터부를 통과한 액체상태의 냉매를 상기 과냉 방열부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는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캡은 상기 필터부와 하단부 사이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부재의 내주면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시일링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각 제1 유로에는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유동되고, 상기 각 제2 유로에는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다.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기 메인 방열부에 근접한 상부에 상기 각 제1, 제2 유로와 상기 각 제3, 제4 유로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과 연결되는 제1 연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방열부는 유입된 냉매를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시켜 응축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으로 응축된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통과한 액체 냉매가 유입되는 제2 연결유로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기 메인 방열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통해 기액분리 및 수분이 제거된 냉매를 상기 제2 연결유로를 통해 유입시켜 상기 각 제3 유로로 유동시키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가 유동되는 상기 각 제4 유로를 통해 응축된 냉매와 기체냉매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 시킬 수 있다.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메인 방열부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방열부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의 사이에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통하여 상기 메인 방열부와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기 과냉 방열부는 냉각수와 냉매의 유동을 대향류(counterflow, 對向流) 시켜 상호 열교환시킬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는 저온용으로 이루어져 리저버 탱크와 연결되고, 후방에는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에 의하면,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냉각유체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응축하는 수랭식으로 구성하고,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를 통해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킴으로써, 구성요소와 연결배관의 레이아웃을 간소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방열부를 통해 응축된 냉매를 다시 과냉 방열부를 통해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 시킬 수 있어 응축된 냉매를 추가로 과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나 배관을 제거하여 추가비용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메인 방열부와 이격되게 배치하여 냉각수의 혼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응축기 내부의 사체적을 축소를 통해 방열면적을 증대시키고, 사이즈의 증대 없이 응축효율 및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방열부, 과냉 방열부, 및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각각 별도의 적층식 플레이트 타입으로 제작하고, 상, 하부 커버 및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리브를 통해 유로를 분리 구획하던 타입에서 용접 불량 및 조립품질 편차로 인한 누수로 각 작동유체의 혼입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가 적용된 차량 에어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냉매의 유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냉각수와 기체냉매의 유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가 적용된 차량 에어컨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01)와, 상기 팽창밸브(101)를 통해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증발시키는 증발기(103)와, 상기 증발기(103)로부터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시키는 압축기(105)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된다.
즉, 상기 응축기(100)는 상기 압축기(105)와 팽창밸브(101) 사이에 구비되어 라디에이터(107)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압축기(105)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디에이터(107)는 저온용으로 이루어져 리저버 탱크(108)와 연결되고, 후방에는 냉각팬(109)이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100)는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냉각유체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응축하는 수랭식으로 구성하고,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103)를 통해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킴으로써, 구성요소와 연결배관의 레이아웃을 간소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줄이고, 사체적 축소를 통해 방열면적을 증대시켜 에어컨 시스템의 전체적인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1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방열부(110), 과냉 방열부(120),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 상부커버(140), 및 하부커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 방열부(11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11)가 적층 구성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제1, 제2 유로(113, 115)가 교대로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방열부(110)는 상기 압축기(105)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제1 유로(113)를 통해 유동되고, 상기 라디에이터(107)와 연결되어 제2 유로(115)를 통해 냉각수가 유동되면서 냉각수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1차로 응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과냉 방열부(120)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가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냉각수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상기 메인 방열부(110)와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과냉 방열부(12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21)가 적층 구성되어 내부에 각기 다수개의 제3, 제4 유로(123, 125)가 교차되게 형성된다.
상기 각 제3 유로(123)에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로부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통과한 냉매가 유동되고, 상기 각 제4 유로(125)에는 상기 증발기(103)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가 유동되면서, 액체냉매가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된다.
즉, 상기 과냉 방열부(120)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를 통해 냉각되어 1차로 응축된 냉매가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통과한 후, 유입되면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켜 2차로 응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과냉 방열부(120)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을 대향류(counterflow, 對向流) 시켜 상호 열교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과냉 방열부(120)는 상기 각 플레이트(121)가 적층된 상태로, 사이사이에 교차되게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지 않는 각 제3 유로(123)와 제4 유로(125)를 통해 액체냉매와 기체냉매를 서로 혼합시키지 않은 상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상호간에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과냉 방열부(120)에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를 통과한 냉매의 유동이 대향류되면서 상호 열교환 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평행류 시켜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과냉 방열부(120)는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 플레이트(160)를 통하여 상기 메인 방열부(110)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160)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의 사이에 상기 연결 플레이트(16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161)를 통하여 상기 메인 방열부(110)와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은 상기 메인 방열부(110)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상부 타측에 상기 연결 플레이트(160)를 통해 장착된다.
이러한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은 상기 메인 방열부(110)로부터 상기 과냉 방열부(120)를 통해 유입된 냉매의 기액분리와 수분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액체상태의 냉매만 상기 과냉 방열부(120)로 공급하는 것으로, 하기에서 그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커버(140)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20)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상부 커버(140)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에 대응하는 일측과 타측에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냉각수 유입구(141)와 냉각수 배출구(14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구(141) 측에 냉매 유입구(145)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 유입구(145)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각 제1 유로(113)와 상호 연결되어 압축기(105)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냉각수 유입구(141)는 상기 라디에이터(107)와 연결되어 제2 유로(115)로 냉각수를 유입시키고, 상기 냉각수 배출구(143)는 상기 각 제2 유로(115)를 통과한 냉각수를 라디에이터(107)로 다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150)는 상기 냉매 유입구(145)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과냉 방열부(120)와 연결되는 냉매 배출구(151)가 형성되어 상기 팽창밸브(101)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150)는 상기 냉매 배출구(15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냉매 배출구(151) 측으로 형성되는 기체냉매 유입구(153)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03)와 연결되고, 반대측에는 기체냉매 배출구(155)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105)와 연결된다.
이러한 하부 커버(150)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에 대응하여 장착홀(157)이 형성되며,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각 플레이트(122)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105)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1차로 냉각되어 응축된 후,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통과하면서 기체상태의 냉매와 수분 및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런 후, 냉매는 상기 과냉 방열부(120)로 유입되며, 이 때, 저온 저압의 기체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과냉됨으로써, 냉각효율이 향상되어 냉매의 응축률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과냉 방열부(120)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에 근접한 상부에 상기 각 제1, 제2 유로(113, 115)와 상기 각 제3, 제4 유로(123, 125)를 구획하는 격벽(127)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27)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과 연결되는 제1 연결유로(12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방열부(110)는 유입된 냉매를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시켜 응축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128)를 통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으로 응축된 냉매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냉 방열부(120)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통과한 액체 냉매가 유입되는 제2 연결유로(129)가 상기 격벽(127)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과냉 방열부(120)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통해 기액분리 및 수분이 제거된 냉매를 상기 제2 연결유로(129)를 통해 유입시켜 상기 각 제3 유로(123)로 유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제3 유로(123)를 통과하는 액체 냉매는 상기 증발기(103)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가 유동되는 상기 제4 유로(125)를 통해 응축된 냉매와 기체냉매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격벽(127)은 상기 제1 연결유로(128)와 제2 연결유로(129)를 구획함으로써, 메인 방열부(110)를 통과하는 냉매와 과냉 방열부(120)로 유입되는 냉매의 혼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의 세부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은, 냉매저장부(131), 삽입부재(133), 고정캡(135), 및 건조제(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냉매저장부(131)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31a)가 적층 구성되며, 내부에 냉매 저장공간(131b)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133)는 상기 하부커버(150)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홀(157)을 통해 상기 냉매 저장공간(131b)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과냉 방열부(120)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에 대응하는 일측 내부에서 상기 장착홀(157)과 연결되는 연결공간(126)이 형성되어 상기 냉매 저장공간(131b)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재(133)는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공간(126)에 대응되는 하부는 압입 등을 통하여 냉매가 과냉 방열부(12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장착되며, 상단부가 상기 냉매 저장공간(131b)에 위치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캡(135)은 상기 삽입부재(133)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며, 상부에 액체상태의 냉매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135a)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삽입부재(133)의 내주면에 나사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133)는 상기 고정캡(135)의 필터부(135a)와 상기 과냉 방열부(120)에 대응하는 일측 상부에 상기 필터부(135a)를 통과한 액체상태의 냉매를 상기 과냉 방열부(120)로 배출하는 배출홀(13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33a)은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제3 유로(125)로 상기 필터부(135a)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상기 제2 연결유로(129)를 통해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제3 유로(125)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 연결유로(120)와 필터부(135a)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캡(135)은 상기 필터부(135a)와 하단부 사이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부재(133)의 내주면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시일링(139)이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일링(139)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재(133)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135a)를 통과한 액체상태의 냉매가 과냉 방열부(12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제(137)는 상기 고정캡(135)의 상부에서 상기 냉매 저장공간(131b)에 구비되며, 액체 상태의 냉매만 상기 필터부(135a)를 통과시킨 상태로, 상기 과냉 방열부(120)로 공급되도록 상기 메인 방열부(110)로부터 유입되는 응축된 냉매의 내부에 잔존하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분리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 방열부(11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내부에 잔존하는 기체상태의 냉매가 상기 건조제(137)를 통해 분리된 후, 상기 필터부(135a)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필터링 된다.
그런 후, 상기 냉매는 상기 제2 연결유로(129)를 통해 과냉 방열부(120)를 통과하면서 2차로 응축되어 냉매 배출구(151)를 통해 상기 과냉 방열부(120)로부터 배출되어 팽창밸브(101)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135a)와 건조제(137)는 응축된 냉매에 포함된 기체상태의 냉매와 이물질의 잔존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냉매와 함께 이물질이 상기 팽창밸브(101)로 유입될 경우 팽창밸브(101)가 막혀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제(137)의 수명이 다 할 경우, 상기 고정캡(135)이 상기 삽입부재(133)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됨으로써, 분리가 쉬워 건조제(137) 교환에 따른 정비성과 정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응축기(100)는 메인 방열부(110), 과냉 방열부(120), 및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이 각각 복수개의 플레이트(111, 121, 131a)가 적층되어 상기 상, 하부 커버(140, 150)와 연결 플레이트(160)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된 플레이트형 열교환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100)의 작동 및 작용을 도 5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냉매의 유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냉각수와 기체냉매의 유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압축기(105)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기체 냉매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40)의 냉매 유입구(141)를 통해 상기 메인 방열부(110)로 유입되어 상기 각 제2 유로(115)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113)를 따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 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라디에이터(107)를 통해 냉각된 저온 상태의 냉각수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40)의 냉각수 유입구(141)를 통해 메인 방열부(110)로 유입되어 상기 각 제2 유로(115)를 따라 유동된 후, 상기 냉각수 배출구(143)를 통해 배출되고, 다시 상기 라디에이터(107)로 유입되어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3)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하부에 장착된 하부 커버(150)의 기체냉매 유입구(153)를 통해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방열부(11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냉매 유입구(145)를 통해 상기 압축기(105)로부터 상기 메인 방열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각 제2 유로(115)를 따라 유동되는 냉각수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각 제1 유로(113)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메인 방열부(110)는 내부로 유입되어 각 제1 유로(113)를 통과하는 냉매를 상기 각 제2 유로(115)를 통과하는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1차로 응축시킨 후,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제1 연결유로(128)를 통하여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으로 유입된 응축된 냉매는 상기 냉매 저장공간(131b)에 구비된 건조제(137)와 필터부(135a)를 통과하면서 기액분리와 수분 및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그런 후, 냉매는 상기 삽입부재(133)의 배출홀(133a)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배출홀(133a)과 연결된 상기 제2 연결유로(129)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결유로(129)를 통해 상기 과냉 발열부(120)로 유입되는 응축된 액체 냉매는 상기 각 제3 유로(123)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냉매 배출구(151)를 통해 상기 팽창 밸브(101)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103)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상기 기체냉매 유입구(153)를 통하여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과냉 방열부(120)로 유입된 기체냉매는 상기 각 제4 유로(125)를 따라 상기 각 제3 유로(123) 상에서 유동되는 액체냉매와 반대방향으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기체냉매는 상기 메인 방열부(110)와 리시버 드라이어부(130)를 통과하여 상기 과냉 방열부(120)로 유입된 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액체상태의 냉매를 과냉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과냉 방열부(120)로 유입되는 냉매는 기체냉매와 대향류 되면서 효율적으로 상호 열교환되어 과냉된 상태로, 상기 냉매 배출구(151)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팽창밸브(101)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기체냉매 유입구(153)를 통해 유입된 기체냉매는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내부에서 각 제3 유로(123)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와 열교환 후, 상기 기체냉매 배출구(155)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기체냉매 배출구(155)와 연결된 상기 압축기(105)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은 상기 냉매저장부(131)를 통해 메인 방열부(110)의 일측에 연결 플레이트(160)를 통해 이격된 상태로, 상부 커버(140)와 하부 커버(150)를 통해 상기 메인 및 과냉 방열부(110, 120)에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은 상기 제1, 제2 연결유로(128, 129)를 통하여 상기 메인 방열부(110)와 과냉 방열부(12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별도의 연결배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원형으로 구성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각 방열부(110, 120)와 동일한 형상의 적층된 플레이트(111, 121, 131a)로 구성하여 패키지를 축소 및 사체적을 줄여 크기의 변동 없이도 각 방열부(110, 120)를 증대시킨다.
또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가 열교환 매체로 유입되는 상기 과냉 방열부(120)의 적용으로 냉매를 과냉시켜 응축시킬 수 있어 냉각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플레이트형 열교환기에서 리브를 통해 구획된 유로를 분리 구획하던 타입에서 용접 불량 및 조립품질 편차로 인한 누수로 각 작동유체의 혼입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응축 효율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응축기(100)를 적용하면,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냉각유체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응축하는 수랭식으로 구성하고,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103)를 통해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킴으로써, 구성요소와 연결배관의 레이아웃을 간소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방열부(110)를 통해 응축된 냉매를 다시 과냉 방열부(120)를 통해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킬 수 있어 응축된 냉매를 추가로 과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나 배관을 제거하여 추가비용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메인 방열부(110)와 이격되게 배치하여 냉각수의 혼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응축기(100) 내부의 사체적을 축소를 통해 방열면적을 증대시키고, 사이즈의 증대 없이 응축효율 및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방열부(110), 과냉 방열부(120), 및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130)을 각각 별도의 적층식 플레이트 타입으로 제작하고, 상, 하부 커버(140, 150) 및 연결 플레이트(160)를 통해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리브를 통해 유로를 분리 구획하던 타입에서 용접 불량 및 조립품질 편차로 인한 누수로 각 작동유체의 혼입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응축기 101 : 팽창밸브
103 : 증발기 105 : 압축기
107 : 라디에이터 108 : 리저버 탱크
109 : 냉각팬 110 : 메인 방열부
111, 121, 131a : 플레이트 113 : 제1 유로
115 : 제2 유로 120 : 과냉 방열부
123 : 제3 유로 125 : 제4 유로
126 : 연결공간 127 : 격벽
128 : 제1 연결유로 129 : 제2 연결유로
130 :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 131 : 냉매저장부
131b : 냉매 저장공간 133 : 삽입부재
133a : 배출홀 135 : 고정캡
135a : 필터부 137 : 건조제
139 : 시일링 140 : 상부커버
141 : 냉각수 유입구 143 : 냉각수 배출구
145 : 냉매 유입구 150 : 하부 커버
151 : 냉매 배출구 153 : 기체냉매 유입구
155 : 기체냉매 배출구 157 : 장착홀
160 : 연결 플레이트 161 : 고정돌기

Claims (16)

  1.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제1, 제2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어 라디에이터로 유입되는 냉각수와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각각 유동되면서 상호 열교환되는 메인 방열부;
    상기 메인 방열부가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상호 연결되며,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제3, 제4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방열부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키는 과냉 방열부;
    상기 메인 방열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과냉 방열부의 상부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방열부로부터 상기 과냉 방열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기액분리와 수분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액체상태의 냉매만 상기 과냉 방열부로 유입시키는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
    상기 메인 방열부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방열부에 대응하는 일측과 타측에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냉각수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구 측에 냉매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냉매 유입구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과냉 방열부와 연결되는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 배출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냉매 배출구 측으로 형성되는 기체냉매 유입구와, 반대측에 형성되는 기체냉매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에 대응하여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과냉 방열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은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 구성되며, 내부에 냉매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냉매저장부;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홀로 삽입되며, 상기 과냉 방열부를 통과하여 상단부가 상기 냉매 저장공간에 위치되는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며, 상부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삽입부재의 내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의 상부에서 상기 냉매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건조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에 대응하는 일측 내부에 상기 장착홀과 상기 냉매 저장공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고정캡의 필터부와 상기 과냉 방열부에 대응하는 일측 상부에 상기 고정캡의 필터부를 통과한 액체상태의 냉매를 상기 과냉 방열부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은
    상기 필터부와 하단부 사이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부재의 내주면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시일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유로에는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유동되고, 상기 각 제2 유로에는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기 메인 방열부에 근접한 상부에 상기 각 제1, 제2 유로와 상기 각 제3, 제4 유로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과 연결되는 제1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방열부는
    유입된 냉매를 냉각수와 상호 열교환시켜 응축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으로 응축된 냉매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통과한 액체 냉매가 유입되는 제2 연결유로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기 메인 방열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통해 기액분리 및 수분이 제거된 냉매를 상기 제2 연결유로를 통해 유입시켜 상기 각 제3 유로로 유동시키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가 유동되는 상기 각 제4 유로를 통해 응축된 냉매와 기체냉매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과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 방열부는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메인 방열부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과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방열부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의 사이에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통하여 상기 메인 방열부와 리시버 드라이어 유닛을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냉 방열부는
    냉각수와 냉매의 유동을 대향류(counterflow, 對向流) 시켜 상호 열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는
    저온용으로 이루어져 리저버 탱크와 연결되고, 후방에는 냉각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응축기.
KR1020120114980A 2012-10-16 2012-10-16 차량용 응축기 KR10146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80A KR101461872B1 (ko) 2012-10-16 2012-10-16 차량용 응축기
US13/717,414 US20140102682A1 (en) 2012-10-16 2012-12-17 Condenser for vehicle
CN201210562848.4A CN103727709B (zh) 2012-10-16 2012-12-21 用于车辆的冷凝器
JP2012282418A JP6165437B2 (ja) 2012-10-16 2012-12-26 車両用凝縮器
DE102012113120.1A DE102012113120A1 (de) 2012-10-16 2012-12-27 Kondensator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980A KR101461872B1 (ko) 2012-10-16 2012-10-16 차량용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709A true KR20140048709A (ko) 2014-04-24
KR101461872B1 KR101461872B1 (ko) 2014-11-13

Family

ID=5038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980A KR101461872B1 (ko) 2012-10-16 2012-10-16 차량용 응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02682A1 (ko)
JP (1) JP6165437B2 (ko)
KR (1) KR101461872B1 (ko)
CN (1) CN103727709B (ko)
DE (1) DE1020121131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711A (ko) * 2017-08-09 2019-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ce 모듈
CN110901347A (zh) * 2018-09-17 2020-03-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集中能量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0955B2 (ja) * 2010-12-03 2016-08-0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車両用コンデンサ
JP6315191B2 (ja) * 2014-04-25 2018-04-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交換器
US10766340B2 (en) * 2014-07-29 2020-09-08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CN107208983B (zh) * 2015-01-22 2019-11-26 三菱电机株式会社 板式热交换器以及热泵式室外机
DE102016001607A1 (de) 2015-05-01 2016-11-03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Flüssigkeit-zu-Kältemittel-Wärmetauscher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KR20190002878A (ko) * 2017-06-30 2019-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ce 모듈
EP3701211B1 (en) * 2017-10-26 2023-05-17 Cummins Inc. Cooled lubricant filter housing
EP3489604B1 (en) 2017-11-24 2020-12-23 TitanX Holding AB Vehicle condenser
DE102018129988A1 (de) * 2018-07-09 2020-01-09 Hanon Systems Kompaktwärmeübertragereinheit und Klimaanlagenmodul, insbesondere für Elektrofahrzeuge
DE102019132955B4 (de) * 2019-12-04 2022-03-31 Hanon Systems Wärmeübertrager mit integriertem Trockner und Platte für einen Plattenwärmeübertrager
EP4267902A1 (en) * 2020-12-23 2023-11-01 UFI Filters S.p.A. Oil temperature regulation assembly
IT202000032090A1 (it) * 2020-12-23 2022-06-23 Ufi Filters Spa Assieme di regolazione temperatura olio
KR20230083773A (ko) * 2021-12-03 2023-06-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차용 복합 열교환기
US20230173874A1 (en) * 2021-12-07 2023-06-08 Mahle International Gmbh Plate ihx as mounting plate for refrigerant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7511B2 (ja) * 1995-08-10 2002-12-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凝縮器
DE19926990B4 (de) * 1998-06-16 2009-02-05 Denso Corp., Kariya-shi Mit integriertem Aufnahmebehälter ausgestatteter Kondensator für einen Kühl- bzw. Kältemittelzyklus
DE19918616C2 (de) * 1998-10-27 2001-10-31 Valeo Klimatechnik Gmbh Verflüssiger zum Kondensieren des inneren Kältemittels einer Kraftfahrzeugklimatisierung
JP2001074338A (ja) * 1999-09-06 2001-03-23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レシーバタンク一体型コンデンサ
JP2002162134A (ja) * 2000-11-20 2002-06-07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WO2004025195A1 (de) * 2002-08-31 2004-03-25 Behr Gmbh & Co. Sammler für ein kältemittel, wärmetauscher, kältemittelkreislau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ammlers
FR2846733B1 (fr) * 2002-10-31 2006-09-15 Valeo Thermique Moteur Sa Condenseur, notamment pour un circuit de c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et circuit comprenant ce condenseur
KR101115951B1 (ko) * 2004-08-10 2012-02-21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드라이어의 밀폐용 캡
US20060070724A1 (en) * 2004-10-06 2006-04-0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receiver dryer sleeve
US20070095087A1 (en) * 2005-11-01 2007-05-03 Wilson Michael J Vapor compression cooling system for cooling electronics
US8359882B2 (en) * 2007-04-13 2013-01-29 Al-Eidan Abdullah A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selective regenerative thermal energy feedback control
WO2010060657A1 (fr) * 2008-11-26 2010-06-03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pour circuit de climatisation avec echangeur interne integre
US20100242507A1 (en) * 2009-03-24 2010-09-30 Milton Meckler Dynamic outside ai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R2947041B1 (fr) * 2009-06-23 2011-05-27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avec reserve de fluide frigorigene pour circuit de climatisation
DE102010026507A1 (de) * 2010-07-07 2012-01-12 Behr Gmbh & Co. Kg Kältemittelkondensatormodul
KR101230259B1 (ko) * 2010-09-14 2013-02-06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 드라이어
FR2965337B1 (fr) * 2010-09-28 2014-10-10 Valeo Systemes Thermiques Ensemble d'un echangeur de chaleur biphasique et d'une bouteille
KR101610075B1 (ko) * 2010-12-03 2016-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컨덴서
KR101619187B1 (ko) * 2010-12-03 2016-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컨덴서
JP5960955B2 (ja) * 2010-12-03 2016-08-0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車両用コンデンサ
KR101261904B1 (ko) * 2010-12-23 2013-05-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판형 열교환기
DE102011008429A1 (de) * 2011-01-12 2012-07-12 Behr Gmbh & Co. Kg Vorrichtung zur Wärmeübertragung für ein Fahrzeug
DE102011008653A1 (de) * 2011-01-14 2012-07-19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
US8899062B2 (en) * 2011-02-17 2014-12-02 Delphi Technologies, Inc. Plate-type heat pump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for a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KR101269692B1 (ko) 2011-04-08 2013-05-30 주식회사 대정밸브 테프론라인더 버터플라이밸브 기밀구조
DE102011007701A1 (de) * 2011-04-19 2012-10-25 Behr Gmbh & Co. Kg Kältemittelkondensatorbaugruppe
ITTO20110366A1 (it) * 2011-04-27 2012-10-28 Denso Thermal Systems Spa Gruppo integrato condensatore-accumulatore-sottoraffreddatore per veicoli
US8899073B2 (en) * 2011-12-14 2014-12-02 Delphi Technologies, Inc. Parallel plate type refrigerant storage device
DE102012217087A1 (de) * 2012-09-21 2014-03-27 Behr Gmbh & Co. Kg Kondens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711A (ko) * 2017-08-09 2019-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ce 모듈
CN110901347A (zh) * 2018-09-17 2020-03-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集中能量模块
KR20200031907A (ko) * 2018-09-17 2020-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ce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80174A (ja) 2014-05-08
CN103727709B (zh) 2017-09-05
JP6165437B2 (ja) 2017-07-19
US20140102682A1 (en) 2014-04-17
DE102012113120A1 (de) 2014-04-17
KR101461872B1 (ko) 2014-11-13
CN103727709A (zh)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872B1 (ko) 차량용 응축기
US10753686B2 (en) Condenser for vehicle
KR101461871B1 (ko) 차량용 응축기
US9140473B2 (en) Condenser for vehicle
KR101316858B1 (ko) 차량용 컨덴서
CN102788452B (zh) 用于车辆的冷凝器和用于车辆的空调系统
KR101326841B1 (ko) 차량용 컨덴서
CN111114243B (zh) 用于车辆的冷却模块
KR101610075B1 (ko) 차량용 컨덴서
KR101619187B1 (ko) 차량용 컨덴서
KR101734281B1 (ko) 차량용 컨덴서
KR10212385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150144358A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160017156A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160017153A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160092703A (ko)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