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040A -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040A
KR20140048040A KR1020130114423A KR20130114423A KR20140048040A KR 20140048040 A KR20140048040 A KR 20140048040A KR 1020130114423 A KR1020130114423 A KR 1020130114423A KR 20130114423 A KR20130114423 A KR 20130114423A KR 20140048040 A KR20140048040 A KR 2014004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arm
spring
pair
connect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4547B1 (ko
Inventor
히로유키 히라마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크 아암에 의해 스프링을 들어올릴 때에, 로크 아암이 좌우로 어긋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확실하게 로크가 해제되도록 한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F)는, 스프링(40)을 들어올려 로크를 해제 가능한 로크 아암(27)과, 이 로크 아암(27)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과, 로크 아암(27)과 양 보호벽(18)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로크 아암(27)과 양 보호벽(18)을 각각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휨 부재(28)와, 양 보호벽(18)의 하방에 있어서 양 보호벽(18)보다 좁은 간격으로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어긋남 방지벽(20)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27)의 후단부가 양 휨 부재(28)와 함께 양 어긋남 방지벽(20) 사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로크 아암(27)의 좌우로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SPRING LOCK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해 암수 한 쌍의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로서,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후드부를 갖는 수형 커넥터와, 이 후드부 내에 감합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는 암형 커넥터와, 암수 한 쌍의 커넥터를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는, 단자 수용부의 외주측을 둘러싸는 외통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은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좌우 한 쌍의 레그부에 의해 외통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외통부에 끼워 부착된다. 한편, 외통부의 상면에는, 스프링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레그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상변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로크 해제하는 로크 아암이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04936호 공보
그러나, 상기 로크 아암은, 그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보호벽에 대하여 한 쌍의 가요 부재를 통해 양단 지지형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들 가요 부재는, 로크 아암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아암의 전단, 즉 자유단이 상하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된 해제 조작부를 하방으로 눌러 스프링의 상변부를 들어올리고자 한 경우에, 로크 아암의 자유단이 좌우로 어긋나 스프링의 한쪽의 레그부만이 들어올려지고, 다른쪽의 레그부가 들어올려지지 않는 사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다른쪽의 레그부에서는 로크가 해제되지 않아 암수 한 쌍의 커넥터를 이탈시킬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로크 아암에 의해 스프링을 들어올릴 때에, 로크 아암이 좌우로 어긋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확실하게 로크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드부를 갖는 수형 커넥터와, 이 후드부의 내주측에 감합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고, 후드부의 외주측에 감합 가능하게 된 암형 커넥터와,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암형 커넥터에 끼워 부착되며, 수형 커넥터와의 감합에 따라 확장 개방 변형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레그부를 갖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암수 한 쌍의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로서, 암형 커넥터는, 스프링을 들어올려 로크를 해제 가능한 로크 아암과, 이 로크 아암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보호벽과, 로크 아암과 양 보호벽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로크 아암과 양 보호벽을 각각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휨 부재와, 양 보호벽의 하방에 있어서 양 보호벽보다 좁은 간격으로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어긋남 방지벽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의 후단부가 양 휨 부재와 함께 양 어긋남 방지벽 사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로크 아암의 좌우로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의 후단부가 양 휨 부재와 함께 양 어긋남 방지벽 사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로크 아암의 좌우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아암에 의해 스프링을 들어올릴 때에, 한쪽의 레그부만이 들어올려지고 다른쪽의 레그부가 들어올려지지 않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레그부를 들어올려 확실하게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양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양 보호벽은, 양 어긋남 방지벽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달아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보호벽과 어긋남 방지벽이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양 보호벽 사이에 있는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양 어긋남 방지벽 사이로 안내하기 쉬워진다.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의 하방에는, 동(同) 로크 아암을 2점에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로크 아암의 하면에는,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 시에 양 지지 돌출부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좌우 한 쌍의 지지 돌출부가 좌우 한 쌍의 지지 오목부에 수용됨으로써, 로크 아암을 수평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암형 커넥터에는,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내보내는 릴리프부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릴리프부로 내보냄으로써, 로크 아암의 휨 량을 늘릴 수 있다.
지지 돌출부는, 전측 경사면과 후측 경사면을 갖고, 후측 경사면은, 전측 경사면보다 급한 하향 구배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측 경사면을 후측 경사면보다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어,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으로부터 받는 힘을 보다 넓은 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고, 지지 돌출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측 경사면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의 후단부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전측 경사면을 길게 하여도 해제 조작의 방해는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 아암에 의해 스프링을 들어올릴 때에, 로크 아암이 좌우로 어긋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확실하게 로크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암형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감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지지 돌출부가 지지 오목부에 수용되어 지지 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스프링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릴리프부로 내보냄으로써,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도 8의 상태보다 더 하방으로 압입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암형 커넥터에 스프링을 끼워 부착시키기 전의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암형 커넥터에 스프링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암형 커넥터에 스프링을 장착한 후의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 상태를 상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암형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지지 돌출부가 지지 오목부에 수용되어 지지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8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스프링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9는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수형 커넥터를 육각 렌치에 삽입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1은 수형 커넥터를 육각 렌치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2는 수형 커넥터를 육각 렌치에 삽입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22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는, 도 1에 도시하는 암형 커넥터(F)와, 도 19에 도시하는 수형 커넥터(M)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F)의 암형 하우징(10)에 장착된 스프링(40)에 의해,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커넥터(M)의 수형 하우징(50)이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양 커넥터(F, M)의 감합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서로의 감합면측을 앞쪽으로 한다. 또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20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M)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수형 하우징(50)과, 이 수형 하우징(50)의 후단부에 유지된 육각 너트(N)를 구비한다. 수형 하우징(50)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상의 외형을 갖고, 육각 너트(N)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형 하우징(50)의 외형은, 육각 너트(N)의 외형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M)를 육각 렌치(W)에 삽입한 경우에, 수형 하우징(50)과 육각 렌치(W)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육각 렌치(W)에 의해 육각 너트(N)를 조임으로써, 수형 커넥터(M)가 엔진 등의 고진동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50)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을 이루어 전방에서 개구되는 전측 후드부(52)와, 후방에서 개구되는 후측 후드부(명확하게는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후측 후드부는 육각 너트(N)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전측 후드부(52)의 내면에 있어서의 안쪽 단부에는, 감합 바닥면(53)이 형성되어 있고, 전측 후드부(52)는, 감합 바닥면(53)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지도록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50)의 안쪽벽[전측 후드부(52)와 후측 후드부 사이의 벽]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수형 단자(51)가 압입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들 수형 단자(51)는, 감합 바닥면(5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를 이루고, 그 전방 단부 위치는, 전측 후드부(52)의 전후 방향 중앙 위치보다 약간 후방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수형 단자(51)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삼각형의 배치로 3개가 배치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50)의 좌우 양측면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결합 돌기(55)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결합 돌기(55)는, 마찬가지로 수형 하우징(50)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결합 오목부(54)의 감합 방향 전방측에 연달아 마련되어 있다. 결합 돌기(5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감합 바닥면(53)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50)의 외주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결합 오목부(54)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면과, 이들 면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을 갖고, 이 바닥면은, 전측 후드부(52)의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해 있다. 또한, 결합 오목부(54)는, 감합 바닥면(53)보다 후방에 위치해 있다. 결합 돌기(55)의 전면(前面)은, 스프링(40)이 타고 오르기 쉽도록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완만하게 오르는 경사를 이루고, 후면은, 스프링(40)이 결합 가능한 결합면(5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결합면(56)의 나머지 부분은, 결합 오목부(54)의 전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결합면(56)은, 결합 돌기(55)의 후측 경사면과 결합 오목부(54)의 전측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F)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암형 하우징(10)을 구비한다. 이 암형 하우징(1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형 단자(11)를 수용 가능한 단자 수용부(12)와, 이 단자 수용부(12)의 외주측에 배치된 외통부(13)를 구비한다. 단자 수용부(12)는, 수형 하우징(50)의 전측 후드부(52) 내에 감합 가능한 대략 원기둥형을 이루고 있다. 이 단자 수용부(12)에는, 암형 단자(11)를 후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3개의 캐비티(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캐비티(14)는, 수형 단자(51)의 배치와 대응하여 역삼각형의 배치로 3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 수용부(12)의 전방 단부에는, 프론트 캡(15)이 씌워져 부착되어 있다.
외통부(13)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형상을 이루고, 단자 수용부(12)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걸쳐서 마련되며, 외통부(13)의 후단과 단자 수용부(12)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외통부(13)와 단자 수용부(12)의 사이에는, 수형 하우징(50)의 전측 후드부(52)가 진입 가능한 진입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2)의 외주면 중 안쪽 단부에는 시일 링(16)이 외부 끼움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시일 링(16)이 수형 하우징(50)의 전측 후드부(52)와 암형 하우징(10)의 단자 수용부(12)의 사이에 끼여 부착됨으로써 암수 양 하우징(10, 50) 사이가 시일된다. 또한, 외통부(13)의 측벽에는, 암형 단자(11)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리테이너(38)를, 단자 수용부(12)에 조립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암형 하우징(10)의 후단부에는,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손가락 걸이부(17)가 마련되어 있다. 양 커넥터(F, M)를 이탈시킬 때에는, 후술하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에 엄지 손가락을 올려 로크 아암(27)을 밀어 내리며, 손가락 걸이부(17)에 집게 손가락을 걸어 암형 하우징(10)을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통부(13)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이 마련되어 있다. 보호벽(18)은, 암형 하우징(10)의 후단으로부터 전단 부근의 위치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며,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 사이에, 로크 아암(27)이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부(13)의 상면 중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 사이의 부분에는, 그 전후 방향 대략 중앙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절취된 릴리프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부(19)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의 하방에 위치해 있으며, 릴리프부(19)의 높이 위치는, 외통부(13)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해제 조작부(35)를 릴리프부(19)의 위치까지 압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통부(13)의 전방 단부에 있어서의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위치 결정벽(21, 2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중 뒤쪽에 배치된 위치 결정벽을 제1 위치 결정벽(21)으로 하고, 앞쪽에 배치된 위치 결정벽을 제2 위치 결정벽(22)으로 한다. 제1 위치 결정벽(21)은, 보호벽(18)의 전단으로부터 외통부(13)의 양측면에 걸쳐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형을 이루고 있다. 한편, 제2 위치 결정벽(22)은, 외통부(13)의 상면으로부터 양측면에 걸쳐 대략 문형으로 연장되는 리브형을 이루고 있다. 제2 위치 결정벽(22)과 제1 위치 결정벽(2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40)의 전후 방향의 치수(직경)와 거의 같은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위치 결정벽(22)의 수평 부분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로크 아암(27)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로크 아암(27)의 전방 단부를 내보내는 전측 오목부(23)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측 오목부(23)는, 그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조금씩 요입(凹入) 깊이가 커지는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의 깊이 치수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위치 결정벽(22)의 벽 두께 치수(전후 방향의 두께 치수)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외통부(13) 중 제1 위치 결정벽(21)과 제2 위치 결정벽(22) 사이의 부분은, 스프링(40)이 장착되는 장착부(24)로 되어 있다. 이 장착부(24)는, 외통부(13)의 외주면을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여 이루어지는 부분과, 제1 위치 결정벽(21) 및 제2 위치 결정벽(22)으로 구성된다.
외통부(13)의 좌우 양측벽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50)의 결합 돌기(55)가 통과 가능한 통과로(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통과로(25)는, 외통부(13)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며 장착부(24)와 연통되어 있다. 장착부(24)와 통과로(25)가 연통하는 부분인 연통부(26)의 상하 방향 치수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돌기(55)의 상하 방향 치수와 거의 같은 치수로 되어 있다.
암형 하우징(10)의 장착부(24)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40)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개구된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서로 대향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레그부(41)와, 이 레그부(41)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상변부(42)를 구비한다. 한 쌍의 레그부(41)는, 자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변부(42)의 양단으로부터 이 상변부(42)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수직 하강하고 있다.
레그부(41)의 하단부는, 내측(서로 접근하는 방향)에 대략 산 형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이 굴곡된 부분은 통과로(25)를 가로질러 전측 후드부(52)의 진입 경로로 돌출하는 결합부(43)로 되어 있다. 이 결합부(43)는, 그 내측을 향하여 서로 접근하는 상측 경사변과 하측 경사변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경사변과 하측 경사변의 연결 부분에는 라운딩이 행하여져 있다.
스프링(40)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43)가 통과로(25)를 가로질러 전측 후드부(52)의 진입 경로로 돌출하는 초기 위치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43)가 통과로(25)로 돌출하는 진입 위치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43)가 통과로(25)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40)이 진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통과로(25)로 돌출하는 결합부(43)가, 통과로(25)를 통과하는 결합 돌기(55)에 압박됨으로써 레그부(41)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양 커넥터(F, M)가 정규의 감합 상태에 이르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그부(41)가 탄성 복귀하여 결합부(43)가 결합면(56)에 맞물리며, 수형 하우징(50)을 이탈 불능하게 로크한다. 그리고, 스프링(40)은, 진입 위치로부터 상방[암형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후퇴 위치에 이른다. 스프링(40)이 후퇴 위치에 이르면, 결합부(43)는, 통과로(25)로부터 후퇴하여 로크 해제가 이루어지며, 통과로(25)로부터 후퇴한 결합부(43)는, 장착부(24)에 있어서의 연통부(26)의 상측 부분에 타고 올라간 상태가 된다.
전측 후드부(52)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규의 감합 자세로 감합이 행하여졌을 때에, 결합부(43)가 타고 올라가 결합 가능한 유도부(57)가 마련되어 있고, 올바르지 않은 감합 자세로 감합이 행하여졌을 때에는, 전측 후드부(52)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유도부(57) 이외의 부분이 결합부(43)에 접촉함으로써 감합 동작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유도부(57)는, 전측 후드부(52)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대략 U자형으로 절취하고, 그 절취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외면측을 테이퍼형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도부(57)는, 좌우 한 쌍의 결합부(43)에 대응하여 전측 후드부(52)의 좌우 양측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전측 후드부(52)의 외주면에는, 결합부(43)가 유도부(57)를 타고 올라간 후, 결합부(43)를 감합 방향을 따라 결합면(56)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오목부(58)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 오목부(58)는, 좌우 한 쌍의 결합부(43)에 대응하여 전측 후드부(52)의 좌우 양측에 한 쌍 마련되어 있고, 유도부(57)로부터 결합 돌기(55)의 전측 경사면에 이르는 범위에서 요입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결합부(43)가 좌우 한 쌍의 가이드 오목부(58)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스프링(40)이 암형 커넥터(F)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억지되고 있다.
로크 아암(27)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우 방향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휨 부재(28)를 통해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아암(27)의 후단부에는, 엄지 손가락을 올려 로크 아암(27)의 후단부를 밀어 내리기 위한 해제 조작부(3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27)은, 암형 하우징(10)의 후단으로부터 제2 위치 결정벽(22)의 전측 오목부(23)까지 돌출하는 길이 치수를 구비한다.
휨 부재(28)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고, 그 전방 단부가 보호벽(18)에 연결되며, 그 후단부가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27)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에는, 로크 아암(27)은, 외통부(13)의 상면과 대략 평행을 이루고, 좌우 한 쌍의 휨 부재(28)에 의해 외통부(1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부유한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외통부(13)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27)의 하방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27)을 2점에서 수평 자세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돌출부(13A)가 마련되어 있고, 로크 아암(27)의 하면에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 시에 양 지지 돌출부(13A)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오목부(27A)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를 밀어 내리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지지 돌출부(13A)가 양 지지 오목부(27A)에 접촉하고, 또한 해제 조작부(35)를 밀어 내리면, 양 지지 돌출부(13A)를 지지점으로 하여 로크 아암(27)이 시소형으로 요동 변위한다. 이에 따라, 휨 부재(28)는, 휨 변형되게 된다. 지지 돌출부(13A)는, 전측 경사면과 후측 경사면을 갖고 있고, 후측 경사면은, 전측 경사면보다 급한 하향 구배로 되어 있다.
또한, 양 보호벽(18)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대향 상태를 이루어 내향으로 돌출한 좌우 한 쌍의 젖힘 방지 부재(1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젖힘 방지 부재(18A)는, 휨 부재(28)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크 아암(27)이 외력을 받아 상방으로 압박된 경우에, 양 휨 부재(28)가 양 젖힘 방지 부재(18A)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로크 아암(27)의 젖힘이 방지된다.
외통부(13)의 상면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어긋남 방지벽(20)이 형성되어 있다. 양 보호벽(18)은, 양 어긋남 방지벽(20)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달아 마련되어 있다. 양 어긋남 방지벽(20) 사이에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에 따라,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와 이에 접속된 양 휨 부재(28)의 후단부가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아암(27)의 좌우로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로크 아암(27)의 전방 단부는 스프링(40)의 하측에 배치되고, 로크 아암(27)이 틸팅하면 스프링(4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푸싱부(29)로 되어 있다. 로크 아암(27)의 전방 단부에는 상방으로 세워진 전벽부(31)가 마련되고, 이 전벽부(31)에 의해, 푸싱부(29)는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 즉 스프링(40)을 밀어올릴 때에, 스프링(40)이 압박되는 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전벽부(31)는, 제2 위치 결정벽(22)의 전측 오목부(23)에 들어간 상태로 되고, 로크 아암(27)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에는, 그 후면과 제2 위치 결정벽(22)의 후면[제1 위치 결정벽(21)과의 대향면]은 대략 동일면을 이루고 있다. 전벽부(31)는, 로크 아암(27)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지고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전벽부(31)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32)의 돌출 치수는, 스프링(40)의 전후 방향의 치수(직경)와 거의 같은 치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링(40)이 도 6에 나타내는 진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돌출부(32)가 스프링(40)의 상변부(42)에 대하여 약간 전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돌출부(32) 중 스프링(40)의 상변부(42)를 덮는 부분의 치수는, 스프링(40)의 전후 방향의 치수(직경)의 대략 절반의 치수(반경)와 거의 같은 치수로 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40)이 도 8에 나타내는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돌출부(32)가 스프링(40)의 상변부(42)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프링(40)의 상변부(42)의 거의 전부가 돌출부(32)에 의해 덮인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측 후드부(52)는 대략 원통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 하우징(10)에 대하여 오감합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고, 그 오감합 방지책으로서, 외측 리브(59)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와, 스프링(4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와, 내측 리브(6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의 3가지가 마련되어 있다. 오감합 방지 기구가 개시되는 타이밍으로서는, 우선 외측 리브(59)에 의해 오감합 방지 기구가 개시되고, 그 다음에, 스프링(4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가 개시되며, 마지막으로, 내측 리브(6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가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외측 리브(59)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 후드부(5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2줄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1줄이 마련되며, 도면에서 보아 좌측의 유도부(57)의 하측에 1줄이 마련되어 있다. 각 외측 리브(59)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측의 2조의 외측 리브(59)는, 도 13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결합 오목부(54)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외측 리브(59)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암형 하우징(10)의 외통부(13)의 내주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의 2줄의 외측 리브(59)를 함께 수용하는 상측 가이드 오목부(33)와, 하측의 1줄의 외측 리브(59)를 수용하는 하측 가이드 오목부(34)와, 나머지의 1줄의 외측 리브(59)를 수납하는 우하측 가이드 오목부(39)가 마련되어 있다. 상측 가이드 오목부(33)의 상면에는, 상측의 2줄의 외측 리브(59) 사이에 감합하는 중간 리브(36)가 마련되어 있고, 이 중간 리브(36)는, 전측 후드부(32)의 앞쪽 가장자리보다 후방의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내측 리브(60)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 후드부(52)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대략 좌하측에 1줄이 마련되고, 대략 우상측에 1줄이 마련되며, 대략 우하측에 1줄이 마련되어 있다. 각 내측 리브(6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고, 감합 바닥면(53)을 기단(基端)으로 하여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이 중 대략 좌하측에 위치하는 1줄의 내측 리브(60)는, 다른 2줄의 내측 리브(60)보다 전후 방향으로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형 하우징(10)의 프론트 캡(15)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줄의 내측 리브(60)를 수용하는 3개의 오감합 방지 오목부(37)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4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43)가 통과로(25)를 가로질러 전측 후드부(52)의 진입 경로에 위치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전측 후드부(52)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양 유도부(57) 이외의 부분이 결합부(43)에 접촉함으로써 오감합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만약 외측 리브(59)에 의한 오감합 방지를 기능시키고자 한 경우라도, 전측 후드부(52)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양 유도부(57) 이외의 부분이 결합부(43)에 접촉함으로써, 오감합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만약 스프링(40)에 의한 오감합 방지가 기능하지 않은 경우라도, 내측 리브(60)에 의한 오감합 방지가 프론트 캡(15)의 전면에 있어서의 3개의 오감합 방지 오목부(37) 이외의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오감합이 방지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며, 계속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수형 커넥터(M)를 엔진 등의 고진동 부재에 부착할 때에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육각 렌치(W)를 전측 후드부(52)의 외주에 씌우도록 삽입하여 육각 너트(N)를 조인다. 이때,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결합 돌기(55)가 육각 렌치(W)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수 있었던 이유는, 결합 오목부(54)를 마련함으로써 결합 돌기(55)의 높이를 억제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결합 오목부(54)를 감합 바닥면(53)보다 후방에 마련하였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M)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즉, 결합 오목부를 전측 후드부에 마련하는 경우, 전측 후드부가 얇아져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측 후드부를 미리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있어, 전측 후드부가 대형화하여 버린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후드부(52)를 대형화하는 일없이 결합 오목부(54)를 감합 바닥면(53)보다 후방에 마련함으로써 결합 돌기(55)의 높이를 억제하여 수형 커넥터(M)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 암수 양 커넥터(F, M)를 감합시킬 때에는, 각 외측 리브(59)가 각 가이드 오목부(33, 34, 39)에 수용되도록 정규의 감합 자세로 위치 결정하여, 양 하우징(10, 50)을 서로 근접시켜 간다. 그렇게 하면, 결합부(43)가 유도부(57)에 맞물리고, 양 레그부(41)를 확장 개방 변형시키면서 결합부(43)가 가이드 오목부(58)에 올라앉는다. 그대로, 양 하우징(10, 50)을 근접시켜 가면, 결합부(43)가 결합 돌기(55)의 전측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 결합 돌기(55)를 타고 넘으면, 양 레그부(41)가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결합부(43)가 결합 오목부(54)에 신속하게 끼워 넣어지고, 이에 의해 암수 양 커넥터(F, M)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다. 이때,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수 양 단자(11, 51)가 단자 감합하여 접속되고, 시일 링(16)에 의해 전측 후드부(52)와 단자 수용부(12)의 사이가 시일된다. 또한, 결합부(43)가 결합 오목부(54)의 바닥면(직경 방향 내측의 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유한 자세로 결합면(56)에 결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결합부(43)와 결합면(56)이 맞물림으로써 암수 양 커넥터(F, M)가 감합 방향으로 압입된 상태로 압박되고 있어, 진동에 의해 암수 양 커넥터(F, M)가 감합 방향과 이탈 방향으로 교대로 이동하는(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암수 양 단자(11, 51)가 미세한 미끄럼 운동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암수 양 커넥터(F, M)를 이탈시킬 때에는, 손가락 걸이부(17)에 손가락을 걸어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를 하방으로 압입하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27)의 양 지지 오목부(27A)가 외통부(13)의 양 지지 돌출부(13A)에 지지된 상태로 한다. 이 후에, 양 지지 돌출부(13A)를 지지점으로 하여 로크 아암(27)을 요동시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휨 부재(28)가 양 어긋남 방지벽(20)의 내측에 끼워 넣어져 로크 아암(27)의 좌우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방지된 상태로 되어 스프링(40)의 상변부(42)가 푸싱부(29)에 의해 수평 자세인 채로 들어 올려지고, 양 레그부(41)가 확장 개방 변형되면서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양 결합부(43)가 양 통과로(25)의 외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크 해제한 상태로 암수 양 커넥터(F, M)를 이탈시키면, 양 결합 돌기(55)가 양 통과로(25)를 통하여 외통부(13)의 외부로 인출되어, 암수 양 커넥터(F, M)가 이탈한다. 그리고, 해제 조작부(35)의 압입을 해제하면, 로크 아암(27)이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27)의 후단부가 양 휨 부재(28)와 함께 양 어긋남 방지벽(20) 사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로크 아암(27)의 좌우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아암(27)에 의해 스프링(40)을 들어올릴 때에, 한쪽의 레그부(41)만이 들어올려지고 다른쪽의 레그부(41)가 들어올려지지 않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레그부(41)를 들어올려 확실하게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양 보호벽(18)은, 양 어긋남 방지벽(20)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달아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보호벽(18)과 어긋남 방지벽(20)이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양 보호벽(18) 사이에 있는 로크 아암(27)의 후단부를 양 어긋남 방지벽(20) 사이로 안내하기 쉬워진다.
암형 커넥터(F)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27)의 하방에는, 동 로크 아암(27)을 2점에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돌출부(13A)가 마련되어 있고, 로크 아암(27)의 하면에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 시에 양 지지 돌출부(13A)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오목부(27A)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좌우 한 쌍의 지지 돌출부(13A)가 좌우 한 쌍의 지지 오목부(27A)에 수용됨으로써, 로크 아암(27)을 수평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암형 커넥터(F)에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27)의 후단부를 내보내는 릴리프부(19)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크 아암(27)의 후단부를 릴리프부(19)로 내보냄으로써, 로크 아암(27)의 휨 량을 늘릴 수 있다.
지지 돌출부(13A)는, 전측 경사면과 후측 경사면을 갖고, 후측 경사면은, 전측 경사면보다 급한 하향 구배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측 경사면을 후측 경사면보다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어,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27)으로부터 받는 힘을 보다 넓은 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고, 지지 돌출부(13A)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측 경사면은,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 시에 로크 아암(27)의 후단부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전측 경사면을 길게 하여도 해제 조작은 방해받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내용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아암(27)이 외통부(13)의 상면으로부터 부유한 자세로 양 휨 부재(28)에 지지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 아암이 처음부터 지지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벽(18)과 어긋남 방지벽(20)이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벽과 어긋남 방지벽을 따로따로 형성하여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릴리프부(19)에 있어서 외통부(13)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외통부(13)를 관통시키지 않고 테이퍼면을 형성함으로써 릴리프부로 하여도 좋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돌출부의 전측 경사면이 후측 경사면보다 완만한 하향 구배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의 경사면이 동일한 경사가 되도록 지지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13A : 지지 돌출부 18 : 보호벽
19 : 릴리프부 20 : 어긋남 방지벽
27 : 로크 아암 27A : 지지 오목부
28 : 휨 부재 40 : 스프링
52 : 전측 후드부 F : 암형 커넥터
M : 수형 커넥터

Claims (5)

  1. 후드부를 갖는 수형 커넥터와,
    이 후드부의 내주측에 감합(嵌合)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고, 상기 후드부의 외주측에 감합 가능하게 된 암형 커넥터와,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기 암형 커넥터에 끼워 부착되며, 상기 수형 커넥터와의 감합에 따라 확장 개방 변형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레그부를 갖는 스프링
    을 구비하고, 이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암수 한 쌍의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로서,
    상기 암형 커넥터는, 상기 스프링을 들어올려 로크를 해제 가능한 로크 아암과, 이 로크 아암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보호벽과, 상기 로크 아암과 양 보호벽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로크 아암과 상기 양 보호벽을 각각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휨 부재와, 상기 양 보호벽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양 보호벽보다 좁은 간격으로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어긋남 방지벽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 시에 상기 로크 아암의 후단부가 양 휨 부재와 함께 양 어긋남 방지벽 사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로크 아암의 좌우로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보호벽은, 상기 양 어긋남 방지벽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달아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로크 아암의 하방에는, 동(同) 로크 아암을 2점에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크 아암의 하면에는, 상기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 시에 양 지지 돌출부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넥터에는, 상기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 시에 상기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내보내는 릴리프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출부는, 전측 경사면과 후측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전측 경사면은, 상기 후측 경사면보다 급한 하향 구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KR20130114423A 2012-10-15 2013-09-26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KR101494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7812 2012-10-15
JP2012227812A JP2014082044A (ja) 2012-10-15 2012-10-15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040A true KR20140048040A (ko) 2014-04-23
KR101494547B1 KR101494547B1 (ko) 2015-02-17

Family

ID=5038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4423A KR101494547B1 (ko) 2012-10-15 2013-09-26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48574B2 (ko)
JP (1) JP2014082044A (ko)
KR (1) KR101494547B1 (ko)
DE (1) DE102013015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2353B2 (ja) * 2012-10-15 2015-11-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SE537815C2 (sv) * 2013-12-05 2015-10-20 Moduel Ab Elektriska moduler
US9318836B2 (en) * 2014-02-06 2016-04-19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JP6086251B2 (ja) 2014-05-20 2017-03-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14068B2 (ja) * 2014-09-24 2018-04-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6191661B2 (ja) * 2015-07-30 2017-09-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06606B2 (ja) * 2017-03-23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IT201700057099A1 (it) * 2017-05-25 2018-11-25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Dispositivo di connettore elettrico
DE102018102493A1 (de) * 2018-02-05 2019-08-08 Connaught Electronics Ltd. Steckverbinder für eine Kamera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Federelement als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eines ersten Steckerteils mit einem zweiten Steckerteil sowie Kamer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0556A (ja) * 1998-07-23 2000-02-08 Sumitomo Wiring Syst Ltd 機器用コネクタ
JP3573279B2 (ja) * 2001-05-30 2004-10-0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94838B2 (ja) * 2002-09-24 2007-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組付け構造
JP4529658B2 (ja) * 2003-11-28 2010-08-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285376B2 (ja) 2004-09-06 2009-06-2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655997B2 (ja) * 2006-05-12 2011-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SG141248A1 (en) * 2006-09-08 2008-04-28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9004318A (ja) * 2007-06-25 2009-01-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924902B2 (ja) 2007-10-24 2012-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5005498B2 (ja) 2007-10-24 2012-08-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掛け止め金具、掛け止め金具付き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掛け止め金具付きコネクタ
EP2053702B1 (en) * 2007-10-24 2012-06-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JP4924901B2 (ja) * 2007-10-24 2012-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2009104938A (ja) 2007-10-24 2009-05-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015513A1 (de) 2014-04-17
KR101494547B1 (ko) 2015-02-17
US20140106603A1 (en) 2014-04-17
US9048574B2 (en) 2015-06-02
JP2014082044A (ja)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8040A (ko)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KR20140048039A (ko)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KR20140048038A (ko)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US9490574B2 (en) Connector with detecting member
CN107039824B (zh) 连接器
KR101652175B1 (ko) 커넥터
US10756485B2 (en) Connector having a locking portion, an unlocking portion and a fitting assurance member
US10263363B2 (en) Connector
JP5486859B2 (ja) コネクタ
US10811820B2 (en) Member locking structure
JP6477527B2 (ja) コネクタ
CN104901084B (zh) 连接器
JP2019212404A (ja) コネクタ
WO2018074194A1 (ja) 防水コネクタ
KR101676884B1 (ko) 커넥터
CN111316507A (zh) 连接器
CN102437475A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20200153161A1 (en) Connector
JP6142836B2 (ja) コネクタ
CN111987502B (zh) 连接器和线束
JP6323229B2 (ja) コネクタ
CN114830458B (zh) 连接器
JP7440371B2 (ja) コネクタ
JP6782620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JP201705023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