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038A -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8038A KR20140048038A KR1020130114401A KR20130114401A KR20140048038A KR 20140048038 A KR20140048038 A KR 20140048038A KR 1020130114401 A KR1020130114401 A KR 1020130114401A KR 20130114401 A KR20130114401 A KR 20130114401A KR 20140048038 A KR20140048038 A KR 201400480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connector
- male
- hood
- engag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스프링에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를 마련한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는, 전측 후드부(52)를 갖는 수형 커넥터(M)와, 이 전측 후드부(52)의 내주측에 감합하는 단자 수용부(12)를 갖고, 전측 후드부(52)의 외주측에 감합 가능하게 된 암형 커넥터(F)와, 암형 커넥터(F)에 끼워 부착되며, 수형 커넥터(M)와의 감합에 따라 확장 개방 변형 가능한 스프링(40)을 구비하고, 이 스프링(40)의 스프링력에 의해 암수 한 쌍의 커넥터(F, M)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로서, 수형 커넥터(M)의 외면에는, 스프링(40)에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5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합 오목부(54)는, 전측 후드부(52)의 외면보다 내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이면서, 전측 후드부(52)의 내면에 있어서의 안쪽 단부측에 위치하는 감합 바닥면(53)보다 더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는, 전측 후드부(52)를 갖는 수형 커넥터(M)와, 이 전측 후드부(52)의 내주측에 감합하는 단자 수용부(12)를 갖고, 전측 후드부(52)의 외주측에 감합 가능하게 된 암형 커넥터(F)와, 암형 커넥터(F)에 끼워 부착되며, 수형 커넥터(M)와의 감합에 따라 확장 개방 변형 가능한 스프링(40)을 구비하고, 이 스프링(40)의 스프링력에 의해 암수 한 쌍의 커넥터(F, M)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로서, 수형 커넥터(M)의 외면에는, 스프링(40)에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5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합 오목부(54)는, 전측 후드부(52)의 외면보다 내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이면서, 전측 후드부(52)의 내면에 있어서의 안쪽 단부측에 위치하는 감합 바닥면(53)보다 더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해 암수 한 쌍의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로서,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후드부를 갖는 수형 커넥터와, 이 후드부 내에 감합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는 암형 커넥터와, 암수 한 쌍의 커넥터를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는, 단자 수용부의 외주측을 둘러싸는 외통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은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외통부의 외주면에 끼워 붙여져 있다. 스프링의 일부는, 외통부를 관통하여 단자 수용부측에 들어가 있고, 이 들어간 부분은 결합부로 되어 있다. 한편, 수형 커넥터의 후드부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와 결합 돌기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암수 한 쌍의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다.
그러나, 상기 결합 돌기는, 후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후드부의 외주에 육각 렌치를 외부 끼움하여 볼트 체결함으로써 수형 커넥터를 보디에 고정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육각 렌치와 결합 돌기가 서로 간섭할 우려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후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양태로 후드부의 외주면에 결합 오목부를 마련하여 이 결합 오목부에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후드부에 있어서의 결합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이 박육(薄肉)으로 되어, 강도가 저하하여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후드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스프링에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드부를 갖는 수형 커넥터와, 이 후드부의 내주측에 감합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고, 후드부의 외주측에 감합 가능하게 된 암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에 끼워 부착되며, 수형 커넥터와의 감합에 따라 확장 개방 변형 가능한 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암수 한 쌍의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로서, 수형 커넥터의 외면에는, 스프링에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합 오목부는, 후드부의 외면보다 내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이고, 또한 후드부의 내면에 있어서의 안쪽 단부측에 위치하는 감합 바닥면보다 더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결합 오목부가 후드부의 감합 바닥면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후드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결합 오목부가 후드부의 외면보다 내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후드부의 외주에 육각 렌치를 외부 끼움하여 볼트 체결할 때에, 육각 렌치와 수형 커넥터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양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수형 커넥터는, 후드부를 구비한 수형 하우징과, 이 수형 하우징의 후단부에 유지된 육각 너트를 구비하고, 수형 하우징은, 대략 원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육각 너트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형 하우징의 외주에 육각 렌치를 외부 끼움하여 육각 너트를 조임으로써, 수형 커넥터를 보디에 볼트 체결할 수 있다.
결합 오목부의 감합 방향 앞쪽에는, 결합 오목부와 함께 결합면을 구성하고 이 결합면에 스프링이 결합 가능하게 된 결합 돌기가 연달아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결합 오목부와 결합 돌기에 의해 구성된 결합면에 스프링을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합면의 높이를 올려 스프링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드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스프링에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를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암형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감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지지 돌출부가 지지 오목부에 수용되어 지지 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스프링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릴리프부로 내보냄으로써,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도 8의 상태보다 더 하방으로 압입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암형 커넥터에 스프링을 끼워 부착시키기 전의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암형 커넥터에 스프링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암형 커넥터에 스프링을 장착한 후의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 상태를 상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암형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지지 돌출부가 지지 오목부에 수용되어 지지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8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스프링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9는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수형 커넥터를 육각 렌치에 삽입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1은 수형 커넥터를 육각 렌치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2는 수형 커넥터를 육각 렌치에 삽입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암형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감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지지 돌출부가 지지 오목부에 수용되어 지지 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스프링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릴리프부로 내보냄으로써,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도 8의 상태보다 더 하방으로 압입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암형 커넥터에 스프링을 끼워 부착시키기 전의 상태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암형 커넥터에 스프링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암형 커넥터에 스프링을 장착한 후의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 상태를 상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암형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지지 돌출부가 지지 오목부에 수용되어 지지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8은 로크 아암의 해제 조작에 따라 스프링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9는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수형 커넥터를 육각 렌치에 삽입한 상태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1은 수형 커넥터를 육각 렌치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2는 수형 커넥터를 육각 렌치에 삽입한 상태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22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는, 도 1에 도시하는 암형 커넥터(F)와, 도 19에 도시하는 수형 커넥터(M)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F)의 암형 하우징(10)에 장착된 스프링(40)에 의해, 암형 하우징(10)과 수형 커넥터(M)의 수형 하우징(50)이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양 커넥터(F, M)의 감합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서로의 감합면측을 앞쪽으로 한다. 또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20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M)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수형 하우징(50)과, 이 수형 하우징(50)의 후단부에 유지된 육각 너트(N)를 구비한다. 수형 하우징(50)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상의 외형을 갖고, 육각 너트(N)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형 하우징(50)의 외형은, 육각 너트(N)의 외형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M)를 육각 렌치(W)에 삽입한 경우에, 수형 하우징(50)과 육각 렌치(W)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육각 렌치(W)에 의해 육각 너트(N)를 조임으로써, 수형 커넥터(M)가 엔진 등의 고진동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50)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을 이루어 전방에서 개구되는 전측 후드부(52)와, 후방에서 개구되는 후측 후드부(명확하게는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후측 후드부는 육각 너트(N)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전측 후드부(52)의 내면에 있어서의 안쪽 단부에는, 감합 바닥면(53)이 형성되어 있고, 전측 후드부(52)는, 감합 바닥면(53)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지도록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50)의 안쪽벽[전측 후드부(52)와 후측 후드부 사이의 벽]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수형 단자(51)가 압입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들 수형 단자(51)는, 감합 바닥면(5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를 이루고, 그 전방 단부 위치는, 전측 후드부(52)의 전후 방향 중앙 위치보다 약간 후방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수형 단자(51)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삼각형의 배치로 3개가 배치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50)의 좌우 양측면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결합 돌기(55)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결합 돌기(55)는, 마찬가지로 수형 하우징(50)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결합 오목부(54)의 감합 방향 전방측에 연달아 마련되어 있다. 결합 돌기(5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감합 바닥면(53)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50)의 외주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결합 오목부(54)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면과, 이들 면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을 갖고, 이 바닥면은, 전측 후드부(52)의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해 있다. 또한, 결합 오목부(54)는, 감합 바닥면(53)보다 후방에 위치해 있다. 결합 돌기(55)의 전면(前面)은, 스프링(40)이 타고 오르기 쉽도록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완만하게 오르는 경사를 이루고, 후면은, 스프링(40)이 결합 가능한 결합면(5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결합면(56)의 나머지 부분은, 결합 오목부(54)의 전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결합면(56)은, 결합 돌기(55)의 후측 경사면과 결합 오목부(54)의 전측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F)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암형 하우징(10)을 구비한다. 이 암형 하우징(1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형 단자(11)를 수용 가능한 단자 수용부(12)와, 이 단자 수용부(12)의 외주측에 배치된 외통부(13)를 구비한다. 단자 수용부(12)는, 수형 하우징(50)의 전측 후드부(52) 내에 감합 가능한 대략 원기둥형을 이루고 있다. 이 단자 수용부(12)에는, 암형 단자(11)를 후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3개의 캐비티(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캐비티(14)는, 수형 단자(51)의 배치와 대응하여 역삼각형의 배치로 3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 수용부(12)의 전방 단부에는, 프론트 캡(15)이 씌워져 부착되어 있다.
외통부(13)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형상을 이루고, 단자 수용부(12)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걸쳐서 마련되며, 외통부(13)의 후단과 단자 수용부(12)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외통부(13)와 단자 수용부(12)의 사이에는, 수형 하우징(50)의 전측 후드부(52)가 진입 가능한 진입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2)의 외주면 중 안쪽 단부에는 시일 링(16)이 외부 끼움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시일 링(16)이 수형 하우징(50)의 전측 후드부(52)와 암형 하우징(10)의 단자 수용부(12)의 사이에 끼여 부착됨으로써 암수 양 하우징(10, 50) 사이가 시일된다. 또한, 외통부(13)의 측벽에는, 암형 단자(11)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리테이너(38)를, 단자 수용부(12)에 조립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암형 하우징(10)의 후단부에는,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손가락 걸이부(17)가 마련되어 있다. 양 커넥터(F, M)를 이탈시킬 때에는, 후술하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에 엄지 손가락을 올려 로크 아암(27)을 밀어 내리며, 손가락 걸이부(17)에 집게 손가락을 걸어 암형 하우징(10)을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통부(13)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이 마련되어 있다. 보호벽(18)은, 암형 하우징(10)의 후단으로부터 전단 부근의 위치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며,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 사이에, 로크 아암(27)이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부(13)의 상면 중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 사이의 부분에는, 그 전후 방향 대략 중앙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절취된 릴리프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부(19)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의 하방에 위치해 있으며, 릴리프부(19)의 높이 위치는, 외통부(13)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해제 조작부(35)를 릴리프부(19)의 위치까지 압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통부(13)의 전방 단부에 있어서의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위치 결정벽(21, 2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중 뒤쪽에 배치된 위치 결정벽을 제1 위치 결정벽(21)으로 하고, 앞쪽에 배치된 위치 결정벽을 제2 위치 결정벽(22)으로 한다. 제1 위치 결정벽(21)은, 보호벽(18)의 전단으로부터 외통부(13)의 양측면에 걸쳐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형을 이루고 있다. 한편, 제2 위치 결정벽(22)은, 외통부(13)의 상면으로부터 양측면에 걸쳐 대략 문형으로 연장되는 리브형을 이루고 있다. 제2 위치 결정벽(22)과 제1 위치 결정벽(2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40)의 전후 방향의 치수(직경)와 거의 같은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위치 결정벽(22)의 수평 부분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로크 아암(27)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로크 아암(27)의 전방 단부를 내보내는 전측 오목부(23)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측 오목부(23)는, 그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조금씩 요입(凹入) 깊이가 커지는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의 깊이 치수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위치 결정벽(22)의 벽 두께 치수(전후 방향의 두께 치수)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외통부(13) 중 제1 위치 결정벽(21)과 제2 위치 결정벽(22) 사이의 부분은, 스프링(40)이 장착되는 장착부(24)로 되어 있다. 이 장착부(24)는, 외통부(13)의 외주면을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여 이루어지는 부분과, 제1 위치 결정벽(21) 및 제2 위치 결정벽(22)으로 구성된다.
외통부(13)의 좌우 양측벽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50)의 결합 돌기(55)가 통과 가능한 통과로(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통과로(25)는, 외통부(13)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며 장착부(24)와 연통되어 있다. 장착부(24)와 통과로(25)가 연통하는 부분인 연통부(26)의 상하 방향 치수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돌기(55)의 상하 방향 치수와 거의 같은 치수로 되어 있다.
암형 하우징(10)의 장착부(24)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40)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개구된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서로 대향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레그부(41)와, 이 레그부(41)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상변부(42)를 구비한다. 한 쌍의 레그부(41)는, 자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변부(42)의 양단으로부터 이 상변부(42)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수직 하강하고 있다.
레그부(41)의 하단부는, 내측(서로 접근하는 방향)에 대략 산 형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이 굴곡된 부분은 통과로(25)를 가로질러 전측 후드부(52)의 진입 경로로 돌출하는 결합부(43)로 되어 있다. 이 결합부(43)는, 그 내측을 향하여 서로 접근하는 상측 경사변과 하측 경사변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경사변과 하측 경사변의 연결 부분에는 라운딩이 행하여져 있다.
스프링(40)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43)가 통과로(25)를 가로질러 전측 후드부(52)의 진입 경로로 돌출하는 초기 위치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43)가 통과로(25)로 돌출하는 진입 위치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43)가 통과로(25)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40)이 진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통과로(25)로 돌출하는 결합부(43)가, 통과로(25)를 통과하는 결합 돌기(55)에 압박됨으로써 레그부(41)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양 커넥터(F, M)가 정규의 감합 상태에 이르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그부(41)가 탄성 복귀하여 결합부(43)가 결합면(56)에 맞물리며, 수형 하우징(50)을 이탈 불능하게 로크한다. 그리고, 스프링(40)은, 진입 위치로부터 상방[암형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후퇴 위치에 이른다. 스프링(40)이 후퇴 위치에 이르면, 결합부(43)는, 통과로(25)로부터 후퇴하여 로크 해제가 이루어지며, 통과로(25)로부터 후퇴한 결합부(43)는, 장착부(24)에 있어서의 연통부(26)의 상측 부분에 타고 올라간 상태가 된다.
전측 후드부(52)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규의 감합 자세로 감합이 행하여졌을 때에, 결합부(43)가 타고 올라가 결합 가능한 유도부(57)가 마련되어 있고, 올바르지 않은 감합 자세로 감합이 행하여졌을 때에는, 전측 후드부(52)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유도부(57) 이외의 부분이 결합부(43)에 접촉함으로써 감합 동작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유도부(57)는, 전측 후드부(52)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대략 U자형으로 절취하고, 그 절취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외면측을 테이퍼형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도부(57)는, 좌우 한 쌍의 결합부(43)에 대응하여 전측 후드부(52)의 좌우 양측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전측 후드부(52)의 외주면에는, 결합부(43)가 유도부(57)를 타고 올라간 후, 결합부(43)를 감합 방향을 따라 결합면(56)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오목부(58)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 오목부(58)는, 좌우 한 쌍의 결합부(43)에 대응하여 전측 후드부(52)의 좌우 양측에 한 쌍 마련되어 있고, 유도부(57)로부터 결합 돌기(55)의 전측 경사면에 이르는 범위에서 요입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결합부(43)가 좌우 한 쌍의 가이드 오목부(58)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스프링(40)이 암형 커넥터(F)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억지되고 있다.
로크 아암(27)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우 방향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휨 부재(28)를 통해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아암(27)의 후단부에는, 엄지 손가락을 올려 로크 아암(27)의 후단부를 밀어 내리기 위한 해제 조작부(3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27)은, 암형 하우징(10)의 후단으로부터 제2 위치 결정벽(22)의 전측 오목부(23)까지 돌출하는 길이 치수를 구비한다.
휨 부재(28)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고, 그 전방 단부가 보호벽(18)에 연결되며, 그 후단부가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27)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에는, 로크 아암(27)은, 외통부(13)의 상면과 대략 평행을 이루고, 좌우 한 쌍의 휨 부재(28)에 의해 외통부(1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부유한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외통부(13)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27)의 하방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27)을 2점에서 수평 자세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돌출부(13A)가 마련되어 있고, 로크 아암(27)의 하면에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 시에 양 지지 돌출부(13A)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오목부(27A)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를 밀어 내리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지지 돌출부(13A)가 양 지지 오목부(27A)에 접촉하고, 또한 해제 조작부(35)를 밀어 내리면, 양 지지 돌출부(13A)를 지지점으로 하여 로크 아암(27)이 시소형으로 요동 변위한다. 이에 따라, 휨 부재(28)는, 휨 변형되게 된다. 지지 돌출부(13A)는, 전측 경사면과 후측 경사면을 갖고 있고, 후측 경사면은, 전측 경사면보다 급한 하향 구배로 되어 있다.
또한, 양 보호벽(18)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대향 상태를 이루어 내향으로 돌출한 좌우 한 쌍의 젖힘 방지 부재(1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젖힘 방지 부재(18A)는, 휨 부재(28)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크 아암(27)이 외력을 받아 상방으로 압박된 경우에, 양 휨 부재(28)가 양 젖힘 방지 부재(18A)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로크 아암(27)의 젖힘이 방지된다.
외통부(13)의 상면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좌우 한 쌍의 보호벽(18)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어긋남 방지벽(20)이 형성되어 있다. 양 보호벽(18)은, 양 어긋남 방지벽(20)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달아 마련되어 있다. 양 어긋남 방지벽(20) 사이에는,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에 따라,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와 이에 접속된 양 휨 부재(28)의 후단부가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아암(27)의 좌우로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로크 아암(27)의 전방 단부는 스프링(40)의 하측에 배치되고, 로크 아암(27)이 틸팅하면 스프링(4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푸싱부(29)로 되어 있다. 로크 아암(27)의 전방 단부에는 상방으로 세워진 전벽부(31)가 마련되고, 이 전벽부(31)에 의해, 푸싱부(29)는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 즉 스프링(40)을 밀어올릴 때에, 스프링(40)이 압박되는 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전벽부(31)는, 제2 위치 결정벽(22)의 전측 오목부(23)에 들어간 상태로 되고, 로크 아암(27)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에는, 그 후면과 제2 위치 결정벽(22)의 후면[제1 위치 결정벽(21)과의 대향면]은 대략 동일면을 이루고 있다. 전벽부(31)는, 로크 아암(27)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지고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전벽부(31)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32)의 돌출 치수는, 스프링(40)의 전후 방향의 치수(직경)와 거의 같은 치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링(40)이 도 6에 나타내는 진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돌출부(32)가 스프링(40)의 상변부(42)에 대하여 약간 전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돌출부(32) 중 스프링(40)의 상변부(42)를 덮는 부분의 치수는, 스프링(40)의 전후 방향의 치수(직경)의 대략 절반의 치수(반경)와 거의 같은 치수로 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40)이 도 8에 나타내는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돌출부(32)가 스프링(40)의 상변부(42)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프링(40)의 상변부(42)의 거의 전부가 돌출부(32)에 의해 덮인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측 후드부(52)는 대략 원통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 하우징(10)에 대하여 오감합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고, 그 오감합 방지책으로서, 외측 리브(59)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와, 스프링(4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와, 내측 리브(6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의 3가지가 마련되어 있다. 오감합 방지 기구가 개시되는 타이밍으로서는, 우선 외측 리브(59)에 의해 오감합 방지 기구가 개시되고, 그 다음에, 스프링(4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가 개시되며, 마지막으로, 내측 리브(6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가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외측 리브(59)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 후드부(5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2줄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1줄이 마련되며, 도면에서 보아 좌측의 유도부(57)의 하측에 1줄이 마련되어 있다. 각 외측 리브(59)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측의 2조의 외측 리브(59)는, 도 13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결합 오목부(54)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외측 리브(59)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암형 하우징(10)의 외통부(13)의 내주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의 2줄의 외측 리브(59)를 함께 수용하는 상측 가이드 오목부(33)와, 하측의 1줄의 외측 리브(59)를 수용하는 하측 가이드 오목부(34)와, 나머지의 1줄의 외측 리브(59)를 수납하는 우하측 가이드 오목부(39)가 마련되어 있다. 상측 가이드 오목부(33)의 상면에는, 상측의 2줄의 외측 리브(59) 사이에 감합하는 중간 리브(36)가 마련되어 있고, 이 중간 리브(36)는, 전측 후드부(32)의 앞쪽 가장자리보다 후방의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내측 리브(60)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 후드부(52)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대략 좌하측에 1줄이 마련되고, 대략 우상측에 1줄이 마련되며, 대략 우하측에 1줄이 마련되어 있다. 각 내측 리브(6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고, 감합 바닥면(53)을 기단(基端)으로 하여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이 중 대략 좌하측에 위치하는 1줄의 내측 리브(60)는, 다른 2줄의 내측 리브(60)보다 전후 방향으로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형 하우징(10)의 프론트 캡(15)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줄의 내측 리브(60)를 수용하는 3개의 오감합 방지 오목부(37)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40)에 의한 오감합 방지 기구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43)가 통과로(25)를 가로질러 전측 후드부(52)의 진입 경로에 위치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전측 후드부(52)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양 유도부(57) 이외의 부분이 결합부(43)에 접촉함으로써 오감합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만약 외측 리브(59)에 의한 오감합 방지를 기능시키고자 한 경우라도, 전측 후드부(52)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양 유도부(57) 이외의 부분이 결합부(43)에 접촉함으로써, 오감합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만약 스프링(40)에 의한 오감합 방지가 기능하지 않은 경우라도, 내측 리브(60)에 의한 오감합 방지가 프론트 캡(15)의 전면에 있어서의 3개의 오감합 방지 오목부(37) 이외의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오감합이 방지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며, 계속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수형 커넥터(M)를 엔진 등의 고진동 부재에 부착할 때에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육각 렌치(W)를 전측 후드부(52)의 외주에 씌우도록 삽입하여 육각 너트(N)를 조인다. 이때,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결합 돌기(55)가 육각 렌치(W)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수 있었던 이유는, 결합 오목부(54)를 마련함으로써 결합 돌기(55)의 높이를 억제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결합 오목부(54)를 감합 바닥면(53)보다 후방에 마련하였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M)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즉, 결합 오목부를 전측 후드부에 마련하는 경우, 전측 후드부가 얇아져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측 후드부를 미리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있어, 전측 후드부가 대형화하여 버린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후드부(52)를 대형화하는 일없이 결합 오목부(54)를 감합 바닥면(53)보다 후방에 마련함으로써 결합 돌기(55)의 높이를 억제하여 수형 커넥터(M)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 암수 양 커넥터(F, M)를 감합시킬 때에는, 각 외측 리브(59)가 각 가이드 오목부(33, 34, 39)에 수용되도록 정규의 감합 자세로 위치 결정하여, 양 하우징(10, 50)을 서로 근접시켜 간다. 그렇게 하면, 결합부(43)가 유도부(57)에 맞물리고, 양 레그부(41)를 확장 개방 변형시키면서 결합부(43)가 가이드 오목부(58)에 올라앉는다. 그대로, 양 하우징(10, 50)을 근접시켜 가면, 결합부(43)가 결합 돌기(55)의 전측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 결합 돌기(55)를 타고 넘으면, 양 레그부(41)가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결합부(43)가 결합 오목부(54)에 신속하게 끼워 넣어지고, 이에 의해 암수 양 커넥터(F, M)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된다. 이때,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수 양 단자(11, 51)가 단자 감합하여 접속되고, 시일 링(16)에 의해 전측 후드부(52)와 단자 수용부(12)의 사이가 시일된다. 또한, 결합부(43)가 결합 오목부(54)의 바닥면(직경 방향 내측의 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유한 자세로 결합면(56)에 결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결합부(43)와 결합면(56)이 맞물림으로써 암수 양 커넥터(F, M)가 감합 방향으로 압입된 상태로 압박되고 있어, 진동에 의해 암수 양 커넥터(F, M)가 감합 방향과 이탈 방향으로 교대로 이동하는(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암수 양 단자(11, 51)가 미세한 미끄럼 운동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암수 양 커넥터(F, M)를 이탈시킬 때에는, 손가락 걸이부(17)에 손가락을 걸어 로크 아암(27)의 해제 조작부(35)를 하방으로 압입하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27)의 양 지지 오목부(27A)가 외통부(13)의 양 지지 돌출부(13A)에 지지된 상태로 한다. 이 후에, 양 지지 돌출부(13A)를 지지점으로 하여 로크 아암(27)을 요동시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휨 부재(28)가 양 어긋남 방지벽(20)의 내측에 끼워 넣어져 로크 아암(27)의 좌우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방지된 상태로 되어 스프링(40)의 상변부(42)가 푸싱부(29)에 의해 수평 자세인 채로 들어 올려지고, 양 레그부(41)가 확장 개방 변형되면서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양 결합부(43)가 양 통과로(25)의 외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크 해제한 상태로 암수 양 커넥터(F, M)를 이탈시키면, 양 결합 돌기(55)가 양 통과로(25)를 통하여 외통부(13)의 외부로 인출되어, 암수 양 커넥터(F, M)가 이탈한다. 그리고, 해제 조작부(35)의 압입을 해제하면, 로크 아암(27)이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오목부(54)가 전측 후드부(52)의 감합 바닥면(53)보다 안쪽측(후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결합 오목부(54)를 마련함으로써 전측 후드부(52)의 강도가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결합 오목부(54)가 전측 후드부(52)의 외면보다 내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전측 후드부(52)의 외주에 육각 렌치(W)를 외부 끼움하여 볼트 체결할 때에, 육각 렌치(W)와 수형 하우징(50)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M)는, 전측 후드부(52)를 구비한 수형 하우징(50)과, 이 수형 하우징(50)의 후단부에 유지된 육각 너트(N)를 구비하고, 수형 하우징(50)은, 대략 원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육각 너트(N)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형 하우징(50)의 외주에 육각 렌치(W)를 외부 끼움하여 육각 너트(N)를 조임으로써, 수형 커넥터(M)를 엔진 등의 보디에 볼트 체결할 수 있다.
결합 오목부(54)의 감합 방향 앞쪽에는, 결합 오목부(54)와 함께 결합부(43)에 결합 가능한 결합 돌기(55)가 연달아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결합 오목부(54)에 더하여 결합 돌기(55)를 결합부(43)에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합부(43)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결합 오목부를 마련하지 않고 결합 돌기만을 마련하여 결합부(43)에 결합시키는 경우보다, 결합 돌기(55)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내용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육각 렌치(W)를 이용하여 육각 너트(N)를 조이는 것을 예시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수형 하우징(50)이 간섭하는 공구로서는 육각 렌치(W)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공구가 수형 하우징에 간섭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돌기(55)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돌기를 마련하지 않고 결합 오목부만으로 결합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40 : 스프링 50 : 수형 하우징
51 : 수형 단자 52 : 전측 후드부
53 : 감합 바닥면 54 : 결합 오목부
55 : 결합 돌기 56 : 결합면
F : 암형 커넥터 M : 수형 커넥터
N : 육각 너트
51 : 수형 단자 52 : 전측 후드부
53 : 감합 바닥면 54 : 결합 오목부
55 : 결합 돌기 56 : 결합면
F : 암형 커넥터 M : 수형 커넥터
N : 육각 너트
Claims (3)
- 후드부를 갖는 수형 커넥터와,
이 후드부의 내주측에 감합(嵌合)하는 단자 수용부를 갖고, 상기 후드부의 외주측에 감합 가능하게 된 암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에 끼워 부착되며, 상기 수형 커넥터와의 감합에 따라 확장 개방 변형 가능한 스프링
을 구비하고, 이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암수 한 쌍의 커넥터가 정규의 감합 상태로 로크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로서,
상기 수형 커넥터의 외면에는, 상기 스프링에 결합 가능한 결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합 오목부는, 상기 후드부의 외면보다 내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이면서, 상기 후드부의 내면에 있어서의 안쪽 단부측에 위치하는 감합 바닥면보다 더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넥터는, 상기 후드부를 구비한 수형 하우징과, 이 수형 하우징의 후단부에 유지된 육각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하우징은, 대략 원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육각 너트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오목부의 감합 방향 앞쪽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와 함께 결합면을 구성하며 이 결합면에 상기 스프링이 결합 가능하게 된 결합 돌기가 연달아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27770A JP5812353B2 (ja) | 2012-10-15 | 2012-10-15 |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
JPJP-P-2012-227770 | 2012-10-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8038A true KR20140048038A (ko) | 2014-04-23 |
Family
ID=5038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4401A KR20140048038A (ko) | 2012-10-15 | 2013-09-26 |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099805B2 (ko) |
JP (1) | JP5812353B2 (ko) |
KR (1) | KR20140048038A (ko) |
DE (1) | DE10201301554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12353B2 (ja) * | 2012-10-15 | 2015-11-1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
DE102012020767A1 (de) * | 2012-10-23 | 2014-04-24 | Kostal Kontakt Systeme Gmbh | Elektrischer Nullkraftsteckverbinder |
US9318836B2 (en) * | 2014-02-06 | 2016-04-19 | Dai-Ichi Seiko Co., Ltd. | Electric connector |
JP2016110851A (ja) * | 2014-12-08 | 2016-06-20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EP3396784B1 (en) * | 2017-04-28 | 2020-12-23 | Precision Subsea AS | Housing assembly for a wet-mate connector, in particular for deep-sea applications, having a latch mechanism on the outside |
JP7032467B2 (ja) * | 2020-03-09 | 2022-03-0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
CN114744450B (zh) * | 2022-06-08 | 2022-09-13 | 安费诺(常州)高端连接器有限公司 | 高速连接器互配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60549A (en) * | 1994-09-02 | 1995-10-24 | Itt Industries, Inc. | Connector with sealed contacts |
US6585536B1 (en) * | 2002-09-11 | 2003-07-01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able end connector with locking member |
JP4924902B2 (ja) | 2007-10-24 | 2012-04-25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
EP2053702B1 (en) * | 2007-10-24 | 2012-06-20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A connector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
JP2014082044A (ja) * | 2012-10-15 | 2014-05-08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
JP5854281B2 (ja) * | 2012-10-15 | 2016-02-09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
JP5812353B2 (ja) * | 2012-10-15 | 2015-11-1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
-
2012
- 2012-10-15 JP JP2012227770A patent/JP581235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9-18 DE DE102013015540.1A patent/DE102013015540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3-09-26 KR KR1020130114401A patent/KR201400480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0-01 US US14/043,004 patent/US909980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3015540A1 (de) | 2014-04-17 |
JP5812353B2 (ja) | 2015-11-11 |
US9099805B2 (en) | 2015-08-04 |
US20140106602A1 (en) | 2014-04-17 |
JP2014082040A (ja) | 2014-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48038A (ko) |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 |
KR20140048040A (ko) |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 |
KR20140048039A (ko) |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 |
US10756485B2 (en) | Connector having a locking portion, an unlocking portion and a fitting assurance member | |
JP5486859B2 (ja) | コネクタ | |
US10811820B2 (en) | Member locking structure | |
KR20150045900A (ko) | 커넥터 | |
JP6477527B2 (ja) | コネクタ | |
JP6601242B2 (ja) | コネクタ | |
JP2017135067A (ja) | コネクタ | |
JP2017135068A (ja) | コネクタ | |
JP2019212404A (ja) | コネクタ | |
EP1701414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WO2018074194A1 (ja) | 防水コネクタ | |
JP2015170489A (ja) | コネクタ | |
JP6475489B2 (ja) | コネクタ | |
CN111987502B (zh) | 连接器和线束 | |
JP5056404B2 (ja) | コネクタ | |
US10559924B2 (en) | Connector | |
JP5397124B2 (ja) | コネクタ | |
JP2015201263A (ja) | コネクタ | |
CN114830458B (zh) | 连接器 | |
JP7440371B2 (ja) | コネクタ | |
WO2020137453A1 (ja) | コネクタ | |
JP2021012862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