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17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2175B1 KR101652175B1 KR1020140141651A KR20140141651A KR101652175B1 KR 101652175 B1 KR101652175 B1 KR 101652175B1 KR 1020140141651 A KR1020140141651 A KR 1020140141651A KR 20140141651 A KR20140141651 A KR 20140141651A KR 101652175 B1 KR101652175 B1 KR 101652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engagement
- pair
- detection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로크 아암과 개별 대응하는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를 구비한 감합 검지 부재의 구조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합 검지 부재(40)는, 한 쌍의 로크 아암(30)과 개별 대응하는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41)를 검지 조작부(45)로 연결한 형태이며, 수측 커넥터(M)(상대측 커넥터)와 하우징(20)이 정규 감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초기 위치에 유지되고, 수측 커넥터(M)와 하우징(20)이 정규 감합된 상태에서는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검지 조작부(45)에는, 하우징(20)의 스토퍼(24)에 계지함으로써, 초기 위치의 감합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와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계지부(48)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 검지 부재(40)는, 한 쌍의 로크 아암(30)과 개별 대응하는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41)를 검지 조작부(45)로 연결한 형태이며, 수측 커넥터(M)(상대측 커넥터)와 하우징(20)이 정규 감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초기 위치에 유지되고, 수측 커넥터(M)와 하우징(20)이 정규 감합된 상태에서는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검지 조작부(45)에는, 하우징(20)의 스토퍼(24)에 계지함으로써, 초기 위치의 감합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와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계지부(48)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의 좌우 양 외측면에 한 쌍의 로크 아암을 형성하고, 이 한 쌍의 로크 아암에 의해 하우징을 감합 상태로 로크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로크 아암을 갖는 커넥터의 경우, 양 로크 아암 중 한쪽만이 로크 상태로 되어 있어도, 다른 쪽의 로크 아암이 언로크 상태 그대로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로크 아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기능하는 감합 검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로크 아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기능하는 감합 검지 부재로서는, 양 로크 아암과 개별 대응하는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와, 이 양 감합 검지 기능부를 연결한 형태의 검지 조작부를 일체 성형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감합 검지 기능부를 연결한 형태로 하면, 한 번의 액션으로 2개의 로크 아암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상기한 감합 검지 부재에 있어서의 감합 검지 기능부는, 로크 아암이 하나뿐인 커넥터의 경우와 같은 구조를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감합 검지 기능부는 하나만이라도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2개의 감합 검지 기능부를 갖는 감합 검지 부재는 구조가 더욱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한 쌍의 로크 아암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를 구비한 감합 검지 부재에 있어서, 그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좌우 양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형성한 로크부와의 간섭에 의해 탄성적으로 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면 상기 로크부로부터 해리되어 탄성적으로 복귀하는 한 쌍의 로크 아암과,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과 개별 대응하는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를 검지 조작부로 연결한 형태이며,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감합 검지 기능부와 상기 로크 아암의 계지에 의해 초기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이 정규 감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와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의 계지가 해제됨으로써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감합 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검지 조작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에 계지함으로써, 초기 위치의 상기 감합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와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데에 특징을 갖는다.
초기 위치의 감합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와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계지부는,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검지 조작부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계지부의 수는 하나만으로 끝난다. 따라서, 2개의 계지부를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비하면, 구조가 간소화되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를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과정을 나타내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정규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감합 검지 부재가 초기 위치에서 검지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9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감합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감합 검지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감합 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감합 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를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과정을 나타내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정규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감합 검지 부재가 초기 위치에서 검지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9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감합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감합 검지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감합 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감합 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1)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합 검지 부재를 벗긴 상태에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 중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감합 방향과는 반대쪽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된 형태라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이 감합 검지 부재를 벗긴 상태에서 이용되는 경우, 하우징을 상대측 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스토퍼에 손가락을 걸어서, 이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복수의 단자 수용실과, 상기 단자 수용실의 후단부를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시일 타워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시일 타워부의 외면에 연속된 형태라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스토퍼가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인 것과 비교하면, 스토퍼의 강도가 높고, 감합 검지 부재의 이탈 규제 기능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3)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복수의 단자 수용실과, 상기 단자 수용실의 후단부를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시일 타워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지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시일 타워부를 피하도록 굴곡된 형상을 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검지 조작부와 시일 타워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감합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검지 조작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면에 대하여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게 되어 있더라도 좋다. 한 쌍의 로크 아암의 후단은, 하우징의 후면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전후의 위치 어긋남은, 하우징의 후면보다도 후방의 영역이 데드 스페이스인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감합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검지 조작부가, 이 하우징의 후면이 향하는 데드 스페이스에 수용되기 때문에, 커넥터를 전후 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의 수측(雄側) 커넥터(M)(청구항에 기재한 상대측 커넥터)와 암측(雌側) 커넥터(F)(청구항에 기재한 커넥터)는 서로 감합할 수 있다. 양 커넥터(F, M)는, 암측 커넥터(F)에 설치한 한 쌍의 로크 아암(30)에 의해 감합 상태로 로크되는 동시에, 암측 커넥터(F)에 설치한 감합 검지 부재(40)에 의해 감합 상태가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
<수측 커넥터 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측 커넥터(M)는, 복수의 수(雄)단자 금구(13)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부(10)와, 단자 유지부(10)의 바깥 둘레에서 전방(도 4 내지 도 7에서의 우측)으로 캔틸레버형으로 돌출하는 각통형의 후드부(11)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부(11)의 좌우 양 측벽부에는, 그 외측면으로 돌출하는 좌우 대칭인 한 쌍의 로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12)는, 돌기형을 하고 있어, 로크 아암(30)과의 계지에 의해, 양 커넥터(F, M)를 정규 감합 상태로 로크한다.
<암측 커넥터 F>
암측 커넥터(F)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20)과, 합성수지제의 감합 검지 부재(40)를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블록형을 이루어 후드부(11) 내에 끼워져 들어가는 단자 수용부(21)와, 단자 수용부(21)를 포위하는 동시에 양 커넥터(F, M)의 감합 상태에서 후드부(11)를 포위하는 프레임부(25)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21) 내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22)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실(22)은, 상하 2단으로 나누어 지그재그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22) 내에는, 하우징(20)의 후방(도 4 내지 도 7에서의 우측)으로부터 암(雌)단자 금구(도시 생략)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22)의 후단부는, 개별적인 시일 타워부(23)로서 하우징(20)(단자 수용부(21))의 후면(20R)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시일 타워부(23)는, 그 외주면의 일부를 연결한 형태로 되어 있다. 각 시일 타워부(23)의 내주면은 방수용의 시일면으로서 기능한다.
하우징(20)(단자 수용부(21))의 후면(20R)에는 스토퍼(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4)는, 하단에 배치된 시일 타워부(23)의 외주면 중 하면 영역에 연속해 있다. 스토퍼(24)는, 시일 타워부(23)의 후단부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기형을 이루고 있다. 좌우 방향(후술하는 감합 검지 부재(4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스토퍼(24)는, 하우징(20)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24)는, 감합 검지 부재(40)를 초기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도 2, 도 3,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5)는, 단자 수용부(21)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뻗어나온 단자 수용부(21)의 상면과 대향하는 상벽부(26)와, 단자 수용부(21)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뻗어나와 단자 수용부(21)의 하면과 대향하는 하벽부(27)와, 상벽부(26)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부(28)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21)의 외주와 프레임부(25) 사이의 공간은, 후드부(11)를 끼워넣기 위한 감합 공간(29)으로 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로크 아암(30)은, 단자 수용부(21)의 좌우 양 외측면을 따르도록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로크 아암(30)은 연결부(28)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서, 로크 아암(30)은 하우징(20)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 로크 아암(30)은, 각각, 단자 수용부(21)의 좌우 양 외측면의 후단부에 연속해 있는 상하 한 쌍의 레그부(31)와, 양 레그부(31)로부터 전후 양 방향으로 캔틸레버형으로 뻗어나온 형태의 상하 한 쌍의 아암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양 아암부(32)는, 레그부(31)를 지점으로 하여 수평 방향(좌우 방향)으로 시소형으로 탄성적으로 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크 아암(30)의 전단부에는, 양 아암부(32)의 전단부끼리를 중개형으로 연결한 형태의 간섭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30)의 후단부에는, 양 아암부(32)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한 형태의 해제 조작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해제 조작부(34)를 눌러 조작함으로써, 로크 아암(30)을 로크 해제 위치로 탄성 변위시킬 수 있다. 전후 방향에서, 로크 아암(30)의 후단(30R)은, 하우징(20)의 후면(20R)보다도 후방이며 또 시일 타워부(23)의 후단보다도 약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의 후단부 중, 하우징(20)의 후면(20R)과 로크 아암(30)의 후단(30R) 사이의 공간은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 검지 부재(40)는, 좌우 대칭의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41)와, 양 감합 검지 기능부(41)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좌우 대칭의 검지 조작부(45)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각 감합 검지 기능부(41)는, 각각 전방으로 캔틸레버형으로 뻗어나온 형태의 탄성 계지편(42)과, 탄성 계지편(42)의 전단보다도 약간 후방의 영역에서 안쪽(단자 수용부(21)의 외측면 측)으로 돌출한 형태의 돌출 접촉부(43)를 갖고 있다. 탄성 계지편(42)의 전단부는, 돌출 접촉부(43)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기부(44)로 되어 있다.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41)의 후단부는, 검지 조작부(45)의 좌우 양단부에 연속해 있다. 탄성 계지편(42)은, 검지 조작부(45)에 연속해 있는 후단부를 대략 지점으로 하여 수평 방향(좌우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 조작부(45)는 전체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뻗은 형태이다. 검지 조작부(45)는, 탄성 계지편(42)의 후단부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속해 있는 좌우 대칭의 한 쌍의 지지부(46)와, 이 한 쌍의 지지부(46)를 연결하는 형태의 굴곡부(47)를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46)는 탄성 계지편(42)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굴곡부(47)는, 배면 형상이 대략 U자형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있다. 배면에서 봤을 때, 굴곡부(47)의 상향의 좌우 양단부는 지지부(46)에 대략 직각으로 연속해 있다.
검지 조작부(45)에는, 감합 검지 부재(4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계지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지부(48)는, 검지 조작부(4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그 돌출단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즉, 측면에서 봤을 때, 계지부(48)는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있다. 좌우 방향에서, 계지부(48)는 검지 조작부(45)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되는 감합 검지 부재(40)는 하우징(20)에 대하여 후방에서 조립된다. 조립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 계지편(42)이 단자 수용부(21)의 외측면과 로크 아암(30)의 내면 사이에 수용되는 동시에, 검지 조작부(45)가 단자 수용부(21)(하우징(20))의 후면(20R)을 따르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양 커넥터(F, M)를 감합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감합 검지 부재(40)는, 감합 검지 기능부(41)와 로크 아암(30)의 계지에 의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양 커넥터(F, M)가 정규 감합되면, 감합 검지 부재(40)는, 초기 위치에서 도 7에 도시된 검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초기 위치에서는, 감합 검지 부재(40)의 돌출 접촉부(43)가 하우징(20)의 간섭부(33)에 대하여 후방에서 계지(접촉)되는 동시에, 감합 검지 부재(40)의 계지부(48)가 하우징(20)의 스토퍼(24)에 대하여 전방에서 계지(접촉)한다. 이 양 계지 작용에 의해, 감합 검지 부재(40)는, 하우징(20)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가 규제된 상태에서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돌출 접촉부(43)와 간섭부(33)와의 계지가 해제되면, 감합 검지 부재(40)는, 초기 위치에서 도 7에 도시된 검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작용 및 효과>
양 커넥터(F, M)의 감합을 시작하면, 후드부(11)가 감합 공간(29) 내로 진입한다. 양 커넥터(F, M)의 감합 과정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30)의 간섭부(33)가 수측 커넥터(M)의 로크부(12)를 올라타도록 간섭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30)이 로크 해제 위치로 탄성적으로 휜다. 이때, 로크 아암(30)의 간섭부(33)가, 감합 검지 부재(40)의 걸기부(44)에 대하여 내측에서 계지하여, 바깥쪽으로 눌러 움직이게 하기 때문에, 탄성 계지편(42)은, 로크 아암(30)을 추종하도록(거의 일체를 이루도록) 탄성적으로 휜다.
그리고, 양 커넥터(F, M)가 정규의 감합 상태가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30)의 간섭부(33)가 로크부(12)를 통과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30)이 로크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로크 아암(30)이 로크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면, 간섭부(33)와 로크부(12)와의 계지 작용에 의해, 양 커넥터(F, M)의 이탈이 규제된다. 간섭부(33)와 로크부(12)는, 하우징(20)의 좌우 양 외측면에서 계지하기 때문에, 양 커넥터(F, M)가 확실하게 정규 감합 상태로 로크된다.
그런데, 정규 감합 상태에서는, 탄성 계지편(42)의 돌출 접촉부(43)는, 로크부(12)를 올라탄 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계지편(42)은 탄성적으로 복귀하지 않는다. 즉, 로크 아암(30)은 탄성 계지편(42)에 대하여 내측으로 상대 변위하고, 그에 따라, 간섭부(33)가 돌출 접촉부(43)로부터 해리된다. 간섭부(33)가 돌출 접촉부(43)로부터 해리됨으로써, 감합 검지 부재(40)는,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던 상태에서 해방되어, 검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양 커넥터(F, M)의 감합 작업을 끝낸 후에는, 검지 조작부(45)에 대하여 후방에서 손가락을 대어 전방으로 눌러 조작한다. 그러면, 감합 검지 부재(40)는, 전방으로 눌려 움직이게 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양 커넥터(F, M)의 감합 작업을 불완전한 채로 종료해 버린 경우는, 한 쌍의 로크 아암(30) 중 한쪽 또는 양쪽이, 로크부(12)를 올라탄 채가 된다. 이 경우, 로크부(12)를 올라타고 있는 로크 아암(30)의 간섭부(33)에는, 후방에서 돌출 접촉부(43)가 계지 또는 접근하여 대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감합 검지 부재(40)를 전방으로 눌려 움직이게 하고자 했을 때에는, 이 로크부(12)를 올라타고 있는 간섭부(33)와 돌출 접촉부(43)와의 계지에 의해, 감합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로크 아암(30)의 양쪽이 탄성적으로 복귀한 상태(즉, 완전한 로크 상태)에서는, 감합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러나, 한 쌍의 로크 아암(30)의 적어도 한쪽이 로크부(12)를 올라탄 채로 로크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하지 않은 상태(즉, 불완전한 로크 상태)에서는, 감합 검지 부재(40)를 검지 위치로 눌러 움직이게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정규 감합된 양 커넥터(F, M)가 완전히 로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합 검지 부재(40)에 의해서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의 암측 커넥터(F)는, 한 쌍의 로크 아암(30)을 가지며, 이 양 로크 아암(30)과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41)를 갖춘 감합 검지 부재(40)에 의해서 감합 검지를 하고 있다. 그리고, 감합 검지 부재(40)를 초기 위치에 잡아두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20) 측에 스토퍼(24)를 설치하고, 감합 검지 부재(40) 측에 계지부(48)를 설치하고 있다. 계지부(48)는, 스토퍼(24)에 계지함으로써, 초기 위치의 감합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와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규제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 1에서는 계지부(48)를 검지 조작부(45)에 형성하고 있는데, 이 기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만약에 계지부(48)를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41)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면, 감합 검지 기능부(41)의 구조나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예 1에서는, 계지부(48)를 검지 조작부(45)의 한 곳에만 설치하여, 감합 검지 기능부(41)의 형상이나 구조의 복잡화를 피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감합 검지 부재(40)의 구조의 간소화가 실현되고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감합 검지 부재(40)를 벗긴 상태에서 수측 커넥터(M)와의 감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스토퍼(24)는, 하우징(20)의 외면 중 수측 커넥터(M)로의 감합 방향과는 반대쪽의 후면(20R)으로부터 돌출하여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20)이 감합 검지 부재(40)를 벗긴 상태에서 이용되는 경우, 하우징(20)을 수측 커넥터(M)에서 이탈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스토퍼(24)에 손가락을 걸어서, 이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22)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 수용실(22)의 후단부를 구성하는 시일 타워부(23)가, 하우징(20)의 후면(20R)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24)는, 시일 타워부(23)의 외면에 연속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20)의 후면(20R)으로부터 단독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토퍼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 1의 스토퍼(24)는, 강도가 높아, 감합 검지 부재(40)의 이탈 규제 기능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더구나, 시일 타워부(23)의 외주면은 곡면이므로, 스토퍼(24)의 강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한, 검지 조작부(45)는, 하우징(20)의 후면(20R)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시일 타워부(23)를 피하도록 굴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지 조작부(45)와 시일 타워부(23)와의 간섭을 피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로크 아암(30)의 후단(30R)은, 하우징(20)의 후면(20R)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전후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하우징(20)의 후면(20R)보다도 후방의 영역이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 1에서는, 감합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검지 조작부(45)를, 이 하우징(20)의 후면(20R)이 향하는 데드 스페이스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를 전후 방향에서 소형화하는 것이 실현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 1>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 실시예 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 1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검지 조작부가 시일 타워부를 피하도록 굴곡된 형상이지만, 검지 조작부는 똑바른 형상이라도 좋다.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전후 방향에서 한 쌍의 로크 아암의 후단을 하우징의 후면보다도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하우징 후면의 후방에 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되도록 했지만, 한 쌍의 로크 아암의 후단은, 하우징의 후면과 같은 위치나, 그보다도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3)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하우징은, 그 후면에서 시일 타워부를 돌출시킨 형태이지만, 하우징은, 시일 타워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형태라도 좋다.
(4)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스토퍼를 시일 타워부의 외주면에 연속해 있는 형태로 했지만, 스토퍼는, 하우징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라도 좋다.
F: 암측 커넥터(커넥터)
M: 수측 커넥터(상대측 커넥터)
20: 하우징
20R: 하우징의 후면
22: 단자 수용실
23: 시일 타워부
24: 스토퍼
30: 로크 아암
30R: 로크 아암의 후단
40: 감합 검지 부재
41: 감합 검지 기능부
45: 검지 조작부
48: 계지부
M: 수측 커넥터(상대측 커넥터)
20: 하우징
20R: 하우징의 후면
22: 단자 수용실
23: 시일 타워부
24: 스토퍼
30: 로크 아암
30R: 로크 아암의 후단
40: 감합 검지 부재
41: 감합 검지 기능부
45: 검지 조작부
48: 계지부
Claims (5)
-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좌우 양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형성한 로크부와의 간섭에 의해 탄성적으로 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면 상기 로크부로부터 해리되어 탄성적으로 복귀하는 한 쌍의 로크 아암과,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과 개별 대응하는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를 검지 조작부로 연결한 형태이며,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감합 검지 기능부와 상기 로크 아암의 계지에 의해 초기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이 정규 감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감합 검지 기능부와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의 계지가 해제됨으로써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감합 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검지 조작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에 계지함으로써, 초기 위치의 상기 감합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와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복수의 단자 수용실과, 상기 단자 수용실의 후단부를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한 형태의 시일 타워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시일 타워부의 외면에 연속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합 검지 부재를 벗긴 상태에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 중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의 감합 방향과는 반대쪽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여 L자형으로 굴곡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시일 타워부를 피하도록 굴곡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감합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검지 조작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면에 대하여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218525 | 2013-10-21 | ||
JP2013218525A JP2015082363A (ja) | 2013-10-21 | 2013-10-21 | 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5900A KR20150045900A (ko) | 2015-04-29 |
KR101652175B1 true KR101652175B1 (ko) | 2016-08-29 |
Family
ID=5282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1651A KR101652175B1 (ko) | 2013-10-21 | 2014-10-20 |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287664B2 (ko) |
JP (1) | JP2015082363A (ko) |
KR (1) | KR101652175B1 (ko) |
CN (1) | CN10457751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99858B (zh) * | 2015-05-15 | 2019-04-02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2016219235A (ja) * | 2015-05-20 | 2016-12-22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213583B2 (ja) * | 2016-01-27 | 2017-10-1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210391B2 (ja) * | 2016-01-27 | 2017-10-1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558581B2 (ja) * | 2016-04-11 | 2019-08-1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569131B2 (ja) * | 2016-04-26 | 2019-09-04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
CN105932481B (zh) * | 2016-06-20 | 2018-12-14 | 苏州华徕光电仪器有限公司 | 一种电气线路快接端子 |
JP6401752B2 (ja) * | 2016-07-29 | 2018-10-10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885245B2 (ja) * | 2017-07-18 | 2021-06-09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10116095B1 (en) * | 2017-10-26 | 2018-10-30 | Delphi Technologies, Inc. |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on assurance device |
JP2020047363A (ja) * | 2018-09-14 | 2020-03-26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ES1222987Y (es) * | 2018-10-15 | 2019-04-09 | Valco Melton S L U | Conector para suministrar potencia electrica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1557A (ja) | 2000-04-06 | 2001-10-1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2007080621A (ja) | 2005-09-13 | 2007-03-2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17390A (en) * | 1990-04-16 | 1993-06-08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Connector |
US5759058A (en) * | 1995-06-06 | 1998-06-02 | Cardell Corporation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omponent |
US6234826B1 (en) * | 1999-04-30 | 2001-05-22 | Cardell Corporation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
US6261116B1 (en) * | 1999-11-22 | 2001-07-17 | Yazaki North America, Inc.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with lock protection feature |
JP2003068403A (ja) * | 2001-08-29 | 2003-03-07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3997858B2 (ja) * | 2002-07-24 | 2007-10-24 | 住友電装株式会社 | 嵌合検知コネクタ |
JP4752606B2 (ja) * | 2006-05-15 | 2011-08-1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SG143088A1 (en) * | 2006-11-22 | 2008-06-27 | Mea Technologies Pte Ltd | Electrical connector |
SG149732A1 (en) * | 2007-07-31 | 2009-02-27 | Mea Technologies Pte Ltd | Electric connector |
EP2249440B1 (en) * | 2007-08-01 | 2012-05-09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method |
JP4924454B2 (ja) * | 2008-01-29 | 2012-04-25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11070896A (ja) * | 2009-09-25 | 2011-04-07 | Sumitomo Wiring Syst Ltd | 分割コネクタ |
JP5511464B2 (ja) * | 2010-03-26 | 2014-06-04 | 矢崎総業株式会社 | 基板接続用コネクタの嵌合確認構造 |
JP5653150B2 (ja) * | 2010-09-16 | 2015-01-14 | 矢崎総業株式会社 | 半嵌合防止コネクタ |
JP5510346B2 (ja) * | 2011-01-25 | 2014-06-0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8920187B2 (en) * | 2012-03-09 | 2014-12-30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2013
- 2013-10-21 JP JP2013218525A patent/JP2015082363A/ja not_active Abandoned
-
2014
- 2014-10-06 US US14/506,757 patent/US928766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0-20 KR KR1020140141651A patent/KR10165217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0-21 CN CN201410563119.XA patent/CN10457751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1557A (ja) | 2000-04-06 | 2001-10-1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2007080621A (ja) | 2005-09-13 | 2007-03-2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5900A (ko) | 2015-04-29 |
US20150111407A1 (en) | 2015-04-23 |
CN104577513B (zh) | 2016-12-07 |
US9287664B2 (en) | 2016-03-15 |
JP2015082363A (ja) | 2015-04-27 |
CN104577513A (zh) | 2015-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2175B1 (ko) | 커넥터 | |
KR200465368Y1 (ko) |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KR101271347B1 (ko) |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접속 방법 | |
JP2007052985A (ja) | コネクタ | |
KR101494546B1 (ko) | 스프링 로크식 커넥터 | |
JP6344321B2 (ja) | コネクタ | |
JP4613747B2 (ja) | コネクタ | |
JP2011029016A (ja) | コネクタ | |
CN111193152A (zh) | 连接器装置 | |
JP5812353B2 (ja) |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 |
KR101676884B1 (ko) | 커넥터 | |
CN111193142B (zh) | 连接器 | |
JP2016100113A (ja) | コネクタ | |
CN111052516A (zh) | 连接器和连接器单元 | |
JP2015215985A (ja) | 嵌合検知コネクタ | |
CN111448720B (zh) | 连接器 | |
JP6281543B2 (ja) | コネクタ | |
JP6142836B2 (ja) | コネクタ | |
JP5397124B2 (ja) | コネクタ | |
JP6323229B2 (ja) | コネクタ | |
JP4826516B2 (ja) | コネクタ | |
JP2009104936A (ja) |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 |
JP2008226590A (ja) | コネクタ | |
JP6642109B2 (ja) | コネクタ | |
JP2003036939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