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950A -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950A
KR20140047950A KR1020120114346A KR20120114346A KR20140047950A KR 20140047950 A KR20140047950 A KR 20140047950A KR 1020120114346 A KR1020120114346 A KR 1020120114346A KR 20120114346 A KR20120114346 A KR 20120114346A KR 20140047950 A KR20140047950 A KR 2014004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inishing
finishing tape
tap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784B1 (ko
Inventor
류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1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7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4Fold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4Finish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41Finishing winding process and blocking outer layers against falling apart
    • B65H2301/41442Specified by the sealing medium sealing used
    • B65H2301/414422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에 말린 부재가 릴에서 임의로 풀어지지 아니하도록 마감테이프를 자동으로 반 접음하는 마감테이프 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며 반도체용 캐리어를 권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띠 형상의 캐리어가 이동하는 가이드선로부와, 상기 가이드선로부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를 감는 캐리어릴이 구비된 권취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릴에 감겨지는 상기 캐리어의 끝단부에 부착되는 마감테이프를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선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의 상부 위치로 마감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마감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 상기 마감테이프를 눌러 상기 가이드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에 상기 마감테이프를 부착시키는 누름부 및 상기 커팅부에 의해 잘라진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접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마감처리부를 포함하는 처리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Unit for anti-loose tape and Winder machine of the carrier having it}
본 발명은 릴에 말린 부재가 릴에서 임의로 풀어지지 아니하도록 마감테이프를 자동으로 반 접음 하는 마감테이프 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며 반도체용 캐리어를 권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된 반도체들은 테이프 형 캐리어에 담겨 보관 및 운반된다. 캐리어는 가는 띠의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홈에 반도체를 담고 투명한 커버 테이프로 마감하여 반도체의 포장이 완료된다.
캐리어는 통상 원통 릴에 감아 제공되는데, 릴에 감긴 캐리어의 끝단이 풀리지 아니하게 별도의 마감테이프로 캐리어의 끝단을 고정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짧게 자른 마감테이프를 캐리어의 잘린 끝단을 덮도록 부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캐리어 릴을 처음 장착할 때에 부착된 마감테이프를 떼어내어야 하는데, 마감테이프의 전면이 캐리어에 붙어 있으므로 손톱이나 기타 날카로운 물건으로 부착된 마감테이프를 긁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반도체 제조 시설은 기밀된 청청 공간을 요구하므로 사용자는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매번 캐리어 릴을 장착할 때마다 견고하게 붙은 마감테이프를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4919호 (2003.05.09)
본 발명은 마감테이프의 일단부를 적절히 접어 사용자가 마감테이프를 제거할 때에 잡기 편하도록 손잡이부분을 자동으로 형성시키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띠 형상의 캐리어가 이동하는 가이드선로부와, 상기 가이드선로부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를 감는 캐리어릴이 구비된 권취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릴에 감겨지는 상기 캐리어의 끝단부에 부착되는 마감테이프를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선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의 상부 위치로 마감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마감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 상기 마감테이프를 눌러 상기 가이드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에 상기 마감테이프를 부착시키는 누름부 및 상기 커팅부에 의해 잘라진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접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마감처리부를 포함하는 처리장치를 제시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마감처리부는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및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내부로 흡입하며 접는 폴딩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폴딩블록의 내부에는 바닥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로 갈수록 전후로 마주보는 내면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흡입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개된 끝단부과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흡입통로의 입구전단부가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흡입통로의 입구 후단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마감처리부는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를 흡착하여 위치 고정시키고, 승강 이동 가능한 흡착블록 및 상기 흡착블록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접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흡착블록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눌러 접어 상기 흡착블록의 하단부에 흡착된 상기 마감테이프의 하면에 상기 절단부를 접촉시키는 회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마감처리부는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를 흡착하여 위치 고정시키고, 승강 이동 가능한 흡착블록 및 상기 흡착블록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탄성 회전하면서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접는 누름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경첩은 상기 흡착블록의 전방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하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편, 상기 고정편과 상기 회전편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편을 상승한 상기 흡착블록의 바닥면을 향하여 회전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마감처리부는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를 흡착하여 위치 고정시키고, 승강 이동 가능한 흡착블록 및 미리 잘라진 손잡이용지를 상기 흡착블록에 위치 고정된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 하면에 부착시키는 용지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띠 형상의 캐리어가 이동하는 가이드선로부, 상기 가이드선로부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선로부에서 공급된 상기 캐리어가 감기는 캐리어릴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부, 상기 가이드선로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선로부를 통과하는 상기 캐리어를 상기 권취부로 밀어 주는 롤러이송부, 상기 가이드선로부와 상기 캐리어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선로부에서 공급된 캐리어를 물어 상기 캐리어릴을 향하여 이송시키는 물림이송부 및 전술한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감테이프의 끝단부를 쉽게 파지하여 마감테이프를 벗길 수 있게 하므로, 반도체 장비를 다루는 분야에서 손에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특정 형상을 가지는 폴딩블록을 이용하여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접어 줌으로써 구성이 매우 간명한 장점이 있다. 또한 마감테이프의 길이를 길게 인출하지 아니하여도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도 갖는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회전체가 물리적으로 접어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마감테이프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와 같이 마감테이프의 접힘 강성이 큰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에서 채택하는 누름경첩 자체는 스프링에 의한 자동 작동이 가능하므로 작동을 위한 제어가 별도로 필요치 아니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착블록을 이용하여 마감테이프를 위치 고정한 후에 접는 방식을 채택하여 마감테이프의 길이를 매우 짧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제4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별도의 손잡이용지를 마감테이프의 하단에 붙임으로써, 마감테이프 마감의 불량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마감테이프의 끝단에서 노출되는 손잡이용지의 일단부에 광고 문구 등을 넣을 수 있어 활용 폭이 큰 장점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채용된 폴링블록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채용된 누름경첩의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를 거친 마감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감테이프의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권취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권취장치(100)에는 가이드선로부(1), 권취부(2), 롤러이송부(3), 물림이송부(4)가 포함된다. 나아가 후술하는 마감테이프의 처리장치(5)가 더 포함된다.
가이드선로부(1)는 띠 형상의 캐리어(C)를 안내하는 길이홈이 형성되어 있는 선반이다. 캐리어(C)는 가이드선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길이홈에 안내되어 수평으로 이송된다. 또한 가이드선로부(1)는 후술하는 롤러이송부 등이 장착되는 기본 구조물이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선로부(1)로 캐리어가 진입하는 방향을 전방부로 하고, 캐리어(C)가 가이드선로부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을 후방부로 방향을 정한다.
권취부(2)는 가이드선로부(1)의 후방에 구비된다. 권취부(2)에는 공지된 구성의 캐리어릴(R)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리어릴(R)은 가이드선로부(1)에서 공급된 캐리어(C)가 감기는 것이다. 권취부(2)에는 캐리어릴(R)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과, 결합된 캐리어릴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21)가 구비된다. 여기서 캐리어릴의 구성, 캐리어릴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권취부의 구성 및 회전모터의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권취부(2)에는 빈 캐리어릴(R)이 장착되며, 권취부(2)의 회전모터(21)가 회전되며 가이드선로부(1)를 통과한 캐리어(C)가 일정 분량 감긴다. 이후, 캐리어(C)가 다 감긴 캐리어릴(R)은 빈 캐리어릴(R)과 교체된다.
한편, 롤러이송부(3)는 가이드선로부(1)에 장착되어 있으며, 가이드선로부(1)를 통과하는 캐리어(C)를 권취부(2)를 향하여 밀어주는 부재이다. 롤러이송부(3)는 캐리어를 밀어주는 롤러가 구비되며, 이 롤러는 별도의 회전모터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롤러이송부(3)의 작동 없이도 권취부(2)의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캐리어릴(R)이 캐리어를 당겨 감을 수 있다. 롤러이송부(3)는 권취부(2)에 구비된 회전모터의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 캐리어(C)를 권취부(2)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롤러이송부(3)는 캐리어릴(R)에 캐리어(C)를 최초 고정할 때에 작동하여, 캐리어(C)를 캐리어릴(R)까지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캐리어(C)의 끝단부를 캐리어릴(R)에 장착하는 과정 중에 캐리어(C)를 충분히 길게 이송시키는 등 권취부(2)의 회전 자동이 없는 상태에서 캐리어를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물림이송부(4)는 가이드선로부(1)와 캐리어릴(R) 사이에 구비되어 가이드선로부(1)를 통과한 캐리어(C)를 물어 캐리어릴(R)을 향하여 이송시키는 부재로, 롤러이송부(3)와는 또 다른 이송 유닛이다.
물림이송부(4)는 가이드선로부(1)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레일(4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물림이송부(4)는 캐리어(C)를 상하로 물어 파지하는 상하의 물림블록들(42)을 구비한다.
물림이송부(4)가 작동하지 아니할 때에는 물림블록들(42)은 이격되어 상하 간격을 형성하고, 캐리어(C)는 이 상하 간격을 통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물림블록들(42)이 가까워져 캐리어(C)를 문 상태에서 레일(4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함으로써 캐리어(C)를 캐리어릴(R)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물림블록들(42)을 이격시키거나 가깝게 이동하는 구동수단이나 레일(41)을 따라 물림블록들(42)을 이송시키는 이동수단은 공지된 구성의 구동 액추에이터들이나 LM 가이드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마감테이프 처리장치(5)는 캐리어릴(R)에 감겨지는 캐리어(C)의 끝단부에 부착되는 마감테이프(M)를 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처리장치(5)는 공급된 마감테이프(M)를 잘라 캐리어(C)에 부착한다. 이때, 마감테이프(M)의 끝단을 접어 캐리어에 접착되지 아니하는 손잡이부를 형성한다.
캐리어릴(R)에 감긴 캐리어(C)의 끝단부는 마감테이프(M)에 의해 캐리어릴에 먼저 감긴 캐리어 뭉치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마감테이프(M)의 끝단부에는 캐리어(C)에 부착되지 아니하는 손잡이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H)를 잡고 용이하게 마감테이프(M)를 떼어 낼 수 있게 된다.
마감테이프 처리장치(5)는 구체적인 구성에 따라 실시예가 나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테이프 처리장치와 관련된 도면들이다.
도 2에는 처리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처리장치(5)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100)에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이다. 나아가 캐리어 외에 다른 띠 부재의 권취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캐리어의 권취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테이프 처리장치(5)는 공급부(51), 커팅부(52), 누름부(53) 및 마감처리부(54)를 포함한다.
공급부(51)는 가이드선로부(1)의 상부에 설치된다. 마감테이프릴(R1)이 장착되며, 마감테이프릴(R1)에서 풀려 나온 마감테이프(M)를 가이드선로부(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C)의 상부 위치에 놓이게 한다.
공급부(51)는 마감테이프릴(R1)이 장착되는 릴거치대(511)와, 마감테이프릴(R1)에서 풀린 마감테이프(M)를 캐리어(C)의 위로 안내하는 가이더(512)를 포함한다.
가이더(512)는 이동하는 캐리어(C)의 상부에 놓이는 원통부재로, 마감테이프(M)의 길이 방향은 가이더(512)에 의해 캐리어(C)의 이동 방향(전후 방향)과 맞춰진다.
커팅부(52)는 마감테이프(M)를 절단하는 부재이다.
커팅부(52)는 상하 이동이 제어 가능한 승강유닛(521), 칼날이 구비되어 있으며 승강 유닛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커터유닛(522) 및 가이드선로부(1)의 상부에 위치하여 칼날의 상승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어 있고 마감테이프의 상면이 대어지는 칼날수용블록(523)이 포함된다.
여기서 승강유닛(521)은 LM 가이드 또는 공압 액추에이터 등 공지된 구성으로, 가이드선로부(1)에 장착되어 커터유닛(52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커터유닛(522)의 칼날은 상부를 향하고 있으며, 상승에 따라 가이드선로부(1)의 상부를 통과하는 마감테이프(M)의 하부로 접근 가능하다.
칼날수용블록(523)은 상승한 칼날에 의한 마감테이프(M)의 상승을 방지하며, 홈에 칼날이 수용되면서 마감테이프(M)를 절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누름부(53)는 가이더(512)와 칼날수용블록(523) 사이에 위치하는 부재로, 마감테이프(M)를 눌러 가이드선로부(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C)에 마감테이프(M)를 부착시킨다.
누름부(53)의 하단부는 롤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누름부(53)는 공지된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상승과 하강이 제어된다.
누름부(53)가 하강하면 롤러가 마감테이프(M)를 하강시켜 캐리어(C)와 접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캐리어(C)가 이동하면 롤러가 회전하면서 마감테이프(M)가 캐리어(C)의 상면에 부착된다.
마감처리부(54)는 커팅부(52)에 의해 잘라진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를 접어 손잡이부를 형성한다.
제1실시예에서 마감처리부(54)는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수단(도시 생략) 및 이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를 내부로 흡입하며 접는 폴딩블록(61)을 포함한다.
여기서 흡입수단은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 펌프나 그와 유사한 장치이다. 이러한 흡입수단은 공지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흡입수단은 에어호스로 폴딩블록과 연결된다.
도 3에는 폴딩블록(61)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폴딩블록(61)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다. 폴딩블록(61)의 홀 상단부는 흡입수단에 연결됨으로써 홀에는 흡입력이 작용한다.
특히 홀의 하단부는 상부로 갈수록 전후로 마주보는 내면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테이퍼진 흡입통로(611)를 형성하고 있다. 흡입통로(611)의 넓은 하단부는 폴딩블록(61)의 바닥면으로 이어져 입구(612)를 형성하고 있다.
폴딩블록(61)의 바닥면은 흡입통로의 입구를 기준으로 전단부의 1면(613)과 후단부의 2면(614)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1면(613)은 커팅부에 의해 잘린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와 가까운 위치의 바닥면이고, 2면(614)은 흡입통로(611)의 입구(612)를 사이에 두고 1면(613)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폴딩블록의 나머지 바닥면이다.
1면(613)보다 2면(614)이 하부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감테이프(M)의 절개된 끝단부와 가깝게 위치하는 흡입통로(611)의 입구 전단부(1면(613)에 접하는 흡입통로의 입구)의 높이가 반대쪽에 위치하는 흡입통로(611)의 입구 후단부(2면(614)에 접하는 흡입통로의 입구)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로써 흡입통로의 입구 전단부와 입구 후단부에는 높이 차(D)가 있게 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에서 마감테이프를 부착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리어릴(R)에 충분한 분량의 캐리어를 감은 상태에서, 누름부(53)의 하강에 의해 마감테이프(M)의 일단부는 가이드선로부(1)를 통과하는 캐리어(C)의 상부에 부착된다. 또한 캐리어커터(도 1의 110 참고)에 의해 캐리어(C)는 절단된다.
이후, 권취부(2)의 회전에 의해 캐리어릴(R)에 캐리어(C)가 더 감기게 된다. 이로써 잘라진 캐리어(C)의 끝단은 적어도 마감처리부(54)를 지나치게 된다(도 2 참고).
캐리어(C)의 이동에 따라 마감테이프(M)는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로, 마감테이프(M)는 가이더(512)에 걸려 캐리어(C)의 끝단부가 이동한 방향에 따라 놓이게 된다.
이후의 마감처리부의 작동 관계가 도 4의 (a), (b)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서와 같이 커팅부(52)가 작동하여 마감테이프(M)를 절단한다. 이와 함께 흡입수단이 작동하여 폴딩블록(61)에 음압이 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가 흡입통로(611)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흡입통로(611)에 최초로 흡입되는 마감테이프(M)의 부분은 절단된 끝단이 아니라, 절단된 끝단에서 어느 정도 이격된 중간부분(M1)이다. 중간부분(M1)이 흡입통로(611)로 점차 빨려들어가면서 테이퍼진 흡입통로(611)의 경사에 의해 중간부분(M1)을 기점으로 마감테이프(M)가 접히게 된다.
실험에 의하면 흡입통로의 내부를 입구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마감테이프의 중간부가 흡입되더라도 중간부를 기점으로 접히지 아니하고 마감테이프의 끝단까지 펼쳐진 상태로 흡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폴딩블록(61)의 바닥면의 단차, 즉 흡입통로의 입구 전단부와 후단부에 단차를 형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종종 마감테이프의 절단부가 접히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마감테이프의 일단부가 캐리어에 부착됨으로써 폴딩블록의 아래에 놓이는 마감테이프가 어느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점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폴딩블록의 바닥면에 단차를 형성하지 아니한 경우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불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캐리어를 길게 이동시켜 마감테이프의 길이를 길게 뽑아야 했지만, 흡입통로 입구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단차를 형성한 후에는 마감테이프의 인출 길이를 짧게 하여도 매번 성공적으로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를 접어 손잡이부를 형성한 다음에는 캐리어릴(R)을 회전시켜 손잡이부가 형성된 마감테이프(M)를 권취된 캐리어에 부착함으로써 마감테이프의 부착이 완성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5)는 음압을 이용하여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를 접어 줌으로써 구성이 매우 간명한 장점이 있다. 또한 마감테이프의 길이를 길게 인출하지 아니하여도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장점도 갖는다.
한편, 도 5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와 관련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공급부, 커팅부, 누름부 및 마감처리부(54)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부, 커팅부 및 누름부의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하는 마감처리부의 구성 및 작용관계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전술된 제1실시예의 공급부, 커팅부 및 누름부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한다.
따라서 공급부, 커팅부 및 누름부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감처리부(54)는 흡입수단(도시 생략), 흡착블록(71) 및 흡착블록(71)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회전하면서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를 접는 회전체(72)를 포함한다.
여기서 흡입수단은 전술된 제1실시예의 흡입수단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흡착블록(71)은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마감테이프를 흡착하여 위치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흡착블록(71)은 바닥면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흡입수단이 작동되면 바닥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공기를 빨아들인다. 따라서 흡착블록의 아래에 위치하는 마감테이프(M)를 흡입하여 바닥면에 마감테이프(M)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착블록(71)은 승강용 액추에이터(711)에 연결되어 있어 높낮이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승강용 액추에이터(711)는 흡착블록에 장착되는 회전 제어가 가능한 모터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지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선로부에 설치되는 래크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흡착블록은 상하 높이 제어가 가능한 LM 가이드 등을 통하여 승강될 수도 있다.
회전체(72)는 흡착블록(71)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회전축(721), 회전축(7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도시 생략) 및 회전축(721)에 연결되어 회전축(72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암(722)을 구비한다.
회전축(721)은 가이드선로부(1)에 설치되는 브래킷(11)에 장착된다. 구동모터는 전기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회전축(721)의 회전각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암(722)은 회전축(721)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회전암(722)은 회전축(721)과 함께 회전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회전체(72)는 커팅부의 칼날수용블록(523)과 흡착블록(71) 사이에 위치한다. 회전축(721)은 흡착블록(71)에 가까이에서 흡착블록(71)의 전방부에 위치하며, 회전암(722)은 마감테이프(M)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테이프(M)의 상부에 놓인다.
도 6에는 제2실시예에 채용된 마감처리부의 작용을 간략화하여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화살표 방향은 진행 순서를 의미한다.
커팅부에 의한 마감테이프의 절단 전의 진행 과정은 전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커팅부에 의한 마감테이프(M)의 절단과 함께 또는 절단 전에 흡입수단이 작동하여 흡착블록(71)의 바닥면에 마감테이프(M)가 흡착된다. 이로써 마감테이프(M)는 흡착블록(71)의 바닥면에 위치 고정된다.
도면에서 회전축(721)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는 회전암(722)에 의해 꺾이게 된다. 이때, 흡착블록(71)이 상승함에 따라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의 꺾임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721)이 더욱 회전함에 따라 접힌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는 흡착블록(71)의 바닥면에 고정된 마감테이프의 하면에 붙어 손잡이부(H)가 형성된다.
이후 흡입수단의 작동을 중단하고, 회전축(721)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며, 캐리어를 캐리어릴에 마저 감아 손잡이부가 형성된 마감테이프를 권취된 캐리어에 부착시킨다.
제2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마감테이프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와 같이 마감테이프의 접힘 강성이 큰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착블록을 이용하여 마감테이프를 위치 고정한 후에 접는 방식으로 마감테이프의 길이를 매우 짧게 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와 관련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공급부, 커팅부, 누름부 및 마감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부, 커팅부 및 누름부의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하는 마감처리부의 구성 및 작용관계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전술된 제1실시예의 공급부, 커팅부 및 누름부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한다. 따라서 공급부, 커팅부 및 누름부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처리부(54)는 흡입수단(도시 생략), 흡착블록(71) 및 누름경첩(81)을 포함한다. 여기서 흡입수단 및 흡착블록(71)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된 제2실시예의 흡입수단 및 흡착블록과 동일한 것이다. 흡착블록(71)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승강용 액추에이터(711)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누름경첩(81)은 흡착블록(71)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탄성 회전하면서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접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누름경첩(8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811), 회전편(812) 및 코일 스프링(813)을 포함한다.
고정편(811)과 회전편(812)은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813)은 회전편(812)을 고정편(811)에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고정편(811)과 회전편(812)의 힌지 연결부분에 장착된다. 고정편(811)에는 고정편(811)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홀(81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 고정편(811)은 칼날수용블록(523)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달리 고정편은 가이드선로부에 고정되는 별도의 고정용 브래킷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회전편(812)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흡착블록(71)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즉, 흡착블록(71)이 간섭하고 있는 상태로, 회전편(812)은 흡착블록(71)을 향하여 가압하는 상태에 놓여 있다.
흡착블록(71)의 상승하면 회전편(812)은 코일 스프링(813)의 작용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러한 작용관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채용된 마감처리부(54)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커팅부에 의한 마감테이프의 절단 전의 진행 과정은 전술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커팅부에 의한 마감테이프가 절단되고, 흡입수단이 작동하여 흡착블록(71)의 바닥면에 마감테이프(M)가 흡착된다(도 9의 (a) 참고).
이후 흡착블록(71)이 상승하여 흡착블록(71)의 바닥면이 회전편(812)의 끝단부보다 높게 이동하면, 탄성 회전하는 회전편(812)에 의하여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가 접히게 된다(도 9의 (b) 참고).
흡착블록(71)이 더욱 상승함에 따라 회전편(812)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회전하게 되고, 접힌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는 흡착블록(71)의 바닥면에 고정된 마감테이프의 하면에 접하여 손잡이부(H)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흡착블록(71)이 하강함에 따라 회전편(81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다시 도 9의 (a)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누름경첩의 작동을 위한 제어가 별도로 필요치 아니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착블록을 이용하여 마감테이프를 위치 고정한 후에 접는 방식을 채택하여 마감테이프의 길이를 매우 짧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와 관련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공급부, 커팅부, 누름부 및 마감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부, 커팅부 및 누름부의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하는 마감처리부의 구성 및 작용관계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전술된 제1실시예의 공급부, 커팅부 및 누름부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한다. 따라서 공급부, 커팅부 및 누름부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마감처리부(54)는 흡입수단(도시 생략), 흡착블록(71) 및 미리 잘라진 손잡이용지(H1)를 흡착블록(71)에 위치 고정된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 하면에 부착시키는 용지부착부(91)를 포함한다.
여기서 흡착블록(71)은 별도의 승하강을 위한 구성을 구비하지 아니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흡입수단과 흡착블록(71)은 전술된 제2실시예의 흡입수단 및 흡착블록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다.
용지부착부(91)는 손잡이용지(H1)를 파지하였다가 상승하여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 하면에 부착시킨다. 용지부착부(91)는 손잡이용지를 파지하는 파지부(911)와, 이 파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액추에이터(912)를 구비한다.
더하여 롤 형태로 말려 공급되는 손잡이용지용 띠를 잘게 잘라 손잡이용지를 형성하는 용지 공급부(도시 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용지 공급부는 롤 형태로 권취된 손잡이용지용 띠를 풀어주면서 일정 길이로 잘라 공급하는 것으로 전술한 마감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용지부착부(91)의 파지부(911)는 손잡이용지(H1)를 흡착하여 임시로 위치 고정하는 것으로, 전술한 흡착블록(71)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승강액추에이터(912)는 LM 가이드 또는 공압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마감테이프(M)는 권취부(2)의 회전에 의해 캐리어릴 방향으로 당겨져 이동하게 된다. 이후 흡입수단이 작동하면서 흡착블록(71)의 바닥면에 마감테이프(M)의 절단부가 흡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후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부착부(91)가 상승하고, 손잡이용지(H1)는 마감테이프(M)의 하면에 부착된다.
마감테이프(M)의 부착이 종료되면, 용지부착부(91)의 파지부(911)에 의한 손잡이용지(H1)의 파지 상태가 해제되면서, 흡착블록(71)에 의한 마감테이프(M)의 임시 고정이 해제된다. 다시 권취부가 작동하여 여분의 캐리어를 감아 마감테이프가 캐리어릴에 감긴 캐리어에 부착되면서 캐리어의 권취가 종료된다.
도 11에는 마감테이프(M)와 손잡이용지(H1)의 부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마감테이프(M)를 절단하고 권취부(2)가 작동함으로써 마감테이프(M)의 끝단에 손잡이용지(H1)가 반 정도 겹쳐지게 부착되어 손잡이부(H)를 형성하고 있다.
캐리어릴에서 마감테이프를 제거할 때에 캐리어에 부착되지 아니한 손잡이용지를 잡아 당김으로써 마감테이프 전체를 용이하게 캐리어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별도의 손잡이용지를 마감테이프의 하단에 붙임으로써, 마감테이프 마감의 불량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마감테이프의 끝단에서 노출되는 손잡이용지의 일단부에 광고 문구 등을 넣을 수 있어 활용 폭이 큰 장점이 있다.
100 : 권취장치
1 : 가이드선로부 11 : 브래킷
2 : 권취부 21 : 회전모터
3 : 롤러이송부
4 : 물림이송부 41 : 레일 42 : 물림블록
5 : 처리장치
51 : 공급부 R1 : 마감테이프릴 511 : 릴거치대 512 : 가이더
52 : 커팅부 521 : 승강유닛 522 : 커터유닛 523 : 칼날수용블록
53 : 누름부 54 : 마감처리부 61 : 폴딩블록 611 : 흡입통로
612 : 입구 613 : 1면 614 : 2면 71 : 흡착블록
711 : 승강용 액추에이터 72 : 회전체 721 : 회전축 722 : 회전암
81 : 누름경첩 811 : 고정편 811a : 볼트홀 812 : 회전편
813 : 코일 스프링 91 : 용지부착부 911 : 파지부
912 : 승강엑추에이터
110 : 캐리어커터
M : 마감테이프 M1 : 중간부분 H : 손잡이부 H1 : 손잡이용지
C : 캐리어 R : 캐리어릴

Claims (6)

  1. 띠 형상의 캐리어가 이동하는 가이드선로부와, 상기 가이드선로부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를 감는 캐리어릴이 구비된 권취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릴에 감겨지는 상기 캐리어의 끝단부에 부착되는 마감테이프를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선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의 상부 위치로 마감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마감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
    상기 마감테이프를 눌러 상기 가이드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에 상기 마감테이프를 부착시키는 누름부 및
    상기 커팅부에 의해 잘라진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접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마감처리부를 포함하는 처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마감처리부는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및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내부로 흡입하며 접는 폴딩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폴딩블록의 내부에는 바닥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로 갈수록 전후로 마주보는 내면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흡입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개된 끝단부과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흡입통로의 입구전단부가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흡입통로의 입구 후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처리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마감처리부는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를 흡착하여 위치 고정시키고, 승강 이동 가능한 흡착블록 및
    상기 흡착블록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접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흡착블록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눌러 접어 상기 흡착블록의 하단부에 흡착된 상기 마감테이프의 하면에 상기 절단부를 접촉시키는 회전암을 포함하는 처리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마감처리부는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를 흡착하여 위치 고정시키고, 승강 이동 가능한 흡착블록 및
    상기 흡착블록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탄성 회전하면서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를 접는 누름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경첩은
    상기 흡착블록의 전방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하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편,
    상기 고정편과 상기 회전편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편을 상승한 상기 흡착블록의 바닥면을 향하여 회전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처리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마감처리부는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를 흡착하여 위치 고정시키고, 승강 이동 가능한 흡착블록 및
    미리 잘라진 손잡이용지를 상기 흡착블록에 위치 고정된 상기 마감테이프의 절단부 하면에 부착시키는 용지부착부를 포함하는 처리장치.
  6. 띠 형상의 캐리어가 이동하는 가이드선로부,
    상기 가이드선로부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선로부에서 공급된 상기 캐리어가 감기는 캐리어릴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부,
    상기 가이드선로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선로부를 통과하는 상기 캐리어를 상기 권취부로 밀어 주는 롤러이송부,
    상기 가이드선로부와 상기 캐리어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선로부에서 공급된 캐리어를 물어 상기 캐리어릴을 향하여 이송시키는 물림이송부 및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KR1020120114346A 2012-10-15 2012-10-15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KR10143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46A KR101431784B1 (ko) 2012-10-15 2012-10-15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46A KR101431784B1 (ko) 2012-10-15 2012-10-15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50A true KR20140047950A (ko) 2014-04-23
KR101431784B1 KR101431784B1 (ko) 2014-08-19

Family

ID=5065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346A KR101431784B1 (ko) 2012-10-15 2012-10-15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7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092A (ko) * 2017-08-31 2019-03-08 고대운 탄소섬유 공급설비
KR102174829B1 (ko) * 2020-07-02 2020-11-06 (주)케이엠에스엔지니어링 전자칩 캐리어테이프 권취장치
CN114845947A (zh) * 2020-01-14 2022-08-02 浩建F.A有限公司 重绕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0027A (ja) * 2000-07-10 2002-01-23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のタブ形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封緘装置
JP4183476B2 (ja) * 2002-10-18 2008-11-19 株式会社リコー テープ巻取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092A (ko) * 2017-08-31 2019-03-08 고대운 탄소섬유 공급설비
CN114845947A (zh) * 2020-01-14 2022-08-02 浩建F.A有限公司 重绕系统
CN114845947B (zh) * 2020-01-14 2024-01-26 浩建F.A有限公司 重绕系统
KR102174829B1 (ko) * 2020-07-02 2020-11-06 (주)케이엠에스엔지니어링 전자칩 캐리어테이프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784B1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204B1 (ko) 롤투시트 풀림공급장치
KR101456612B1 (ko) 배터리 셀 사이드 테이프 자동 부착 설비
KR101431784B1 (ko)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KR101216294B1 (ko) 포장용 테이프 공급장치
WO2019075817A1 (zh) 一种全自动封盒机及其使用方法
JP6247075B2 (ja) 保護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保護テープ剥離装置
KR101466343B1 (ko) 자동 밴딩 유닛 및 그것을 갖는 배터리 셀 사이드 테이프 자동 부착 설비
JP4949865B2 (ja) 粘着テープ垂下機構を備えたテープ巻き装置
JP2702022B2 (ja) ウエブリールの自動交換装置
KR101191439B1 (ko) 용지공급장치
KR100853817B1 (ko) 테이핑형 포장제품의 자동 패드부착장치
CN210338383U (zh) 一种物件自动包纸机
JP2888818B1 (ja) 線材巻取ボビンの端末処理装置
KR101364706B1 (ko) 캐리어 권취방법
JP2702021B2 (ja) ウエブリールのウエブ引出し装置
KR20140107951A (ko) 배터리팩 접착부재 자동 공급 장치
KR101369699B1 (ko) 스펀지 테이프 자동 부착 장치
JP2002332146A (ja) 帯状体の接続装置
JPH10203698A (ja) シート状物接合装置
JP2702020B2 (ja) ウエブリールのウエブ送り装置
CN218057823U (zh) 一种披覆机的吸膜移动机构及其披覆机膜片传送装置
CN210338476U (zh) 一种套袋分膜设备的膜口张开装置
CN216035453U (zh) 一种连接管包装机构
JP2788145B2 (ja) ウエブの接続装置
KR20190028231A (ko) 원통형 필터 모듈 자동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