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679A -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 Google Patents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679A
KR20140047679A KR1020147002220A KR20147002220A KR20140047679A KR 20140047679 A KR20140047679 A KR 20140047679A KR 1020147002220 A KR1020147002220 A KR 1020147002220A KR 20147002220 A KR20147002220 A KR 20147002220A KR 20140047679 A KR20140047679 A KR 20140047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primary
insulating
sealed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171B1 (ko
Inventor
피에르 쟝
브루노 겔튼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14004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31Three or mor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8Special properties of materials for vessel walls
    • F17C2203/069Break point in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17C2205/0364Pipes flexible or articulated, e.g. a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3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 F17C2209/232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of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유지 구조(3)에 대하여 분리력을 받는 요소(1)를 유지하기 위한 커플러가 제공된다.
상기 커플러는 단열 플러그(15d) 및 상기 유지 구조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를 미는 탄성 수단(15b)을 에워싸는 외부 케이싱(15a)을 갖는 베이스(15);
단열 링(20) 및 양 단부에 내부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19)을 갖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21)는 상기 요소에 의해 부착(carry)되는 판(25) 상에 지지되는 플랜지(24a)가 구비된 마감부(24)를 수용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요소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판(18)에 체결되고;
마지막으로, 양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 단부는 상기 헤드의 링(20)으로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너트(15c) 안으로 나사 결합되는 로드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THERMALLY-INSULATING SEALED TANK}
본 발명은 유지 구조, 특히, 액화 천연 가스를 수송하는 선박의 이중 선체에 통합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탱크는 이미 선행 기술에 많은 실시 예가 기재되어있다. 일반적으로 탱크는 탱크 내의 액체와 접촉하는 1차 장벽과, 1차 장벽과 선박의 이중 선체에 의해 구성된 유지 구조 사이에 배치된 2차 장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장벽은 씰(밀봉, seal) 역할을 하는 금속판으로 덮힌 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씰링(sealing) 판(plate)들은 탱크 내부 측면에서 상기 단열층을 덮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씰링 장벽은 직교하는 2개의 물결 주름을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탱크는 1차 씰링 장벽의 물결 주름, 바람직하게는 그 물결 주름이 전부 탱크 내부 측면상에 돌출되는 프랑스 특허 1492959에 이미 기술되어 있다. 반면에, 2차 씰링 장벽은 탱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2차 단열 장벽은 그 내부에, 상기 물결 주름을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한다. 1차 씰링 장벽에, 돌출된 물결 주름을 갖는다는 사실은 많은 단점을 가질 수 있다. 첫째, 1차 씰링 장벽으로 구성된 시트 금속(sheet metal)은 돌출된 물결 주름의 존재로 인해 이송되는 액체의 진동 작용으로 변형될 수 있다. 둘째, 돌출부는 씰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접 장치의 배치의 있어서 문제를 야기한다.
한국 특허 KR2010-0090036은 이런 종류의 탱크에 사용되기 위한 요형 물결 주름, 즉, 탱크의 외측을 향하는 요형 물결 주름을 포함하는 1차 씰링 장벽을 제안한다. 이 물결 주름은 1차 절연 장벽에 제공된 홈에 수용된다. 2차 씰링 장벽을 배치하게 되면, 인접한 2 개의 1차 단열 블록들의 서로를 향한 움직임에 의해 형성되는 홈 때문에, “삼중(Triplex)”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 2차 씰링 장벽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상기 2차 씰링은 일련의 물결 주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이라는 혜택을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가령 FR-A-2798902 또는 FR-A-28776에서는, 평행 용접 지지체의 서로 다른 측면 가장자리끼리 용접되는 솟아오른 가장자리를 갖는 불변강(인바, invar) 스트레이크(strake)가 형성된 2 개의 씰링 장벽을 갖는 단열되고 씰링된 탱크가 개시된다. 상기 용접 지지체들은 평행육면체 박스 상에, 씰링된 금속 막이 유지되도록, 아래 측에 형성되는 단열 장벽을 형성하는 평행육면체 모양의 박스의 커버 판의 홈에 각각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 구조에 배치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는: 유지 구조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2차 단열블록을 포함하는 2차 단열부, 서로 용접되며, 2차 단열 블록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씰링된 2차 금속판을 포함하는 2차 씰링부, 2차 씰링부 위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1차 단열 블록 포함하는 1차 단열부, 서로 용접되며, 1차 단열 블록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씰링된 1차 금속판을 포함하는 1차 씰링부, 2차 단열 블록의 가장자리의 수준에서 2차 단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유지 구조상의 베어링 인게이지먼트(bearing engagement)에서 2차 단열 블록을 유지하는 2차 기계적 연결부재 및, 1차 단열 블록의 가장자리의 수준에서 1차 단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2차 씰링부상의 베어링 인게이지먼트에서 1차 단열 블록들을 유지하는 1차 기계적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1차 금속판, 2차 금속판 각각은 금속판의 가장자리가 아래측에 있는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의 가장자리에 대해 각각 오프셋(offset)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1차 금속판 및 2차 금속판은 단지 1차 기계적 연결부재 및 2차 기계적 연결부재에 의해 각각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 상의 베어링 인게이지먼트로 지지되고, 1차 기계적 연결 부재 및 2차 기계적 연결 부재는 각각 1차 금속판 및 2차 금속판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연결 지점의 수준에서 1차 금속판 및 2차 금속판 각각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금속판 및 2차 금속판은 각각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 아래에 있는 윤곽 형상과 같은 윤곽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 윤곽 형상은 직사각형, 사각형, 육각형 또는 평면 상의 모자이크류 배치가 가능한 또 다른 모양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1차 금속판 및 2차 금속판은 각각 두 직교 방향으로 유지 구조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물결 주름과 상기 물결 주름을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을 각각 갖도록 형성된 얇은 금속 시트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금속판 및 2차 금속판의 물결 주름은 그들 각각의 방향으로 같은 거리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1차 금속판 및 2차 금속판 각각의 2 개의 연속적인 물결 주름 사이의 거리는 유지 구조를 수직으로 보았을 때, 2개의 씰 간 사각형의 물결 주름 영역 크기가 한정되도록 두 물결 주름 방향의 물결 주름 사이의 거리가 같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기계적 연결 부재 및 2차 기계적 연결 부재는 1차 씰과 2차 씰에 각각 지지되는데, 이때 상기 각 씰의 수직 물결 주름들 사이의 위치하는 평면 영역에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씰링 판 및 2차 씰링 판의 물결 주름들을 수용하는 홈들은 물결 주름의 단면에 적합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U 형태 또는 V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홈의 단면은 V 형태인데, 분기(가지)들 사이의 각도는 90도 이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 각각의 홈은 홈 안으로 끼워지는 홈보다 더 넓은 끼움쇠(shim)에 의해 제한되는데 이 끼움쇠는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과 사이 홈 안에 수용된 1차 씰링 판 및 2차 씰링 판의 물결 주름 사이에 통로를 남김으로써, 예를 들면, 질소 등의 가스로 정화할 수 있도록 상기 홈내에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기계적 연결 부재와 2차 기계적 연결 부재는 각각 1차 씰링 장벽과 2차 씰링 장벽 상에 각각 힘을 분배하는 판 및 상기 판에 연결된 1차 힘 변환 수단 및 2차 힘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2차 기계적 연결 부재의 힘 변환 수단은 유지 구조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기계적 연결 부재의 힘 변환 수단은 2차 기계적 연결 부재에 1차 기계적 연결 부재와 동축(同軸)으로 연결된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1차 기계적 연결 부재의 힘 변환 수단은 2차 단열 블록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어 2차 단열 블록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2차 단열 블록과 연계된 상기 2차 기계적 연결부재는 상기 기계적 연결 부재에 대해 오프셋(offset)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단열 블록과 2차 단열 블록 각각은 상기 1차 단열 블록 및 상기 2차 단열 블록 각각의 두 대향하는 가장자리 상의 눈금(notch, U, V 형태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2개의 인접한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에 형성된 눈금들은 1차 기계적 연결 부재 및 2차 연결 부재가 통과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 하우징(housing)을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 각각은 그 모서리가 절단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4개의 인접한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의 절단된 모서리들은 그것을 통과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 하우징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단열 블록 및 2차 단열 블록 각각은 합판에 의해 2개의 큰 표면으로 덮히는 단열 거품의 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탱크는 지상의 저장 설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NG 저장용 설비 또는 특히, 메탄 탱커, 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유닛(FSRU) 등 해안이나 심해 부유 구조체로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가운 액체 제품 수송용 배는 이중 선체 및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 선체 내에 배치된 탱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선박에서의 선적 및 하적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차가운 액체 제품이 선박의 탱크와 지상 또는 부유식 저장 설비 사이에 연결된 단열된 파이프를 통해 운송되는 선박에서의 선적 및 출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가운 액체 제품용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상술한 선박, 지상 또는 부유식 저장 설비와 선박의 선체에 설치된 탱크를 연결하기 위해 배치된 단열된 파이프, 선박의 탱크와 지상 또는 부유식 저장소 설비 사이를 연결하는 단열된 파이프를 통하는 차가운 액체 제품의 흐름을 추진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커플러(coupler)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커플러는 고정 구조로부터 분리될 힘을 받는 구성 요소이다. 상기 요소는 평행한 두 강체 벽에 의해 구분된다. 첫 번째 벽은 고정 구조물에 가깝고, 두 번째 벽은 고정 구조물로부터 멀다. 커플러는:
- 커플러의 베이스(base)를 형성하며, 상기 구조에 고정되며, 단열 물질 플러그 및 너트(암나사)를 통해 고정 구조물에 대해 상기 플러그를 밀어내는 탄성 수단을 둘러싸는 외부 케이싱(casing)을 포함하는 제1부;
- 커플러의 헤드를 형성하며,
단열 링을 둘러싸며, 구성 요소에 의해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원통인 슬리브(sleeve)가 내측으로 양 끝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제2부; 상기 고정 구조에서 먼 나사산은 상기 요소의 제2벽에 의해 부착(carry)되는 판 상에 지지되는 플랜지를 구비한 마감부를 수용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요소의 제2 벽과 판 사이에 요철 방식으로 위치된 주변 판에 고정되고,
- 마지막으로, 양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 단부는 커플러의 헤드의 슬리브로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는 나사 결합되어 고정 구조에 대한 고정력을 보장하는 제1로드(rod)를 포함한다.
유지 구조에 대해 유지되는 구성 요소는 유지 구조의 반대측에 금속판에 덮힌 보완 요소와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로드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슬리브의 나사산은 슬리브 및 보완 요소에 유지된 커넥터의 연결을 제공하는 제2로드의 나사산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커플러의 헤드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보완 케이스에 제2막대의 가장자리와 보완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탄성 수단과 금속판에 용접됨으로써 보완 요소의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 사이에서 플랜지의 씰(밀봉)이 보장되는 나사산 슬리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러 베이스(base)의 너트는 모서리들이 케이스 또는 이것이 연결되는 부분에 러빙(rub)되는 사각형 모양을 갖는다. 케이스의 판 및/또는 커플러의 보완 케이싱은 직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커플러의 제2로드는 제1로드보다 작은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플러의 바람직한 사용에 있어서, 유지 구조는 선박의 이중 선체구조이고, 분리력을 받게 되는 구성 요소는 선박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탱크의 씰링되며 단열된 벽 구성 요소이다. 커플러는 1차 장벽 요소를 구성하는 보완 요소와 연계될 수 있고, 유지 구조와 더 가까운 구성 요소는 2차 장벽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보완 케이스의 나사산 있는 슬리브는 유지 구조로부터 먼 측에서, 보완 요소를 덮는 수단인, 금속판에 대해 돌출된 수단의 나사산 단부를 수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커플러와 연계된 구성 요소의 제1벽은 평활 끼움쇠(shim)를 사이에 두고 유지 구조에 대하여 유지될 수 있다. 구성 요소의 벽 및/또는 유지 구조로부터 먼 보완 요소와 연계된 판은 동일한 부분들을 용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얇은 금속판이다. 첫 번째 변형에 따르면, 상기 판 부분들은 랩(lap) 용접되며 2개의 직교 방향으로 형성된 물결 주름을 포함한다. 또 다른 변형에 따르면, 판 부분들은 솟아오른 가장자리와 용접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2개의 금속판을 평면 지지체에 가압(press)함으로써 자유 모서리의 랩 용접(lap welding) 수행을 위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여기서, 상기 판들 중 하나와 정렬되는 위치에는, 용접될 모서리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용접될 판들 위의 중심점을 부착(carry)하는 베어링 부재가 위치하는데, 이 베어링 부재의 중심점은 레버의 중심으로 사용되고, 그 일단부에는 용접될 모서리들과 일직선으로 배치된 압력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용접될 판들 중 한 상에 배치된 엑추에이터(actuator)의 작용을 추가적으로 받고, 상기 엑추에이터는 패드를 용접될 모서리에 대고 누름으로써 용접 위치 근처에서 두 판들이 서로를 누르기에 적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엑추에이터는 용접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용접될 판들 중 하나의 영역 및 레버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가능하고 유연한 튜브이다. 레버의 중심은 압력 패드보다 더 멀리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적용에 따르면, 용접될 판은 평행한 직선 특히 용접될 모서리들과 평행한 주름을 포함하는 판으로서, 각 주름은 평면 판의 홈에 위치하고 상기 홈은 단면이 V 형태 또는 U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홈의 V 가지(branch)는 약 90도의 개구 각도를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베어링 부재는 압력 패드와 상기 압력 패드에 최근접한 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적용에 따르면, 평면 판은 선박의 유지 구조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밀봉되며 단열되는 탱크의 단열 장벽 요소의 벽이다. 그리고 용접될 판들은 용접 후, 상기 탱크의 씰링 장벽을 구성하는데, 레버와 연계된 베어링 수단이 기계적 연결 부재에 의해 제공되어 단열 장벽 구성 요소들과 탱크의 유지 구조간의 결합력을 보장한다. 레버와 연계된 베어링 수단은 나사산 슬리브 안으로 나사 결합된 돌출 수단 또는 기계적 연결 부재에 고정된 단부 조각으로 구성되며, 해제 수단에는 렙 용접될 판 상에 가압(press) 되는 주변 플랜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몇몇 측면은 양 장벽들을 위해 탱크의 외부를 향하도록 된 일련의 물결을 갖는 판들을 1차 및 2차 씰링 장벽으로서 사용하는데 있다. 배열의 장점은 영역이 물결 주름의 배열이 가능하게 하는 탄성력의 혜택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씰링 장벽상의 물결 주름들의 존재로 인한 단점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제한적 및 단지 예시적인 방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씰링된 장벽 유닛과 단열 장벽 유닛의 상대적 배치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a는 씰링 장벽 유닛 및 그 아래 측에 형성되는 단열 장벽 유닛들을 포함하는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벽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단열 장벽은 그 표면의 일부만 씰링된 장벽에 의해 덮힌다.
도 2는 도 1에서 II-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에서 본 제1 실시예의 탱크 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1차 및 2차 씰링 장벽들의 물결 주름이 배치된 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유지 구조와 수직인 섹션에서의, 유지 구조와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한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벽을 지지하는 2차 커플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탱크 벽은 오직 하나의 단열 장벽 및 오직 하나의 씰링 장벽과 장착되기에 적합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 커플러에 의해 유지 구조상에 유지되는, 유지 구조와 수직인 섹션에서의, 1차 장벽과 그 아래 측의 2차 장벽간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한 1차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2개의 커플러들은 동축을 갖는다.
도 6은 도 4의 2차 커플러의 베이스(베이스)를 그 로드의 축 및 캡티브 너트(captive nut)의 수준에서 본 모습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따른, 1차 또는 2차 커플러의 헤드의 섹션을 상기 1차 또는 2차 씰링 장벽 아래에 장착된 판의 수준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 제2실시예의 탱크 벽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2차 장벽은 2차 커플러들에 의해 유지 구조(3)에 대해 고정되고 1차 장벽은 1차 커플러들에 의해 2차 장벽 상에 고정되고, 두 종류의 커플러는 1차 및 2차 단열 유닛들에서 생성된 홈들의 2개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도 9는 도 8에서 벽의 1차 단열 장벽 유닛과 2차 단열 장벽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로, 화살표들은 1차 커플러 및 2차 커플러들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1차 커플러의 베이스의 도킹(docking)을 가능케하는 소켓(socket)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1차 씰링 장벽 상의 돌출 베어링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돌출 베어링 부재는 1차 단열 장벽의 인접하는 2개의 구성 요소들의 교차점에서 상기 1차 장벽의 커플링 부재와 정렬되며, 도 11은 유지 구조 및 1차 씰링 장벽의 물결 주름의 중간선에 수직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1과 유사한 도면으로, 씰을 제공하기 위해 랩 용접될 2개의 1차 씰링 장벽 판들에 대해 서로 가압(press)되기 위한 장치용 베어링 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메탄 선박의 탱크 및 상기 탱크의 선적/하적 터미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2차 단열 장벽(1)은 병렬 모듈형 블록들로 형성되며, 1차 단열 장벽(2) 또한 병렬 모듈형 블록들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모듈형 블록들은 직방체(평행육면체) 형상의 석판, 즉, 2차 단열 석판(28) 및 1차 단열 석판(29)이다. 그러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이러한 2차 단열 석판(28) 및 1차 단열 석판(29)은 각각 단열 거품 패널(1a) 및 직사각형 형태(2a)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패널(1a)은 더 넓은 면 상에, 각각 합판지지시트(plywood backing sheet, 1b, 2b)로 덮힌다. 2차 단열 슬래브(28)의 지지 시트(backing sheet, 1b)는 유연한 매스틱(mastic)의 비드(bead)들에 의해 선박의 유지 구조(3)에 대해 가압(press)된다.
커버 판(1c, 2c)들은 단면이 직각사각형인 홈(5)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홈들은 거품 층(1a, 2a) 까지 연장된다. 평면 영역(46)들은 상기 홈(5)들 사이에서 한정된다.
1차 단열 장벽(1) 및 2차 단열 장벽(2)은 각각 유지 구조체(3)로부터 더 먼 벽상에, 2차 씰링 장벽(6) 및 1차 씰링 장벽(7)을 구성하는 금속 시트, 가령 스테인리스 강철을 부착(carry)한다.
이러한 2차 씰링 장벽(6) 및 1차 씰링 장벽(7)들은 각각 2차 판(25)들 및 1차 판(25a)들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금속판들의 집합으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각 씰링 장벽은 V-형태의 물결 주름을 포함하며, V의 2개 가지는 약 90도의 각 개구부를 갖는다.
90도 이상으로 개구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보다 작게 되면 용접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는다. 각 2차 금속판(25) 및 1차 금속판(25a) 각각의 물결 주름은 같은 거리를 가지며, 도 1 및 도 1a에 명백히 나타난 바와 같이, 2개의 직각 방향으로 생성됨으로써 일련의 물결 주름은 사각형의(유지 구조(3)에 수직으로 보았을 때) 평면 물결 주름간 영역(40)을 형성한다. 1차 장벽은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2차 금속판(25) 및 1차 금속판(25a)은 각각 2차 단열 슬래브(28)와 1차 단열 슬래브(29)상에 배치됨으로써 물결 주름(8)들이 아래 측에 있는 단열 슬래브들의 홈(5)에 매번 수용되는 한편, 평면 영역(50)들은 평면 영역(46)에서 해당하는 커버 판(1c 또는 2c)상에 지지된다.
도 3은 씰링 장벽들(6 또는 7)의 물결 주름(8)들을 포함하는 홈(5)들의 바람직한 변형을 나타낸다. 이 변형에서, 물결 주름(8)의 단면을 구성하는 V의 가지들은 쐐기(wedge)들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쐐기들은 그 상부와 V의 구부러지는 부분에, 각각 2차 씰링 장벽(6) 또는 1차 씰링 장벽(7)과 2차 단열 슬래브(28)들 또는 1차 단열 슬래브(29)들간에 질소가 순환될 수 있는 통로(10)들을 구성하는 자유 영역을 구비한다. 이 통로들은 누출 시 안전 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물결 주름(8)의 V의 가지들을 지지하는 사실은 물결 주름들의 기계적 힘을 증대시킨다. 홈(5) 아래에는 휴식 슬롯(relaxation slot)들이 제공될 수 있다.
2차 단열 슬래브(28)들 및 1차 단열 슬래브(29)들은 선박의 이중선체로 구성된 유지 구조(3) 상에 고정되는데, 여기에서 탱크는 고정될 단열 슬래브(28, 29)들의 둘레에 체계적으로 위치한 기계적 커플링 부재들에 의해 설치된다. 도 1 및 도 1a는 일 실시예에서의 2차 단열 장벽과 2차 씰링 장벽(6)의 상대적 배치 관계를 나타낸다. 2차 커플링 부재들의 상단부(11)들이 이 평면도에 나타나 있다. 2차 금속판(25)은 2차 단열 슬래브(28)와 크기가 같고 그것이 지지하는 2차 단열 슬래브(28)들에 대해 절반 길이 또는 절반 너비로 오프셋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2차 단열 슬래브(28)들의 모서리 상에 위치한 커플링 부재(11)들은 2차 금속판(25)의 사각형 물결 주름간 영역들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선(35)들은 인접한 2차 금속판(25)들의 오버랩되는 영역들을 지칭하고 있다. 1차 단열 장벽(2)과 1차 씰링 장벽(7)의 상대적 배치는 정확히 같을 수 있다. 단열 슬래브들의 모서리들과 그들이 지지하는 금속판들의 모서리들 간의 오프셋은 몇 가지 이점이 있다. 반면, 이러한 모서리들이 정규적으로 나타나면 인접한 금속판들의 모서리들간의 씰링된 용접은 더 단순해지는데, 금속판들의 모서리들의 수준에서 커플러들을 부착하기 위한 지점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단순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커플러들이 배치된 인접 단열 슬래브들 사이의 영역들은 약간 오프셋된 수준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단열 슬래브 각각의 마운팅 클리어런스(mounting clearance)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들은 단열 슬래브들의 중심 영역들보다 금속 씰링 멤브레인에 대해 균일하지 않은 지지 포면을 제공하기 쉬운데, 이에 따라 단열 슬래브들간에 위치한 상기 영역들에는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제안된 배열에 있어서, 씰링 멤브레인의 가장 약한 영역, 즉 금속판들의 모서리 영역은 지지 표면이 가장 균일한 영역들 위로 배치되는 반면, 단열 슬래브들 사이에 위치한 영역들은 물결 주름(8)들에 의해 전달된 탄성력 때문에, 스트레스에 저항력이 더 센 금속판(25 또는 25a)들의 중심부에 의해 덮히게 된다.
이하, 탱크 벽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제1실시예를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4 및 도 5는 그 기계적 커플링 부재들을 세부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의 커플링 부재들은 동축을 갖는 2차 커플러(41) 및 1차 커플러(42)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1차 단열 장벽(2)을 관통하는 1차 커플러(42)는 2차 단열 장벽(1)을 관통하는 2차 커플러(41)와 같은 축 상에 배치된다. 매번, 2차 단열 장벽(1)을 관통하는 2차 커플러(41)들의 통로, 및 1차 단열 장벽(2)을 관통하는 1차 커플러(42)들의 통로들은 각각 2차 단열 슬래브(28)들의 모서리 및 1차 단열 슬래브(29)들의 모서리들에 새겨진 눈금(12)들 및 2차 단열 슬래브(28)들 및 1차 단열 슬래브(29)들의 모서리에서 생성된 모서리 눈금(13)들에 의해 구성된다. 2차 커플러(41) 및 1차 커플러(42) 각각의 하우징은 2개의 인접한 단열 슬래브들에 생성된 2개의 눈금(12)들 또는 4개의 인접한 단열 슬래브들의 4개의 눈금(13)들에 의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구조(3)에 대한 1차 단열 장벽(2)들과 2차 단열 장벽(1)들의 커플링 시스템은 두 종류의 커플러(41, 42)들로 구성된다. 2차 커플러(41)의 일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유지 구조(3)에 대해 2차 단열 장벽(1)을 잡고 있는 역할을 하는 상기 2차 커플러는 단일 단열 장벽에 의해 탱크가 단열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1)는 유지 구조(3)에 용접된 커플러 베이스(15)와 2차 단열 슬래브(28)의 커버 시트(1c)에 고정된 커플러 헤드(16)를 연결하는 로드(rod, 14)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 베이스(15)는 유지 구조(3)에 용접된 케이싱(15a)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5a)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벨레이유 워셔(Belleville washers, 15b)와 상기 로드(14)에 나사 결합된 너트(15c) 스택(stack)을 에워싸고 있다. 상기 너트(15c)는 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너트의 모서리들은 너트(15c)의 회전을 막기 위해 케이싱(15a) 상에 러빙(rub)된다. 2차 단열 슬래브(28)의 지지 시트(backing sheet, 1b)는 평활 끼움쇠(smoothing shim, 17) 상에 지지된다. 상기 평활 끼움쇠(17)는 베어링 결합이 평평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단열의 부분적인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외부적으로 통과하도록 한계를 정하는 원통형 케이싱(19)을 위한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 케이싱(19)은 사각형 고정 판(square fixing plate, 18)의 중심에서 스탬프(stamped)된 원통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케이싱(19)은 슬리브(sleeve, 21)의 끝을 두르는 단열 링(2)을 에워싸고 있다. 상기 슬리브(21)는 양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bore)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보어들 중 하나는 너트(15c)와 협력하지 않는 로드(14)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들의 단부에 위치한다. 판(18)은 커버 판(1c)의 스폿 페이싱(spot facing, 22) 안에 위치하며 2차 씰링 장벽(6)에 의해 덮힌다. 원통형 케이싱(19)의 접힌 모서리(37)는 판(18)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2차 단열 슬래브(28)가 받는 뜯기는 힘(tear-off forces)을 로드(14)를 통해 유지 구조(3)에 전달한다. 벨레이유 워셔(15b)들 덕분에 수득한 탄성력은 열수축 및 선체의 모든 동적 변형을 보완하게 된다. 로드(14) 반대편의 슬리브(21)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가 구비됨으로써 플랜지(24a)를 포함하는 수나사 마감부(24)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23)은 이 보어 안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23)은 2차 금속판(25)의 천공을 통과하여 슬리브(21) 안으로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수나사 마감부(24)는 2차 금속판(25)이 커버 시트(1c)에 대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점을 구성한다. 플랜지(24a)는 상기 천공을 두르는 2차 금속판(25) 상에 씰링된 용접이 생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부착점 수준에서 씰링을 재확립하게 된다.
이 수나사 마감부(24)는 랩 용접에 의한 접합 시 씰링 장벽들을 구성하는 판들을 가압하기 위한 탱크 비계(scaffolding) 또는 장착 도구 또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1차 커플러(42)와 동축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앞서 설명한 2차 커플러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왼쪽 부분은 도 4에서 상세하게 도시된 2차 커플러(41)의 헤드(16)에 해당하는데, 다만 수나사 마감부(24)는 유지 구조(3)로부터 먼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를 포함하는 암나사 마감부(26)로 대체되었다. 이 마감부(26)는 또한 2차 씰링 장벽(6)을 구성하는 2차 금속판(25)에 용접되기에 적합하게 된 주변 플랜지(26a)를 포함한다. 이 마감부(26)는 그 나사산 보어에, 상기 로드(14)와 유사한 로드(27)의 나사산 단부를 수용한다. 상기 마감부(26) 안에 끼워지는 상기 로드(27)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로드(14)와 직경은 같으나 상기 로드(27)의 나머지 길이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게 되어, 커플링 부재들에 가해진 힘이 그 허용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두 직경들의 연결 영역에 균열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드(27)는 1차 단열 장벽(2)을 통과하여 로드(27)와 2개 또는 4개의 1차 단열 슬래브(29)들의 커버 판(2c)들 사이의 연결을 보장하는 커넥터(30) 안으로 진입한다. 이 커넥터(30)는 도 4의 2차 커플러(41)의 헤드의 원통형 케이싱(19)과 전반적으로 유사한 케이싱(30a)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30)은 도 4와 동일한 판(18)의 중심 영역에서 생성된 원통형 스탬핑(stamping)으로, 1차 금속판(25a) 아래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 판(18)은 직사각형이다. 이 케이싱(30a) 안에는 벨레이유 워셔(30b)들과 상기 벨레이유 워셔(30b)들상에 지지된 로드(27)상의 테(rim, 30c)가 배치된다. 상기 케이싱(30a) 안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31)가 배치되는데, 이 슬리브(31)는 그 축을 따라 상기 원통형 케이싱(30a) 안으로 나사 결합된 외부 및 탱크의 내부를 향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hole, 38)을 포함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수나사 마감부(24)와 같은 종류의 돌출 수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31)는 1차 금속판(25a)에 용접될 수 있는 주변 플랜지(31a)를 포함한다. 방금 설명한 커플링 부재들은 다양한 조립 구성 요소들의 작은 상대적 회전을 가능케 한다.
2차 금속판(25) 및 1차 금속판(25a)상의 플랜지(24a)의 베어링은 각각 2차 씰링 장벽(1) 및 1차 씰링 장벽(2)이 2차 단열 슬래브(28)들 및 1차 단열 슬래브(29)들의 커버 시트(1c, 2c)와 베어링 결합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1차 및 2차 커플러들의 충분한 밀도를 받게 되어, 탱크의 벽들상에 씰링된 멤브레인을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벽들의 모서리들과 탱크의 두 벽들 사이의 모서리들의 수준에서의 씰링 장벽들의 연결부는 알려진 기술에 따라 금속 씰링 판들을 앵글 철에 용접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은 탱크 벽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1차 단열 장벽(2)들과 2차 단열 장벽(1)들을 유지 구조(3)에 대해 유지하는 커플링은 1차 단열 장벽(2)과 2차 단열 장벽(1)을 관통하는 부분과 정렬되지 않는 1차 커플러(33)들과 2차 커플러(32)들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1차 단열 슬래브(29)들과 2차 단열 슬래브(28)들은 도 1 및 도 1a에서 해당 슬래브들과 형태는 동일하나 다르게 배치된다. 1차 단열 슬래브(29)가 2차 단열 슬래브(28)와 정확하게 수직으로 정렬되는 대신 여기서는 1차 단열 슬래브(29)들이 탱크 벽의 평면의 양 방향으로 특정한 간격을 두고 2차 단열 슬래브(29)들에 대해 오프셋된다. 측면 오프셋 간격(6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예에서의 슬래브들의 너비의 절반에 못 미친다. 길이 방향 오프셋 간격(62)은 도 9에 도시된 예에서의 두 물결 주름(8)들 간의 길이 방향 간격과 같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1차 커플러(33)들과 2차 커플러(32)들은 1차 커플러(33)들의 위치들은 화살표 P1, P2, P3로 표시되고 2차 커플러(32)들의 위치들은 화살표 S1, S2, S3로 표시된 도 9에 분명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이상 서로 정렬되지 않는다. 모든 커플러가 도 9에 도시된 것도 아니다. 단열 블록의 크기에 따라 단열 블록 한 개당 일반적으로 8개의 커플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차 커플러(32)는 로드(32a)로 구성되는데, 상기 로드(32a)의 일단부에 의해 유지 구조(3)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의해 2차 단열 슬래브(28)들의 커버 벽(1c)에 연결된다. 상기 언급한 연결부들은 제1실시예에서의 정확히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1차 커플러(33)는 그 일단부에 의해 2개 또는 4개의 1차 단열 슬래브(29)들의 커버 시트(2c)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의해 그 모서리들로부터 이격되게 2차 단열 슬래브(28)의 커버 시트(1c)에 연결되는 로드(33a)를 포함한다. 커버 시트(2c)들과 상기 로드(33a)의 이와 같은 연결은 도 5의 오른편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한 것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장치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상기 로드(33a)와 커버 시트(1c)간의 연결은 도 10에 도시된 소켓(34)과 로드(33a)상의 나사산의 협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로드(33a)가 2차 씰링 장벽(6)을 관통하는 수준에서, 상기 로드(33a)는 2차 씰링 장벽을 구성하는 2차 금속판(25)에 용접된 플랜지(33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1차 커플러(33)들과 2차 커플러(32)들을 오프셋하면 탱크의 내부와 유지 구조(3) 사이의 열 브릿지(bridge)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2차 금속판(25) 및 1차 금속판(25a)들과 1차 단열 슬래브(28)들 및 1차 단열 슬래브(29)들 각각 사이의 오프셋이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보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탱크 벽이 배열되게 되는데, 여기서는 탱크 벽을 형성하는 4 개의 연속층들이 각각의 오프셋 모자이크식 배열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다음의 4개의 구성 요소들 각각은 평면의 2개 방향으로 다른 나머지 3개에 대한 위치로 오프셋된다: 2차 단열 슬래브(28), 2차 금속판(25), 1차 단열 슬래브(29) 및 1차 금속판(25a). 도 11에서는 도 4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수나사 마감부(male end-piece, 24)가 구비된 1차 또는 2차 씰링 장벽을 섹션에서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은 도 11와 도 12에서도 같은 부호로 표시했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은 2차 장벽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했으나, 1차 장벽이었어도 상황은 같았을 것이다. 여기에는, 합판 커버 시트(1c)를 갖는 2개의 2차 단열 슬래브(28)의 인접 영역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도 1에 미도시)들은 2개의 인접 2차 단열 슬래브(28)들 사이에 위치한 평면(51)에 위치한다. 2차 씰링 장벽(6)은 시트 금속판(25)들의 조립체로 구성되는데, 이 조립체는 2개의 인접 시트 금속판들의 랩 용접(52)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도 12는 앞서 설명한 벽 영역에 위치하고 도 11에 도시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수나사 마감부(24)는 일 단부에는 압력 패드(55)를, 그리고 타 단부에는 팽창가능하고 유연한 튜브(56)가 구비된 엑추에이터를 부착(carry)하는 레버(54)에 대한 중심점(53)을 구성한다. 상기 레버(54)는 그것의 각(angular)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갖는 수나사 마감부(24)의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43)가 결합되는 보어(bore)를 포함한다. 너트(44)가 이 결합을 유지한다. 상기 중심점(53)은 팽창 가능한 튜브(56)보다 압력 패드(55)에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튜브(56)에 의해 발생된 힘을 배가시키고 패드(55)의 수준에서 높은 압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레버는 금속판(25)들을 통하여 평행하게 측정된 간격(53-55)이 평면(51)과 랩 용접(52)이 이루어져야 하는 축 간의 간격과 같아지는 크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압력 패드(55)는 랩 용접(52)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가압(press)되는데, 이로써 상기 2개의 판(25)들을 사전에 가용접(tack welding)할 필요 없이 용접 공간의 수준에서 함께 가압(press)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탱크 벽 제조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저장 탱크, 메탄 탱크 선박 등 지상 설비 또는 부유식 구조의 LNG 저장 탱크 설비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메탄 탱크 선박(70)의 단면도에서는 선박의 이중선체(72)에 장착된 각기둥 일반 형태의 씰링되고 단열된 탱크(7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탱크(71)의 벽은 탱크에 저장된 LNG와 접촉하는 1차 씰링 장벽, 상기 1차 씰링 장벽과 선박의 이중선체(72) 사이에 위치한 2차 씰링 장벽 및 1차 씰링 장벽과 2차 씰링 장벽 및 2차 씰링 장벽과 이중선체(72) 사이에 각각 위치한 2개의 단열 장벽들을 포함한다.
종래에 알려진 방식에 따라, 선박의 갑판 위에 배치되는 선적/하적 파이프(73)들은 적합한 커넥터 수단들에 의해 해안 또는 항구 터미널로 연결되어 탱크(71)로 LNG를 운송하게 된다.
도 13은 선적 및 하적 스테이션(75)을 포함하는 해상 터미널, 잠수 파이프(76) 및 지상 설비(77)를 포함하는 해상 터미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선적 및 하적 스테이션(75)은 고정식 해안 설비로서, 이동성 암(mobile arm, 74) 및 상기 이동성 암(74)을 지지하는 타워(tower, 78)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성 암(74)은 선적/하적 파이프(73)들에 연결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 단열되고 유연한 파이프(79)들의 묶음(bundle)을 부착(carry)한다. 상기 방향 이동성 암(orientable mobile arm, 74)은 모든 메탄 탱커 선적 크기에 적용 가능하다. 타워(78) 안에는 연결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으나,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선적 및 하적 스테이션(75)은 메탄 탱커(70)와 지상 설비(77) 간의 선적 및 하적을 가능케 한다. 지상 설비(77)에는 액화가스 저장 탱크(80) 및 선적 또는 하적 스테이션(75)에 잠수 파이프(76)로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81)들이 포함된다. 상기 잠수 파이프(76)는 선적 및 하적 스테이션(75)과 지상 설비(77) 간의 장거리 운송, 가령 5km 운송을 가능케 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메탄 탱커 선박(70)은 선적 및 하적 작업 시 해안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액화 가스 운송에 필요한 압력의 발생에는, 선박(70) 상의 선상 펌프 및/또는 지상 설비(77)에 구비된 펌프 및/또는 선적 및 하적 스테이션(75)에 구비된 펌프들이 사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포함한다” 및 “구성된다”와 그들의 활용 형태와 같은 동사의 사용은 청구항에 기재된 것 이외의 다른 구성 또는 다른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요소나 단계를 위한 부정관사 “a” 또는 “an”의 사용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그러한 복수 개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에서, 괄호 안에 있는 참조 부호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로서,
    유지 구조(3);와 상기 유지 구조(3)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열 요소(1, 2)들을 포함하는 단열 장벽;
    상기 단열 장벽에 의해 지지되는 씰링 장벽(6, 7);과 복수 개의 판(25)들과 상기 유지 구조(3)에 대하여 상기 구조로부터의 이탈을 일으키게 될 힘을 받는 단열 요소(1, 2)를 유지하기 위한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 요소는 2개의 평행 강체 벽(1c, 1b, 2c, 2b)들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1벽(1b, 2b)은 상기 유지 구조(3)에 더 가깝고 상기 제2벽(1c, 2c)은 상기 유지 구조(3)로 부터 더 멀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의 베이스(15)를 형성하며, 상기 유지 구조(3)에 고정되는 외부 케이싱(15a)을 포함하는 제1부;
    상기 커플러의 헤드(16)를 형성하는 제2부;
    마지막으로, 양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rod, 14);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단열 물질 플러그(15d) 및 너트(15c)를 통하여 상기 유지 구조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를 밀어내는 탄성 수단을 둘러싸며,
    상기 커플러의 상기 제2부는 상기 단열 요소에 체결된 외부 케이싱(19)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싱은 단열 링(20) 및 양단부에 내부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슬리브(21)를 둘러싸고, 상기 유지 구조(3)로부터 가장 먼 나사산은 상기 단열 요소의 상기 제2벽에 의해 부착되는 씰링 장벽의 판(25)에 지지되게 되는 플렌지(24a, 26a)를 구비하는 마감부(end-piece, 24, 26)를 수용하고, 상기 케이싱(19)은 상기 판(25) 및 상기 단열 요소의 상기 제2벽 사이에 구성되는 스팟 페이싱(spot-facing)에 위치된 주변 판(peripheral plate, 18)에 체결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rod)는 일단부가 상기 커플러의 헤드(16)의 상기 슬리브(21)로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플러의 베이스(15)의 상기 너트(15c)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로드(14)의 나사결합은 상기 유지 구조(3)에 대한 상기 단열 요소의 유지를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조(3)에 대하여 유지되는 상기 단열 요소(1)는 상기 유지 구조(3)의 반대측이 금속판(25a)으로 덮히는 보완 단열 요소(2)와 연계되고, 상기 제1로드(rod, 14)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상기 슬리브(sleeve, 21)의 나사산은 상기 슬리브(21) 및 상기 보완 단열 요소(2)에 체결된 커넥터(30)의 연결을 제공하는 제2로드(27)의 나사산 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헤드(16)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보완 케이싱(casing, 30a)에, 상기 제2로드(27)의 가장자리(30c)와 상기 보완 케이싱(30a) 사이에 배치된 탄성 수단(30b)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25a)에 용접됨으로 인해 외부 공간과 상기 보완 단열 요소의 내부 사이의 씰링을 가능케 하는 플랜지(31a)를 갖는 내부적으로 나사산이 있는 슬리브(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5)의 상기 너트(15c)는 상기 케이싱(15a) 또는 연결 부분 상에 러빙(rub)되는 모서리들의 외형이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9) 및 상기 커플러의 상기 보완 케이싱(30a)의 상기 판(18)들은 직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드(rod, 27)는 상기 제1로드(rod, 14)보다 작은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조(3)는 선박의 이중 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가 연계된 상기 보완 단열 요소는 1차 장벽 단열 요소(2)이고 상기 유지 구조(3)에 더 가까운 상기 단열 요소는 2차 장벽 단열 요소(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8. 제2항 및 제6항을 동시에 고려함에 있어서,
    내부적으로 나사산이 있는 상기 슬리브(31)는 상기 유지 구조(3)로부터 더 먼 측에서, 상기 보완 단열 요소(2)를 덮는 수단인 상기 금속판(25a)에 대해 돌출된 수단(24)의 나사산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와 연계된 상기 단열 요소의 상기 제1벽(1b)은 상기 제1벽(1b)과 상기 유지 구조(3) 사이에 배치되는 평활(smoothing) 끼움쇠(shim, 17)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유지 구조(3)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요소의 벽들 및/또는 상기 유지 구조(3)로부터 더 먼 상기 보완 단열 요소와 연계되는 상기 판(25,25a)은 동일한 부분들을 용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얇은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분들은 랩 용접(lap welded)되며, 두 직교 방향의 물결 주름(8)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분들은 상승된 가장자리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KR1020147002220A 2011-07-06 2012-06-26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KR102061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6093 2011-07-06
FR1156093A FR2977575B1 (fr) 2011-07-06 2011-07-06 Coupleur pour maintenir un element par rapport a une structure de retenue
PCT/FR2012/051459 WO2013004944A1 (fr) 2011-07-06 2012-06-26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679A true KR20140047679A (ko) 2014-04-22
KR102061171B1 KR102061171B1 (ko) 2020-02-11

Family

ID=4650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220A KR102061171B1 (ko) 2011-07-06 2012-06-26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729729B1 (ko)
JP (1) JP6087913B2 (ko)
KR (1) KR102061171B1 (ko)
CN (1) CN103635737B (ko)
AU (1) AU2012280145B2 (ko)
ES (1) ES2576984T3 (ko)
FR (1) FR2977575B1 (ko)
HR (1) HRP20160693T1 (ko)
MY (1) MY168363A (ko)
PL (1) PL2729729T3 (ko)
WO (1) WO201300494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509A (ko) * 2014-09-19 2016-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
KR20180094925A (ko) * 2014-12-15 2018-08-24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밀봉 탱크 내 단열 벽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단열 블록
KR20190003268U (ko) * 2018-06-21 2019-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조립용 앵커 장치
KR20200016916A (ko) * 2016-11-28 2020-0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381780B2 (en) * 2013-03-15 2016-09-08 Bechtel Oil, Gas And Chemical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substantially impermeable wall
JP6331350B2 (ja) * 2013-11-19 2018-05-30 株式会社Ihi 低温タンク
FR3026459B1 (fr) * 2014-09-26 2017-06-09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isolante comportant un element de pontage entre les panneaux de la barriere isolante secondaire
FR3035174B1 (fr) 2015-04-15 2017-04-2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quipee d'une paroi presentant une zone singuliere au travers de laquelle passe un element traversant
FR3038690B1 (fr) * 2015-07-06 2018-01-05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yant une membrane d'etancheite secondaire equipee d'un arrangement d'angle a toles metalliques ondulees
FR3042253B1 (fr) * 2015-10-13 2018-05-1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JP6577006B2 (ja) * 2017-11-28 2019-09-18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防熱構造及び防熱タンク
FR3074560B1 (fr) * 2017-12-04 2021-06-04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KR102158648B1 (ko) * 2018-12-20 2020-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FR3094071B1 (fr) * 2019-03-21 2021-04-02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JP7336356B2 (ja) 2019-10-31 2023-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CN117068325B (zh) * 2023-10-13 2024-02-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薄膜型围护系统绝缘模块受冷变形自适应调整方法
CN117068326B (zh) * 2023-10-13 2024-02-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薄膜型围护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801A (ja) * 2001-09-05 2003-06-27 Parker Hannifin Rak Sa 空気圧式モジュールからなるブロック
US20060117566A1 (en) * 2004-12-08 2006-06-08 Yang Young M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tank and ship with liquid tank
JP3906118B2 (ja) * 2001-06-29 2007-04-18 ガズ トランスポール エ テクニガズ 交差部が対称面に対して斜角をなす防水性で断熱性の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92959A (fr) 1966-05-20 1967-08-25 Technigaz Structure de coin de paroi intérieure d'enceinte de confinement ou analogue, son procédé de construction et ses diverses applications
BE847581A (fr) * 1975-11-03 1977-02-14 Citerne isolee pour liquides cryogeniques,
FR2798358B1 (fr) * 1999-09-14 2001-11-02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a structure d'angle simplifiee
FR2798902B1 (fr) * 1999-09-29 2001-11-23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aissons isolants destines a etre utilises dans cette cuve
FR2877639B1 (fr) 2004-11-10 2006-12-15 Gaz Transp Et Technigaz Soc Pa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ee integree a la stucture porteuse d'un navire
CN101688640B (zh) * 2007-05-29 2011-06-08 现代重工业株式会社 具有焊接的次防壁的液化天然气储存箱绝热系统及其构造方法
KR101058522B1 (ko) 2009-02-05 2011-08-23 한국과학기술원 단열 구조체 및 이를 갖는 극저온 액체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6118B2 (ja) * 2001-06-29 2007-04-18 ガズ トランスポール エ テクニガズ 交差部が対称面に対して斜角をなす防水性で断熱性のタンク
JP2003176801A (ja) * 2001-09-05 2003-06-27 Parker Hannifin Rak Sa 空気圧式モジュールからなるブロック
US20060117566A1 (en) * 2004-12-08 2006-06-08 Yang Young M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tank and ship with liquid tan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509A (ko) * 2014-09-19 2016-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
KR20180094925A (ko) * 2014-12-15 2018-08-24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밀봉 탱크 내 단열 벽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단열 블록
KR20200016916A (ko) * 2016-11-28 2020-0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190003268U (ko) * 2018-06-21 2019-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조립용 앵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76984T3 (es) 2016-07-12
JP6087913B2 (ja) 2017-03-01
KR102061171B1 (ko) 2020-02-11
FR2977575A1 (fr) 2013-01-11
MY168363A (en) 2018-10-31
FR2977575B1 (fr) 2014-06-27
AU2012280145B2 (en) 2016-09-15
JP2014520702A (ja) 2014-08-25
CN103635737A (zh) 2014-03-12
PL2729729T3 (pl) 2016-09-30
EP2729729B1 (fr) 2016-03-23
HRP20160693T1 (hr) 2016-07-15
AU2012280145A1 (en) 2014-01-23
EP2729729A1 (fr) 2014-05-14
WO2013004944A1 (fr) 2013-01-10
CN103635737B (zh)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514B1 (ko) 지지 구조안에 통합된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KR102061171B1 (ko) 밀봉되고 단열되는 탱크
CN107820554B (zh) 配备有波纹金属板的拐角布置的次密封膜的密封隔热罐
KR102558859B1 (ko) 밀봉 단열 탱크
KR102155819B1 (ko) 직교 폴드들로 주름진 금속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KR102055347B1 (ko) 유체 저장용 탱크를 위한 밀폐 단열 벽
AU2014252958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 fluid
AU2014255538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ed tank
KR102389246B1 (ko) 밀봉되고 단열인 탱크의 코너 구조 및 그것의 조립 방법
KR20170063733A (ko) 2차 절연 배리어의 패널 사이의 브리징 요소를 포함하는 밀폐 및 절연 베슬
KR20150142021A (ko) 유체 저장용 밀봉 단열 탱크의 모서리 구조물
JP2023081965A (ja) 断熱封止タンク
KR102580155B1 (ko) 선박의 벽체를 위한 단열 배리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 배리어
KR20150143525A (ko) 인슐레이팅 배리어에 대해 국부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씰링 배리어를 갖는 씰링 및 인슐레이팅된 탱크
KR102501626B1 (ko)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KR102399177B1 (ko) 밀봉 및 단열 탱크
KR20230079225A (ko) 밀봉 및 단열 탱크
KR102521377B1 (ko) 곡선형 지지 스트립을 갖는 단열 밀폐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