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430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430A
KR20140047430A KR20120113723A KR20120113723A KR20140047430A KR 20140047430 A KR20140047430 A KR 20140047430A KR 20120113723 A KR20120113723 A KR 20120113723A KR 20120113723 A KR20120113723 A KR 20120113723A KR 20140047430 A KR20140047430 A KR 20140047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magnet
reed
sensor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348B1 (ko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348B1/ko
Priority to EP13187810.0A priority patent/EP2730692B1/en
Priority to US14/051,141 priority patent/US10145053B2/en
Priority to CN201310475830.5A priority patent/CN103726265B/zh
Publication of KR20140047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0Starting machine operation, e.g. delayed start or re-start after power cu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는 도어에 배치되어 하향 돌출되고, 내부에 자석이 설치된 돌출부; 및 상기 자석과 반응하여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복수의 리드센서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 A washing machine }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의 거리에 따라 반응하는 리드센서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드센서와 자석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드조각(15)들은 자성체로 만들어진다. 리드조각(15)의 일부는 밀폐된 유리관(17) 내부에 봉입된다. 유리관(17) 내부에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다. 유리관(17) 내부에는 두개의 리드조각(15)이 배치된다.
두개의 리드조각(15)은 서로 일정 간격을 띄고 이격된다. 자석(20)이 다가오면 리드조각(15)은 자화된다. 양 측에 배치된 두개의 리드조각(15)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자화된다. 자기력이 탄성력을 극복하면, 두개의 리드조각(15)은 서로 접한다. 자석(20)이 멀어지면, 자기력은 약해지므로 두개의 리드조각(15)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따라서, 리드센서(10)는 자석(20)과의 거리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방출한다.
그러나, 리드조각(15)의 자화시간이 길어지면, 자석(20)이 일정 거리를 이탈한 경우에도 자화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센서(10)의 신뢰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드센서들을 복수로 배치하여, 리드센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수로 배치된 리드센서들이 하나의 자석과 거의 동시에 반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수로 배치된 리드센서들과 잠금부재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는 도어에 배치되어 하향 돌출되고, 내부에 자석이 설치된 돌출부; 및 상기 자석과 반응하여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복수의 리드센서들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도어의 개폐여부를 명확히 판단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리드센서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리드센서를 복수로 배치하는 장점도 있다.
넷째, 복수의 리드센서가 하나의 자석에 대하여 거의 동시에 반응하므로, 세탁기의 신속한 제어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드센서와 자석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본체와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드센서들과 주변 구성의 관계를 블록도로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따른 센서 하우징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리드센서들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석과 리드센서들간의 관계를 측면에서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석과 리드센서들간의 관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기판에 장착된 리드센서들을 나타낸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에 장착된 리드센서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센서 하우징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를 감싸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를 감싸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에 장착된 센서 하우징, 돌출부 하우징 및 잠금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보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본체와 도어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드센서들과 주변 구성의 관계를 블록도로 간략히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50);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석(37)이 배치된 도어(30); 및 상기 본체(5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30)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자석(37)에 대하여 반응하는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을 포함한다.
세탁기(1)의 본체(50)는 전면에 포출입홀이 형성된 경우와, 상면에 포출입홀이 형성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포 출입홀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다만의 이해의 편의를 위해 포출입홀이 상면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 설명한다.
본체(50)에는 포출입홀이 형성된다. 본체(50)에는 도어(3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포 출입홀은 본체(50)의 상면에 형성된다. 도어(30)는 본체(50)의 상면에 힌지연결된다. 도어(30)의 회전축은 본체(50)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어(30)는 포출입홀을 개폐한다. 포출입홀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37)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50)에 자석(37)을 배치하고 도어(30)에 리드센서(100, 200)를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의 배치가 서로 바뀐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이해를 돕기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전자에 한하여 설명한다.
자석(37)은 도어(30)의 전방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자석(37)은 도어(30)의 측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자석(37)은 본체(50)의 측면과 회동가능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자석(37)은 전자석(37)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영구자석(37)이다. 자석(37)의 세기 및 배치는 리드센서(100, 200)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석(37)의 세기 및 배치는 리드센서(100, 2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는 복수로 배치된다. 복수로 연결된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반응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에 대하여 반응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거의 동시에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센서 하우징(53, 55, 57, 59)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본체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도어(30)에 배치된 자석(37)과 일정거리 내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본체(50)의 상측에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에 배치된 자석(37)과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어부(70)와 연결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개폐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제어부(70)는 리드센서(100, 200)들과 연결된다. 제어부(70)는 드럼(90)과 연결된다.
제어부(70)는 도어(30)의 개폐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 가부를 판단한다. 제어부(70)는 구동 중인 드럼(90)을 정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구동 중인 세탁코스를 중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척수의 투입을 중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탁기(1)의 모든 구동 및 행정의 중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탁기(1)의 모든 구동 및 행정의 개시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 중 어느 하나라도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하면,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 중 어느 하나라도 다른 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70)는 도어(30)가 열린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반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과 가장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가 반응하면, 자석(37)과 가장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도 반응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거의 동시에 반응한다.
다른실시예로 자석(37)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마다 복수로 배치된다. 자석(37)이 복수로 배치된 경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들간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들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석(37)이 도어(3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측면에서 관찰하면,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에 대하여 피봇운동한다.
다만, 도 5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리드센서(100, 200)들과 자석(37)의 배치관계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의 배치, 자석(37)의 배치 및 상호간 운동관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의 어느 일 측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에 의해 자화된다. 이는 리드센서(100, 200)와 자석(37)의 배치나 자석(37)의 진행 방향이 어느 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과 자석(37)은 도 5a 와 같이 배치된다. 자석(37)의 길이방향과 리드센서(100, 200)들의 길이방향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자석(37)의 운동방향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석(37)의 중심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중심과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석(37)의 중심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접점부(101, 201)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밀폐관(107, 207); 자석(37)에 의해 자화되고, 일부가 밀폐관(107, 207)의 양측에 삽입되는 자화부(105, 205)를 포함하고, 자화부(105, 205)는, 밀폐관(107, 207) 내부에 배치되어 스위칭되는 접점부(101, 201); 및 접점부(101, 201)와 연결되고, 밀폐관(107, 207) 외부로 돌출 배치된 장착부(103, 203)로 형성된다.
밀폐관(107, 207)은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다. 밀폐관(107, 207)은 유리로 형성된 튜브일 수 있다. 밀폐관(107, 207)은 진공상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관(107, 207)은 불활성 가스로 채워진다.
밀폐관(107, 207)의 양 측에는 자화부(105, 205)가 삽입된다. 밀폐관(107, 207) 내부에는 접점부(101, 201)가 배치된다. 밀폐관(107, 207) 외부에는 장착부(103, 203)가 돌출 배치된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조각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요소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자석(37)에 의해 자화된다. 자화부(105, 205)는 강자성체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탄성력을 갖는다. 접점부(101, 201)는 밀폐관(107, 207)의 내부에 배치된다. 접점부(101, 20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접점부(101, 201)는 탄성력을 갖는다. 접점부(101, 201)는 밀폐관(107, 207) 내부의 양 끝단에 배치된다. 접점부(101, 201)는 밀폐관(107, 207)의 좌우로 배치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 거리내로 접근하면 반응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 거리를 벗어나면 반응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거리내로 접근하면 서로 접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거리내로 접근하면 서로 스위칭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서로 이격된다. 접점부(101, 201)가 서로 접하고 떨어지는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거리는 자력의 강도, 자화부(105, 205)의 자성, 자화부(105, 205)의 탄성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장착부(103, 203)는 접점부(101, 201)와 연결된다. 장착부(103, 203)는 밀폐관(107, 207) 외부로 돌출배치된다. 장착부(103, 203)는 회로에 연결된다. 장착부(103, 203)는 후술할 회로기판(300, 350)에 연결될 수 있다. 장착부(103, 203)의 끝단은 클램프장치에 의해 절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자 형으로 절곡된다. 절곡된 끝단은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멀리 배치될수록, 자화부(105, 205)의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다. 자화부(105, 205)의 길이가 길면 자화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조각의 길이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요소의 길이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요소와 연결된 강자성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멀리 배치될수록, 장착부(103, 203)의 길이가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03, 203)의 길이가 길면 자화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장착부(103, 203)의 일부는 절곡될 수 있다. 절곡된 끝단은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103, 203)는 밀폐관(107, 207) 외부에 돌출배치된 부분 중 자석(37)에 의해 자화되는 부분일 수 있다. 장착부(103, 203)는 밀폐관(107, 207) 외부에 돌출 배치된 부분과 연결된 강자성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들간의 관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들간의 관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자석(37)은 일정거리내의 자성체를 자화시킨다. 자석(37)은 보다 가까이 있는 자성체를 먼저 자화시킨다. 자석(37)과 가까이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는 먼저 자화된다.
자석(37)과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은 동시에 자화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일정 거리내에 존재시 자화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에 의해 자화된다. 리드센서(100, 200)에 포함된 접점부(101, 201)가 충분한 자기력을 갖게되면, 접점부(101, 201)는 서로 접한다.
접점부(101, 201)는 서로 다른 극으로 자화된다. 접점부(101, 201)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충분히 강해지면 접점부(101, 201)는 서로 접한다. 접점부(101, 201)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접점부(101, 201)의 탄성력보다 강해지면 접점부(101, 201)는 서로 접한다.
접점부(101, 201)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자석(37)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강해진다. 접점부(101, 201)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자석(37)과 거리가 멀수록 약해진다. 리드센서(100, 200)와 자석(37)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접점부(101, 201)는 서로 떨어진다.
리드센서(100, 200)의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거리내에 존재시 서로 접한다. 이하, 리드센서(100, 200)의 접점부(101, 201)가 자석(37)에 의해 최초로 접하게될때, 리드센서(100, 200)의 중심과 자석(37)과의 거리를 작동거리(d1, d2)라고 정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기울어져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서로 다른 작동거리(d1, d2)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서로 같은 작동거리(d1, d2)를 갖는다. 리드센서(100, 200)들이 작동할 때, 각각의 리드센서(100, 200)와 자석(37)간 거리는 서로 동일한 거리를 갖는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거의 동시에 자석(37)과 반응한다. 모든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동일한 작동거리(d1, d2)내에 배치된다. d1은 어느 리드센서(100)의 중심과 자석(37)과의 거리이다. d2는 다른 리드센서(200)와 자석(37)과의 거리이다. 자석(37)이 d1거리에 들어올때, 리드센서(100)의 접점부(101)는 접한다. 자석(37)이 d2거리에 들어올때, 리드센서(200)의 접점부(201)는 접한다. d1 과 d2는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기울어져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센서 하우징(53, 55, 57, 59) 내부에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모두 동시에 반응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자석(37)에 의해 어느 하나의 리드센서(100, 200)가 반응할 때, 모든 리드센서(100, 200)들과 자석(37)간의 경사거리는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d 1 과 d2 는 리드센서(100, 200)와 자석(37)간의 경사거리일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수평거리가 가까울수록 후방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수평거리가 가까울수록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수평거리가 멀수록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회전축과 가까울수록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대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리드센서(100, 200)의 작동거리(d3, d4)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d3과 d4는 서로 다를 수 있다. d3과 d4가 달라도 리드센서(100, 200)는 거의 동시에 자석(37)과 반응할 수 있다. d4는 자석(37)과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200)와 자석(37)간의 거리이다. d3는 자석(37)과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와 자석(37)간의 거리이다. d3은 d4보다 길 수 있다. 자석(37)과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가 받는 자기력이, 자석(37)과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200)가 받는 자기력보다 강하면, 작동거리(d3, d4)가 달라도 리드센서(100, 200)들은 거의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자석(37)과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의 리드요소가 갖는 탄성력이 자석(37)과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200)의 리드요소가 갖는 탄성력보다 약하면, 작동거리(d3, d4)가 달라도 리드센서(100, 200)들은 거의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자기력의 크기나, 탄성력의 크기는 리드요소의 소재, 도금의 정도, 리드요소의 길이 등과 관련될 수 있다. 리드요소, 리드조각, 자화부(105, 115, 125, 205) 등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어느 일 측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중심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석(37)과 리드센서(110, 120)간의 거리에 따른 리드센서(110, 120)들의 배치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된 리드센서(110, 120)들을 나타낸 것이다.
리드센서(110, 120)들은 서로 연결된다. 리드센서(110, 120)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10, 120)들은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직렬 연결된 리드센서(110, 120)들은 하나의 마이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리드센서(110, 120)들은 제 1 리드센서(110) 및 상기 제 1 리드센서(110)와 연결된 제 2 리드센서(120)를 포함하고, 제 1 리드센서(110) 및 제 2 리드센서(120)는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리드센서(110)의 반경방향에 제 2 리드센서(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는 제 2 리드센서(120)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00, 200)는 직렬연결된다. 리드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연결이 끊어지면 전체 신호의 연결이 차단된다. 리드센서(100, 2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드센서(100, 200)보이면 드럼(90)의 구동이 정지된다.
제 1 리드센서(110) 및 제 2 리드센서(120)의 길이방향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리드센서(110)의 반경방향에는 제 2 리드센서(120)가 배치된다. 제 2 리드센서(120)의 반경방향에는 제 3 리드센서 (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되진 않았지만,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은 복수의 리드센서를 포함하므로, 리드센서들은 단순히 두개의 리드센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리드센서들은 셋 이상일 수도 있다.
리드센서(110, 120)들의 중심은 자석(37)의 중심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10, 120)들의 중심은 자석(37)의 진행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10, 120)들의 중심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10, 120)들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은 도어(30)를 관통할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중심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의 리드요소의 길이와 제 2 리드센서(120)의 리드요소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의 리드조각의 길이와 제 2 리드센서(120)의 리드조각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의 자화부(105, 205)의 길이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자화부(105, 205)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의 장착부(113)의 길이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장착부(123)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리드요소, 리드조각, 자화부(105, 205, 115, 125) 및 장착부(103, 203, 113, 123)의 길이는 자석(37)과의 작동거리(d1, d2, d3, d4)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10, 120)들이 수평배치된 경우, 리드요소, 리드조각, 자화부(115, 125) 및 장착부(113, 123)의 길이는 자석(37)과의 수평거리가 멀수록 길게 형성된다.
자석(37)은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를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자석(37)은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어느 일 측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중심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는 길이방향이 전후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는 길이방향이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석(37)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는 리드센서(100, 200)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300, 350)을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의 장착부(103, 203)는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300, 350)은 제 1 리드센서(110)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홀(301)들과 제 2 리드센서(120)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제 2 삽입홀(30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삽입홀(301)들에는 제 1 리드센서(110)의 장착부(103, 203)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 삽입홀(302)들에는 제 2 리드센서(120)의 장착부(103, 203)가 삽입될 수 있다.
회로기판(300, 350)은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가 직렬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회로기판(300, 350)은 제 1 삽입홀(301)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삽입홀(302)들 중 어느 하나가 직렬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회로기판(300, 350)은 제 1 삽입홀(301)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각방향에 위치한 제 2 삽입홀(302)들 중 어느 하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리드센서(110)와 자석(37)간 거리는 제 2 리드센서(120)와 자석(37)간 거리보다 가깝게 배치되고, 제 1 삽입홀(301)들의 간격은 제 2삽입홀들의 간격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회로기판(350)은 덤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끝단에 제 1 삽입홀(351)들과 제 2 삽입홀(352)들이 형성되고, 중간에 형성된 다리(355)를 사이로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가 평행하게 삽입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덤벨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의 양 끝단에는 제 1 삽입홀(351)들과 제 2 삽입홀(352)들이 형성된다. 회로 기판의 사이에는 다리(355)가 형성된다.
다리(355)의 좌우에는 제 1 삽입홀(351)들이 좌우로 형성된다. 다리(355)의 좌우에는 제 2 삽입홀(352)들이 좌우로 형성된다.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00, 200)는 다리(355)를 사이로 평행하게 삽입된다.
제 1 삽입홀(351)과 상기 제 2 삽입홀(352)을 연결하는 회로는 다리(355)상에 형성된다. 제 1 삽입홀(301)의 일 측은 제 2 삽입홀(302) 방향으로 연결된다. 회로는 다리(355) 상에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300, 350)과 센서 하우징(53, 55, 57, 59)에 형성된 끼움부(300a)와 장착부(103, 203, 113, 123)를 나타낸 조립관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본체(50)에 배치되어 리드센서(100, 200)들이 수용되는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을 더 포함하고,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회로기판(300, 350)이 일 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회로기판(300, 350)의 일 측은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끼움부(300a)가 형성되고,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끼움부(300a)와 형합하는 장착부(103, 203, 113, 123)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300a)는 회로기판(300, 350)에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끼움부(300a)는 회로기판(300, 350)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장착부(103, 203, 113, 123)는 끼움부(300a)와 형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회로기판(300, 350)은 일 방향으로만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100, 200)를 감싸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100, 200)를 감싸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리드센서(100, 200)들을 감싸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을 고정한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의 간격을 유지한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이 받는 충격을 흡수한다. 고정부재는 발포스트로폼일 수 있다.
고정부재는 에폭시수지(410)일 수 있다. 고정부재는 탄성중합체(420)일 수 있다. 고정부재는 원형의 링 형상일 수 있다. 탄성중합체(420)는 원형의 링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을 센서 하우징(53, 55, 57, 59)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을 회로기판(300, 35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과 회로기판(300, 350) 사이에 채워질 수 있다. 고정부재는 회로기판(300, 350)에 형성된 다리(355)와 리드센서(100, 200)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도 6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는, 자석(37)이 일정거리내에 접근하면 온 또는 오프신호를 발생하는 거리센서에 있어서, 하나의 자석(37)에 대하여 반응하는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이 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반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거의 동시에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의 양 측에 배치된 자화부(105, 205)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회로기판(300, 350)에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들의 일 단은 대각방향에 배치된 다른 리드센서(100, 200)들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센서 하우징(53, 55, 57, 59)에 삽입될 수 있다. 회로기판(300, 350)은 끼움부(300a)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장착부(103, 2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50);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는 도어(30)에 배치되어 하향 돌출되고, 내부에 자석(37)이 설치된 돌출부(35); 및 상기 자석(37)과 반응하여 도어(30)의 개폐를 감지하는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을 포함한다.
본체(50)에는 포출입홀이 형성된다. 도어(30)는 포출입홀을 개폐한다. 도어(30)는 본체(50)에 배치된다. 도어(30)는 본체(50)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돌출부(35)는 도어(30)에 배치된다.
돌출부(35)는 도어(30)에 하향 돌출배치된다. 돌출부(35)에는 자석(37)이 배치된다. 자석(37)은 도어(30)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돌출부(35)에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는 복수로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는 돌출부(35)에 배치된 자석(37)과 반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석(37)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가 자석(37)과 반응하면, 자석(37)과 가장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도 자석(37)과 반응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거의 동시에 반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는 리드센서(100, 200)들 중 어느 하나라도 도어(30)의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하면, 구동이 정지되는 드럼(90)을 포함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어부(70)와 연결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개폐를 감지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어부(70)에 도어(30)의 개폐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70)는 리드센서(100, 200)들과 연결된다. 제어부(70)는 드럼(90)과 연결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을 결정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중지를 결정한다. 제어부(70)는 세탁기(1)의 행정을 제어한다. 제어부(70)는 세탁기(1)의 행정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좌우로 길게 배치되고, 하단에 위치할수록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전후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좌우로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을 향해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높이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수평거리가 가까울수록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단에 위치할수록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상단에 위치할수록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 1 리드센서(110) 및 제 1 리드센서(110)와 연결된 제 2 리드센서(120)를 포함하고, 제 1 리드센서(110) 및 제 2 리드센서(120)는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리드센서(110)의 반경방향에 제 2 리드센서(1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53, 55, 57, 59)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작동거리(d1, d2, d3, d4)내에 배치되면 충분하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대각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전방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가 본체(50)를 닫은 상태에서 자석(37)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하면, 돌출부(35)에는 수평방향으로 끼움홈(60a)(39)이 형성되고, 본체(50)에는 끼움홈(60a)(39)에 체결되어 도어(30)를 잠그는 잠금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40)는 돌출부(35)의 측면 또는 전방에도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부(40)는 돌출부(35)의 후방에 배치된다. 잠금부(40)는 본체(50)에 배치된다. 잠금부(40)는 돌출부(35)에 형성된 끼움홈(60a)(39)에 끼워진다. 끼움홈(60a)(39)은 잠금부(40)가 배치된 측면에 형성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와 돌출부(35)와 잠금부(40)는 전후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와 돌출부(35)와 잠금부(40)의 수평높이는 각각 다를 수 있다.
자석(37)은 끼움홈(60a)(39)의 하측에 배치된다.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끼움홈(60a)(39)은 자석(37)의 상단에 형성된다. 잠금부(40)는 자석(37)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40)는 자석(37)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홈(60a)(39)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는 도어(30)의 닫힘위치시, 본체(50)에 배치되어, 돌출부(35)를 수용하는 돌출부 하우징(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은 본체(50)에 형성된다. 돌출부 하우징(60)의 전방에는 리드센서(100, 2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의 전방에는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의 근방에는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의 근방에는 잠금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은 돌출부(35)가 수용된다.
돌출부 하우징(60)은 잠금부(40)가 관통하여, 잠금부(40)가 끼움홈(60a)(39)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50)에 장착된 센서 하우징(53, 55, 57, 59), 돌출부 하우징(60) 및 잠금부(40)재의 배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돌출부(35)는 도어(30)의 측면 전방에 배치된다. 돌출부(35)는 본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5) 및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5)는 포출입홀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5)가 양 측에 배치된 경우,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된 돌출부(35)는 자석(37)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자석(37)이 포함되는 않은 돌출부(35)가 배치된 곳은 리드센서(100, 200)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돌출부(35)가 도어(30)의 양 측에 배치된 경우, 잠금부(40)는 어느 한 측에만 형서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부(40)는 도어(30)의 양 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5) 및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전방 양 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0)와 보강부재(3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어(30)의 중심에는 도어(3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31)가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31)는 도어(3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재(31)는 유리로 형성된 패널이다. 합성수지는 보강부재(31)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다. 유리로 형성된 패널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틀(33)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30)가 본체(50)를 닫게되면, 돌출부(35)는 돌출부 하우징(60)에 수용된다. 돌출부(35)의 하단에는 자석(37)이 장착되므로, 자석(37)에 의해 리드조각들은 자화된다. 자석(37)이 점점 접근하여, 리드센서(100, 200)의 작동거리(d1, d2, d3, d4) 내로 진입하면, 리드조각들은 탄성력을 극복하고,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밀폐관(107, 207) 내부에 포함된 접점부(101, 201)는 서로 접한다.
돌출부(35)가 돌출부 하우징(60)에 수용되면, 잠금부(40)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돌출부(35)에 형성된 끼움홈(60a)(39)에 체결된다. 이를 통해 잠금부(40)는 도어(30)를 체결하게 된다.
사용자가 세탁기(1)의 구동중 도어(30)를 열게되면,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와 멀어진다. 이때 자기력은 점점 약해지므로, 리드조각들의 탄성력으로 인해 접점부(101, 201)는 서로 떨어진다. 리드센서(100, 200)들 중 어느 하나라도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어부(70)에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어부(70)는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하면 세탁기(1)의 구동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70)는 리드센서(100, 200)들로부터 얻은 정보를 통해 세탁기(1)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며,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에 대하여 거의 동시에 작동한다. 이는 리드센서(100, 200)들의 효율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하나의 자석(37)과 반응하므로, 리드센서(100, 200)들을 하나의 센서 하우징(53, 55, 57, 59)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설계의 자유도를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직렬연결되므로, 하나의 마이콤을 배치하여,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의 전면에 배치되거나, 자석(37)보다 하단에 배치된다. 이는 리드센서(100, 200)들이 자석(37)과 거의 동시에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35)와 리드센서(100, 200)들을 본체(50)의 전면 좌우에 복수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는 도어(30)의 개폐여부에 관한 신뢰도를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30)의 일부 변형이나, 도어(30)와 본체(50) 사이에 포가 끼인 경우와 같은 예상치 못한 상황까지도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석(37)은 돌출부(35)의 하단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도어(30)를 닫을 때, 돌출부(35)는 돌출부 하우징(60)에 수용되지 못하고 본체(50)에 부딪힐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35)는 파괴될 수 있다.
자석(3)7은 돌출부(35)의 하단에 배치되므로, 돌출부(35)가 본체(50)와 부딪혀 파손될 경우, 자석(37)은 돌출부(35)로부터 이탈한다. 이 경우, 리드센서(100, 200)는 자화될 수 없다. 따라서, 리드센서(100, 200)는 도어(30)가 닫힌 경우에도 자화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70)는 도어(30)가 열린 것으로 판단하고, 드럼(90)을 구동하지 않는다.
도어(30)에는 보강부재(31)가 포함될 수 있다. 보강부재(31)는 유리로 형성된다. 유리는 내열성이 강하므로, 열로 인한 도어(3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어(30)의 변형을 방지하면, 도어(30)의 개폐여부에 관한 신뢰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세탁기 10: 리드센서
15: 리드조각 17: 유리관
20: 자석 30: 도어
31: 보강부재 33: 틀
35: 돌출부 37: 자석
39: 끼움홈 40: 잠금부
50: 본체 53: 센서 하우징
53a: 장착부 55: 센서 하우징
57: 센서 하우징 59: 센서 하우징
60: 돌출부 하우징 60a: 끼움홈
70: 제어부 90: 드럼
100: 리드센서 101: 접점부
103: 장착부 105: 자화부
107: 밀폐관 110: 제 1 리드센서
111: 접점부 113: 장착부
115: 자화부 117: 밀폐관
120: 제 2 리드센서 121: 접점부
123: 장착부 125: 자화부
127: 밀폐관 200: 리드센서
201: 접점부 203: 장착부
205: 자화부 207: 밀폐관
300: 회로기판 300a: 끼움부
310: 제 1 삽입홀 320: 제 2 삽입홀
350: 회로기판 351: 제 1 삽입홀
352: 제 2 삽입홀 355: 다리
410: 에폭시수지 420: 탄성중합체
d1, d2, d3, d4: 작동거리

Claims (17)

  1.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는 도어에 배치되어 하향 돌출되고, 내부에 자석이 설치된 돌출부; 및
    상기 자석과 반응하여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복수의 리드센서들을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가 상기 자석과 반응하면,
    상기 자석과 가장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도 상기 자석과 반응하는 세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 중 어느 하나라도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구동이 정지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은,
    제 1 리드센서 및 상기 제 1 리드센서와 연결된 제 2 리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드센서 및 상기 제 2 리드센서는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리드센서의 반경방향에 상기 제 2 리드센서가 배치되는 세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은 상기 돌출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세탁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은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닛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자석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세탁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은 좌우로 길게 배치되고, 하단에 위치할수록 후방에 배치되는 세탁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의 측면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되도록형성된 세탁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리드센서들은 상기 도어의 전방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된 세탁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끼움홈에 체결되어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닫힘위치시,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돌출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하우징은 상기 잠금부가 관통하여 상기 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세탁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돌출부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의 수평높이보다 높게 배치된 세탁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은 상기 돌출부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돌출부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세탁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끼움홈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세탁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중심부에 배치되어,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부재를 감싸는 틀로 형성된 세탁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유리로 형성된 패널인 세탁기.
KR1020120113723A 2012-10-12 2012-10-12 세탁기 KR10158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23A KR101583348B1 (ko) 2012-10-12 2012-10-12 세탁기
EP13187810.0A EP2730692B1 (en) 2012-10-12 2013-10-09 Washing machine
US14/051,141 US10145053B2 (en) 2012-10-12 2013-10-10 Washing machine
CN201310475830.5A CN103726265B (zh) 2012-10-12 2013-10-12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23A KR101583348B1 (ko) 2012-10-12 2012-10-12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430A true KR20140047430A (ko) 2014-04-22
KR101583348B1 KR101583348B1 (ko) 2016-01-07

Family

ID=4935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723A KR101583348B1 (ko) 2012-10-12 2012-10-12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45053B2 (ko)
EP (1) EP2730692B1 (ko)
KR (1) KR101583348B1 (ko)
CN (1) CN1037262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86B1 (ko) 2014-12-04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6357653B2 (ja) * 2015-03-30 2018-07-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KR102401639B1 (ko) 2015-06-30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5063957B (zh) * 2015-08-12 2018-10-16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洗衣机及其电动门的防夹手控制方法
CN107237096B (zh) * 2016-03-29 2019-05-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
CN107237085B (zh) * 2016-03-29 2019-05-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
PL3323929T3 (pl) 2016-11-21 2021-06-2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Zespół drzwi do maszyny do obróbki prania
CN108118498B (zh) * 2016-11-29 2021-11-12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门锁检测结构及检测方法
CN108505288B (zh) * 2017-02-28 2020-10-02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门盖开合检测装置及方法
CN109423823A (zh) * 2017-08-31 2019-03-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结构及应用该内桶的洗衣机
DE102019005564B3 (de) * 2019-05-10 2020-09-17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schluss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DE102019207171A1 (de) * 2019-05-16 2020-11-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unktionseinheit, Funktionseinheit
EP3757276A1 (en) * 2019-06-28 2020-12-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door with a magnet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167U (ko) * 1994-07-06 1996-02-16 도어개폐 감지장치
JPH10263269A (ja) * 1997-03-24 1998-10-06 Toshiba Corp 全自動洗濯機
JP2005174667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磁気近接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889A (en) * 1978-07-20 1980-07-01 Holce Thomas J Magnetically actuated sensing device
US5541562A (en) * 1994-10-16 1996-07-30 Honeywell Inc. Apparatus for sensing the closure of a door
KR100189104B1 (ko) 1995-11-09 1999-06-01 윤종용 세탁기의 도어개폐제어장치 및 방법
US6477866B1 (en) * 2001-04-13 2002-11-12 Standex Internationa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motor cut-off
US6665984B2 (en) * 2001-06-13 2003-12-23 Gemtron Corporation Washer door or lid defined by a tempered glass panel bordered by an open frame-like encapsulation of one-piece injection molded polymeric/copolymeric synthetic plastic material
JP3967600B2 (ja) 2002-01-31 2007-08-29 日本建鐵株式会社 洗濯機の蓋ロック装置
AU2003245386A1 (en) * 2002-05-31 2003-12-19 G. T. Development Corporation Switch assembly employing magnetic reed switches
US7251961B2 (en) * 2003-01-14 2007-08-07 Ark-Les Corporation Washing machine lid lock with magnetic lid sensor
US20050236408A1 (en) * 2004-04-08 2005-10-27 Maytag Corporation Door position sensing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including combination heating system
DE102006052428A1 (de) * 2006-11-07 2008-05-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insbesondere Wäschetrockner
ATE528433T1 (de) * 2008-08-26 2011-10-15 Electrolux Home Prod Corp Waschmaschine
KR101407961B1 (ko) * 2009-10-13 2014-06-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167U (ko) * 1994-07-06 1996-02-16 도어개폐 감지장치
JPH10263269A (ja) * 1997-03-24 1998-10-06 Toshiba Corp 全自動洗濯機
JP2005174667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磁気近接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348B1 (ko) 2016-01-07
CN103726265A (zh) 2014-04-16
EP2730692B1 (en) 2016-11-30
US20140103788A1 (en) 2014-04-17
CN103726265B (zh) 2016-03-30
EP2730692A1 (en) 2014-05-14
US10145053B2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7430A (ko) 세탁기
KR101972036B1 (ko) 세탁기 및 거리센서
KR10239700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37237B1 (ko) 세탁기
US20040168484A1 (en) Washing machine
CN105452554B (zh) 电机以及具有该电机的洗衣机
KR20160103882A (ko) 세탁기
US20150167225A1 (en) Lid locker of washing machine
US7874186B2 (en) Abnormal vibration sens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251062B1 (ko) 세탁기의 밸런서
KR101813592B1 (ko) 세탁기
JP5639979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N107923099B (zh) 洗衣机
KR101161374B1 (ko) 세탁기의 리드 마그네트 고정구조
JP2010048487A (ja) 扉開閉検知装置
WO2017080480A1 (zh) 洗衣机
KR100465696B1 (ko) 세탁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JPH11156084A (ja) 洗濯機
JP6681107B2 (ja) 洗濯機
KR102127222B1 (ko)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23000123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195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70070A (ko) 체커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JP2014000341A (ja) 洗濯機の蓋開閉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