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310A -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 Google Patents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310A
KR20140046310A KR1020120112626A KR20120112626A KR20140046310A KR 20140046310 A KR20140046310 A KR 20140046310A KR 1020120112626 A KR1020120112626 A KR 1020120112626A KR 20120112626 A KR20120112626 A KR 20120112626A KR 20140046310 A KR20140046310 A KR 20140046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erminal base
wound
core
ferrit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현
Original Assignee
(주)다우엘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우엘컴텍 filed Critical (주)다우엘컴텍
Priority to KR102012011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310A/ko
Publication of KR2014004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01F27/2852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코일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가 안착되는 수용부가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코일의 단부가 권선되는 리드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베이스의 몸체에 리드가이드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코일의 단부가 권선되어 인쇄회로기판(400)상에 고정되므로 종래 단자 베이스에 구비되는 침형(針形) 또는 판형(板形) 리드가 필요없어 EMI코일이나 초크코일 등의 코일 제품의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 단가 역시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TERMINAL BASE FOR COIL PRODUCTS}
본 발명은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EMI코일이나 초크코일 등의 코일제품의 코일 권선형 코어가 고정되는 단자 베이스에 별도의 금속리드가 없는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의 차단이나 노이즈 감쇄에 사용되는 EMI코일이나 초크코일 등의 코일 제품은 전기전자부품 및 응용부품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인쇄회로기판(PCB)에 탑재된다.
이와 같은 통상의 코일 제품은 코어의 둘레에 동선의 코일을 감아 권선하는 것을 기본구조로 하고, 코어의 외면 둘레로 권선된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와 코어의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에 의해 전류특성을 제어하게 된다.
종래 코일 제품은 도 1에 도시된 수삽형(手揷形)과 도 2에 도시된 표면 실장형으로 구분된다.
도 1의 (a) 및 (b)에 의하면, 종래의 수삽형(手揷形) 코일 제품(10)은 코일(11)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12)를 인쇄회로기판(PCB)(2)에 고정하기 위한 침(針)형태의 금속 리드(13)를 결합시킨 상단 노출형 단자 베이스(14)의 수용부(14a)에 안착시키고, 금속 리드(13)와 페라이트 코어(12)에 권선된 코일(11)의 양단을 금속 리드(13)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표면실장형 코일 제품(2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베이스(21)에 코일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22)를 부분적으로 밀폐하거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를 완전히 밀폐한 단자베이스(25)에 판(板)형 금속리드(26)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의 (a)에서는 선형(線形) 리드(23)가 노출되고, 도 2의 (b)에서는 판형(板形) 리드(26)가 노출되는 구조적 차이가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코일 제품(10,2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종래의 수삽형 코일 제품(10)은 작업자가 직접 인쇄회로기판(2)에 리드(13)를 납땜 처리함에 따라 비용 및 작업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페라이트 코어(12)에 권선된 코일(11)이 상부로 노출됨에 따른 혐오감을 가질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코일(11) 상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 흡착으로 인한 합선(Short)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코일 제품(10)의 상면에 코일(11)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12)가 노출되는 구조여서 제품정보의 인쇄가 불가능하여, 작업자의 오삽 혹은 역삽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표면 실장형 코일 제품(20) 중 도 2의 (a)에 도시된 코일 제품은 종래의 수삽형 코일 제품(10)의 단점은 보완될 수 있으나, 제작 단가가 고가(高價)여서 대중화가 결여되어 그 용도가 특수 분야로 제한적이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코일 제품은 판형 리드(26) 혹은 선형 리드를 외부에 부착하는 등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작 단가 역시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의 수삽형 코일 제품의 단점을 보완함은 물론 종래의 표면 실장형 제품이 갖는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저가화(低價化)함으로써 좀더 많은 전기전자제품 및 응용제품 분야에 사용가능한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MI코일이나 초크코일 등의 코일 제품을 제조시 슬림화 및 박형화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제품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일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가 안착되는 수용부가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코일의 단부가 권선되는 리드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몸체와 리드가이드는 플라스틱재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드가이드는 상기 몸체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가 권선되는 권선돌부와, 상기 권선돌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권선된 코일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가이드에 권선되는 코일의 단부는 납땜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 하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는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코일의 단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상기 리드가이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중심에는 돌출턱이 형성된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베이스의 몸체에 리드가이드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코일의 단부가 권선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므로 종래 단자 베이스에 구비되는 침형(針形) 또는 판형(板形) 리드가 필요없어 EMI코일이나 초크코일 등의 코일 제품의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 단가 역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자 베이스는 수용부가 하측으로 개구된 구조여서 상부로는 코일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가 노출되지 않고 은닉된 구조여서 코일 노출로 인한 혐오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에 따른 코일 상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 흡착으로 인한 합선 등의 우려가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자 베이스는 몸체 하부에 안내홈을 형성하여 코일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코일 제품을 전체적으로 슬림화 및 박형화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 일반적인 수삽형(手揷形) 코일 제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는 종래 일반적인 표면실장형 코일 제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의 상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의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형 코어를 단자 베이스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형 코어와 단자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형 코어와 단자 베이스가 결합된 상태의 코일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100)는 코일(210)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200)가 안착되는 수용부(110)가 몸체(102)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02)의 측면에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200)에 권선된 코일(210)의 단부(212)가 권선되는 리드가이드(120)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단자 베이스(100)를 구성하는 몸체(102)와 리드가이드(120)는 플라스틱재로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단자 베이스(100)는 플라스틱재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몸체(102)의 중앙 하부에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코일(210)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200)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페라이트 코어(200)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나 이상의 코일(210)이 권선되며, 코일(210)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몸체(102)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부(110) 역시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가 하측으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몸체(102)의 상부로는 코일(210)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200)가 노출되지 않고 은닉된 구조여서 코일 노출로 인한 혐오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에 따른 코일(210) 상면에 먼지등의 이물질 흡착으로 인한 합선(Short) 등의 우려가 없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0)의 중심에는 돌출턱(152)이 형성된 지지부(150)가 형성되어 코일(210)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200)가 수용부(110)에 안착 수용될 때 페라이트 코어(200)를 중심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2)는 수용부(110)가 하측으로 개구되고 전체적으로 코일(210)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200)를 상측에서 감싸는 구조여서 몸체(102)의 상부면에 제품정보의 인쇄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오삽 혹은 역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자 베이스(100)의 몸체(102) 측면에는 페라이트 코어(200)에 권선된 코일(210)의 단부가 권선되는 리드가이드(120)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리드가이드(120)는 별도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리드의 부착 혹은 연결이 필요하지 않고, 코일(210)의 단자 양단을 권선처리 할 수 있도록 실패 형상을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리드가이드(120)는 몸체(102) 측면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코일(210)의 단부(212)가 권선되는 권선돌부(122)와, 상기 권선돌부(122)의 단부에 구비되어 권선된 코일(210)의 단부(21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24)으로 이루어진다. 즉, 몸체(102)의 측면에 권선돌부(122)와 이탈방지턱(124)이 '┫'형상(실패형; Spool Type)으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이다.
특히, 상기 리드가이드(120)는 몸체(102) 측면 하부에 구비되며, 코일(210)의 단자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된다.
한편, 코일(210)의 양단부(212)가 리드가이드(120)의 권선돌부(122)에 완전히 권선되면, 리드가이드(120)에 권선돌부(122)를 둘러싸는 형태로 납땜부(130)를 형성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자파의 차단이나 노이즈 감쇄에 사용되는 EMI코일이나 초크코일 등의 코일 제품(300)의 제작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단자 베이스(100)의 몸체(102) 하부면에는 몸체(102)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부(110)에 안착되는 페라이트 코어(200)에 권선된 코일(210)의 단부(212)를 안내하는 안내홈(140)이 리드가이드(120) 방향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안내홈(140)의 수 역시 리드가이드(120)의 수와 대응되는 개수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안내홈(140)에는 코일(210)의 일부가 안착됨으로서 전체적으로 단자 베이스(100)에 페라이트 코어(200)를 안착시켜 코일 제품(300)을 제작하더라도 코일 제품(3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코일 제품(300)를 전체적으로 슬림화 및 박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가이드(100)에 권선된 코일(210) 단부에 형성된 납땜부(130)를 납땜 처리하여 완성된 코일 제품(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PCB)(400)에 실장된다.
이 경우 코일 제품(300)의 리드가이드(120)에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400)의 위치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410)에 일체로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100)가 적용된 코일 제품(300)은 단자 베이스(100)의 몸체(102)에 리드가이드(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페라이트 코어(200)의 코일(210)이 권선되고 그 권선부위가 인쇄회로기판(400)상에 실장되므로 별도의 침형(針形) 또는 판형(板形) 리드가 필요하지 않아 코일 제품(300)의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 단가 역시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0: 단자 베이스 102: 몸체
110: 수용부 120: 리드가이드
122: 권선돌부 124: 이탈방지턱
130: 납땜부 140: 안내홈
200: 페라이트 코어 210: 코일
300: 코일 제품 400: 인쇄회로기판
410: 솔더 페이스트

Claims (6)

  1. 코일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가 안착되는 수용부가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코일의 단부가 권선되는 리드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리드가이드는 플라스틱재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가이드는 상기 몸체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가 권선되는 권선돌부와, 상기 권선돌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권선된 코일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가이드에 권선되는 코일의 단부는 납땜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는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코일의 단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상기 리드가이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중심에는 돌출턱이 형성된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KR1020120112626A 2012-10-10 2012-10-10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KR20140046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26A KR20140046310A (ko) 2012-10-10 2012-10-10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26A KR20140046310A (ko) 2012-10-10 2012-10-10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310A true KR20140046310A (ko) 2014-04-18

Family

ID=5065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626A KR20140046310A (ko) 2012-10-10 2012-10-10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3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0675A (zh) * 2019-07-29 2019-11-01 桐乡市耀润电子有限公司 一种贴片基座、磁环电感装置及绕线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0675A (zh) * 2019-07-29 2019-11-01 桐乡市耀润电子有限公司 一种贴片基座、磁环电感装置及绕线方法
CN110400675B (zh) * 2019-07-29 2024-04-16 桐乡市耀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贴片基座、磁环电感装置及绕线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0167B2 (ja) インダクタ
EP2012330A2 (en) Insulating cover-equipped transformer mounted on circuit board
US10147535B2 (en) Electronic component
US10141649B2 (en) Antenn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tenna device
JP2015032761A (ja) 巻線型電子部品のコア、巻線型電子部品及び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TW201036011A (en) Surface mount magnetic device, the winding thereof, and th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201333991A (zh) 磁性組件及其基座
JP2006278792A (ja) トランス
JP2010123864A (ja) インダクタ
JP2003068531A (ja) インダクタ及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US11398339B2 (en) Surface mounting coi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40046310A (ko) 코일 권선형 코어의 단자 베이스
JPWO2017170497A1 (ja) 面実装型電子部品の端子構造、及びその端子構造を有する面実装型電子部品、並びに面実装型リアクトル
CN104599821A (zh)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JPH05299252A (ja) 面実装形チョークコイル
JP2010153460A (ja) 巻線部品
JP2014232755A (ja) チョークコイル
JP2013065746A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38310B1 (ko) 3축 코일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JP2018163983A (ja) インダクタ、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3241490U (ja) プリント回路基板(pcb)に搭載される誘導装置
KR101367951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2010040707A (ja) 薄型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とこれを用いた電源
WO2019159678A1 (ja) 回路構成体及び電気接続箱
JP7326704B2 (ja) 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