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50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505A
KR20140043505A KR1020147007152A KR20147007152A KR20140043505A KR 20140043505 A KR20140043505 A KR 20140043505A KR 1020147007152 A KR1020147007152 A KR 1020147007152A KR 20147007152 A KR20147007152 A KR 20147007152A KR 20140043505 A KR20140043505 A KR 20140043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dy
pressing
movable piece
connector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063B1 (ko
Inventor
도루 다카네
겐이치 야마구치
도미사부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4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 부재의 회전 운동 조작을 반복해도 누름부의 형상 열화에 의한 접촉압의 저하를 일으키는 일이 없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 본체(10)의 후단측에 누름부(42)를 회전 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16)를 설치하고, 누름부(42)가 가동편부(22, 32)의 후단측과 지지부(16)에 각각 맞닿으면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가동편부(22, 32)의 후단측이 누름부(42)에 의해 밀어 올려지도록 했으므로, 서로 맞닿는 누름부(42)와 지지부(16)가 합성수지끼리의 접촉이 되며 누름 부재(40)의 회전 운동을 반복해도 누름부(42)가 지지부(16)와의 접촉에 의해 깎이는 일이 없어 이와 같은 누름부(42)의 형상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42)에 의한 가동편부(22, 32)의 밀어 올림 높이를 항상 충분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어 플렉시블 회로(1)에 대한 가동편부(22, 32)의 접촉압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는 FPC나 FFC 등의 접속 대상물(이하, 플렉시블 회로라고 한다.)을 접속 대상물이 앞쪽(前方)으로부터 삽입되는 합성수지제의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홀딩된 복수의 단자와, 단자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가동편부와, 커넥터 본체의 후단측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각 단자의 가동편부를 접속 대상물에 압접시키는 합성수지제의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누름 부재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누름 부재에 설치된 누름부가 회전 운동하면서 각 단자의 가동편부의 후단측을 밀어 올림으로써 가동편부의 전단측이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접속 대상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커넥터에는 각 단자의 후단측에 가동편부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뒤쪽(後方)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를 설치하며, 누름부가 가동편부의 후단측과 연장 돌출부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가동편부의 후단측이 누름부에 의해 밀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7-173255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누름부가 단자의 가동편부의 후단측과 연장 돌출부에 각각 맞닿으면서 회전 운동하도록 되어 있지만, 연장 돌출부는 금속제의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제의 누름부보다 딱딱하고 또한 폭이 작기 때문에 누름부와의 접촉 면적이 작다. 이 때문에, 누름 부재의 회전 운동 조작을 반복하면 누름부의 연장 돌출부와의 접촉 부분이 깎이고, 이와 같은 형상 열화(劣化)에 의해 누름부에 의한 가동편부의 후단측의 밀어 올림 높이가 불충분하게 되어, 플렉시블 회로에 대한 가동편부의 접촉압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누름 부재의 회전 운동 조작을 반복해도 누름부의 형상 열화에 의한 접촉압의 저하를 일으키는 일이 없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접속 대상물이 앞쪽으로부터 삽입되는 합성수지제의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홀딩된 복수의 단자와, 단자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가동편부와, 커넥터 본체의 후단측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각 단자의 가동편부를 접속 대상물에 압접시키는 합성수지제의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누름 부재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누름 부재에 설치된 누름부가 회전 운동하면서 각 단자의 가동편부의 후단측을 밀어 올림으로써, 가동편부의 전단측이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접속 대상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후단측에 누름부를 회전 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누름부가 가동편부의 후단측과 커넥터 본체의 지지부에 각각 맞닿으면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가동편부의 후단측이 누름부에 의해 밀어 올려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가 가동편부의 후단측과 커넥터 본체의 지지부에 각각 맞닿으면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가동편부의 후단측이 누름부에 의해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서로 맞닿는 누름부와 지지부가 합성수지끼리의 접촉이 되어 누름 부재의 회전 운동을 반복해도 누름부가 지지부와의 접촉에 의해 깎이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부재의 회전 운동을 반복해도 누름부가 지지부와의 접촉에 의해 깎이는 일이 없으므로, 이와 같은 누름부의 형상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에 의한 가동편부의 밀어 올림 높이를 항상 충분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어 플렉시블 회로에 대한 가동편부의 접촉압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측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배면측 사시도.
도 3은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5는 누름부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제 1 단자 및 누름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7은 제 1 단자 및 누름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제 1 단자 및 누름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9는 제 2 단자 및 누름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10은 제 2 단자 및 누름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11은 제 2 단자 및 누름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로서의 플렉시블 회로(1)가 앞쪽으로부터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10)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 1 단자(20) 및 복수의 제 2 단자(30)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회로(1)에 각 제 1 단자(20) 및 각 제 2 단자(30)를 누르는 회전 운동 자유로운 누름 부재(40)를 구비하고, 각 제 1 단자(20) 및 각 제 2 단자(30)는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하나 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플렉시블 회로(1)는 두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평형의 접속 대상물이며, 소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또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로 이루어진다. 또,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양면에는 복수의 전기 접점(도시하지 않음)이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면에는 플렉시블 회로(1)를 삽입하는 삽입구(10a)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상면부(11), 저면부(12) 및 측면부(13)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 내에는 각 제 1 단자(20)를 홀딩하는 복수의 제 1 단자구멍(14)과, 각 제 2 단자(30)를 홀딩하는 복수의 제 2 단자구멍(15)이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하나 간격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각 제 1 단자구멍(14)은 커넥터 본체(10)의 저면부(12)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단자(20)가 커넥터 본체(10)의 전면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 1 단자구멍(14)의 후단측에는 제 1 단자(20)의 후단측을 홀딩하는 홀딩구멍(14a)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제 2 단자구멍(15)은 커넥터 본체(10)의 저면부(12)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단자(30)가 커넥터 본체(10)의 배면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 2 단자구멍(15)의 후단측에는 제 2 단자(30)의 전단측을 홀딩하는 홀딩구멍(15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 본체(10)의 후단측에는 누름 부재(40)를 회전 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6)는 저면부(12)의 후단측에 형성되고, 그 상면에 의해 누름 부재(40)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16)의 후단측에는 누름 부재(40)에 걸림으로써 누름 부재(40)의 뒤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16a)가 설치되고, 걸림부(16a)는 각 제 1 단자(20)마다 설치되어 있다. 각 걸림부(16a)는 지지부(16)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그 전면측은 지지부(16)의 상면과 연속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부(16a)는 제 1 단자(20)보다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단자(2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각 제 1 단자구멍(14)에 각각 커넥터 본체(10)의 앞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각 제 1 단자(20)는 커넥터 본체(10)의 저면측에 배치되는 고정편부(21)와, 고정편부(21)의 위쪽에 배치되는 가동편부(22)와, 고정편부(21)와 가동편부(22)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편부(23)로 이루어진다.
고정편부(21)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후단부(21a)는 제 1 단자구멍(14)의 홀딩구멍(14a)에 압입되어 있다. 고정편부(21)의 전단에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접속부(21b)가 설치되고, 접속부(21b)는 커넥터 본체(10)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편부(21)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하면측의 전기 접점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21c)가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동편부(22)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측의 전기 접점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22a)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동편부(22)의 후단측에는 누름 부재(40)가 아래쪽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부(22b)가 형성되고, 맞닿음부(22b)는 커넥터 본체(10)의 지지부(16)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맞닿음부(22b)의 후단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2c)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부(23)는 고정편부(21)의 후단측으로부터 가동편부(22)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탄성편부(23)의 탄성변형에 의해 가동편부(22)가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각 제 2 단자(3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각 제 2 단자구멍(15)에 각각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각 제 2 단자(30)는 커넥터 본체(10)의 저면측에 배치되는 고정편부(31)와, 고정편부(31)의 위쪽에 배치되는 가동편부(32)와, 고정편부(31)와 가동편부(32)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편부(33)로 이루어진다.
고정편부(31)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부(31a)는 제 2 단자구멍(15)의 홀딩구멍(15a)에 압입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편부(31)의 후단측은 그 상단이 커넥터 본체(10)의 지지부(16)의 상면과 동등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부(31)의 전단에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접속부(31b)가 설치되고, 접속부(31b)는 커넥터 본체(10)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편부(31)의 전단측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하면측의 전기 접점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31c)가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동편부(32)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측의 전기 접점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32a)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단자(30)의 가동편부(32)는 제 1 단자(20)의 가동편부(22)보다 앞쪽을 향해 길게 형성되고, 제 2 단자(30)의 제 2 접촉부(32a)가 제 1 단자(20)의 제 2 접촉부(22a)보다 앞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가동편부(32)의 후단측에는 누름 부재(40)가 아래쪽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부(32b)가 형성되고, 맞닿음부(32b)는 고정편부(31)의 후단측과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탄성편부(33)는 고정편부(31)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터 가동편부(32)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탄성편부(33)의 탄성변형에 의해 가동편부(32)가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커넥터 본체(10)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40)는 커넥터 본체(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조작부(41)와, 제 1 및 제 2 단자(20, 30)의 가동편부(22, 32)의 후단측을 밀어 올리는 누름부(42)를 갖고, 누름부(42)는 가동편부(22, 32)의 맞닿음부(22b, 32b)와 커넥터 본체(10)의 지지부(16)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누름부(42)는 단면이 대략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41)가 위쪽에 위치하는 회전 운동 위치에서는 누름부(42)의 단면 긴쪽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고,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41)가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 운동 위치에서는 누름부(42)의 단면 긴쪽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누름부(42)는 단면 긴쪽 방향 일단측(도 6 및 도 9의 회전 운동 위치에 있어서의 상단측)보다 단면 긴쪽 방향 타단측(도 6 및 도 9의 회전 운동 위치에 있어서의 하단측)의 전후 방향의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42)의 단면 긴쪽 방향 일단측의 둘레면은 점(P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제 1 곡면부(42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누름부(42)의 단면 긴쪽 방향 타단측의 둘레면은 점(P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제 2 곡면부(42b)와, 점(P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제 3 곡면부(42c)와, 제 2 곡면부(42b)와 제 3 곡면부(43b)를 연결하는 평면부(42d)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 플렉시블 회로(1)를 접속하는 경우는 우선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40)를 조작부(41)가 커넥터 본체(10)의 위쪽에 위치하는 회전 운동 위치로 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회로(1)를 삽입구(10a)로부터 커넥터 본체(10) 내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41)를 뒤쪽으로 누르면서 누름 부재(40)를 뒤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누름 부재(40)의 누름부(42)가 제 1 및 제 2 단자(20, 30)의 가동편부(22, 32)의 맞닿음부(22b, 32b)와 커넥터 본체(10)의 지지부(16)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하고, 누름부(42)의 단면 긴쪽 방향 타단측이 커넥터 본체(10)의 지지부(16)에 맞닿으면서 누름부(42)의 단면 긴쪽 방향 일단측이 가동편부(22, 32)의 맞닿음부(22b, 32b)에 맞닿는다. 이 후,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41)가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에 위치하는 회전 운동 위치까지 누름 부재(40)를 회전 운동시키면, 가동편부(22, 32)의 후단측(맞닿음부(22b, 32b))이 누름부(42)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탄성편부(23, 33)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가동편부(22, 32)의 전단측이 아래쪽으로 변위하며, 가동편부(22, 32)의 제 2 접촉부(22a, 32a)가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에 아래쪽을 향하여 압접한다. 이에 따라, 가동편부(22, 32)의 제 2 접촉부(22a, 32a)가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측의 전기 접점에 접촉하는 동시에, 고정편부(21, 31)의 제 1 접촉부(21c, 31c)가 플렉시블 회로(1)의 하면측의 전기 접점에 접촉하고, 플렉시블 회로(1)가 제 1 및 제 2 단자(20, 30)에 접속된다.
또, 누름 부재(40)의 상기 회전 운동에 있어서, 누름부(42)의 단면 긴쪽 방향 타단측이 지지부(16)의 걸림부(16a)에 걸리면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걸림부(16a)에 의해 누름부(42)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때, 누름부(4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운동 초기에는 점(P2)을 회전 운동 중심으로 하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서히 회전 운동 중심이 점(P2)으로부터 점(P3)으로 이행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운동 종기(終期)에는 점(P3)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 운동 종기에 있어서는 누름부(42)의 단면 긴쪽 방향 타단측이 걸림부(16a)에 걸리면서 점(P2)과 점(P3) 사이의 거리(L)만큼 앞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누름부(42)의 회전 운동이 단면 긴쪽 방향 타단측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수반함에 따라, 회전 운동뿐인 경우와 비교하여 누름부(42)가 걸림부(16a)를 타고 넘으려고 하는 힘이 억제되어 누름부(42)가 뒤쪽으로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본체(10)의 후단측에 누름부(42)를 회전 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16)를 설치하고, 누름부(42)가 가동편부(22, 32)의 후단측과 커넥터 본체(10)의 지지부(16)에 각각 맞닿으면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가동편부(22, 32)의 후단측이 누름부(42)에 의해 밀어 올려지도록 했으므로, 서로 맞닿는 누름부(42)와 지지부(16)가 합성수지끼리의 접촉이 되며 누름 부재(40)의 회전 운동을 반복해도 누름부(42)가 지지부(16)와의 접촉에 의해 깎이는 일이 없어 이와 같은 누름부(42)의 형상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42)에 의한 가동편부(22, 32)의 밀어 올림 높이를 항상 충분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어 플렉시블 회로(1)에 대한 가동편부(22, 32)의 접촉압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지지부(16)에 설치한 걸림부(16a)에 누름부(42)가 걸림으로써, 누름부(42)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했으므로, 누름부(42)의 뒤쪽으로의 어긋남을 걸림부(16a)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부(42)는 가동편부(22, 32)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걸림부(16a)에 걸리면서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부(42)의 회전 운동이 앞쪽으로의 이동을 수반함으로써, 회전 운동뿐인 경우와 비교하여 누름부(42)가 걸림부(16a)를 타고 넘으려고 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어 누름부(42)의 뒤쪽으로의 어긋남 방지에 매우 유리하다.
또, 지지부(16)를 제 1 단자(20)보다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했으므로, 지지부(16)와 누름부(42)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누름부(42)의 깎임 방지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커넥터 본체(10)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되는 제 1 단자(20)와, 커넥터 본체(10)에 뒤쪽으로부터 삽입되는 제 2 단자(30)를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하나씩 교대로 배열하고, 커넥터 본체(10)에는 각 제 1 단자(20)를 홀딩하는 복수의 제 1 단자구멍(14)과, 각 제 2 단자(30)를 홀딩하는 복수의 제 2 단자구멍(15)을 설치하는 동시에, 각 제 1 단자구멍(14)의 뒤쪽에 지지부(16)를 형성했으므로, 제 1 단자구멍(14)을 커넥터 본체(10)의 후단측까지 형성하지 않고, 커넥터 본체(10)의 후단측에 지지부(16)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6)의 아래쪽으로 제 1 단자구멍(14)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커넥터 본체(10)의 후단측에 지지부(16)를 형성하는 부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10)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되는 제 1 단자(20)와, 커넥터 본체(10)에 뒤쪽으로부터 삽입되는 제 2 단자(30)를 커넥터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하나씩 교대로 배열한 것을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제 1 단자(20)만을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1: 플렉시블 회로 10: 커넥터 본체 14: 제 1 단자구멍
15: 제 2 단자구멍 16: 지지부 16a: 걸림부
20: 제 1 단자 30: 제 2 단자 40: 누름 부재
42: 누름부

Claims (5)

  1. 접속 대상물이 앞쪽으로부터 삽입되는 합성수지제의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홀딩된 복수의 단자와, 단자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가동편부와, 커넥터 본체의 후단측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각 단자의 가동편부를 접속 대상물에 압접시키는 합성수지제의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누름 부재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누름 부재에 설치된 누름부가 회전 운동하면서 각 단자의 가동편부의 후단측을 밀어 올림으로써, 가동편부의 전단측이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접속 대상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후단측에 누름부를 회전 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누름부가 가동편부의 후단측과 커넥터 본체의 지지부에 각각 맞닿으면서 회전 운동함으로써, 가동편부의 후단측이 누름부에 의해 밀어 올려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누름부에 걸림으로써 누름부의 뒤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걸림부에 걸리면서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를 단자보다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를, 커넥터 본체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커넥터 본체에 홀딩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커넥터 본체에 뒤쪽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커넥터 본체에 홀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로 구성하는 동시에,
    각 제 1 단자와 각 제 2 단자를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하나씩 교대로 배열하고,
    커넥터 본체에는 각 제 1 단자를 홀딩하는 복수의 제 1 단자구멍과, 각 제 2 단자를 홀딩하는 복수의 제 2 단자구멍을 설치하는 동시에, 각 제 1 단자구멍의 뒤쪽에 상기 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7007152A 2011-09-26 2012-09-10 커넥터 KR101425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09596 2011-09-26
JP2011209596A JP4945006B1 (ja) 2011-09-26 2011-09-26 コネクタ
PCT/JP2012/073026 WO2013047164A1 (ja) 2011-09-26 2012-09-10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505A true KR20140043505A (ko) 2014-04-09
KR101425063B1 KR101425063B1 (ko) 2014-08-01

Family

ID=4649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152A KR101425063B1 (ko) 2011-09-26 2012-09-10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6496B2 (ko)
EP (1) EP2750252A4 (ko)
JP (1) JP4945006B1 (ko)
KR (1) KR101425063B1 (ko)
CN (1) CN103828132B (ko)
TW (1) TWI458192B (ko)
WO (1) WO20130471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534U (ko) * 2021-04-14 2022-10-2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4883A (ja) 2013-02-22 2014-09-08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
JP6437182B2 (ja) * 2013-05-17 2018-1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208008B2 (ja) 2013-12-27 2017-10-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342342B2 (ja) 2015-01-26 2018-06-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34348B2 (ja) * 2016-06-22 2020-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81996B2 (ja) * 2017-02-09 2021-06-02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54967U (en) * 1999-01-12 2001-09-11 Hon Hai Prec Ind Co Ltd Clamp type terminal
JP3320378B2 (ja) * 1999-03-24 2002-09-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504054U (en) * 2000-12-30 2002-09-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783081B2 (ja) * 2005-07-21 2011-09-28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4951321B2 (ja) * 2006-12-07 2012-06-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38738B2 (ja) * 2007-02-02 2009-10-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858249B2 (ja) * 2007-03-1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26633B2 (ja) * 2007-03-23 2009-02-18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300340A (ja) * 2007-06-04 2008-12-11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5077032B2 (ja) * 2008-04-11 2012-11-21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018620B2 (ja) * 2008-04-25 2012-09-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277398A (ja) * 2008-05-13 2009-11-26 Jst Mfg Co Ltd コネクタ
US7744431B2 (en) * 2008-10-13 2010-06-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with a widened mating tip
US7744430B1 (en) * 2009-01-09 2010-06-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modules
TWM368912U (en) * 2009-03-31 2009-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995861B2 (ja) * 2009-03-31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534U (ko) * 2021-04-14 2022-10-2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5038A (zh) 2013-04-01
JP2013073683A (ja) 2013-04-22
EP2750252A4 (en) 2015-06-03
US20140349526A1 (en) 2014-11-27
US8936496B2 (en) 2015-01-20
CN103828132B (zh) 2016-03-02
WO2013047164A1 (ja) 2013-04-04
EP2750252A1 (en) 2014-07-02
JP4945006B1 (ja) 2012-06-06
TWI458192B (zh) 2014-10-21
CN103828132A (zh) 2014-05-28
KR101425063B1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63B1 (ko) 커넥터
JP5165630B2 (ja) コネクタ
JP4755539B2 (ja) コネクタ
JP5606588B1 (ja) コネクタ
US8177587B2 (en) Connector with movable-side contact and fixed-side contact
JP4669529B2 (ja) コネクタ
US8702454B2 (en) Contact and connector with contacts
JP6786356B2 (ja) コネクタ
KR101553465B1 (ko) 전기 커넥터
KR101334489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5392929B2 (ja) コネクタ
JP4044939B2 (ja) コネクタ
KR101450736B1 (ko) 커넥터
JP2006252975A (ja) コネクタ
JP6686140B2 (ja) コネクタ
JP4397736B2 (ja) コネクタ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KR102001285B1 (ko)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JP6533151B2 (ja) コネクタ
KR101161261B1 (ko) 커넥터
JP5054845B1 (ja) コネクタ
JP7266464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コネクタ、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431868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555143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